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레스 존 제로| Zenless Zone Zero ]]'''젠레스 존 제로 [[젠레스 존 제로/에이전트| 에이전트 목록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0px; min-height: 2em" {{{#!folding [ 속성별 ] {{{#!wiki style="margin:-6px -1px -6px" | |
## 구분선 [[네코미야 마나|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구분선 [[11호|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구분선 [[본 리카온|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구분선 [[그레이스 하워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구분선 [[니콜 데마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 특성별 ]
- ## 강공
강공
## 구분선
[[네코미야 마나|]][[11호|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코린 위크스|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빌리 키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앤톤 이바노프|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엘렌 조|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주연(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아사바 하루마사|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이블린 슈발리에|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0호·엔비|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휴고(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격파
## 구분선
[[콜레다 벨로보그|]][[본 리카온|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엔비 데마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청의|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라이터(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펄크라 페리니|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트리거(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이상
## 구분선
[[그레이스 하워드|]][[파이퍼 휠|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제인 도(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버니스 화이트|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츠키시로 야나기|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호시미 미야비|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비비안(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지원
## 구분선
[[알렉산드리나 세바스티안|]][[니콜 데마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소우카쿠|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루시아나 드 몬테피오|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아스트라 야오|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방어
## 구분선
[[벤 비거|]][[세스 로웰|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카이사르 킹|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진영별 ]
- ## 교활한 토끼굴## 구분선
[[엔비 데마라|]][[니콜 데마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빌리 키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네코미야 마나|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콜레다 벨로보그|]][[앤톤 이바노프|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벤 비거|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그레이스 하워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코린 위크스|]][[본 리카온|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알렉산드리나 세바스티안|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엘렌 조|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11호|]][[트리거(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0호·엔비|]]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주연(젠레스 