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레스 존 제로| Zenless Zone Zero ]]'''젠레스 존 제로 [[젠레스 존 제로/에이전트| 에이전트 목록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0px; min-height: 2em" {{{#!folding [ 속성별 ] {{{#!wiki style="margin:-6px -1px -6px" | |
## 구분선 [[네코미야 마나|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구분선 [[11호|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구분선 [[본 리카온|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구분선 [[그레이스 하워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구분선 [[니콜 데마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 특성별 ]
- ## 강공
강공
## 구분선
[[네코미야 마나|]][[11호|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코린 위크스|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빌리 키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앤톤 이바노프|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엘렌 조|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주연(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아사바 하루마사|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이블린 슈발리에|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0호·엔비|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휴고(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격파
## 구분선
[[콜레다 벨로보그|]][[본 리카온|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엔비 데마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청의|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라이터(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펄크라 페리니|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트리거(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이상
## 구분선
[[그레이스 하워드|]][[파이퍼 휠|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제인 도(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버니스 화이트|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츠키시로 야나기|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호시미 미야비|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비비안 밴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지원
## 구분선
[[알렉산드리나 세바스티안|]][[니콜 데마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소우카쿠|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루시아나 드 몬테피오|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아스트라 야오|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방어
## 구분선
[[벤 비거|]][[세스 로웰|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카이사르 킹|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진영별 ]
- ## 교활한 토끼굴## 구분선
[[엔비 데마라|]][[니콜 데마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빌리 키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네코미야 마나|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콜레다 벨로보그|]][[앤톤 이바노프|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벤 비거|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그레이스 하워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코린 위크스|]][[본 리카온|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알렉산드리나 세바스티안|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엘렌 조|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11호|]][[트리거(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0호·엔비|]]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주연(젠레스 존 제로)|]][[청의|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제인 도(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세스 로웰|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루시아나 드 몬테피오|]][[파이퍼 휠|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카이사르 킹|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버니스 화이트|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라이터(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펄크라 페리니|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소우카쿠|]][[츠키시로 야나기|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호시미 미야비|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아사바 하루마사|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아스트라 야오|]][[이블린 슈발리에|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비비안 밴시|]][[휴고(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margin: 0px 5px; background-color: #3c4150; border:1px solid #a09b95;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50px; text-align: center" |
펄크라 페리니 PULCHRA FELLINI | |
"난 승자에게만 충성해, 그리고 승자는 항상 나야" | |
| |
<colbgcolor=#EAC987> 본명 | 펄크라 페리니 |
성별 | 여성 |
키 | 173cm[1] |
생일 | 6월 19일[2] |
진영 | |
속성 | |
특성 | |
언어별 표기 |
Pulchra Fellini
[ruby(波可娜,ruby=bōkěnà)]·[ruby(费雷尼,ruby=fèiléiní)]
