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별 문서가 있는 작품 | ||||
FS15 | FS17 | FS19 | FS22 | FS25 |
파밍 시뮬레이터 25 Farming/Landwirtschafts Simulator 25 | |
| |
<colbgcolor=#A0C213><colcolor=#ffffff,#dddddd> 개발 | GIANTS Software |
플랫폼 | Microsoft Windows | macOS | PlayStation 5 Xbox Series X|S | Xbox Cloud Gaming |
ESD | Steam |
장르 | 건설 경영 시뮬레이션 |
출시 | 2024년 11월 12일 |
엔진 | 자이언츠 엔진 |
한국어 지원 | 자막 지원 |
심의 등급 | |
상점 페이지 |
[clearfix]
1. 개요
자이언츠 소프트웨어가 제작 및 유통한 농업 시뮬레이션 게임이자 파밍 시뮬레이터 22의 후속작. 전작 FS22처럼 이번에도 전작 출시 후 3년 후에 신작 발표되었다. FS22 시네마틱 트레일러에 등장했던 두 명의 농부들이 이번 시네마틱 트레일러에서 재등장한다.
2. 출시 전 정보
- 출시 예정일은 2024년 11월 12일이다.
- 참고로 전작 FS19, 22의 출시 예정일이 각각 2018년 11월 19일, 2021년 11월 22일이었고 실제로 두 게임 모두 해당 날짜에 정식 출시되었는데 만약, 이 규칙이 이번 작에서도 유지되었다면 2024년 11월 25일이 출시 예정일이 되었겠지만 개발사측의 공식 발표에 따라 예상의 의미가 없어졌다.
- 위의 시네마틱 트레일러와 첫 게임플레이 트레일러에서 벼 농사(모내기)를 하는 장면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신규 작물로 벼가 추가된다. 그리고 쌀밥도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전작의 곡물 변화 시스템[1]과 비슷하게 벼를 쌀로 변화시키는 게 있지 않을까 싶지만 이에 대한 확실한 정보는 아래 단락을 참고할 것.
- 전작까지만 해도 사설 MOD로 다운받아서 써야만했던 GPS가 공식적으로 추가된다. 기존 자동 운전은 농부 고용이었으나, 25부터는 해당 기능을 AI 모드로 새롭게 정의 내렸다. 밭에서 H키를 길게 누르면 GPS 어시스트 모드와 AI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GPS 어시스트 모드로 접근하면 직접 농기구에 맞춰 안내라인이 그려지고, 이를 통해 줄 맞춰서 손쉽게 농사를 지을 수 있다. 이전의 FS 작품에서 상위 MOD 다운로드 순위에 항상 사설 GPS 모드가 오르는 것을 보면, 이상하리 만치 기능을 제공하지 않았는데, 이제 와서야 공식으로 제공되어 편리해졌다.
- 다만 GPS 어시스트 모드는 게임상에서 무료로 이용은 안되고, 게임 머니로 하루 8달러가 과금된다.(...)
- 토네이도가 추가되며, 토네이도가 지나간 자리에는 농작물이 파괴되어 재산적 손실이 발생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3. 시스템 요구 사항
<colbgcolor=#A0C213>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Windows | ||
<colcolor=#fff> | 64비트 프로세서와 운영 체제가 필요합니다 | |
운영체제 | Windows 10 64bit | |
프로세서 | Intel Core i5-6400 AMD Ryzen 5 1400[또는이상] | Intel Core i7-10700 AMD Ryzen 7 3800X[또는이상] |
메모리 | 8GB | 12GB |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GTX 1050Ti AMD Radeon RX 470[또는] | Nvidia GeForce RTX 2070 AMD Radeon RX 5700 XT [5] |
API | DirectX 12 | |
저장 공간 | 45 GB | |
macOS | ||
운영체제 | macOS 11.3 | |
메모리 | 8GB | 12GB |
저장 공간 | 45 GB |
4. 지형
기본으로 제공되는 맵은 총 3가지가 있다.4.1. RIVERBEND SPRINGS
(북아메리카) 구불구불한 강, 과거부터 내려오는 역사적인 건물 주변의 많은 삐걱거리는 물줄기 |
대규모 건설프로젝트로 곡물 엘리베이터 박물관을 복원할 수 있다.
4.2. ZIELONKA
(중부유럽) 외딴 고풍스러운 마을 근처의 연못으로 둘러싸인 풍경은 그림처럼 아름답고 비옥합니다. |
4.3. HUTAN PANTAI
(동아시아) 네온사인이 빛나는 항구 도시 근처의 산으로 둘러싸인 울창한 풍경, 논에만 이상적인 것이 아닙니다. |
그래도 고가도로(고속도로)와 고가철도로서 아시아 국가들의 모습이 어느 정도 볼 수 있다.
파밍시뮬레이터 시리즈 최초의 동아시아 맵이며, 여기서는 쌀과 시금치 등등을 심어 농사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규모 건설프로젝트로 사원 박물관을 복원할 수 있다.
이 맵에서 등장하는 철도의 디젤기관차가 어찌, 4400호대 디젤기관차와 비슷한 도색이다.
