최근 수정 시각 : 2024-03-05 11:43:17

타이중 첩운 녹선


파일:타이중 첩운 심볼.svg{{{#!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f2023>파일:타이중 첩운 심볼.svg台中捷運 綠線
Taichung Metro Green Line
타이중 첩운 녹선
}}}
파일:Train_of_Taichung_MRT.jpg
타이중 첩운 녹선 차량
노선 정보
분류도시철도
기점베이툰역(北屯)
종점고속철도타이중역(高鐵台中)
역 수18개
(우르원신베이툰선만 포함)
구성 노선타이중 첩운 녹선
개업일2021년 4월 25일
소유자타이중시
운영자타이중 첩운 공사
사용차량
차량기지베이툰차량기지
노선 제원
노선연장16.71km
(우르원신베이툰선만 포함)
궤간1,435㎜
선로구성복선
사용전류제3궤조 직류 750V
신호방식알스톰 Urbalis(CBTC)
운영속도75㎞/h
통행방향우측통행
개통연혁2013. 5. 1. 착공
2021. 4. 25. 베이툰↔타이중고속철도역 개통

1. 개요2. 상세3. 요금4. 차량5. 역 일람6. 사건사고7. 전 구간 주행 영상

1. 개요

타이중 첩운의 노선. 타이중 시내를 남북으로 통과하며, 타이중시 베이툰구의 베이툰역에서 우르구의 타이중 고속철도역까지 운행한다. 전 구간 고가노선이며, 시종착역인 베이툰역과 고속철도역만 지상에 위치한다. 다칭역에서 고속철도역까지는 일반철도를 따라 그 옆에 건설되었다. 우르역, 다칭역, 쑹주역에서 일반철도를 이용할 수 있다.

2. 상세

2013년 5월 착공해 2020년 11월 16일부터 영업 시운전(무료시승)이 시작되었으며 2020년 12월 19일 개통예정이었다. 하지만 11월 21일 갑작스럽게 발생한 고장으로 영업 시운전 일정이 2021년 3월 25일 연기되었고, 4월 25일 정식 개통했다.

전체적인 선형은 간선도로인 원신로(文心路)를 쭉 따라가면서 시내를 관통하는 형태다. 남북으로 관통하여 고속철도역과 연결된다는 점에서는 일반철도인 타이중선과 비슷하지만, 타이중선과 달리 타이중역을 거치지 않고 원신로(文心路)를 따라 타이중시청을 거쳐 서북쪽으로 돌아간다.[1]

현재 도시의 중심은 시청을 비롯한 서부지역으로 옮겨갔기에 도시철도로서는 적합한 선형이다. 다만, 원신로 연선은 전형적인 주거지역이라 노선 하나만으로는 집객 효과가 낮은 편이다. 그럼에도 종점인 고속철도역부터 꽉 차서 오기 때문에 차량 내 승객은 많은 편이다.

개통 후 시내버스와 일반철도 구간차에만 의존하고 있던 고속철도역 접근성 문제가 크게 개선되었다. 특히 타이중시청 중심으로 개발된 신도심인 7기 개발지구(중문 위키백과, 영문 위키백과)와의 연계성이 매우 좋아졌다. 일반철도가 고속철도역과 구도심을 연결하고 첩운은 고속철도역과 신도심을 연결하는 식으로 역할 분담을 하고 있다.

오전 6시부터 밤 12시까지 운행하며 평시에는 약 10분 간격, RH시에는 6.5분 간격이고 23시 이후로는 약 15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종점역인 고속철도역에서 막차는 00:15분에 출발하기에 타이베이역에서 출발하는 막차를 타고 와도 대중교통편으로 시내까지 이동이 가능하다. 이전에는 막차 이용시 택시나 자가용 밖에 없었던 점에서 상당히 편리해졌다.

대부분의 역이 대합실과 연결된 방향은 바로타 구조이며 반대방향은 윗 층으로 올라가서 다시 내려오는 형태다. 대합실은 일반건물의 4층 정도 높이에 위치해 있다.

남북으로 노선을 더 연장할 계획이 있으며 장화시 북부까지 연장할 계획이다.

3. 요금

기본요금은 20NTD이며 전 구간 이용시 50NTD로 가오슝 첩운과 비슷한 구간 요율을 적용하는 것으로 보인다.[2] 타이베이, 가오슝과 달리 버스 및 공공자전거로 환승 시 현재 환승할인이 없다.

4. 차량

열차 형식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 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급전 방식 직류 750V 제3궤조
영업최고속도 75km/h
설계최고속도 80km/h
감속도 상용 3.6km/h/s
비상 4.68km/h/s
신호 방식 알스톰 Urbalis(CBTC)
제작회사 가와사키 중공업, 타이완차량주식회사
도입연도 2017년
제어 방식 미쓰비시VVVF-IGBT 인버터 제어
편성 2량
전동차 비 2M 0T

2량 1편성으로 운행하며 무인운전 시스템을 채택하였다. 가와사키 중공업과 타이완차량주식회사에서 제작한 차량을 사용하고 있다. 운전실이 없는데다 고가라 차량 선두부와 후미부의 뷰가 좋을 것 같지만 하단의 주행 영상에서 보듯이 반투명 방음벽으로 윗 부분까지 막혀 있어서 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 노선은 PPHPD가 5,000에서 20,000 사이에 위치한 노선으로써 대만 첩운의 법적 분류상 중규모(中運量) 노선이지만, 차량 축중이 15.4t에 달하여 한국의 법령 기준으로는 중전철에 해당한다.