プルクラ・フェリーニ |
성우 |
손선영
마리사 렌티
판단니()
후지와라 나츠미 |
1. 개요
《젠레스 존 제로》의 플레이어블 캐릭터.2. 소개
「한때는 원한이 있었지만, 지금은 다 지난 일이야! 오버로드라면… 원수를 순대로 풀어야지!」 ——카이사르 킹 「한 팀이 된 건 상관없어요. 그렇지만 온몸에 털로 뒤덮인 당신이 본녀의 샴푸를… 참~ 내가 깜빡했네요, 고양이 시렌은 목욕을 잘 안 한다고 했었죠.」 ——루시아나 옥세시스 테오도로 드 몬테피오 「펄크라를 조심해야 해! 아주 교활하고 배은망덕한 여자라고! 마지못해서가 아니라면 정말 조금도 엮이고 싶지 않아!」 ——벨룸 「경도 화상. 전문가 의견: 꼬리가 크니 치료할 필요 없음.」 ——외환선에 있는 허름한 진료소에서 찾은 구겨진 진단서 |
펄크라 페리니 | 공식 홈페이지 캐릭터 소개 |
2.1. 공식 미디어
<colbgcolor=#EAC987> 막간 PV 「펄크라의 한가한 순간」 | |
「이게 다 새 직장 때문이야. 매일 뛰어다녔더니 등이 다 쑤시네…」 「이렇게 진지한 고양이 시렌은 온 뉴에리두를 다 뒤져도 못 찾을걸」 「이참에 물리치료 좀 받아야겠다. 청구서는… 당연히 새 고용주 앞으로 돌려야지」 | |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 inline-table" {{{#!folding [ JP ] {{{#!wiki style="margin: -10px -1px" |
- [ CN ]
- ||<tablewidth=100%><nopad> ||
- [ EN ]
- ||<tablewidth=100%><nopad> ||
3. 인게임 정보
3.1. 기본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10%> 진급 ||<width=10%> 레벨 ||<width=17.5%>
HP ||<width=17.5%>
공격력 ||<width=17.5%>
방어력 ||
0 | 1 | 612 | 96 | 49 |
10 | 1359 | 145 | 108 | |
1 | 1779 | 179 | 141 | |
20 | 2610 | 234 | 207 | |
2 | 3030 | 268 | 241 | |
30 | 3860 | 323 | 307 | |
3 | 4280 | 358 | 340 | |
40 | 5111 | 413 | 407 | |
4 | 5531 | 447 | 441 | |
50 | 6362 | 501 | 507 | |
5 | 6782 | 535 | 540 | |
60 | 7612 | 590 | 606 |
3.1.1. 진급 재료
[include(틀:젠레스 존 제로/육성 재료, 진급=,진급재료1=초급 격파 휘장, 진급재료2=고급 격파 휘장, 진급재료3=파괴자 휘장)]
3.2. 스킬
[include(틀:젠레스 존 제로/육성 재료, 스킬=,스킬재료1=기본 물리 칩, 스킬재료2=심화 물리 칩, 스킬재료3=특화 물리 칩,
핵심스킬재료1=고차원 데이터: 잠습하는 그림자, 핵심스킬재료2=스칼렛 엔진)]
3.2.1. 일반 공격
3.2.1.1. 일반 공격: 민첩한 타격
| 민첩한 타격 |
전방을 향해 최대 3단까지 공격을 펼쳐 물리 피해를 준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1단 / 2단 / 3단 피해 배율 || 1단 / 2단 / 3단 그로기 배율 ||
1 | 35.7% / 94.1% / 167.6% | 28.5% / 75.3% / 134.1% |
2 | 39% / 102.7% / 182.9% | 29.8% / 78.8% / 140.2% |
3 | 42.3% / 111.3% / 198.2% | 31.1% / 82.3% / 146.3% |
4 | 45.6% / 119.9% / 231.5% | 32.4% / 85.8% / 152.4% |
5 | 48.9% / 128.5% / 228.8% | 33.7% / 89.3% / 158.5% |
6 | 52.2% / 137.1% / 244.1% | 35% / 92.8% / 164.6% |
7 | 55.5% / 145.7% / 259.4% | 36.3% / 96.3% / 170.7% |
8 | 58.8% / 154.3% / 274.7% | 37.6% / 99.8% / 176.8% |
9 | 62.1% / 162.9% / 290% | 38.9% / 103.3% / 182.9% |
10 | 65.4% / 171.5% / 305.3% | 40.2% / 106.8% / 189% |
11 | 68.7% / 180.1% / 320.6% | 41.5% / 110.3% / 195.1% |
12 | 72% / 188.7% / 335.9% | 42.7% / 113.8% / 201.2% |
13 | 75.3% / 197.3% / 351.2% | 44.1% / 117.3% / 207.3% |
14 | 78.6% / 205.9% / 366.5% | 45.4% / 120.8% / 213.4% |
15 | 81.9% / 241.5% / 381.8% | 46.7% / 124.3% / 219.% |
16 | 85.2% / 223.1% / 397.1% | 48% / 127.8% / 225.6% |
|
민첩한 타격 |
3.2.1.2. 일반 공격: 도약 타격
| 도약 타격 |
전방으로 뛰어올라 연속 베기로 물리 피해를 준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1 | 135% | 108% |
2 | 147.3% | 113% |
3 | 159.6% | 118% |
4 | 171.9% | 123% |
5 | 184.2% | 128% |
6 | 196.5% | 133% |
7 | 208.8% | 138% |
8 | 221.1% | 143% |
9 | 233.4% | 148% |
10 | 245.7% | 153% |
11 | 258% | 158% |
12 | 270.3% | 163% |
13 | 282.6% | 168% |
14 | 294.9% | 173% |
15 | 307.2% | 178% |
16 | 319.5% | 183% |
|
도약 타격 |
3.2.2. 회피
3.2.2.1. 회피: 직립 반사
| 직립 반사 |
빠른 대시로 회피한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
직립 반사 |
3.2.2.2. 대시 공격: 선제공격의 이점
| 선제공격의 이점 |
회피 시 전방을 향해 돌진 베기로 물리 피해를 준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1 | 48.3% | 24.2% |
2 | 52.7% | 25.3% |
3 | 57.1% | 26.4% |
4 | 61.5% | 27.5% |
5 | 65.9% | 28.6% |
6 | 70.3% | 29.7% |
7 | 74.7% | 30.8% |
8 | 79.1% | 31.9% |
9 | 83.5% | 33% |
10 | 87.9% | 34.1% |
11 | 92.3% | 35.2% |
12 | 96.7% | 36.3% |
13 | 101.1% | 37.4% |
14 | 105.5% | 38.5% |
15 | 109.9% | 39.6% |
16 | 114.3% | 40.7% |
|
선제공격의 이점 |
3.2.2.3. 회피 반격: 철저한 보복
| 철저한 보복 |
[극한 회피] 발동 후 전방의 적을 찌르고, 이어서 빠른 베기로 물리 피해를 준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1 | 201.8% | 178.3% |
2 | 220.2% | 186.5% |
3 | 238.6% | 194.7% |
4 | 257% | 202.9% |
5 | 275.4% | 211.1% |
6 | 293.8% | 219.3% |
7 | 312.2% | 227.5% |
8 | 330.6% | 235.7% |
9 | 349% | 243.9% |
10 | 367.4% | 252.1% |
11 | 385.8% | 260.3% |
12 | 404.2% | 268.5% |
13 | 422.6% | 276.7% |
14 | 441% | 284.9% |
15 | 459.4% | 293.1% |
16 | 477.8% | 301.3% |
|
철저한 보복 |
3.2.3. 지원 스킬
3.2.3.1. 빠른 지원: 고용계약·경호 업무
| 고용계약·경호 업무 |
현재 조작 중인 캐릭터가 넉업되면 전방의 적을 찌르고, 이어서 빠른 베기로 물리 피해를 준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1 | 78.3% | 78.3% |
2 | 85.5% | 81.9% |
3 | 92.7% | 85.5% |
4 | 99.9% | 89.1% |
5 | 107.1% | 92.7% |
