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20:50:44

대학수학능력시험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if 리스트 == null
{{{#!html 2025년 11월 13일에 시행 예정인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내용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2025년 11월 13일에 시행 예정인 대학수학능력시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심볼.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2px"
역량
언어(言語)
수리(數理)
추론·자료해석
자격·지식
영역
<nopad> 한국사 <nopad> 제2​외국어​/한문
하위 문서
역사 · 등급 구분점수 · 문제점 및 해결 방안 · 출제 및 감독 · 논쟁 및 비판 · 기타 · 사건 사고 · 절대평가 전환 논란 · 학습 조언 · 시험장
기타
시간표 · 9등급제 · 모의평가 · 수능 샤프 · 필적 확인란 문구 · 물수능 · 불수능 · EBS 수능(수능특강 · 수능완성)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국평오 }}}}}}}}}

1. 개요2. 명칭3. 역사4. 평가
4.1. 영역4.2. 유형4.3. 성적 산출 방식
4.3.1. 성적표
4.3.1.1. 표준점수
4.3.1.1.1. 선택과목 점수 조정4.3.1.1.2. 선택과목 점수 조정 도식화
4.3.1.2. 백분위4.3.1.3. 등급
4.3.1.3.1. 상대평가 영역4.3.1.3.2. 절대평가 영역
4.3.2. 대학 신입생 선발 활용 방법
5. 수험6. 출제 및 감독7. 해외 사례8. 관련 법령9. 사건 사고10. 문제점 및 해결 방안11. 논쟁12. 학습 조언13. 기타14. 관련 문서15. 둘러보기

1. 개요

고등학교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대학 교육에 필요한 수학(修學)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영역별로 시행하는 대한민국 정부 주관 통일 시험.

2. 명칭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주관하는 한국의 표준화 시험(일부)으로 공식 명칭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이며, 보통 이를 줄여 '수능(修能)', '대수능(大修能)'이라고 부른다.

영어 명칭은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이며, 두문자어로 'CSAT'이라고 한다. # 이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연구모델이 된 미국 칼리지 보드SAT의 예를 따른 것이나, SAT의 'A'는 1990년까지는 Aptitude, 1993년까지는 Assessment였고 이후에는 달리 지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본말과는 관계가 없다. 한편 영미권에서 '고객만족도(customer satisfaction)'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CSAT와 혼동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말로 의역하거나 'Korean SAT', 'Suneung' 등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

과거 정책 연구, 입안 및 공표 당시에는 일반적 명칭인 '적성시험' 또는 '적성고사' 등의 이름으로 불렸으며, 이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이 기존의 학력고사 체계와의 차별성을 두고자 시험의 평가 기준과 목적, 평가 방법을 개혁한다는 내용을 반영한 이름이었다. 정식 시험 도입 직전인 1990년에서 1992년에 걸쳐 총 7차례의 실험평가가 이루어졌으며, 1차 실험평가 당시에는 '대학교육적성시험'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이후의 실험평가 및 1993년1994학년도 정식 시험부터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이라는 명칭이 적용되어, 이 때부터 현재까지 대학수학능력시험으로 명명되고 있다.

한국에서 시행된 이래 30년 간 굳건히 자리잡은 대학입시 시험이다 보니, '수능'은 사실상 대학입시 시험의 대명사가 되었다. 그래서 외국의 대학입시 시험을 '(국가명) + 수능'이라고 지칭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가오카오를 '중국 수능'으로 부르는 식이다.

3.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098fd2,#098fd2><colcolor=#fff> 파일:대학입학적성시험.jpg
1990학년도 대학교육적성시험 실험평가 문제지
<colbgcolor=#098fd2,#098fd2><colcolor=#fff> 파일:2025 국어.jpg파일:2025 수학.jpg파일:2025 영어.jpg파일:2025 한국사.jpg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지
SAT를 본떠 '대학입학 적성시험(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1]이라는 가칭으로 1980년대 후반부터 연구가 시작되어 1990년부터 1992년까지 7차례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실험평가'가 실시되었다.[* 당시의 주관 기관은 '중앙교육평가원'이며, 후신 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실험평가 관련 자료가 이관되었다.년도부터 이 제도를 시행하기로 했으나, 여러 가지 문제로 1년 늦춰졌고, 교육정책자문회의에서 '대학교육적성시험'을 백지화하고 '사고력 중심의 학력고사'로 바꿀 것을 건의하는 등 혼란이 많았다.

1990년 4월 28일 공청회와 자문회의 등을 거쳐 의견을 수렴한 뒤 최종 개선안을 발표하였다. 당시 명칭과 성격을 둘러싼 논란이 분분했으나[2] 시험의 개념을 '사고력을 측정하는 발전된 학력고사'라고 정립하고, 대학교육의 수학에 기초가 될 보편적 학력을 측정하고, 학교에서 배운 능력을 평가하며, 고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출제한다고 밝혔다. 또한, 특수직업 적성시험, 선천적으로 타고난 능력을 측정하는 지능검사와 다르다고 분명하게 밝혔다. 기존 학력고사 9개 과목을 3개 영역으로 축소하고, 통합교과적으로 출제의 소재를 활용하도록 정했다.

1991년 1월 23일 '대학교육적성시험 실험평가' 문제를 언론에 공개하면서 수능 도입이 현실화되었다(1990년 12월 19일 당시 30개 고교 2학년 1,601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실험평가 시험지가 공개된 것이다). 당시 박도순 교수는 객관식 시험의 단점인 '찍어서 맞히기'를 방지하기 위해 5지 선다형으로 정하고, 영어 공부를 10년 넘게 해도 회화를 하지 못하는 현행 영어교육의 문제점을 탈피하기 위해 듣기평가를 도입하였다. 실험평가에는 주관식 17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이 객관식으로 구성되어 었었다. 그러나 교육부는 당시 계획안에서 1년에 시험을 두 차례 치르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채점 형편상 주관식 출제는 어렵다며 객관식 출제를 고집했고, 당시에는 대학별 본고사가 존재했기 때문에 본고사를 통하여 객관식 출제의 결점을 보완하기로 했다.