존 제로)|]][[청의|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제인 도(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세스 로웰|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루시아나 드 몬테피오|]][[파이퍼 휠|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카이사르 킹|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버니스 화이트|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라이터(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펄크라 페리니|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소우카쿠|]][[츠키시로 야나기|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호시미 미야비|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아사바 하루마사|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아스트라 야오|]][[이블린 슈발리에|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비비안(젠레스 존 제로)|]][[휴고(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margin: 0px 5px; background-color: #3c4150; border:1px solid #a09b95;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50px; text-align: center" |
[[젠레스 존 제로/변조/독점 채널#1.6下| 어둠 속에서 핀 꽃 / 곧게 발사된 총알 (04. 02. 13:00 ~ 04.22 15:59) ]] |
[[트리거(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빌리 키드 BILLY KID | |
"별빛 기사는 절대 지지 않아! 하하하!" | |
| |
<colbgcolor=#CF443F> 본명 | 빌리 키드 |
성별 | 남성 |
키 | 188cm |
생일 | 11월 25일 |
진영 | |
속성 | |
특성 | |
언어별 표기 |
Billy Kid
[ruby(比利,ruby=bǐlì)]·[ruby(奇德,ruby=qídé)]
ビリー・キッド |
성우 |
이주승
클리퍼드 체이핀[2]
천룬추
하야시 유우 |
1. 개요
《젠레스 존 제로》의 플레이어블 캐릭터.2. 소개
멋진 디자인에 건들건들한 성격의 AI 로봇. 특수촬영물 〈별빛 기사〉의 광팬으로 자신을 별빛 기사라 부를 뿐만 아니라 극중 대사를 입에 달고 산다. 빌리는 특수 제작한 리볼버 한 쌍을 「아가씨들」이라고 부른다. 옛 친구가 선물한 것 같다. 못 미더워 보이지만, 진지해지면 어떤 어려움이 닥치든 모두 여유롭게 대처한다. |
빌리 키드 | 공식 홈페이지 캐릭터 소개 |
2.1. 캐릭터 PV
<colbgcolor=#CF443F> 빌리 캐릭터 PV 「1080p 로봇의 지난날」 | |
「방금 맹세는 무효야」 「방금 한 맹세는… 정말 무효여야 한다고…」 「아, 그렇지! 스마트 전술 소체가 한 맹세는 철회할 수 있어!」 | |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inline-table;" {{{#!folding [ JP ] {{{#!wiki style="margin:-10px -1px" |
- [ CN ]
- ||<tablewidth=100%><nopad> ||
- [ EN ]
- ||<tablewidth=100%><nopad> ||
<colbgcolor=#CF443F> 빌리 캐릭터 플레이 「기사 등장!」 | |
「니콜 대장, 다음부터는 작전 시작하기 5분 전에 말해 줄 수 있어?」 「뭐야, 내 계획에 불만 있다는 거야?」 「아니, 그런 게 아니야! 만약 변신을 끝낼 수 있다면 업무 효율이 더 높아지거든!」 | |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inline-table;" {{{#!folding [ JP ] {{{#!wiki style="margin:-10px -1px" |
- [ CN ]
- ||<tablewidth=100%><nopad> ||
- [ EN ]
- ||<tablewidth=100%><nopad> ||
<colbgcolor=#CF443F> 판매 불가 영상 | 빌리 | |
「내 별빛 기사 피규어가 이렇게 많으면 얼마나 좋을까…」 | |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inline-table;" {{{#!folding [ JP ] {{{#!wiki style="margin:-10px -1px" |
- [ CN ]
- ||<tablewidth=100%><nopad> ||
- [ EN ]
- ||<tablewidth=100%><nopad> ||
2.2. 공식 미디어
<colbgcolor=#CF443F> 별빛 기사 EP 「새벽녘 하늘, 빛나는 맹세」 |
검은 성운이 조용히 우리의 세계를 삼키고 있다 그리고 희망이라 불리는 저 빛도… 보아라! 공명하며 은하를 비추는 배지를! 들어봐! 강렬한 음악이 울려 퍼지고 있어! 모여라! 별의 힘을 다루는 전사들이여! 별들에게 맹세하고, 지키기 위해 싸우자! |
3. 인게임 정보
3.1. 기본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10%> 진급 ||<width=10%> 레벨 ||<width=17.5%>
HP ||<width=17.5%>
공격력 ||<width=17.5%>
방어력 ||
0 | 1 | 555 | 113 | 49 |
10 | 1233 | 173 | 108 | |