6 | 114.3% | 96.3% |
7 | 121.5% | 99.9% |
8 | 128.7% | 103.5% |
9 | 135.9% | 107.1% |
10 | 143.1% | 110.7% |
11 | 150.3% | 114.3% |
12 | 157.5% | 117.9% |
13 | 164.7% | 121.5% |
14 | 171.9% | 125.1% |
15 | 179.1% | 128.7% |
16 | 186.3% | 132.3% |
|
고용계약·경호 업무 |
3.2.3.2. 회피 지원: 고용계약·외주 작전
| 고용계약·외주 작전 |
출전 캐릭터 피격 직전에 적의 공격을 회피하고 [극한 시야]를 발동한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
고용계약·외주 작전 |
3.2.3.3. 지원 돌격: 별도 요금
| 별도 요금 |
[회피 지원] 시전 후 전방으로 뛰어올라 총으로 사격하여 물리 피해를 준다. 스킬 시전 시 [지원 포인트]를 1pt 소모하여 자신이 [사냥꾼의 걸음] 상태에 진입한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1 | 307.1% | 265.3% |
2 | 335.1% | 277.4% |
3 | 363.1% | 289.5% |
4 | 391.1% | 301.6% |
5 | 419.1% | 313.7% |
6 | 447.1% | 325.8% |
7 | 475.1% | 337.9% |
8 | 503.1% | 350% |
9 | 531.1% | 362.1% |
10 | 559.1% | 374.2% |
11 | 587.1% | 386.3% |
12 | 615.1% | 398.4% |
13 | 643.1% | 410.5% |
14 | 671.1% | 422.6% |
15 | 699.1% | 434.7% |
16 | 727.1% | 446.8% |
|
별도 요금 |
3.2.4. 특수 스킬
3.2.4.1. 특수 스킬: 포식의 발톱
| 포식의 발톱 |
전방을 앞뒤로 빠르게 찔러 물리 피해를 준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경직 저항 레벨이 증가한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1 | 25.1% | 50.1% |
2 | 27.4% | 52.4% |
3 | 29.7% | 54.7% |
4 | 32% | 57% |
5 | 34.3% | 59.3% |
6 | 36.6% | 61.6% |
7 | 38.9% | 63.9% |
8 | 41.2% | 66.2% |
9 | 43.5% | 68.5% |
10 | 45.8% | 70.8% |
11 | 48.1% | 73.1% |
12 | 50.4% | 75.4% |
13 | 52.7% | 77.7% |
14 | 55% | 80% |
15 | 57.3% | 82.3% |
16 | 59.6% | 84.6% |
|
포식의 발톱 |
3.2.4.2. 특수 스킬: 포식의 발톱·악몽의 엄습
| 포식의 발톱·악몽의 엄습 |
펄크라가 [사냥꾼의 걸음] 상태 진입 후, 파티 내 다른 조작 중인 캐릭터가 시전한 [특수 스킬] 혹은 [강화 특수 스킬] 강공격이 적에게 명중 시 발동: 타깃 적을 둘러싸고 빠르게 앞뒤로 찔러 물리 피해를 준다. 스킬 시전 후, 파티 내 다른 조작 중인 캐릭터가 시전한 임의의 공격이 적에게 명중 시 펄크라가 공격을 중복 시전한다. 최대 추가 발동: 5회, 마지막 공격은 더욱 강력한 종결의 일격으로 대체된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특수 스킬: 포식의 발톱·악몽의 엄습]은 [여진 공격]이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종결의 일격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종결의 일격 그로기 배율 ||
1 | 46.3% | 53.5% | 29% | 34.8% |
2 | 50.6% | 58.4% | 30.4% | 36.4% |
3 | 54.9% | 63.3% | 31.8% | 38% |
4 | 59.2% | 68.2% | 33.2% | 39.6% |
5 | 63.5% | 73.1% | 34.6% | 41.2% |
6 | 67.8% | 78% | 36% | 42.8% |
7 | 72.1% | 82.9% | 37.4% | 44.4% |
8 | 76.4% | 87.8% | 38.8% | 46% |
9 | 80.7% | 92.7% | 40.2% | 47.6% |
10 | 85% | 97.6% | 41.6% | 49.2% |
11 | 89.3% | 102.5% | 43% | 50.8% |
12 | 93.6% | 107.4% | 44.4% | 52.4% |
13 | 97.9% | 112.3% | 45.8% | 54% |
14 | 102.2% | 117.2% | 47.2% | 55.6% |
15 | 106.5% | 122.1% | 48.6% | 57.2% |
16 | 110.8% | 127% | 50% | 58.8% |
참고로 차지 스킬은 스킬이 끝나야 포식의 발톱이 발동하므로 발동 전에는 끊어서 쓰는 게 좋다
|
포식의 발톱·악몽의 엄습 |
3.2.4.3. 강화 특수 스킬: 포식의 발톱·빠른 걸음
| 포식의 발톱·빠른 걸음 |
에너지가 충분한 상태에서 전방을 여러 차례 앞뒤로 찔러 대량의 물리 피해를 준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에너지 소모 ||
1 | 347.7% | 211.7% | 60pt |
2 | 379.4% | 221.4% | |
3 | 411.1% | 231.1% | |
4 | 442.8% | 240.8% | |
5 | 474.5% | 250.5% | |
6 | 506.2% | 260.2% | |
7 | 537.9% | 269.9% | |
8 | 569.6% | 279.6% | |
9 | 601.3% | 289.3% | |
10 | 633% | 299% | |
11 | 664.7% | 308.7% | |
12 | 696.4% | 318.4% | |
13 | 728.1% | 328.1% | |
14 | 759.8% | 337.8% | |
15 | 791.5% | 347.5% | |
16 | 823.2% | 357.2% |
|
포식의 발톱·빠른 걸음 |
3.2.5. 콤보 스킬
3.2.5.1. 콤보 스킬: 안녕, 이건 몰랐지?
| 안녕, 이건 몰랐지? |
[콤보 스킬] 발동 시 해당 캐릭터를 선택해 시전: 전방에 차지 사격을 시전해 대량의 물리 피해를 준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1 | 534.1% | 135.1% |
2 | 582.7% | 141.3% |
3 | 631.3% | 147.5% |
4 | 679.9% | 153.7% |
5 | 728.5% | 159.9% |
6 | 777.1% | 166.1% |
7 | 825.7% | 172.3% |
8 | 874.3% | 178.5% |
9 | 922.9% | 184.7% |
10 | 971.5% | 190.9% |
11 | 1020.1% | 197.1% |
12 | 1068.7% | 203.3% |
13 | 1117.3% | 209.5% |
14 | 1165.9% | 215.7% |
15 | 1214.5% | 221.9% |
16 | 1263.1% | 228.1% |
|
안녕, 이건 몰랐지? |
3.2.5.2. 궁극기: 자, 놀아 볼까?
| 자, 놀아 볼까? |
데시벨 레벨 [Maximum] 달성 시 전방 넓은 범위 내 적을 강력하게 사격해 대량의 물리 피해를 준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1 | 1393.8% | 882.3% |
2 | 1520.6% | 922.5% |
3 | 1647.4% | 962.7% |
4 | 1774.2% | 1002.9% |
5 | 1901% | 1043.1% |
6 | 2027.8% | 1083.3% |
7 | 2154.6% | 1123.5% |
8 | 2281.4% | 1163.7% |
9 | 2408.2% | 1203.9% |
10 | 2535% | 1244.1% |
11 | 2661.8% | 1284.3% |
12 | 2788.6% | 1324.5% |
13 | 2915.4% | 1364.7% |
14 | 3042.2% | 1404.9% |
15 | 3169% | 1445.1% |
16 | 3295.8% | 1485.3% |
|
자, 놀아 볼까? |
약자는 사냥당할 준비나 하시지! / 모처럼의 기회니 즐겁게 해줄래?/ 살려달라고 빌면 봐줄지도? 농담이야.
