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나라 재상 두우(杜佑)가 지은 유서(類書)이자, 중국 최초로 역대 제도와 문물을 기록한 정치서적, 제도사이다. 통(通)이란 역대를 통한다는 뜻이요, 전(典)은 책을 의미한다. 총 200권. 사통의 저자로 유명한 유지기(劉知幾)의 아들 유질(劉秩)이 당현종 시대 개원(開元) 말에 지은 <정전(政典)> 35권의 미처 완비하지 못한 점을 보충하고자 지었다 한다.
766년에 착수하여 경사서(經史書)를 널리 수집하여 착수한 지 35년 만인 801년(정원 17년)에 〈통전〉을 펴냈다. 그 후에도 많은 보필(補筆)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책에 기록된 전장제도의 연혁은 위로는 당우에서부터 아래로는 당숙종, 당대종 때까지 국가제도의 중요한 사항을 종합한 것이다. 때에 따라서는 저자의 의견도 삽입하였다. 당조에 관한 서술은 더욱 상세하다.
역대 정사(正史)의 지류(志類)를 비롯해서 기전(紀傳), 잡사(雜史), 경자(經子), 당대의 법령, 개원례(開元禮, 당현종 때의 예제(禮制)) 등의 자료를 참조하여, 식화(食貨, 경제), 선거(選擧, 관리 등용), 직관(職官), 예(禮), 악(樂), 병형(兵刑), 주군(州郡), 변방(邊防)의 8문(門)로 나누어 각 문은 다시 약간의 세부목록으로 나누었다. 정사(正史)의 지(志)의 항목을 통사적(通史的)으로 총 망라하여 서술한 유서의 체재를 취했으나, 유서로는 모범적인 명저로, 후에 <통지(通志)> <문헌통고(文獻通考)>와 함께 삼통(三通)이라 불려 그 수위를 차지한다.
구성이 질서정연하고, 내용이 풍부하여 중당 이전의 제도를 통람하는 데 가장 유용한 책이다. 이 책은 북송 송백(宋白) 등의 <속통전(續通典)>, 남송 정초(鄭樵)의 <통지>, 원나라 마단림(馬端臨)의 <문헌통고> 등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당대 이전의 제도와 문물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