1 | 1614 | 213 | 141 | |
20 | 2367 | 280 | 207 | |
2 | 2748 | 321 | 241 | |
30 | 3502 | 389 | 307 | |
3 | 3883 | 429 | 340 | |
40 | 4637 | 496 | 407 | |
4 | 5018 | 537 | 441 | |
50 | 5771 | 604 | 507 | |
5 | 6153 | 644 | 540 | |
60 | 6907 | 712 | 606 |
3.1.1. 진급 재료
[include(틀:젠레스 존 제로/육성 재료, 진급=,진급재료1=초급 강공 휘장, 진급재료2=고급 강공 휘장, 진급재료3=선구자 휘장)]
3.2. 스킬
[include(틀:젠레스 존 제로/육성 재료, 스킬=,스킬재료1=기본 물리 칩, 스킬재료2=심화 물리 칩, 스킬재료3=특화 물리 칩,
핵심스킬재료1=고차원 데이터: 추격의 잔영, 핵심스킬재료2=피바람의 손아귀)]
3.2.1. 일반 공격: 화력 전개
| 화력 전개 |
전방의 적을 꿰뚫어 물리 피해를 준다. 연타 혹은 홀드 시 무릎쏴 사격에 돌입해 사격 지속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무릎쏴 사격 도중 방향키를 움직이면 구르기 사격을 시전해 위치를 조정하고 물리 피해를 줄 수 있다. 무릎쏴 사격 도중 연타를 멈추거나 홀드를 풀면 전방의 적에게 종결 사격을 시전해 물리 피해를 준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스탠딩 사격 발포 / 스탠딩 사격 총알 / 무릎 사격 발포 / 무릎 사격 총알 / 구르기 사격 / 종결 사격 피해 배율 || 스탠딩 사격 발포 / 스탠딩 사격 총알 / 무릎 사격 발포 / 무릎 사격 총알 / 구르기 사격 / 종결 사격 그로기 배율 ||
1 | 68% / 7.6% / 61.8% / 12.7% / 61.8% / 49.5% | 54.4% / 6.1% / 54.7% / 8.9% / 54.7% / 55.2% |
2 | 74.2% / 8.3% / 67.5% / 13.9% / 67.5% / 54% | 56.9% / 6.4% / 57.2% / 9.4% / 57.2% / 57.8% |
3 | 80.4% / 9% / 73.2% / 15.1% / 73.2% / 58.5% | 59.4% / 6.7% / 59.7% / 9.9% / 59.7% / 60.4% |
4 | 86.6% / 9.7% / 78.9% / 16.3% / 78.9% / 63% | 61.9% / 7% / 62.2% / 10.4% / 62.2% / 63% |
5 | 92.8% / 10.4% / 84.6% / 17.5% / 84.6% / 67.5% | 64.4% / 7.3% / 64.7% / 10.9% / 64.7% / 65.6% |
6 | 99% / 11.1% / 90.3% / 18.7% / 90.3% / 72% | 66.9% / 7.6% / 67.2% / 11.4% / 67.2% / 68.2% |
7 | 105.2% / 11.8% / 96% / 19.9% / 96% / 76.5% | 69.4% / 7.9% / 69.7% / 11.9% / 69.7% / 70.8% |
8 | 111.4% / 12.5% / 101.7% / 21.1% / 101.7% / 81% | 71.9% / 8.2% / 72.2% / 12.4% / 72.2% / 73.4% |
9 | 117.6% / 13.2% / 107.4% / 22.3% / 107.4% / 85.5% | 74.4% / 8.5% / 74.7% / 12.9% / 74.7% / 76% |
10 | 123.8% / 13.9% / 113.1% / 23.5% / 113.1% / 90% | 76.9% / 8.8% / 77.2% / 13.4% / 77.2% / 78.6% |
11 | 130% / 14.6% / 118.8% / 24.7% / 118.8% / 94.5% | 79.4% / 9.1% / 79.7% / 13.9% / 79.7% / 81.2% |
12 | 136.2% / 15.3% / 124.5% / 25.9% / 124.5% / 99% | 81.9% / 9.4% / 82.2% / 14.4% / 82.2% / 83.8% |
13 | 142.4% / 16% / 130.2% / 27.1% / 130.2% / 103.5% | 84.4% / 9.7% / 84.7% / 14.9% / 84.7% / 86.4% |
14 | 148.6% / 16.7% / 135.9% / 28.3% / 135.9% / 108% | 86.9% / 10% / 87.2% / 15.4% / 87.2% / 89% |
15 | 154.8% / 17.4% / 141.6% / 29.5% / 141.6% / 112.5% | 89.4% / 10.3% / 89.7% / 15.9% / 89.7% / 91.6% |
16 | 161% / 18.1% / 147.3% / 30.7% / 147.3% / 117% | 91.9% / 10.6% / 92.2% / 16.4% / 92.2% / 94.2% |
|
화력 전개 |
전방의 적에게 사격을 가해 물리 피해를 입힌다.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무릎쏴 자세에 진입해 사격을 지속하며, 도중 방향키를 누르면 그 방향으로 굴러 이동한다. 버튼을 떼면 사격을 종료하며 추가타를 가한다.
대부분의 다른 캐릭터의 일반 공격이 타수 개념이 있어 버튼을 여러 번 누르는 것으로 특정 동작을 반복하는 반면, 빌리의 일반 공격은 버튼을 누르고 있는 대로 계속해서 사격을 가하다가 버튼을 뗄 때 막타를 날리는 방식이다. 또한 사격 중 방향키로 위치를 조정하거나 무릎쏴 상태로 진입할 때 구르기 사격으로 전환되는데, 2돌 이후에는 이 동작이 회피로 간주되어 공격을 피하며 회피 반격을 발동시킨다.[3]
또 사격하는 방향은 한쪽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타겟이 움직이면 빗나간다. 따라서 적절한 타이밍에 방향키를 눌러서 구르기 사격을 발동시키거나 대시 공격으로 이동해줘야 한다. 그 뒤에는 빌리가 알아서 타겟이 있는 방향으로 조절하기 때문에 정확한 에임을 필요로 하진 않는다.