참고로 '대학 입학'을 위한 시험이기 때문에 연도 표기를 응시생이 입학할 예정인 연도로 한다. 예를 들어, 2024년 11월 14일에 시행된 대수능은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라고 표기한다. 단, 교육청 주관의 전국연합학력평가는 시행연도를 기준으로 한다. 수능 관련 논문에서도 학년도와 시행연도에 대해 주석을 다는 경우도 있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학년도와 시행 연도를 헷갈려 한다.

4. 평가

4.1. 영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국어 영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국어 영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국어 영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수학 영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수학 영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수학 영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영어 영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영어 영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영어 영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한국사 영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한국사 영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한국사 영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사회탐구 영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사회탐구 영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사회탐구 영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과학탐구 영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과학탐구 영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과학탐구 영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직업탐구 영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직업탐구 영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직업탐구 영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제2외국어·한문 영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제2외국어·한문 영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제2외국어·한문 영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들은 ‘논리적 사고를 시험에 어떻게 녹여낼 수 있을까’라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여러 연구를 거듭했고, 이 과정에서 미국SAT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수능 도입 전, 대학 학부 과정을 수학하는 데 주춧돌이 되는 기초 능력(문해력, 수리력, 자료해석 능력, 상황판단 능력 등)이 부족한 학생들에 대한 교수들의 비판적인 시선이 있었기에 논리 및 사고력 평가에 주된 목적을 지니고 있다. 물론 전공에 필요한 학문적 지식도 평가하나, 수능의 주된 관심사는 아니다(시험지에서도 주요 배점이 낮게 책정되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은 학문적인 요소를 교육공학적 관점에서 정제 · 재활용한 '교과'라는 차이가 있는데[3] 이는 학문 도야에 필요한 상식 · 전공 지식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사고력 · 문제 해결 능력 · 응용력을 확장시킬 수 있는 간접 지식을 추출해 구성하는 동기가 된다. 이견이 있을 수 있는 부분이지만 교육적 기제를 저촉시키는 단순 나열식 지식은 얼마든지 다른 매체를 통하여 학습할 수 있으므로 굳이 교과에서 다룰 필요가 없다는 관점이 강하다.

수능은 이러한 교과가 추구하는 역량을 잘 간파했는지를 평가하는 시험이지, 교과 기능을 초월하는 심화 지식은 관심 밖의 영역이다. 실제 수능 문항도 과목 각론에 밝힌 각 성취 기준에 맞추어 출제한다.

또한 수험 특성상 특정 지식을 접하고서 한 번만 제대로 외우고 넘어가면 만사해결되는 식이 아니라, 다각도의 문제 연습을 꾸준히 하여 길러낸 감()을 실전까지 이어가는 게 가장 큰 성패 요인이다. 수능이 평소 학업 성실도를 간접적으로 알아볼 수 있는 지표인 학교생활기록부 못지 않다는 이야기가 여기서 나왔다.

4.2. 유형

수능 문제의 유형들을 나열하면 아래와 같다. 이러한 유형들을 적성검사라고 한다.
  • 유형
    • 추론
      • 제시된 조건·근거·논거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숨겨진 근거 찾은 뒤 문제 풀이에 활용하기 (단서 조합 추론)
      • 명시하지 않고 뭉뚱그려서 제시된 두 개 이상의 대상에 대해 여러 가지 경우를 생각해놓고 조건에 맞춰 좁혀나가기 (갈래 추론, 밀의 추론)
    • 상황 판단
      • 모든 문제 상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 (제시된 자료나 지문만 봤을 땐 매우 복잡해 보이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상황에 맞게 핵심 조건만 뽑아내어 문제 풀이에 활용하기
        • 전체적인 맥락 파악을 중시하며 쓸데없는 자료를 걸러내는 능력이 요구된다. 한 마디로 방대한 자료나 지문을 통째로 다 읽고 있으면 시간에 쫓겨 뒷 일을 해결할 수 없게 만든다. 대학 진학시 원서 학습, 나아가 직무능력·업무효율로 이어진다. (대기업 GSAT 실시 목적과 유사)
    • 자료 해석 (비교·대조)
    • 퀴즈와 자격고사의 혼합형
      • 교과서에서 배웠던 개념을 활용하여 퀴즈 형식으로 제시된 문제 해결하기
      • 과목별로 학생들이 가장 만만하거나 익숙하게 인식하는 단원(특히 1단원)일수록, 그 허점을 노려 위의 유형을 다각도로 합성하여 매우 어려운 유형으로 출제하는 경향이 있다.
        • 예를 들어, 수학 영역에서 선택 과목인 <미적분>, <기하>, <확률과 통계>가 아닌 공통 과목인 <수학Ⅰ>, <수학Ⅱ>에서 최고난도 문항을 출제할 수 있다.
        • 역설적으로 시험 출제 범위가 줄어들거나 과목 분량·수준이 떨어질수록 그만큼 시험이 어려워진다. (변별력 확보 취지)
  • 영역: 언어력과 수리력으로 나뉜다.
    • 정통 분류법은 언어력(문해력)과 수리력 딱 두 가지이며 그 외 영역 분류는 없다. 탐구 영역, 영어 영역도 언어력, 수리력 중 어느 일종 혹은 혼합형으로 본다. 이 중에 영어 영역은 '언어력' 시험에 가깝다. 개발 시기 가명칭도 '언어 영역(영어)'이었다. 탐구 영역은 언어와 수리의 혼합인데, 사회탐구는 언어력, 과학탐구는 수리력 비중이 더 크다.
    • 각 시험 영역(과목)이 오직 단일 속성을 띤다고 없다고 볼 순 없으며, 영역에 따라 비중과 강·약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수학 영역은 수리력이라는 영역 하에 추론, 자격고사 유형을 다루고, 국어 영역은 상황 판단(특히 객관적 읽기)을 큰 비중으로 놓되 모든 영역을 골고루 다룬다. 탐구 영역은 주로 '자료 해석'에 중점을 두지만 그 밖의 유형은 선택 과목에 따라 비중이 크게 갈린다. 새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해를 기점으로 출제위원의 재량에 따라 분위기를 바꿀 수 있다. 가령, 탐구 영역이나 수학 영역에 국어 영역처럼 긴 지문을 주고 세트형 문항을 출제할 수도 있다.