3.2.6. 핵심 스킬
3.2.6.1. 핵심 패시브: 사냥꾼의 본능
| 사냥꾼의 본능 |
펄크라가 [강화 특수 스킬], [지원 돌격], [콤보 스킬], [궁극기] 시전 시 [사냥꾼의 걸음] 상태에 진입해 자신이 주는 그로기 수치가 n% 증가한다. 지속 시간: 6초. 다른 캐릭터로 교체 후, 펄크라가 여전히 [사냥꾼의 걸음] 상태인 경우, 해당 지속 시간은 다시 펄크라로 교체 시까지 지속된다. [사냥꾼의 걸음] 상태 진입 후, 자신이 현재 조작 중인 캐릭터인 경우, 펄크라의 강공격이 적에게 명중하면 파티 내 이전 캐릭터의 [빠른 지원]을 발동할 수 있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그로기 수치 증가량 || 추가 능력치 ||
1 | 15% | - |
2 | 17.5% | 기본 충격력 6pt 증가 |
3 | 20% | 기본 공격력 25pt 증가 |
4 | 22.5% | 기본 충격력 6pt 증가 |
5 | 25% | 기본 공격력 25pt 증가 |
6 | 27.5% | 기본 충격력 6pt 증가 |
7 | 30% | 기본 공격력 25pt 증가 |
3.2.6.2. 추가 능력: 비즈니스 파트너
| 비즈니스 파트너 |
파티에 [강공] 캐릭터 혹은 자신과 진영이 같은 캐릭터가 존재할 시 발동: 펄크라가 시전한 [특수 스킬: 포식의 발톱·악몽의 엄습], [강화 특수 스킬], [지원 돌격], [콤보 스킬], [궁극기]가 적에게 명중 시 적에게 [트랩] 효과를 부여한다. 지속 시간: 15초. [트랩] 효과가 부여된 후, 모든 유닛이 시전한 [여진 공격]으로 타깃에게 주는 피해가 30% 증가한다. |
3.3. 형상 시네마
| |
<nopad> {{{#!wiki style="min-width: 30%; display: inline-table" {{{#!folding [ 01 ~ 03 활성화 ] {{{#!wiki style="margin: -10px -1px" | |
- [ 04 ~ 06 활성화 ]
- ||<tablewidth=100%><nopad>
||
<colbgcolor=#EAC987><colcolor=#000> 01 | 이기주의 |
[트랩] 효과가 부여된 적에게 피해를 줄 시 자신의 치명타 확률이 10% 증가한다. 「이기심은 일종의 본능이지만, 사실 후천적으로 학습할 수 있기도 해」 「어떻게 학습하냐고?」 「자주 손해를 보다 보면 알게 될 거야」 | |
02 | 세력 활용력 |
[핵심 패시브: 사냥꾼의 본능]의 [사냥꾼의 걸음] 상태일 시, 펄크라의 공격력이 추가로 10% 증가한다. 「용병의 가장 중요한 자질은 충성심이 아니라, 융퉁성 있게 세력을 이용하는 거야. 적절한 고용주를 선택하고, 알맞은 의뢰를 받고, 주어진 일을 완료하고, 장기 계약은 맺지 않아. 이러면 설령 라이벌 진영으로 가버린다 하더라도, 원래 고용주가 할 말은 없지」 「펄크라, 방금 누가 또 널 찾아왔길래 내가 쫒아냈어. 대체 왜 이렇게 많은 사람의 원한을 산거야?」 「일을 감정적으로 보는 사람이 너무 많아. 정말 주제 파악을 못 하는 루저들이라니까」 | |
03 | 영역 의식 |
[일반 공격], [회피], [지원 스킬], [특수 스킬], [콤보 스킬]의 스킬 레벨+2 펄크라가 거주하는 트럭의 문에는 큰 종이가 붙어있고, 그 위에는 붉은색 큰 글씨로 이렇게 적혀있다: 여긴 내 영역이야! 들어올거면 노크해! 노크! 노크! 종이 밑에는 작은 쪽지가 붙어있고, 그 위에는 검은색 큰 글씨가 적혀있다: 카이사르, 내 자물쇠 배상해! 10만 데니야! 검은 글자 아래에는 삐뚤빼뚤한 작은 글씨가 적혀있다: 로프꾼한테 물어봤거든! 그 자물쇠 2만 데니잖아! | |
04 | 사냥의 즐거움 |
[강화 특수 스킬: 포식의 발톱·빠른 걸음] 시전 시의 에너지 소모가 5pt 감소한다. 「강자에게 도전하는 게 무슨 재미야. 난 스스로를 학대하는 취미는 없어. 내가 손쉽게 승리할 때야말로 진정한 사냥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지」 5분 후 「이 게임 AI가 너무 약하네. 재미없어」 | |
05 | 꼬리 게임 |
[일반 공격], [회피], [지원 스킬], [특수 스킬], [콤보 스킬]의 스킬 레벨+2 펄크라가 흐릿하게나마 기억하는 가장 어린 시절의 기억은 따뜻하고 커다란 꼬리이다. 그녀가 막 기어다니기 시작했을 때, 그 꼬리를 쫒는 게임을 가장 좋아했었다. 「그 후에는?」 「나중에 듣기론, 그 꼬리는 내 꼬리였대」 하지만 펄크라는 알고 있다. 그 꼬리는 자신의 것이 아니라는 걸. 그녀는 기억하고 있다. 날이 어둑해지면 그 꼬리가 자신을 꼬옥 껴안은 채 추운 밤을 보냈다는 걸. 그것을 앗아간 것은 공동일지도 아니면 다른 무언가일지도 모른다••• 아무래도 상관없다. 어차피 그녀는 그 게임을 그만둔 지 오래니까 | |
06 | 마스크 아래 |
[특수 스킬: 포식의 발톱·악몽의 엄습]으로 주는 피해가 15% 증가하며, 중복 공격의 발동 가능 횟수가 추가로 2회 증가한다. [추가 능력: 비즈니스 파트너] 중 [트랩]의 효과가 [여진 공격] 이외의 피해 타입에도 적용된다. 복면식 호흡 필터는 에테르 입자와 꽃가루를 차단하고, 호기심, 공포 혹은 곱지 않은 시선들을 차단한다. 다만 편안하게 웅크리고 자는 시간 또한 앗아갔다. 펄크라는 따뜻한 곳에서 낮잠을 자고 싶다고 생각한다••• 아무런 예고 없이 트럭의 문이 열리자, 꿈에서 깬 그녀가 그녀의 오랜 파트너를 집어 얼굴을 가린다. 「노크하는 법 좀 배울 수 없어?!」 •••아, 그러고 보니 이제 마스크를 벗어도 되는구나. |
- 형상1 - 이기주의
단순히 펄크라의 치명타 확률을 10% 증가시켜주는 돌파. 조건이 [트랩]효과 부여 대상이긴 하나 어차피 펄크라는 강공 캐릭터와 편성되는 격파 캐릭터이고 펄크라는 여진 공격을 통한 서브딜에도 일가견이 있어 괜찮은 돌파이다.
- 형상2 - 세력 활용력
역시 펄크라의 공격력을 10% 증가시켜주는 돌파. 펄크라의 운용은 별 것 없이 강특만 쓰고 빠져 여진 공격을 가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전부라, 단순히 펄크라의 공격력을 증가시켜주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 형상4 - 사냥의 즐거움
에너지 소모가 감소하는 소소한 효과. 펄크라는 강특이 운용의 핵심인 만큼 자주자주 채워주는 것이 중요해서, 이런 식으로 에너지를 보조해주는 효과가 있다면 좋다. 여느 4돌파와 마찬가지로 수치는 높지 않으며, 6돌파를 위해 거쳐가는 단계이다.
- 형상6 - 마스크 아래
펄크라의 범용성을 대폭 상승시켜주는 돌파. 두 가지 효과가 있다. 첫째로 펄크라의 여진 공격이 주는 피해가 증가하고 공격 가능 횟수가 증가하며, 둘째로 트랩 효과의 버프가 여진 공격 이외의 공격에도 적용된다. 이는 즉 모든 아군에게 깡으로 가피증 30%를 걸어주는 것이며, 발동 조건이 어려운 편도 아니라 펄크라에게는 굉장히 귀중한 돌파이다. 이 돌파까지 뚫었을 때 기존 물리 타입 강공 캐릭터들인 빌리, 네코마타, 코린같은 물리 강공 캐릭터들과 큰 시너지를 발휘하며, 펄크라의 가치가 크게 상승하게 된다.
