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23:21:22

대학수학능력시험/탐구 영역/통합과학

통합과학(수능)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학수학능력시험/탐구 영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시험이 출제 범위로 한 고등학교 과학과 과목에 대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통합과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2005학년도부터 2027학년도까지의 선택 과목 수능 체제에 대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과학탐구 영역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심볼.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2px"
역량
언어(言語)
수리(數理)
추론·자료해석
자격·지식
영역
<nopad> 한국사 <nopad> 제2​외국어​/한문
하위 문서
역사 · 등급 구분점수 · 문제점 및 해결 방안 · 논쟁 및 비판 · 기타 · 사건 사고 · 절대평가 전환 논란 · 학습 조언 · 시험장
기타
시간표 · 9등급제 · 모의평가 · 수능 샤프 · 필적 확인란 문구 · 물수능 · 불수능 · EBS 수능(수능특강 · 수능완성)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1. 개요2. 여담

1. 개요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에서 상대평가 영역으로 지정된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탐구 영역에 속하는 시험이다. 고등학교 1학년 때 배우는 통합과학1, 2 과목에서 출제된다.

2. 여담

  • 2024년 9월 26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28학년도 수능 예시 문항을 공개했으며 통합과학은 12문항이 다뤄졌다. #
    •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영역끼리 서로 넘나드는 통섭적 요소가 관찰된다. 이들의 경계를 허문 자연과학의 탐구 과정을 다루기도 하며, 정보기기와 융합하여 실험을 수행하는 상황을 다루기도 한다. 물론 모든 문항이 이러한 건 아니고 단독 주제 유형도 존재한다.
    • 예시 문항 12번에는 절대습도, 이슬점중학교 과학에서 다루는 용어도 등장했으나, 발문과 자료만 읽고도 충분히 답을 골라낼 수 있는 수준이었다.
  • 과학탐구 영역과 차별화되는 부분으로는 평가 목표의 다원화를 들 수 있다. 물론 기존 평가원의 시험 문제에도 행동 목표가 반영되어 있었고, 특정 행동 목표에 치우치지 않도록 출제한다는 원칙은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복잡도를 최대한 높여서 출제할 수 있는 몇몇 성취 기준에 따라 고착화된 특정 유형을 소위 킬러, 준킬러라 부르는 변별 목적의 문항으로 출제하면서, 소위 고인물이라 부르는 고난도 유형에 익숙해진 실력자들을 양산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번 수능에 통합과학이 신설되면서 특정한 성취기준에서 고인물을 변별하기 위해 복잡하고 어려운 난이도의 문항을 출제하기보다는, 그 대신 내용 체계표에 들어 있는 지식⋅이해를 소재로 하여 다양한 과정⋅기능을 수행하는 능력을 평가[1]하려는 취지가 드러난다. 이는 한정된 개수의 성취기준에 따른 특정 유형들만을 극한의 깊이와 복잡도로 대비하기보다는 다원화된 평가 목표에 맞추어 균형 있게 공부하기를 유도하려는 취지로 보인다. 이를 지적한 입시 컨텐츠 영상도 올라오고 있다.# 통합과학의 내용 체계표는 이 문서의 내용 요소 참고.
    • 2015 개정 교육과정 일부 교과를 출제 범위로 삼았던 기존 과학탐구 영역 기준 평가 목표의 행동 영역에 포함되어 있던 항목은 다음과 같다.
      과학 지식 및 개념에 대한 이해, 적용, 문제 인식 및 가설 설정, 탐구 설계 및 수행, 자료 분석 및 해석, 결론 도출 및 평가[2]
    •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1, 2를 출제 범위로 삼는 탐구 영역(통합과학) 기준 평가 목표의 행동 영역에 포함된 항목은 다음과 같다.
      과학 지식 및 개념에 대한 이해, 적용, 문제 인식 및 가설 설정, 탐구 설계, 탐구 수행 및 자료 수집, 자료 변환 및 해석, 결론 도출 및 일반화, 의사소통[3]
    • 과정⋅기능 중에 일부는 수학적 사고가 포함되며, 따라서 중학교 수준까지의 수학 개념, 수학적 사고 능력과 계산 능력을 요구하기도 한다. 기본적인 산수, 수식 파악(예: 부등호), 함수의 그래프, 시각적으로 제시된 양적 관계 파악 등의 능력이 해당된다.


[1] 내용 체계표의 내용 요소에는 가치⋅태도도 존재한다. 그러나 수능의 5지선다 형식으로는 이를 담기에는 부적절하며, 다만 문항을 제작한 의도를 간접적으로 담을 수는 있다.[2] 문제 인식부터 결론 도출까지의 과정은 통합 탐구 과정에 해당하지만, 실제로 수능에서는 실험 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 도출 외에 다른 과정에 대한 이해를 묻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3] 문제 인식부터 일반화까지의 과정은 통합 탐구 과정에 포함된다. 예시 문항에서는 가설 설정, 탐구 설계, 자료 해석, 일반화를 바탕으로 한 예측 등이 제시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