아예 순수 적성검사[4] 유형으로 내기엔 공교육을 궤멸시킬 위험이 있었기 때문에, 교과 내용과 이 유형을 접목시켜냈다. 따라서 일각에서는 이를 '교과 적성검사'라고 특칭하기도 한다.

단순 지식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문제들을 자주 마주하고 꾸준히 연습해야 실력을 높일 수 있다. 또 순수 적성 검사가 아니라 교과 적성 검사이기 때문에, 위의 유형을 연습하기 전엔 각 교과의 지식적인 내용을 잘 숙지하는 것이 먼저이다.

교과 학습 시엔 교육과정 내에서만 충실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지식적 출제 범위상 절대로 교과 외 내용이 출제되지 않는다. 각 교과서마다 존재하는 교육과정 해설서와 교사용 지도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가이드라인을 엄준하여 출제한다. 수학 영역탐구 영역은 비교적 교과 지식 내용을 토대로 출제하며 국어 영역영어 영역은 각 교과 해설서의 '평가 항목' 기준에만 충실히 하고, 지문 소재는 외부 문헌을 활용한다. 일각에서는 '왜 배우지도 않은 어려운 과학·철학 지문을 출제하냐', '교과 외 내용 아니냐'라고 오해하기도 하는데, 애당초 국어 영역과 영어 영역 중 독해 부분의 취지 자체는 태어나서 처음 보는 지문을 그 자리에서 읽어내어 해석하고 재구성하는 문해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누구는 읽어본 적 있는데 누구는 읽어본 적이 없는 지문을 출제해 버리면 평가 자체의 공정성이 훼손되기 때문이다. 다만 외부 문헌들도 교육부에서 사전에 후보 문서들을 준비해 준다.[5] 그중에서 출제위원들과 검토위원들이 토론하여 문제로 출제할 내용을 결정한다.

특히 전문 지식이 아무리 우수해도 주어진 교육과정 내에 충실하지 못하면 고득점을 따내기 어려운 시험이다. 학력고사 세대에선 교과 외 심화 과정·대학 과정을 미리 학습할수록 효력이 있었을지 몰라도, 수능 세대에서는 오히려 독이 되는 이유가 이것이다. 일례로 박학다식하다고 정평이 나 있는 현직 의사들은 수능 생명과학Ⅱ를 잘 풀지 못한다. #[6] 물론 이러한 사실을 알려주지 않는(혹은 모르는) 학교 및 기타 교육기관의 역할이 부재된 것이 가장 큰 현실이다.

한때 미국판 수능인 SAT에 대해 선천성 논쟁이 일기도 하였으나,[7] 결론적으로 '수능 문제 학습' 자체엔 부당한 주장이다. 이에 대해 실전 능력이 선천적인 지능과 거의 별개라는 연구결과가 등장하여 관한 논란을 불식시킨 적이 있다. 노력으로 만회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반면에 그 전에 이루어져야 하는 '교과 학습'에서는 타당한 주장이 된다. 이는 교과를 학습하는 과정에서도 개개인마다 '수학능력(학업효율능력)'이 다르기 때문에 이론 학습 완료(흔히 '개념 완성') 속도에서 크게 차이가 난다.

적성검사 유형과 반대로 대학입학 학력고사 같이 자격 여부만을 알기 위해 암기식으로 출제하는 시험을 자격고사라고 한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자격고사 유형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다만 '수학 영역', '탐구 영역'의 경우엔 주로 배점이 낮은 문항에만 배정된다.

사고력과 추론 중심의 평가를 지향하였기 때문에 초창기 획기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8] 그러나 이 지향성과 전혀 맞지 않는 '한국사 영역'과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거의 모든 문항이 자격고사의 틀을 따르고 있어서 수능의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꾸준히 있다.

4.3. 성적 산출 방식

전국적으로 치러지는 시험이기 때문에 표본(응시자 수)이 굉장히 많고, 그만큼 응시자 간의 비교 가치가 높기 때문에 공정성이 크게 확보된다. 응시자들이 득점한 모든 로우 데이터를 갖고 평균표준 편차를 내는데, 이러는 목적은 시험의 난이도에 따라 점수를 보정하기 위해서다. 결과적으로 다같이 어려운 시험일수록 고득점자의 점수가 높게 보정되며, 반대로 다같이 쉬운 시험일수록 고득점자의 점수가 낮게 보정된다. 쉽게 말해 등수 대로 점수가 나온다.[9] 이러한 평가 방식을 상대평가라고 하며, 통계를 갖고 등수 대로 점수를 산출 및 보정하는 시험을 표준화 시험이라고 한다. 대학수학능력시험 도입 이래로 20여 년간 이 방식을 전반적으로 따르고 있다. 단, 비교적 최근에 일부 과목(한국사, 영어,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 절대평가가 도입되었다.

해외 전반에서 실시되는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유사한) 표준화 선발 시험(전국통일고시)은 주요 과목에 한해서 상대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반면 학교 시험(내신)은 세계적으로 절대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교육 혁신에서 영향력이 있는 서울대 이혜정 연구소장은 해외 수능에서도 절대평가를 실시한다고 주장 중이지만, 실제로 전면 실시하는 것도 아니며, 이는 세부 비주류 과목(예: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만 해당하므로 오도(誤導)에 유의하기 바란다.

표준화 시험 특성상 변별력 확보를 위해 '아주 쉬운 문항', '쉬운 문항', '중간 난이도의 문항', '어려운 문항', '아주 어려운 문항'(은어: 킬러 문제)을 골고루 출제하려는 편이다. 즉 누구나 풀 수 있는 문항도 출제하긴 하나, 누구도 풀 수 없을 만한 문항도 출제한다는 것이다.