3.4. 에이전트 파일
상세 정보 펄크라, 외환선에서 활동하던 용병이었으나 현재는 칼리돈의 자손에 소속되어 있다. 물류회사 저돌맹진에서의 임시 직책은 평사원이다. 경고, 외환선의 여러 바이크족 진영 및 불법 갱단과 펄크라 사이에 자금 왕래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칼리돈의 자손 합류 이후, 이 같은 기록은 줄어들었지만 뉴에리두에서의 자금 이체 기록이 크게 늘어났는데, 이는 펄크라의 새로운 신분 덕에 뉴에리두 출입이 편리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자료에 따르면 펄크라는 외환선에서 발생한 중대한 사건과 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해당 사건들은 다음을 포함하며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갱단의 분열, 바이크족 중요 물자 유출, 도로 파손, 중요 물자 가격 상승… 펄크라와 루시우스는 깊은 관계가 아니며, 현재로써는 기타 바이크족 진영에서의 위협이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펄크라의 대인 관계는 극도로 복잡한 편이므로, 접촉 시 경계를 늦추지 말고, 특히 개인 정보 보호에 주의를 기울일 것을 권장한다. 해체된 지 수년이 지난 외환선의 용병단 두 곳에서 펄크라의 고용 기록을 발견했다. 펄크라와 함께 고용된 밀레나라는 젊은 여성의 기록도 찾아볼 수 있었는데, 해당 여성의 관련 기록은 8년 전쯤 완전히 사라졌다. 역시 8년 전, 펄크라는 잠시 소형 용병단을 창립했다. 용병단의 구성원 리스트와 해산 인원은 확인되지 않는다. 그 후, 펄크라의 개인 사업이 갑자기 활기를 띄게 되었다. 협력 비고 벨 Fairy가 말한 것처럼 위험하진 않은 것 같은데. 꽤 친근한 것 같기도 하고. 그리고 고양이가 무슨 나쁜 짓을 할 수 있겠어? 와이즈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다니, 이미 아주 위험한 상태인데… 앗, 펄크라 씨가 메시지를 보냈네. 내가 가지고 싶었던 게임의 한정판을 구했대 |
3.5. 비디오 가게
「외환선 브로커」
펄크라가 외환선에서 비디오 가게를 홍보하기 시작했다. 「6개월 회원권 등록시 서비스로 6개월 무료 증정, 시내에서 다른 상품 구매대행 시 비디오 배송비 무료!」 잠깐, 가게는 분명 일반 연간 회원권밖에 없는 것 같은데… 게다가 그녀가 제시한 가격은 연간 회원권 정가보다 10%나 더 비싸다…
펄크라가 외환선에서 비디오 가게를 홍보하기 시작했다. 「6개월 회원권 등록시 서비스로 6개월 무료 증정, 시내에서 다른 상품 구매대행 시 비디오 배송비 무료!」 잠깐, 가게는 분명 일반 연간 회원권밖에 없는 것 같은데… 게다가 그녀가 제시한 가격은 연간 회원권 정가보다 10%나 더 비싸다…
- 메시지 정보: 누이 좋고 매부 좋고, 두루두루 다 좋잖아. 참, 비디오의 손해배상금을 조금 더 높게 책정하는 건 어때? 외환선의 플레이어 장비들이 모두 오래된 거라서 손쉽게 한몫 챙길 수 있을텐데.
4. 운용
4.1. W-엔진
- S급
- 헬파이어 기어
콜레다의 전용 엔진. 대기 시 에너지 충전 옵션 덕에 회피 지원의 의존을 줄이고 펄크라 스스로의 강특 사용으로 [사냥꾼의 걸음] 상태를 더 자주 활용할 수 있다.
강특 사용 시 2스택까지 충격력 증가 옵션이 있기는 하나, 펄크라가 콜레다마냥 강특을 2연속으로 몰아치는 에이전트는 아니다보니 2스택 버프를 받기는 효율이 떨어지는 편.
- A급
- B급
- 이름
설명
4.2. 디스크
권장 메인 속성 | ||
<rowcolor=#fff> [4] | [5] | [6] |
공격력 백분율 치명타 확률 치명타 피해 | 공격력 백분율 관통률 물리 피해 보너스 | 충격력 에너지 자동 회복 |
부속성 | ||
공격력 백분율 / 치명타 확률 / 치명타 피해 |
여타 격파 에이전트처럼 펄크라 본인의 그로기 수치 강화를 위해 6번 디스크에 충격력을 챙길 수 있으나, 고요 4셋의 효율적인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면 에너지 회복 옵션도 고려할 수 있다. 그 외에는 강공 에이전트처럼 공치치 스탯을 챙겨 서브딜링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
4세트
- 그림자처럼 함께
여진 공격의 치명타 확률과 공격력을 향상시켜주는 세트. 펄크라 본인의 서브딜링을 강화하는 세트이다.
- 고요 속의 별[형상6]
펄크라의 능동적인 빠른 지원 활성화 능력을 통해 메인 딜러의 피해량 버프를 주는 세트. 6돌파를 하여 여진 공격 이외의 모든 공격에 피증 30%를 붙일 수 있게 되어야 고요 4셋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2세트
- 딱따구리 일렉트로
치명타 확률을 8% 제공하는 세트. 펄크라 본인의 서브딜링을 강화하는 세트1.
- 그림자처럼 함께
여진 공격 피증을 15% 제공하는 세트. 펄크라 본인의 서브딜링을 강화하는 세트2.
- 스윙 재즈
에너지 자동 회복을 20% 제공하는 세트. 펄크라가 강특을 더 자주 사용할 수 있다.
- 쇼크스타 디스코
충격력을 6% 제공하는 세트. 펄크라 운용의 핵심은 여진 공격이다보니 4세트는 효율이 떨어진다.
4.3. 추천 파티
[include(틀:젠존제 조합,1번=펄크라,
2번=0호·엔비,
3번=아스트라,
방부이름=찰칵이,
방부랭크=S랭크
)]
[include(틀:젠존제 조합,
1번=펄크라,
2번=네코마타,
3번=루시,
방부이름=레드모쿠스,
방부랭크=S랭크
)]
- 펄크라[형상6] + 네코마타 + 루시
물리 속성에서 1.6버전 이전까지는 격파 특성을 가진 에이전트가 없어서 파티 구성에 있어 골치 아픈 상황이였지만 펄크라가 출시 됨으로써 네코마타한데는 단비 같은 존재가 되었다.[6] 다만, 펄크라의 추가 능력인 [트랩] 효과는 [여진 공격]으로 타깃에게 주는 피해이기 때문에 네코마타에게는 의미 없는 버프이지만 풀돌 효과에 [트랩] 효과 조건이 [여진 공격] 이외 공격에도 적용되게 완화되어서 시너지 효과를 크게 볼려면 펄크라를 풀돌을 찍을 필요가 있다.
5. 평가
장점- 나름 뛰어난 서브 딜링
충격력과 더불어 치명타를 챙기고, 돌파 옵션도 나름 펄크라의 딜 증가에 보탬을 해주는지라 A급치고 펄크라의 딜이 꽤 괜찮게 나오는 편이다. 심지어는 주 딜링 방식이 여진 공격이라 필드를 차지하지도 않아, 파티 딜 증가에 꽤 큰 기여를 한다.