기존에는 리볼버임에도 마치 자동 권총으로 쏘는 것처럼 공격 속도와 사운드가 연발식처럼 속도감있었던 모션이었다. 이에 비해 특정 업데이트 이후 진짜 리볼버를 쏘는 것처럼 연발이 아니라 단발로 보다 천천히, 사운드와 모션이 바뀌었다. 때문에 기존 빌리의 공격 방식에 익숙했던 사람은 새로운 모션이 살짝 답답하게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기존 모션은 총을 쏘는 느낌이 전혀 들지 않아 타격감이 부족했는데, 이 점이 어느 정도는 해결되었다.
3.2.2. 회피
3.2.2.1. 회피: 아슬아슬했어
| 아슬아슬했어 |
빠른 대시로 회피한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
아슬아슬했어 |
첫 회피는 슬라이딩, 두 번째 회피는 구르기를 하기에 회피 횟수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빌리는 회피 공격이 중요하기 때문인지 미야비나 제인같은 나중에 나온 한정 캐릭터에 비할바는 못되지만, 회피 범위가 넓고 판정이 널널한 편이다.
3.2.2.2. 대시 공격: 별-빛-제-재
| 별-빛-제-재 |
방향키를 움직여 회피 시전 후 주변 넓은 범위를 꿰뚫어 물리 피해를 준다. 방향키를 움직이지 않고 회피 시전 후 전방 직선 구역을 꿰뚫어 물리 피해를 준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주변 사격 피해 배율 || 직선 사격 피해 배율 || 주변 사격 그로기 배율 || 직선 사격 그로기 배율 ||
1 | 63% | 39% | 63% | 19.5% |
2 | 68.8% | 42.6% | 65.9% | 20.4% |
3 | 74.6% | 46.2% | 68.8% | 21.3% |
4 | 80.4% | 49.8% | 71.7% | 22.2% |
5 | 86.2% | 53.4% | 74.6% | 23.1% |
6 | 92% | 57% | 77.5% | 24% |
7 | 97.8% | 60.6% | 80.4% | 24.9% |
8 | 103.6% | 64.2% | 83.3% | 25.8% |
9 | 109.4% | 67.8% | 86.2% | 26.7% |
10 | 115.2% | 71.4% | 89.1% | 27.6% |
11 | 121% | 75% | 92% | 28.5% |
12 | 126.8% | 78.6% | 94.9% | 29.4% |
13 | 132.6% | 82.2% | 97.8% | 30.3% |
14 | 138.4% | 85.8% | 100.7% | 31.2% |
15 | 144.2% | 89.4% | 103.6% | 32.1% |
16 | 150% | 93% | 106.5% | 33% |
|
별-빛-제-재 |
돌면서 주변 전체에 피해를 주고 무릎쏴 상태라면 마지막에 구르기 사격으로 연결되는데, 구르기 사격은 마지막에 멈춘 방향을 기준으로 발사하기에 처음 바라본 방향이나 움직임에 따라 빗나갈 수도 있다. 그래서 그로기 상태의 보스에게는 아예 달라붙어서 딜을 넣는 것이 좋고, 사용 중 적절하게 이동하여 방향을 어느정도 제어해야 한다.
구르기 사격까지 유효하게 연결된다면[4] 데시벨이나 에너지 쌓이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무릎쏴 상태가 시작된 이후부터는 대시 공격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회피로 캔슬이 가능하므로 중간중간 회피로 적당히 받아치는 것도 가능하다. 2돌이라면 회피 판정이 부여되어 타이밍이 맞으면 자연스럽게 회피 반격과도 연계된다.