5. 플레이모드
기존 파밍 시뮬레이터 22와 동일한 인터페이스로, 전작의 대부분의 시스템을 답습하기 때문에, 22을 할 줄 안다면 25는 크게 어려운 부분은 없다. 대신 22에 비해 작물이 많이 늘어났고, 작물이 늘어난 만큼, 생산품도 많이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6. 생산품
6.1. 가공공정
전작인 22의 가공공정을 이해한다면, 25에서 가공공정은 몇 가지 추가되었다.- 목재 가공품은 기존 책상만 있었으나, 종이와 마차, 욕조와 배럴통에 이어 피아노, 건축용 벽체와 지붕자재, 장난감 트랙터 까지도 만들 수 있다.
- 목화와 양모를 이용하여 기존엔 면을 만들어서 옷을 만들었지만, 추가로 밧줄도 만들수 있다.
- 씨리얼 공장은 기존엔 코코아와 귀리, 옥수수, 꿀로만 만들었으나, 추가로 쌀을 추가하여 쌀 씨리얼을 만들 수 있다.
- 유제품에 염소젓과 물소젓, 염소치즈와 물소치즈도 가공할 수 있다.
- 전작에는 감자칩이 없었으나, 이번엔 감자칩이 생겼다.
- 전작에는 밀가루만 만들 수 있지만, 여기에 쌀가루와 쌀과자를 생산할 수 있다.
- 온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식재료를 생산할 수 있다. 버섯과 딸기, 토마토, 양배추, 고추, 파, 마늘, 배추를 생산할 수 있으며, 이중 버섯류와 토마토, 양배추는 별도 가공이 불가능하다.
- 배추, 마늘, 파, 고추를 이용하여 김치를 가공할 수 있다.(...)
- 쌀의 등장으로 쌀기름이 등장한다.
- 캔공장이 등장하여 각종 통조림류를 만들 수 있으며 국수캔, 감자수프, 레드비트, 파스닙, 당근 등의 각종 통조림을 만들 수 있다.
- 전작에는 석회는 별도로 구매해야하나, 밭을 쟁기하면 일정확률로 돌이 나오며, 이 돌을 수집, 시멘트 공장에 보내어 시멘트로 만들 수도, 돌가공기에 보내어 석회로 가공할 수 있다.
7. 기타
- 파밍시뮬레이터 역사상 최초로 쌀을 재배할 수 있게 되었는데, 쌀은 1년에 한 번만 재배할 수 있고[6][7], 이와 관련된 농기구(이앙기, 콤바인 등)은 일본의 이세키 농기구가 등장한다.
- 쌀은 인디카 품종(장립종)과 자포니카(단립종) 둘 다 가능하다. 다만, 재배법은 다른데, 별도 구역(논, Rice Field)를 만들어서 여기에 쌀을 심는 것은 똑같으며, 논을 생성하게 될 경우 자연스럽게 수경재배를 할 수 있도록 물펌프(관정)이 따라온다.
- 자포니카 품종의 경우에는 모판을 비닐 하우스에서 제작하거나 구매하여, 심을 수 있는데 이때 이앙기로만 심어야 한다.
- 인디카 품종의 경우에는 모판을 제작하지 않고, 일반 파종기를 이용하여 종자을 쌀(장립종)으로 설정한 뒤 논에 바로 파종해야한다
- 논에는 총 2개월 동안 관정을 틀어 물을 넣어있어야 한다. 제 때 물을 넣어주지 못할 경우 수확량에서 확연히 차이가 난다.
- 논 하나에 모두 심어져 있어야 하며, 각기 모심은 날짜가 한달 이상 달라질 경우 농사가 제대로 안될 수 있다.
- 논에서 벼를 수확하는 과정은 콤바인으로 수확을 하는데, 품종에 따라 콤바인 종류가 다르다. 인디카 종은 기존 밀, 유채를 수확하는 일반 서양 콤바인으로 가능하나, 자포니카종은 별도의 콤바인(이세키 기종) 만 수확할 수 있다.
- 수확 후 쌀은 벼를 말린 뒤, 도정하는 절차가 있어야 하지만, 게임상에서는 해당 내용 구현없이, 수확하면 바로 도정된 쌀로 나온다(...) 이후, 쌀은 쌀가루를 내서 쌀빵을 만들거나, 쌀과 꿀을 혼합하여 시리얼로 만들어서 팔 수 있다. 특히 시리얼의 경우에는 총 4가지 종류가 있으며, 다른 시리얼은 귀리나 초콜렛 등이 필요한데 쌀 시리얼은 쌀과 꿀만으로도 충분히 만들어서 매년 겨울~봄에 비싸게 팔 수 있으므로 쌀을 직접 파는 것 보다 가공해서 파는 편이 훨씬 이득이 크다.
- 그동안 FS시리즈의 고질적인 문제인 다양한 오역문(한국어를 비롯한 일부 언어)들과 기타 문제점들을 다음 작인 FS22에서 그대로 복붙 수준으로 옮겨버리는 등의 각종 비판점으로 인해 한국에서의 파밍 시뮬레이터 22의 흥행은 시리즈 중 역대 최악의 평가를 기록했기에 이번에는 제대로 수용될 지 궁금한 의견들이 많다. 일단 리뷰를 하는 것들을 보아하니 이상은 없어보이지만, 종종 보면 어처구니 없는 오역들이 한가득이다. 당장 위에 서술된 쌀과 장립종 쌀만 보더라도 얼마나 번역이 개판인지 여실히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