- 거의 없다시피한 조작 난이도
펄크라는 정말 단순히 에너지가 충분히 쌓였을 때 강특만 쓰고 빠지는 캐릭터인지라 조작 난이도가 없다시피 하다. 어차피 내 강공 캐릭터가 때릴 때 시스템이 알아서 여진 공격을 때려주고, 조건이나 상황을 타는 스킬도 아닌지라 회피 지원하고 교체하고 에너지차면 강특쓰고 궁차면 궁쓰면 되는 간편한 조작을 지녔다.
단점
- 6돌파가 아닐 시 드러나는 구조적 한계
펄크라는 6돌파를 뚫기 전까지는 구조적으로 ‘여진 공격에 한정된’ 격파 캐릭터이다. 이유는 간단히 말해서 여진 공격을 제외하면 딱히 메리트없는 스킬셋으로, 단순 본인의 그로기 수치 15% 증가에 불과하는 버프를 지녔다. 현 시점 여진 공격을 사용하는 캐릭터는 0호 엔비뿐이며, 이는 풀돌이 아닌 펄크라의 사용처를 매우 제한하게 하는 요소가 된다.
- 추가공격의 불편함
펄크라의 추가공격은 아군의 특수공격이 명중해서 끝나야만 발동한다. 그렇기에 특수공격을 차지해서 사용하는 코린,파이퍼는 추가공격을 끊어서 써야하고,발동시 적을 밀치기 때문에 빌리같은 계속 평타를 눌러서 사용하면 적이 밀려져서 끊어야만 한다. 현재 이런 단점들이 적용되지 않는 물리 딜러는 네코마타 정도 밖에 없다.
- 부족한 지원 포인트
펄크라 특성 상 강특이나 궁이 없으면 패시브 활성화를 위해 회피 지원을 해줘야 하는데, 이게 심심찮게 지원 포인트를 잡아먹다보니 막쓰다간 지원 포인트가 상당히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적당히 궁극기 게이지를 고려하면서 사용하면서[7] 패시브 활성화를 자주 돌려야 한다.
- 심각한 플레이 수동성
펄크라가 들어간 조합에서 최대한 빨리 격파를 내려면 회피지원을 최대한 빠르게 쓰고, 온필드 캐릭터가 특수공격을 발동해야 한다. 이걸 다르게 말하면 빌드 전체가 몬스터의 패턴에 질질 끌린다는 의미다. 0호 엔비를 포함한 대부분의 온필드형 에이전트들은 특수공격에 캐릭터 기믹(게이지/스택)이 종속돼 있는데, 펄크라를 적극적으로 운영하려 하면 온필드 에이전트의 에너지 관리, (강화) 특수공격 타이밍, 핵심기 시전까지 통째로 몬스터의 패턴에 멱살잡혀 끌려다니는 상당한 페널티를 안고 플레이 하게 된다.[8] 그냥 여진피해 증가 보너스만 받는 느낌으로 쓸때는 그냥 싹 다 무시하고 할 거 하다가 패링 가능한 패턴이 나올때마다 스왑하고, 특수공격도 써야 할 때 쓰면 되지만, 빠르게 격파를 보기위해 에이전트 패시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 할 시 그 난이도 자체도 높을뿐만 아니라 사실상 패턴 운빨에 몸을 맡겨야 한다. 티폰이나 폼페이같이 어느 정도 패턴이 정형화 돼있고 패링가능한 패턴이 주이면 그나마 양반이나 도살자, 침식체, 마리오네트 같이 패턴 한 번 한 번이 독립된 제비뽑기에다 그중에도 패링불가한 패턴이 많을 경우에는 고점은 사실상 포기하거나 패턴 뽑기를 보기 위해 수없이 리트를 해야 한다. 유저들도 하나둘 특정 파티에 영구멤버로 배치하기엔 근본적 하자가 심각해서 트리거가 없는 사람이 울며겨자먹기로 쓰는 수준이라고 의견이 모이고 있다. [9]
여진 공격을 이용한 그로기 수치 쌓기, 여진 공격에 대해 가피증을 걸어주는 등 여러모로 여진 공격 전용 격파 캐릭터로 출시되었다. 운용 난이도 자체는 별 하나 주기도 아까운 수준으로, 단순 강특만 박고 빠지는 캐릭터이기 때문에 플레이가 편하긴 하나 현재로서는 취직처가 하나밖에 없다는 것이 단점. 본인 자체의 딜이 어느 정도 나와 서브 딜러로도 운영해볼 수 있으며, 여진 공격 시스템인지라 내가 따로 조작할 필요도 없고, 강공 캐릭터 딜링 타임을 빼앗지도 않는 지라 편의성은 원탑에 가깝다.[10] A급이고 마침 현재 거의 유일한 사용처로 평가받는 0호 엔비와 픽업을 같이 하기 때문에 엔비를 키워보고 싶은 유저라면 비교적 덱을 쉽게 맞출 수 있다.[11]
6. 작중 행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펄크라 페리니/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펄크라 페리니/작중 행적#|]][[펄크라 페리니/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인간관계
- 파에톤
파에톤은 펄크라의 칼리돈의 자손 합류에 놀라움을 표했으나 펄크라는 용병이 어디에 있든 놀랄 일은 아니라며 별 일 아닌 듯한 스텐스를 취했다. 파에톤은 별다른 문제없이 펄크라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편이고, 펄크라 역시 파에톤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면서 자신의 과거까지 털어놓는 등 꽤나 신뢰하는 사이가 되었다. - 루시아나 드 몬테피오
- 버니스 화이트
처음에는 트라이엄프의 용병으로서 적으로 만났지만 버니스의 마이페이스에 당황하다가[12] 그녀에게 칼리돈의 자손의 스카우트를 받는다.
버니스 쪽에서 펄크라를 '펄냥이'라고 다소 무례한 별명을 붙여 부르지만 내심 싫지는 않은지 단 둘이 놀러다닐 정도로 친하게 지내고 있다.
- 벨룸
펄크라가 벨룸을 어떻게 생각하는진 불명이나, 벨룸은 펄크라를 “교활하기 짝이 없다.”고 평가한다. 펄크라가 한 곳에 정착하지 않는 용병이자 지속적으로 세력들 사이에서 간을 보는 게 마음에 들지 않는 듯. 펄크라는 그 점을 딱히 신경쓰지 않는 듯하다.
- 밀레나
펄크라가 현재처럼 타인을 쉽사리 믿지 못하고 경계심을 갖게 만든 인물. 과거 어린 시절 친한 친구로 함께 용병단을 만들 정도로 친한 친구였으나 이내 펄크라를 배신하고 모든 것을 독차지한 뒤 내쳤다. 이후로 펄크라는 밀레나와 비슷한 인물만 봐도 경계하는 듯 보이며, 아직까지 트라우마로 남아있는 듯하다.