4.3.1. 성적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통지표
수험번호 성 명 생년월일 성 별 출신고교 (반 또는 졸업년도)
12345678 홍길동 06.04.17 나무고등학교 (1)
<colbgcolor=#eee> 영 역 한국사 국어 수학 영어 탐구 제2외국어
/한문
선택과목
#!if 상 == null && 하 == null
'''지정한 매개변수가 없어 대각선 테두리가 출력되지 않습니다!'''[br]{{{상=,}}}이나 {{{하=,}}} 혹은 두 매개변수 모두 선언해주세요.[br]자세한 내용은 [[틀:대각선 테두리/설명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언어와 매체 미적분
#!if 상 == null && 하 == null
'''지정한 매개변수가 없어 대각선 테두리가 출력되지 않습니다!'''[br]{{{상=,}}}이나 {{{하=,}}} 혹은 두 매개변수 모두 선언해주세요.[br]자세한 내용은 [[틀:대각선 테두리/설명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사회·문화 지구과학Ⅰ 한문Ⅰ
표준점수 139 140 69 70
#!if 상 == null && 하 == null
'''지정한 매개변수가 없어 대각선 테두리가 출력되지 않습니다!'''[br]{{{상=,}}}이나 {{{하=,}}} 혹은 두 매개변수 모두 선언해주세요.[br]자세한 내용은 [[틀:대각선 테두리/설명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백 분 위 100 100 100 100
등 급 1 1 1 1 1 1 1
★유의사항★ 본 성적통지표는 성적을 통지하기 위한 용도이며, 다른 용도(성적 증명 등)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2024. 12. 06.
{{{#!wiki style="letter-spacing: 0.5em; display: inline"

국어, 수학, 영어 영역의 원점수 만점은 100이고, 한국사, (사회 · 과학 · 직업) 탐구,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만점은 50이다. 그러나 보다시피 성적 통지표에 '원점수'가 기재되지 않는다. 본래 2003년 실시된 2004학년도 수능까지는 원점수 제도도 실시하였으나 2004년 실시된 2005학년도 수능부터 수능 체제가 대폭 개정되면서 원점수만을 제공할 경우, 시험 수준과 학생 수준에 따라 과목 간에 유불리함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정규분포를 이용하여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을 제공한다.[10]
4.3.1.1. 표준점수
표준점수 제도는 원점수 제도보다 상대평가의 정체성을 더 뚜렷하게 하여 국어 · 수학 · 탐구 영역 간의 형평성을 수호한다. 나아가 시행별 시험 수준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영어 영역과 한국사 영역은 절대평가이므로 제외) 특징을 소개하자면, 누구나 어려워하는 시험일 경우 표준점수 만점이 높아지고, 반대로 누구나 쉬운 시험일수록 표준점수 만점이 낮아진다. 다시 말해 쉬운 시험에서의 획득한 원 점수 100점과 어려운 시험에서의 획득한 원 점수 80점의 표준점수가 같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이다. 주로 대입 정시 모집에서 활용된다. 표준점수는 아래와 같이 산출된다.
[math(\displaystyle T=\frac{X-m}{\sigma}× \alpha + \beta)]
([math(T)]: 표준점수, [math(X)]: 원 점수, [math(m)]: 평균, [math(\sigma)]: 표준 편차, [math(\alpha, \beta)]: 보정값)
이때 [math(\alpha=20(10), \beta=100(50))]이며[11], 보정값 [math(\alpha)]를 부여하는 이유는 점수 범위를 세분화하기 위해서이다. 수능 표준점수는 자연수로 표기하기 때문에 [math(\alpha)]를 곱해주지 않으면 다른 원점수대에서도 동점자가 많이 나오기 때문이다(주로 -2와 +2 사이에서 대부분 분포). 보정값 [math(\beta)]를 부여하는 이유는 평균보다 낮은 점수를 받을 경우 음수가 뜨기 때문이다.

원점수 만점을 받았을 때 국어 영역은 130~140점대, 수학 영역은 140점대, 탐구 영역은 선택 과목 별로 상이하나 60~70점 정도다. 어렵게 나온다면 국어, 수학은 140점대 후반에서 150점대 초반, 탐구는 70점대 후반 정도로 뜬다.
4.3.1.1.1. 선택과목 점수 조정
수능 공통+선택 구조 표준점수 산출 과정 분석 영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 선택과목 조정 점수의 뜻과 특징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수능 원점수 총점 동점 시, 표준점수 차이 원리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최종 표준화 20V+100' 평가원 책자 오류 증명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2022학년도 수능 공통과목 1점 VS 선택과목 1점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평가원 산출 방법 = Q점수 산출 방법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국어·수학 영역 선택과목 개인 가산점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국어·수학 영역 선택과목 단체 가산점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국어·수학 영역 선택과목 가산점 함수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 국어·수학 등급컷 형성 원리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국어·수학 표점 함수 형성 원리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 2022 대수능 국어 및 수학 표점 함수 및 등급컷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5~2011학년도 수능 수리 영역 가형, 2022학년도 이후 수능 국어, 수학 영역은 공통과목과 선택과목 문제가 둘 다 있는 체제이다. 그러므로 선택과목 간 유불리를 완화시키기 위해 표준점수를 계산할 때 선택과목의 점수는 그대로 표준화시키지 않고 다음 공식에 의해 점수를 조정한 뒤 표준화한다.