3.2.2.3. 회피 반격: 공평한 결투
| 공평한 결투 |
[극한 회피] 발동 후 전방의 적을 꿰뚫어 물리 피해를 준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1 | 221.4% | 193.4% |
2 | 241.6% | 202.2% |
3 | 261.8% | 211% |
4 | 282% | 219.8% |
5 | 302.2% | 228.6% |
6 | 322.4% | 237.4% |
7 | 342.6% | 246.2% |
8 | 362.8% | 255% |
9 | 383% | 263.8% |
10 | 403.2% | 272.6% |
11 | 423.4% | 281.4% |
12 | 443.6% | 290.2% |
13 | 463.8% | 299% |
14 | 484% | 307.8% |
15 | 504.2% | 316.6% |
16 | 524.4% | 325.4% |
|
공평한 결투 |
단순한 회피 반격이지만 빌리는 회피 판정이 좋고 강력한 딜링 기술이 없기 때문에 가능하면 회피 반격을 많이 쓰는 게 좋다. 게다가 무릎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피격당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기에 온필드로 운용한다면 자연스레 회피 반격을 많이 하게 된다. 또한 2돌부터 구르기 사격이 회피 판정을 받고 회피 반격에 25% 추가 피해를 주기 때문에 회피 반격과 자연스레 연계할 수 있다.
3.2.3. 지원 스킬
3.2.3.1. 빠른 지원: 스타라이트-파트너의 힘
| 스타라이트-파트너의 힘 |
출전 캐릭터가 넉업되면 전방의 적을 꿰뚫어 물리 피해를 준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1 | 93.4% | 93.4% |
2 | 101.9% | 97.7% |
3 | 110.4% | 102% |
4 | 118.9% | 106.3% |
5 | 127.4% | 110.6% |
6 | 135.9% | 114.9% |
7 | 144.4% | 119.2% |
8 | 152.9% | 123.5% |
9 | 161.4% | 127.8% |
10 | 169.9% | 132.1% |
11 | 178.4% | 136.4% |
12 | 186.9% | 140.7% |
13 | 195.4% | 145% |
14 | 203.9% | 149.3% |
15 | 212.4% | 153.6% |
16 | 220.9% | 157.9% |
|
스타라이트-파트너의 힘 |
3.2.3.2. 회피 지원: 플래시 스텝
| 플래시 스텝 |
출전 캐릭터 피격 직전에 적의 공격을 회피하고 [극한 시야]를 발동한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
플래시 스텝 |
3.2.3.3. 지원 돌격: 급소 사격
| 급소 사격 |
[회피 지원] 시전 후 전방 넓은 범위 내 적을 꿰뚫어 물리 피해를 준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1 | 388.8% | 341.2% |
2 | 424.2% | 356.8% |
3 | 459.6% | 372.4% |
4 | 495% | 388% |
5 | 530.4% | 403.6% |
6 | 565.8% | 419.2% |
7 | 601.2% | 434.8% |
8 | 636.6% | 450.4% |
9 | 672% | 466% |
10 | 707.4% | 481.6% |
11 | 742.8% | 497.2% |
12 | 778.2% | 512.8% |
13 | 813.6% | 528.4% |
14 | 849% | 544% |
15 | 884.4% | 559.6% |
16 | 919.8% | 575.2% |
|
급소 사격 |
빌리를 그로기 딜러로 활용할 경우 회피 지원을 활용하면 데시벨을 안정적으로 수급할 수 있다. 회피 지원이라 판정 자체는 널널하고[5] 대미지도 괜찮은 편. 온필드로 운용 중이라도 서폿들과의 스왑 때 사용할 수 있다.