8. 일러스트
|
전신 일러스트 |
|
[리두 돋보기] 펄크라 페리니 편 |
스토리 |
|
코팅 다이어리 | @제목@ [[https://youtube.com/shorts/동영상주소| |
스토리 |
===# 생일 #===
'''[[젠레스 존 제로| Zenless Zone Zero ]]'''젠레스 존 제로 캐릭터별 생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0px; min-height: 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월 |
## 구분선 [[청의#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2월 |
## 구분선 [[엔비 데마라#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3월 |
## 구분선 [[카이사르 킹#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4월 |
## 구분선 [[세스 로웰#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5월 |
## 구분선 [[앤톤 이바노프#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6월 |
## 구분선 [[코린 위크스#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7월 |
## 구분선 [[아사바 하루마사#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8월 |
## 구분선 [[콜레다 벨로보그#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9월 |
## 구분선 [[주연(젠레스 존 제로)#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10월 |
## 구분선 [[본 리카온#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11월 |
## 구분선 [[니콜 데마라#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12월 |
## 구분선 [[벤 비거#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생일 축하해, 펄크라 | @제목@ |
스토리 |
9. 여담
- 1.1 버전의 세스 로웰 이후 무려 5버전만에 등장한 A급 에이전트다.
- 인게임에서 드문 퍼리 설정에 빼어난 몸매로 인해 단역 적대 세력으로 나왔을 당시에도 몸매 이야기는 꾸준히 나온 데다가 모드까지 나올 정도로 주목도가 높았으며, 국내와 해외 모두 실장에 대한 루머가 꾸준하게 있었다. 실장 이후에도 대놓고 색기 캐릭터로 나온 탓에 많은 인지도와 더불어 인기를 누리고 있다. 다만 퍼리 특성상(특히 외모, 복장, 에이전트 포즈 등등 성적 요소가 대폭 들어갔으므로) 호불호는 어쩔 수 없이 갈리는 편.
- 칼리돈의 자손의 첫 시렌 에이전트이다.[13]
- 플레이어블 기준 최초의 여성 야수형 시렌 에이전트이다. 이전까지 나온 야수형 시렌은 전원 남자였고, 다른 여성 시렌 에이전트들은 전원 인간형 시렌으로 동양권 서브컬처에 나오는 케모미미에 가까운 외형이었기에[14] 더욱 도드라지는 편.
- 이름인 펄크라는 아름답다라는 뜻의 라틴어 형용사 pulcher의 여성형 pulchra로 추측하고 있다. 성인 펠리니는 고양이과를 뜻하는 felini이다.
- 4장에서 첫 등장하자마자 버니스에게 망신을 당하고 보스 난이도가 그리 높은 편은 아닌데다 에이전트 등급도 A급이라서 잘 부각되지 않지만, 버니스가 감탄할 정도로 용병으로서의 실력은 확실한 모양. 1.6 버전 특별 방송에서 언급된 바로는 외환선에서도 손에 꼽을 정도로 뛰어난 용병이라고 한다.
- 펄크라는 메인 스토리 4장 이후 시유 방어전 격변에서 4~5층 보스로도 종종 등장하는데, 근접 공격 자동 회피와 광역 전기 지뢰, 패링 불가를 섞은 공격 패턴으로 피지컬과 핀포인트 공략도 요구하는 탓에 대충 도전하면 고전할 수 있다.
- 펄크라가 칼리돈의 자손으로 합류하는 복선은 꽤 있었는데, 4장 후일담격 이벤트에서 트라이엄프의 잔당에게 고용된 펄크라가 칼리돈의 자손을 상대로 대충 싸우다가 물러서는 모습이나, 너(버니스)랑 친구는 하기 싫지만 따뜻한 곳을 싫어하지 않는다던가, 칼리돈의 자손이 최강자[15]가 되면 들어갈 생각이 있다느니 하는 말을 하는 등 묘하게 여지를 주었었다. 게다가 실제로 4장 이후 카이사르가 오버로드 칭호를 받아서 펄크라가 합류할 타당성이 확보된 상태이다.
- 버니스에 의하면 고양이 시렌은 주인을 그다지 잘 따르지 않는 성향[16]이 있다고 하는데, 실제로도 성향이 못 되먹었는지 소개문에서도 사적인 부분에서 묘하게 저평가를 받고 있다. 그나마 카이사르는 대인배답게 지난 일로 취급하지만, 루시는 아니꼬운지 비꼬고 있고[17] 한때 같은 트라이엄프 소속이었던 벨룸은 아예 교활하기 짝이 없어 엮이고 싶지 않다고 한다. 적어도 서로가 마음에 들어서 동료로 합류한 것은 아닌 모양. 어쩌면 트라이엄프 때처럼 용병으로 고용된 것일 수도 있다. 그래도 '배달은 어렵고, 고양이는 한숨만' 이벤트 이후 칼리돈의 자손들 멤버에게 정식으로 환영 받으면서 동료가 되었다. 아니꼽게 보던 루시와도 사이가 원만해진 모양.
- 궁극기 모션도 펄크라 특유의 교활한 성격이 도드라지는데, 처음에는 무릎을 꿇고 쌍권총으로 하트 모양을 만들고 발랄한 표정으로 윙크를 하지만 일어서면서 갑자기 무표정으로 쌍권총을 조준하는 모션이다.
- 모든 에이전트 중 유일한 마스크 착용자라서 목소리에 울리는 듯한 효과가 있다. 물론 PV때 처럼 마스크를 벗으면 원래 목소리로 돌아온다.
- 젠레스 존 제로의 성인 여성 캐릭터들이 대부분 키가 큰편이지만, 펄크라도 키가 매우 큰 편이다. 173cm로 리나와 함께 여성 캐릭터들 중 공동 3위다.다만 귀까지 포함한 미야비의 키가 170cm로, 인게임 펄크라와 비교했을 때에 펄크라의 귀가 조금 더 위에 위치한 것으로 보아 귀까지 측정한 것으로 보인다.
- 제인과 비슷하게 굉장히 여유로운 성격이며 능글맞은 면도 존재하나, 예상치 못한 상황에 자주 당황하며 격한 반응을 보인다. 이는 같이 다니는 사람이 행적을 전혀 종잡을 수 없는 버니스인 것도 한 몫하는 듯 하다.