공식이 다소 복잡해 보이지만 원리는 매우 간단한데, 선택과목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그 선택과목을 선택한 수험생들의 공통과목 점수의 평균과 표준점수와 같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즉, 공통과목 점수가 높은 수험생들이 많이 몰리는 과목(미적분, 언어와 매체 등)에 어드밴티지를 주는 효과가 발생한다.
[math( \displaystyle {X'{_2}{_i}_j} = \frac{ {{X}{_2}{_i}_j} - \overline{{{X}{_2}_j}}​}{{S}{_X}{_2}_j} )] × [math( \displaystyle {{S}{_X}{_1}_j} )] + [math( \displaystyle \overline{{X}{_1}_j} )]
  • [math( \displaystyle {X'{_2}{_i}_j} )] : [math( \displaystyle j )] 선택과목 집단 [math( \displaystyle i )] 수험생의 선택과목 조정 원점수
  • [math( \displaystyle {{X}{_2}{_i}_j} )] : [math( \displaystyle j )] 선택과목 집단 [math( \displaystyle i )] 수험생의 선택과목 원점수
  • [math( \displaystyle \overline{{X}{_2}_j} )] : [math( \displaystyle j )] 선택과목 집단의 선택과목 원점수 평균
  • [math( \displaystyle {{S}{_X}{_2}_j} )] : [math( \displaystyle j )] 선택과목 집단의 선택과목 원점수 표준편차
  • [math( \displaystyle {{S}{_X}{_1}_j} )] : [math( \displaystyle j )] 선택과목 집단의 공통과목 원점수 표준편차
  • [math( \displaystyle \overline{{X}{_1}_j} )] : [math( \displaystyle j )] 선택과목 집단의 공통과목 원점수 평균
4.3.1.1.2. 선택과목 점수 조정 도식화
<colbgcolor=#098fd2,#098fd2><colcolor=#fff> 파일:선택과목점수조정.jpg
선택과목 점수 조정
4.3.1.2. 백분위
백분위란 영역별 응시자 수를 100명이라고 했을 때 자기 위치를 알아보는 방법이다. 등수와는 다르게 성적이 100에 가까울수록 상대적으로 남들보다 성취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준점수와 마찬가지로 대입 정시 모집에서 주로 활용되는데, 특히 연세대학교의 경우 백분위를 이용한 변환표준점수를 활용하여 선택 과목별 표준편차 유불리를 해소하고 있다. 백분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math( 100- \displaystyle \frac{100x}{S} )]
(단, [math(x)]는 등수, [math(S)]는 응시자 수)
동점자가 발생하면 [math(x)] 값은 그들끼리의 평균 석차로 계산한다. 예를 들어 1000등인 사람이 1001명 있다고 하면 1000~2000등의 평균인 1500등으로 계산한다. 이렇게 산출된 [math(S)] 값은 소수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 예를 들어 99.6이 나올 경우 백분위는 100이 된다. 쉽게 말해 상위 1.1%일 경우 백분위는 99, 상위 20%일 경우 백분위는 80인 셈이다.

만점자 기준으로 1% 미만일 경우 백분위는 무난하게 100이 나오지만 만점자가 1%를 넘게 되면 만점을 맞아도 만점자 모두가 백분위는 100이 아닌 99 또는 그 이하가 뜬다.[12] 예를 들어, 만점자가 1.1%였을 경우 만점자의 상위 비율은 중간값인 0.55%로 간주되어 백분위가 100보다 가까운 99로 맞춰진다. 2018학년도 수능 경제에서 만점자가 11%를 넘기는 바람에, 원점수 50점을 맞아도 백분위가 94가 뜨는 사태가 발생한 적이 있었다. 그만큼 시험이 너무 쉽게 나오는 물수능의 경우 변별력이 약화되며 최상위권에게 불리해진다.
4.3.1.3. 등급
4.3.1.3.1. 상대평가 영역
<colbgcolor=#098fd2,#098fd2><colcolor=#fff> 파일:정규분포.png
정규분표
실질적으로 위에서 소개된 백분위와 크게 다른 건 없다. 그저 특정 백분위대를 구간별로 나누어 등급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표준점수와 백분위가 정시 모집에 주로 활용된다면, 등급은 대개 수시 모집에서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할 때 활용된다. 현재 상대 평가를 시행하는 영역에서의 각 등급의 커트라인은 다음과 같다.
<colbgcolor=#098fd2,#098fd2> 등급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6등급 7등급 8등급 9등급
백분위
분포대
100 ~ 96 95 ~ 89 88 ~ 77 76 ~ 60 59 ~ 40 39 ~ 23 22 ~ 11 10 ~ 4 3 ~ 0
등수
(비율)
상위 4% 상위 11% 상위 23% 상위 40% 상위 60% 상위 77% 상위 89% 상위 96% 상위 100%
인원
(비율)
4% 7% 12% 17% 20% 17% 12% 7% 4%
1등급과 9등급의 비율은 4%이지만 실제 정규분포 상에서 자세한 수치는 4.5%이다. 따라서 1, 9등급의 비율을 0.5%씩 총 1% 늘리고 중간 5등급의 비율을 1% 줄여 20%→19%로 하는 것이 이론상으로는 옳으며, 연구 차원에서 보고된 적은 있으나 전통적 '스테나인'의 등급별 비율을 유지한다. 수능 등급제는 대체적으로 정규분포 곡선을 따라 성적 구간을 배정된다. 따라서 최상위권과 최하위권의 인원은 적으며, 응시자 대부분은 중간 등급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평균은 5등급이다.
4.3.1.3.2. 절대평가 영역
한국사 영역[13]영어 영역[14]제2외국어/한문 영역[15]에서도 등급이 제공되나 위처럼 백분위대에 따라 부여되는 것이 아닌 원점수에 따라 부여된다.
<colbgcolor=#098fd2,#098fd2> 영어 영역
등급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6등급 7등급 8등급 9등급
원 점수
구간
100 ~ 90 89 ~ 80 79 ~ 70 69 ~ 60 59 ~ 50 49 ~ 40 39 ~ 30 29 ~ 20 19 ~ 0
<colbgcolor=#098fd2,#098fd2> 한국사 영역
등급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6등급 7등급 8등급 9등급
원 점수
구간
50 ~ 40 39 ~ 35 34 ~ 30 29 ~ 25 24 ~ 20 19 ~ 15 14 ~ 10 9 ~ 5 4 ~ 0
<colbgcolor=#098fd2,#098fd2> 제2외국어/한문 영역
등급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6등급 7등급 8등급 9등급
원 점수
구간
50 ~ 45 44 ~ 40 39 ~ 35 34 ~ 30 29 ~ 25 24 ~ 20 19 ~ 15 14 ~ 10 9 ~ 0

4.3.2. 대학 신입생 선발 활용 방법

대학교에서 신입생을 선발하는 성적 활용 지표는 다양하다. 정시 전형에서는 표준점수만 반영하는 곳도 있고, 백분위만 반영하는 곳도 있다. 혹은 자체 변환 점수를 반영한다.