한국 기준으로 중전철이기는 하나 운행 차량은 2량 1편성이며, 1편성당 정원은 536명이며 전폭은 2.98m로 눈에 보이는 혼잡도에 비해 실제 수송량은 작다. 이것보다 차량 규격과 축중이 작은 타이베이 첩운 환상선보다도 정원이 적다.

5. 역 일람

우르원신베이툰선 구간의 역명은 2018년 6월 30일 타이중시에 의해 정식 역명이 발표되었다. 그 외 연장구간의 역명은 가칭이다.

현재 개통된 구간은 우르원신베이툰선(烏日文心北屯線)으로도 지칭하며 북쪽 연장 구간은 다컹 연장선, 남쪽 연장 구간은 장화 연장선으로 지칭한다.

역번호가 기존 대만 도시철도의 관행과 달리 G(Green)가 아닌 1로 시작한다. 본래는 기존 대만 도시철도처럼 G0, G1 식의 역번호를 매기려 했는데, G8이 중국어로 jiba로 발음되어 음경을 뜻하는 속어 雞巴와 음이 같다는 이유로 논란이 되어 녹선을 1호선으로 간주해 역번호를 다시 매겼다.[3]
타이중 첩운 녹선
노선명 역번호 한국어 중국어 영어 승강장 환승노선 소재지
형태 횡단
다컹 연장선
(大坑延伸線)
101 위안산신춘 圓山新村 Yuanshan New Village 타이중시
베이툰구
102 쥔공랴오 軍功寮 Jungongliao
우르원신베이툰선
(烏日文心北屯線)
103a 베이툰 北屯總站 Beitun Main Station ■││■ [4]
103 주서 舊社 Jiushe ■││■ 다컹연장선 [5]
104 쑹주 松竹 Songzhu ■││■
105 쓰웨이초등학교 四維國小 Siwei Elementary School ■││■
106 원신충더 文心崇德 Wenxin Chongde ■││■
107 원신중칭 文心中清 Wenxin Zhongqing ■││■ 타이중 첩운 공항선 타이중시
북구
108 원화고등학교 文華高中 Wen-Hua Senior High School ■││■ 타이중시
시툰구
109 원신잉화 文心櫻花 Wenxin Yinghua ■││■
110 타이중시청 市政府 Taichung City Hall ■││■ 타이중 첩운 남선
111 수이안궁 水安宮 Shuian Temple ■││■ 타이중시
난툰구
112 원신삼림공원 文心森林公園 Wenxin Park ■││■
113 난툰 南屯 Nantun ■││■
114 펑러공원 豐樂公園 Fengle Park ■││■
115 다칭 大慶 Daqing ■││■ 타이중시
남구
116 주장리 九張犁 Jiuzhangli ■││■ 타이중시
우르구
117 주더 九德 Jiude ■││■
118 우르 烏日 Wuri ■││■
119 고속철도타이중역 高鐵臺中站 HSR Taichung Station │■│
장화 연장선
(彰化延伸線
120 청궁링 成功嶺 Chenggongling
121 샤라오쉬 下勞胥 Xialaoxu
122 두촨터우 渡船頭 Duchuantou 장화현
장화시
123 쿠링쟈오 苦苓腳 Kulingjiao
124 진마 金馬 Jinma [6]

6. 사건사고

2023년 5월 10일 선로 주변 건설 현장 크레인이 붕괴되어 선로를 지나던 열차를 덮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낮 12시반 쯤 펑러공원역에서 고속철도역 방면으로 운행하던 열차가 역에서 출발한지 얼마 안 된 시점에서 후면부가 파괴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차량 내에 탑승 중인 승객 1명이 사망하였고 10명이 부상을 입었다. 방음벽이 있어 열차가 완파되지는 않았으나, 크레인의 파편 일부가 반대편 유리창을 뚫을 정도로 직접적인 충격이 발생하였다. 크레인은 선로 옆 도로도 덮쳤으나 도로에서는 사상자가 발생하지 않았다. 사고 직후 타이중시청역에서 주장리역 구간은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사고 다음 날부터 정상 운행을 개시하였다.

7. 전 구간 주행 영상

베이툰역-고속철도타이중역 전구간 주행 영상 고속철도타이중역-베이툰역 전구간 주행 영상

[1] 원신로를 따라간다는 점에서 우르원신베이툰선이라는 노선명이 붙여진 것.[2] 단, 가오슝의 경우 유일하게 교통카드 할인이 적용되고 있어 실제 요금은 더 저렴하다.[3] 같은 논란은 똑같이 G를 쓰는 타이베이 첩운 쑹산신뎬선에서도 있었는데, 여기는 여론조사에서 로마자 + 번호 방식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다는 이유로 밀어붙였다.[4] 베이툰 차량기지 내에 있다.[5] 이미 다컹연장선 방향으로 직결되도록 건설된 상태로, 베이툰역 방향 차량은 여기서 분기선을 통해 진입하고 있다.[6] 종관선타이중선의 진마역(金馬站) 건설계획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