- 스폐셜 에피소드가 없는 A급 에이전트인데, 전용 애니메이션에 이벤트 스토리의 주인공으로 나올 정도로 꽤 푸쉬를 받는 모습을 보인다.[18] A급인데도 상당히 대우를 받는데, 제작진 측에서도 펄크라의 인지도와 인기를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덕분에 인기는 있는 데 A급이라 스폐셜 에피소드를 내줄 수 없으니 이벤트로 비화처럼 만들어서 챙겨준 거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9.1. (한국 한정) PV 영상 임시 차단
파일:펄크라 PV 삭제 사유.jpg.jpg3월 10일 공개된 막간 PV가 과도한 노출로 인한 선정성 사유로 삭제되는 일이 벌어졌으며, 츠키시로 야나기 캐릭터 플레이 PV 때처럼 해외판은 멀쩡하나 한국 공식 채널에서만 삭제되었다. 물론, 가슴이나 엉덩이 같은 특정 신체 부위를 과도하게 강조 및 노출을 하거나 물리 치료사와 사랑을 나누는 장면이 포함 된다면 문제가 되겠지만 영상 내용을 보면 알다시피 특정 신체 부위 강조 및 노출은 전혀 없으며 사랑을 나누는 것도 없이 그냥 물리 치료만 받고 끝나는 게 전부다. 이 영상이 한국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도 선정성 사유로 삭제 되었다면 모를까, 정작 다른 나라 더빙들은 삭제는커녕 전부 멀쩡히 있으며 게다가 검열 정책에 굉장히 민감한 중국 조차도 삭제 논란이 없기에 해당 논란이 커지고 말았다.[19]
안 그래도 같은 시기에 일어난 유우키 성추행 무고 피해 사건 이슈, 아직도 현재 진행 중인 게임물관리위원회의 외산 게임 검열 논란으로 예민해진 판에 불난 집에 부채질을 해버린 꼴이 되었다. 오죽하면 '공산주의 중국에서도 검열 안 하는 퍼리를, 자유 민주주의 대한민국은 퍼리 구분 없이 검열한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니 말 다한 셈이다.[20]
물론, 하루도 안 되어 해당 PV 한국 더빙 영상은 멀쩡히 복구하여 한국 공식 채널에 재 업로드 되었으나 이미 차단 사태를 알아버린 팬들은 유튜브 댓글에 보다시피 반응과 여론이 상당히 좋지 않다.[21] 게다가, 한국 검열에 관심이 전혀 없던 외국인들 조차 해당 PV 영상을 계기로 관심이 생기기 시작하여 "아무리 그래도 한국 검열이 이 정도 수준이었냐"며 큰 충격을 받았고, 한국의 검열에 대한 악명이 전세계에 퍼지게 되었다. #
1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222,#000><colcolor=#fff> 스토리 | |
콘텐츠 | ||
시스템 | ||
아이템 | ||
미디어 믹스 | ||
기타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1px"
[1] 귀 포함.[2] 호시미 미야비와 생일이 같다.[3] 이전 소속은 트라이엄프. 정확히 말하면 용병으로 고용됐었다.[형상6] [형상6] [6] 네코마타 뿐만 아니라 물리 속성의 강공 에이전트인 코린, 빌리에게도 정말 좋은 선택지가 생겼다.[7] 궁극기 사용 시 지원 포인트 1pt를 환급받는다.[8] 특히 0호 엔비의 경우 최대 3개인 백뢰 스택을 회피 공격 1번으로 1.5개 정도 채울 수 있는데, 펄크라를 쓰면 이 백뢰 스택 1.5개를 그냥 펄크라한테 먹여준다고 봐야한다.[9] 단적으로 몹이 계속해서 회피지원 발동이 안되는 패턴만 시전하면 0호의 특수공격 스택을 펄크라 회피지원만 기다리면서 아껴놨다간 심각한 딜로스를 유발하고 격파는 격파대로 안 되면서 속이 타들어간다.[10] 극악의 연타와 회피 반격 탓에 편의성이 나락을 가버린 청의와는 반대되는 부분.[11] 이벤트로도 공짜로 하나 더 준다.[12] 이후에 나온 펄크라의 스탠딩 모션을 보면 펄크라가 꼬리를 팔로 싸고 있는 모습으로 서 있는데 버니스가 꼬리에 불 지른 거에 대한 트라우마가 남아 있기는 한 듯하다.[13] NPC까지 포함하면 빅대디와 매도우 & 우디 & 브릭이 있다.[14] 꼬리와 동물귀만 있고, 나머지는 인간에 가까운 모습.[15] 펄크라는 이미 당시 최강의 바이크족인 트라이엄프에 고용된 실력있는 용병이기 때문에 커리어상 비교적 신생 집단인 칼리돈의 자손으로 굳이 이적할 이유가 없었다.[16] 당장 펄크라 소개문만 봐도 '나는 항상 승자에게 충성해, 그리고 승자는 항상 나야'이다. 추가로 같은 고양이 시렌인 네코미야 마나도 이전 소속인 레드팽 갱단이 범죄조직으로 타락하자 탈주했다 웬만한 사람이면 손절하고 탈주할만한 상황이긴 하지만 네코마나 소개PV제목이 '고양이에게는 주인은 없다'인걸 보면 어느 정도 그런 성향을 가진 건 맞는 모양). 다만 세스 로웰은 고양이 시렌이면서도 이런 성향을 보인 적이 없기에 이것도 세간의 편견일 가능성도 높다.[17] 자신의 샴푸를 펄크라가 쓰는 건 사양이라고 말하려다가 아예 고양이 시렌은 목욕을 잘 안 하지 않느냐고 비꼰다. 실제 고양이는 그루밍을 하기 때문에 체취가 거의 없을 정도로 스스로 청결을 매우 중요시하는 동물이다. 이 때문에 목욕을 자주 시킬 필요가 없다. 펄크라를 정말 어지간히도 아니꼽게 보는 모양.[18] 다른 A급 캐릭터들은 주인공으로 나오는 전용 이벤트 스토리가 아예 없다. 애니메이션 또한 유일하게 토끼굴의 A급 3인방만이 캐릭터 플레이와 pv를 받았는데 이들은 서비스 첫 에이전트이자 튜토리얼 에이전트이기에 특별히 받을 수 있었던 것이고 이후에는 이런 사례가 아예 없어서 펄크라의 경우는 이례적이라 볼 수 있다.[19] 중국에서 출시된 게임의 경우 피, 해골, 귀신, 미신적 요소, 그리고 과도한 노출이 포함될 수 없을 정도로 상당히 검열에 민감한 편이다. 다만 의외로, 유일하게 퍼리는 심의에 관대한 편인데 법적으로 동물로 취급하기에 특정 부위 노출 수준으로 선만 넘지 않는다면 어떠한 과도한 노출을 해도 검열을 시키지 않는다. 심지어 젠레스 존 제로가 중국 게임 회사인 HoYoverse에서 제작된 게임인 걸 감안하면, 검열에 엄격한 중국에서도 넘어간 것을 우리나라만 선정성 문제로 태클을 건 꼴이다.[20] 덕분에 한국 유튜브는 퍼리충 아니냐는 불명예까지 덮어쓰고 말았다. 그 누구도 이상하게 보지 않은 수인 영상을 야한 영상이라고 판단했기 때문.[21] 오죽하면, 해당 공식 PV 한국 더빙 영상만 여전히 삭제 상태로 되어 있다 + 복구는 되었으나 검열 된 장면이 존재한다는 잘못된 정보가 나돌고 있다. 삭제 전 백업 영상이랑 직접 비교해 보면 모자이크 처리는커녕 어떠한 검열은 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