대학마다 과목(영역)별 반영 비율도 다르므로 대학에 지원할 때 잘 알아보아야 한다. 서울대학교 기준으로 문·이과 상관없이 국어 33%, 수학 40%, 탐구1선택 13.3%, 탐구2선택 13.3%씩 반영하며, 한국사는 문과는 3등급 미만부터, 이과는 4등급 미만부터 차등 감점제를 실시하며, 영어는 2등급 이하부터 차등 감점제를 실시한다. 사실상 수학, 국어에서 당락을 크게 좌우하는 셈이다. 반면 다른 학교에서는 국어나 탐구의 반영 비율이 오히려 더 높은 곳도 있다. 이 부분은 지원자가 자율적으로 알맞게 알아보는 것이 크게 요구되므로, 각 대학교 웹사이트에서 입시 요강을 알아볼 것.

정시 전형은 대개 수능 성적을 100% 반영하지만, 일부 대학에서는 0%까지도 낮출 수 있다.[16] 과거 서울대학교에서는 2013학년도까지 나머지 50%를 내신과 자체 논술 시험 성적을 반영하기도 하였다. 수시 전형에서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이 활용되기도 하지만 보통은 등급만을 기준삼기 때문에 표준점수와 백분위가 중요한 지표가 아니다. 일부 상위권 대학에서는 일부 과목 중 일정 등급만 넘기면 되는 최저학력기준(최저등급제)이 그것이다. 그 외엔 학생부(면접, 학교 성적/내신, 수상 실적, 교외 이력, 자기소개서)나 논술 등으로 선발한다.

2025학년도 대입 기준으로 전국 대학에서는 정시 전형 선발 비율이 20% 초반이고, 수시 전형은 80% 가까이 상회한다. 참고로, 대학들의 정시 선발 비율은 2005학년도 입시에서 55%를 차지했던 예전에 비했을 때 35%p 하락한 수치이다. 또 1990년대 중~후반에는 80%까지 차지했었던지라 현재처럼 정시 선발 비율 문제를 갖고 이의제기가 일어나지 않았다. 이 때문에 2010년대 중후반에 이르러서는 꾸준히 논란거리가 되기도 하였다.

5. 수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수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수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수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출제 및 감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출제 및 감독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출제 및 감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출제 및 감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해외 사례

초기에 수능은 미국의 SAT 같은 시험을 지향했으나, 학력과 표준 시험을 높게 평가하는 교육 문화의 특성상 시험 난이도나 사회적 중요성, 관리 방식(국가적 차원의 특별 조치)이 중국 가오카오나 인도의 JEE 등의 시험과 비슷해졌다. 수능처럼 매체에 최고득점자가 보도될 정도로 시험의 권위가 높은 경우는 중국과 인도 정도가 아니면 찾기 어렵다. 중국과 인도에서도 이런 시험이 아닌 평가가 불공정하다는 인식이 높은 편이기도 하다.
  • 일본에서는 대학입학공통테스트(약칭 공통테스트(共通テスト))가 있으며 1월 13일이 있는 다음 첫 토요일과 일요일 이틀에 걸쳐서 실시한다. 1990~2020년까지는 대학입시센터시험(大学入試センター試験)이 있었는데 시행일은 공통테스트와 같았다.[17]
  • 중국에서는 보통고등학교학생모집전국통일고시(약칭 가오카오(高考))를 매년 6월 초에 시행한다. 시험 수석인 장원들은 지역 사회의 자랑으로 여겨질 정도로 권위가 높은 시험이다. 중국 정부는 2021년 이 장원을 발표하는 시도를 금지하기도 했으나 오히려 수석을 우회해서 홍보하려는 시도가 생겨났다. #
  • 대만에서는 1월 말쯤에 이틀간 대학학과능력측험(약칭 쉐처(學測))을 시행한다. 첫째 날에 영어, 국어, 사회(지리 / 역사 / 국민과 사회)를 보고, 둘째 날에 수학(대수 / 기하), 작문, 자연과학(물리 / 화학 / 생물 / 지구과학)을 본다. 이 시험에서 떨어진 학생들은 7월 초에 사흘간 진행되는 대학지정과목고시(약칭 따쉐즈카오(大學指考))를 봐야 한다. 첫째 날에 물리, 화학, 생물을 보고, 둘째 날에 수학甲, 수학乙, 국어, 영어를 보고, 마지막 날에 역사, 지리, 국민과 사회를 본다.
  • 미국에서는 수능의 모태가 된 SATACT를 시행한다.
  • 인도에서는 공학계열의 JEE, 의대 등 약학을 제외한 보건 계열을 위한 NEET, 전문분야를 제외한 대학에서 보는 유형이 수능과 비슷한 CUET가 있다. JEE가 가장 널리 알려진 시험이다. 수석은 정부가 명단을 공개하며, 공부할 때 시계도 보지 않았다는 식으로 명예롭게 다루어진다. #

8. 관련 법령

고등교육법
제34조(학생의 선발방법 등) ③ 교육부장관은 입학전형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험을 시행할 수 있다. <개정 2013. 3. 23.>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35조(입학전형자료) ①대학(교육대학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의 장은 법 제34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입학자를 선발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의 기록, 법 제34조제3항에 따라 교육부장관이 시행하는 시험(이하 "대학수학능력시험"이라 한다.)의 성적, 대학별고사(논술 등 필답고사, 면접·구술고사, 신체검사, 실기·실험고사 및 교직적성·인성검사를 말한다.)의 성적과 자기소개서 등 교과성적외의 자료 등을 입학전형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제36조(대학수학능력시험시행 기본계획) 교육부장관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 배점, 성적통지, 시험일정 등을 포함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시행 기본계획을 작성하여 시험을 실시하는 해의 3월 31일까지 공표하여야 한다. <개정 2013. 3. 23.>

시험 실시에 관한 주요 권한은 위와 같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교육감에게 위탁되어 있다(행정권한의 위임 및 위탁에 관한 규정 제3항 제2호, 제1항 제16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시험시행의 공고, 시험의 출제, 문제지의 인쇄, 채점 및 성적 통지
    • 시험의 출제위원 및 관리요원의 지정 또는 위촉
    • 응시료의 결정, 수납 및 반환
    • 시험 종사자에 대한 수당 및 여비 지급기준의 결정
  • 교육감: 시험문제지의 인수·운송 및 관리