3.2.4. 특수 스킬
3.2.4.1. 특수 스킬: 얌전히 있어
| 얌전히 있어 |
전방 직선 구역을 향해 최대 3단까지 꿰뚫기 공격을 펼쳐 물리 피해를 준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경직 저항 레벨이 증가한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1단 / 2단 / 3단 피해 배율 || 1단 / 2단 / 3단 그로기 배율 ||
1 | 24.2% / 51.7% / 50.1% | 24.2% / 51.7% / 50.1% |
2 | 26.4% / 56.4% / 54.7% | 25.2% / 54.1% / 52.4% |
3 | 28.6% / 61.1% / 59.3% | 26.2% / 56.5% / 54.7% |
4 | 30.8% / 65.8% / 63.9% | 27.2% / 58.9% / 57% |
5 | 33% / 70.5% / 68.5% | 28.2% / 61.3% / 59.3% |
6 | 35.2% / 75.2% / 73.1% | 29.2% / 63.7% / 61.6% |
7 | 37.4% / 79.9% / 77.7% | 30.2% / 66.1% / 63.9% |
8 | 39.6% / 84.6% / 82.3% | 31.2% / 68.5% / 66.2% |
9 | 41.8% / 89.3% / 86.9% | 32.2% / 70.9% / 68.5% |
10 | 44% / 94% / 91.5% | 33.2% / 73.3% / 70.8% |
11 | 46.2% / 98.7% / 96.1% | 34.2% / 75.7% / 73.1% |
12 | 48.4% / 103.4% / 100.7% | 35.2% / 78.1% / 75.4% |
13 | 50.6% / 108.1% / 105.3% | 36.2% / 80.5% / 77.7% |
14 | 52.8% / 112.8% / 109.9% | 37.2% / 82.9% / 80% |
15 | 55% / 117.5% / 114.5% | 38.2% / 85.3% / 82.3% |
16 | 57.2% / 122.2% / 119.1% | 39.2% / 87.7% / 84.6% |
|
얌전히 있어 |
3.2.4.2. 강화 특수 스킬: 스위퍼 타임
| 스위퍼 타임 |
에너지가 충분한 상태에서 전방 직선 구역을 강력하게 꿰뚫어 대량의 물리 피해를 준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에너지 소모 ||
1 | 543.8% | 439.5% | 60pt |
2 | 593.3% | 459.5% | |
3 | 642.8% | 479.5% | |
4 | 692.3% | 499.5% | |
5 | 741.8% | 519.5% | |
6 | 791.3% | 539.5% | |
7 | 840.8% | 559.5% | |
8 | 890.3% | 579.5% | |
9 | 939.8% | 599.5% | |
10 | 989.3% | 619.5% | |
11 | 1038.8% | 639.5% | |
12 | 1088.3% | 659.5% | |
13 | 1137.8% | 679.5% | |
14 | 1187.3% | 699.5% | |
15 | 1236.8% | 719.5% | |
16 | 1286.3% | 739.5% |
|
스위퍼 타임 |
딜량도 괜찮지만 이상수치도 꽤 많이 쌓여 강타를 터트리기 좋고 무엇보다 데시벨을 수급하기 좋다. 또 사용 중엔 무적 효과인데 선딜도 거의 없는 편이라 위급할 때 보스 패턴을 넘기는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다만 후딜이 살짝 있고 몇몇 패턴에는 씹히기도 한다.
3.2.5. 콤보 스킬
3.2.5.1. 콤보 스킬: 스타라이트, 영광의 환영
| 스타라이트, 영광의 환영 |
[콤보 스킬] 발동 시 해당 캐릭터를 선택해 시전: 주변 넓은 범위 내 적을 강력하게 꿰뚫어 대량의 물리 피해를 준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1 | 735.2% | 196.6% |
2 | 802.1% | 205.6% |
3 | 869% | 214.6% |
4 | 935.9% | 223.6% |
5 | 1002.8% | 232.6% |
6 | 1069.7% | 241.6% |
7 | 1136.6% | 250.6% |
8 | 1203.5% | 259.6% |
9 | 1270.4% | 268.6% |
10 | 1337.3% | 277.6% |
11 | 1404.2% | 286.6% |
12 | 1471.1% | 295.6% |
13 | 1538% | 304.6% |
14 | 1604.9% | 313.6% |
15 | 1671.8% | 322.6% |
16 | 1738.7% | 331.6% |
|
스타라이트, 영광의 환영 |
내 총알에는 눈이 달려있지! / 스타라이트는 불멸이다! / 화력 전개!