9.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문제점 및 해결 방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문제점 및 해결 방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문제점 및 해결 방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문제점 및 해결 방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논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논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논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논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학습 조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학습 조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학습 조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학습 조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기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기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기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기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관련 문서

15. 둘러보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역대 국가 주관 대입 시험'''
<rowcolor=#fff>
1954​학년도
1962~​1963​학년도
1969~​1981​학년도
1982~​1993​학년도
1994​학년도​~현재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교육·입시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분류 항목
교육 현장 범위 공교육(학교 · 학교 관련 정보) · 사교육(학원)
교육 수준 유아교육기관(유치원) · 초등교육기관(초등학교) · 중등교육기관(중학교 · 고등학교) · 고등교육기관(대학교 · 대학원) · 영재학교 · 특수교육 · 평생교육
교육 관념 전인 교육(유토리 교육) · 학술 중심 교육 · 출세 목적 교육(해결 방안 · 해결이 어려운 이유) · 교육철학
입시 위주 교육(중등교육 내) · 취업 위주 교육 · 통합교육 · 선행학습 (4세 고시)
교육평가 정량평가(필기) 수능 · 내신(수행평가 · 문제점 및 비판) · 전국연합학력평가 · 학업성취도평가
고입선발고사 · 진단평가 · 경찰대학 1차 시험 · 사관학교 1차 시험
정성평가(실기) 논술 · 면접 · 입시미술 · 음악입시 · 입시체육
시험 문제 유형 적성검사 · 자격고사
성적 산출 방식 상대평가(표준화 시험) · 절대평가 · 성취평가제 · 수능 등급제 · 내신 9등급제
입시 전형 입시 · 대입 · 정시 · 수시(학생부종합전형(학종) · 입학사정관제 · 학생부교과전형 · 대학별고사) · 특별전형
논쟁·의논 교육문화와 인식, 관념 교육/논쟁(영어 교육/논쟁 · 학술중심교육 대 전인교육 · 대학/논쟁 · 탈학교론) · 인성교육 · 경쟁 · 한국 사회 문제 · 생활지도(체벌) · 성교육 · 학생 · 학생 인권 · 교권 · 수포자 · 대한민국 교육열 · 보상심리 · 고3병 · 시험만능주의 · 공부자극
교육 범위 간 갈등 공교육 대 사교육(입시 위주 교육) · 교육과정/의논
평가·시험 유형 시험 · 시험/논쟁 · 정량평가 대 정성평가 · 적성검사 · 자격고사
성적 산출 방식 성적 · 상대평가 대 절대평가
대입 방식과 전형 정시 대 수시(우수성 논쟁) · 편입학 · 유학 · 어학연수 · 반수 · 재수 · 1+3 유학 특별 전형
학벌 학벌 · 학력 · 학위 · 대학 서열화 · 대학군(연공서열) · 명문대(간판학과) · 인서울 대학교(사대문안 · 인수도권 대학교) · 지방대 · 지잡대(낙후된 지방 · 입지 약화 · 취업 · 외국 사례) · 대학 평준화
교육 관련 행정기관 교육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국립국제교육원 · 국외 한국교육원 · 교육감 · 교육청 · EBS
교육 관련 단체 주요 교원단체(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교사노동조합연맹) ·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교육법 교육기본법 · 초·중등교육법(의무교육법) · 교원의 학생생활지도에 관한 고시
교육과정 정책 교육과정(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 7차 · 2007 개정 · 2009 개정(/각론) · 2015 개정(/부분 개정) · 2022 개정)
교육자 양성 정책 교사 · 교수 · (교육대학 · 사범대학 - 교육전문대학원) · 교사 임용시험 · 교직이수과정 · 교육대학원
초중등교육기관 및 정책 자사고 · 특목고 · 영재학교 · 대안학교 · 0교시 · 야간자율학습 · 창의적 체험활동 · 보충학습 · 방과 후 학교 · 국제반 · 고교학점제 · 자유학기제 · 교육행정정보시스템(나이스) · K-에듀파인 · 학교생활기록부 · 늘봄학교
고등교육기관 및 정책 등록금 · 대학원 · 전문대학원 · 과학기술원 · 평점 · 졸업정원제 · 원격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사이버대학)
평생교육기관 및 정책 학점은행제 · 독학학위제 · 원격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사이버대학) · 일학습병행
기타 교육 정책 고교 평준화 정책 · 학생인권조례 · 디벗 · 무상급식 · 고교 상피제 · 교과교실제(수준별 수업) · 문·이과 통합 · 국공립대 공동학위제 · 국가거점국립대학교 통합 · 교원능력개발평가
논란·사건사고 학사 비리(숙명여고 사태 · 고려고 사태 · 김포외고 사태 · 문태고 사태) · 촌지 · 무상급식 전면확대 논란 ·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사태 · 2015 개정 교육과정 역사 교과용도서 국정화 논란 · 사회 교과서 무단수정 의혹 · 외고·국제고·자율고 폐지(논란 포함) · 대통령실 수능 출제 방침 지시 논란 · 4세 고시
교과용도서(국정도서 · 검정도서 · 인정도서) · 디지털교과서(AIDT) · 대학 교재 · 문제집 · 학습지 · 개론서 · 수험서 · 전과
학문, 연구 교육학 · 교육심리학 · 교수법 · 교육공학 · 교육사회학 · 교육평가
학습 방법 주입식 교육 · 자기주도학습 · 자습 · 온라인 교육 · 인터넷 강의 · 입시3대포탈 · 홈스쿨링 · 독서실 · 스터디카페 · 열람실 · 도서관 · 과외
세계 평가 지표 OECD 교육지표
둘러보기: 대한민국 관련 문서 · 영미권의 교육 관련 문서
}}}}}}}}} ||

🌐 세계의 대학 입학 시험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Navy> 국제
파일:영연방 기.svg 영연방 IAL
파일:external/www.chsview.com/image001.jpg IBO IBDP
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대학학과능력측험 · 대학입학지정과목고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CSAT)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SPM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Singapore-Cambridge GCE A-Level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콩쿠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대입능력 계량시험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JEE · CLAT · NEET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UTBK-SNBT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대학입학공통테스트 · 일본유학시험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보통고등학교학생모집전국통일고시 (가오카오/NCEE)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중학문빙 (HKDSE)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ЕНТ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HSC · ISAT · NTCET · ASAT · VCE · ACT · TCE · SACE · TEE · UMAT
아메리카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EXANI-II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SAT · ACT · AP · CLT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ENEM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Saber 11
유럽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Abitur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ЕГЭ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Högskoleprovet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PCE · EBAU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Leaving Cert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GCE A-Level · BTEC · Scottish Highe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YKS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Matura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Baccalauréat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Esame di Maturita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Ylioppilastutkinto
}}}}}}}}} ||



[1] 혹은 대학교육 적성시험. 다만 여기서 적성은 일반적인 적성의 의미(나에게 맞는 일)와 동떨어진 말이다. 국내 근대화 당시 번역 역량의 한계로 Aptitude를 직역한 것이 굳어져온 것. Aptitude는 오히려 '수행 잠재성'이라는 뜻에 더 가깝다. 즉 올바르게 번역한다면 '대학 교육 잠재력 시험'이 적합한 뜻에 가깝다.[2] 비슷한 시기에 미국 SAT에서 발생한 명칭 논란이 원인이었다. 결국 이로 인해 SAT는 약자가 없어지고 고유명사화되었다.[3] 즉 학문과 교과를 동일시할 수 없는 사유가 되기도 한다. 실제로 과목 명칭에 '-학'을 붙이는 걸 웬만하면 자제하는 것이 이러한 이유이기도 하다. (미적분, 기하, 경제, 지리 과목 명칭이 각각 미적분학, 기하학, 경제학, 지리학이 아니다) 반면, 과학 쪽은 어째선지 '-학'자 돌림이 생겨났으나, 이쪽은 위 같은 사실을 모르고 개정했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수학, 화학 등 -학을 빼면 부자연스러워지는 과목의 경우는 예외로 -학을 쓴다.[4] 순수 적성검사는 공무원 채용 1차 시험인 PSAT(공직적격성평가), LEET(법학적성시험) 등이 있다. PSAT 자료해석 순한맛이 정치와 법 선거 결과 분석 문제.[5]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포인트. 교육부에서 사전에 관련 논문이나 신문 기사, 영어 영역의 경우 영문학 지문 등을 선별하여 가지고 있다가 수능 출제 시점에 넘긴다. 대략 후보 문서의 배수는 실제 출제 지문의 10배수 정도.[6] 이 영상에서 등장한 의사들의 점수 결과는 50점 만점에 5~10점이었다. 그렇다고 의사들의 권위가 폄훼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그저 각 영역이 추구하는 목적과 가치가 별개임을 보여준다. 혹은 의사들이 수능 세대가 아닌 학력고사 세대였거나 교육과정이 완전 다른 세대일 수도 있다. 이는 수능에서 평가하는 자질과 의사로서의 자질이 다르다는 것을 영상 제작자들이 간과한 것으로, 흔히 올라오는 '수능 영어도 못 푸는 외국인' 영상과 유사하다. 의사들이라는 큰 권위와 통념을 깨기 위해, 영상 제작자들이 수능이라는 시험 제도를 폄하하거나 겁을 주려는 목적이 더 크다. 따라서 댓글과 반응은 신경쓸 필요가 없다. 오히려 수능 제도를 이해하지 못했다는 모습만 내비칠 뿐이다.[7] 결국 이 논란으로 인해 SAT는 약자를 없애버렸다.[8] 1993년 언론의 제목을 보면 “탈교과­통합 출제, ‘산교육’ 기대”(국민일보) “암기식 탈피 탐구교육 전기로”(서울신문) “암기 위주 즉답형 학력고사 한계극복”(세계일보) “비정상 교육 풍토 쇄신의지 담아”(한겨레) 등[9] 극단적으로 1,000명의 응시자 중 999명이 100점 만점에 90점 이상을 득점하고, 나머지 1명만이 89점을 득점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때 이 나머지 1명은 충분히 고득점한 것처럼 보이나 결과적으로 꼴등이므로 표준점수가 최하점으로 출력된다. 또 90점과 100점 사이의 간격도 촘촘해져서 1점 차이로 표준점수가 크게 갈린다. 그 외에도 다른 (정상적인) 시험에 비해 표준점수 만점이 매우 낮게 나올 수밖에 없어져서 대입 성적 활용으로써의 가치가 없어지는 것과 다름없다.[10] 한국사, 영어, 제2외국어/한문은 절대평가로 전환되어 '등급'만 제공된다.[11] 괄호 밖은 국어, 수학 영역에 해당하는 보정값, 괄호 안은 탐구 영역에 해당하는 보정값[12] (만점자 비율(%)+1)/2의 정수 부분을 100에서 뺀 값 = 만점 백분위이다.[13] 2017 수능부터[14] 2018 수능부터[15] 2022 수능부터[16] 대부분 대학의 경우 수능 100%를 반영하지만, 특정학과 혹은 대학 별로 다르다. 드물지만 수능 미응시자도 정시모집에 지원할 수 있는 학교도 존재한다.[17] 본 시험을 못 봤을 시 추가시험을 신청할 수도 있었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대학수학능력시험/역사|대학수학능력시험/역사]]}}}{{{#!if external != "o"
[[대학수학능력시험/역사]]}}}}}}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대학수학능력시험/역사?uuid=f5a5a3a8-a5d7-4d58-a6ad-5e724a8da34c|r862]]}}}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대학수학능력시험/역사?uuid=f5a5a3a8-a5d7-4d58-a6ad-5e724a8da34c#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대학수학능력시험/역사?from=862|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대학수학능력시험/역사|대학수학능력시험/역사]]}}}{{{#!if external != "o"
[[대학수학능력시험/역사]]}}}}}}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대학수학능력시험/역사?uuid=f5a5a3a8-a5d7-4d58-a6ad-5e724a8da34c|r862]]}}}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대학수학능력시험/역사?uuid=f5a5a3a8-a5d7-4d58-a6ad-5e724a8da34c#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대학수학능력시험/역사?from=862|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