3.2.5.2. 궁극기: 스타라이트, 여기서 반짝인다!
| 스타라이트, 여기서 반짝인다! |
데시벨 레벨 [Maximum] 달성 시 주변 넓은 범위 내 적을 강력하게 꿰뚫어 대량의 물리 피해를 준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1 | 1597.7% | 190.6% |
2 | 1743% | 199.3% |
3 | 1888.3% | 208% |
4 | 2033.6% | 216.7% |
5 | 2178.9% | 225.4% |
6 | 2324.2% | 234.1% |
7 | 2469.5% | 242.8% |
8 | 2614.8% | 251.5% |
9 | 2760.1% | 260.2% |
10 | 2905.4% | 268.9% |
11 | 3050.7% | 277.6% |
12 | 3196% | 286.3% |
13 | 3341.3% | 295% |
14 | 3486.6% | 303.7% |
15 | 3631.9% | 312.4% |
16 | 3777.2% | 321.1% |
|
스타라이트, 여기서 반짝인다! |
It's Show Time! / 서두르지 마, 모두 줄 테니까! / 스타라이트, 여기서 반짝인다!
상당히 강력한 궁극기로 피해 배율이 낮아 보이지만 무릎쏴와 추가 능력 덕에 대미지가 뻥튀기 되며 범위도 넓다. 그렇기에 궁극기를 제외하면 이렇다 할 누킹 능력이 없는 빌리지만 궁극기 하나로 그로기 딜러로 활약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덕에 궁극기 의존도가 다른 캐릭터에 비해 높은 편이다.
3.2.6. 핵심 스킬
3.2.6.1. 핵심 패시브: 안정 사격
| 안정 사격 |
빌리가 [일반 공격] 중 무릎쏴 사격에 돌입한 후 자신이 주는 피해가 n% 증가한다. 빌리가 이동하거나 대기 모션에 진입 혹은 넉백/넉업되면 버프 효과가 종료된다.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증가 || 추가 능력치 ||
1 | 25% | - |
2 | 29.1% | 치명타 확률 4.8% 증가 |
3 | 33.3% | 기본 공격력 25pt 증가 |
4 | 37.5% | 치명타 확률 4.8% 증가 |
5 | 41.6% | 기본 공격력 25pt 증가 |
6 | 45.8% | 치명타 확률 4.8% 증가 |
7 | 50% | 기본 공격력 25pt 증가 |
무릎쏴 자세에 진입하면 자신이 주는 모든 피해가 증가한다. 이 자세는 이동하거나, 대기 모션에 진입하거나, 경직당하면 종료된다.
평타, 강특, 궁극기 등 말 그대로 자신이 주는 모든 피해가 증가한다. 이동하거나 경직당하면 자세가 풀리지만 회피로는 풀리지 않는다. 즉, 적절한 회피로 공격을 흘리며 무릎쏴 자세를 최대한 오래 유지하는 게 빌리 운영의 목표가 된다.
3.2.6.2. 추가 능력: 기사 클랜
| 기사 클랜 |
파티에 자신과 속성 혹은 진영이 같은 캐릭터가 존재할 시 발동: 빌리가 [콤보 스킬] 시전 후 다음번에 [궁극기] 시전 시 스킬로 주는 피해가 50% 증가한다. 최대 중첩: 2회, [궁극기] 시전 후 효과가 초기화된다. |
파티에 다른 물리 속성 또는 교활한 토끼굴 소속 캐릭터가 있다면, 자신이 콤보 스킬을 시전한 뒤 다음 궁극기의 피해가 1회에 한해 50% 증가한다. 최대 2회 중첩된다.
보스의 경우 적절하게 캔슬을 해서 빌리가 버프를 한번에 쌓는 방법이 있는데, 빌리 이외의 파티원으로 콤보 스킬을 발동시켜 빌리로 콤보 스킬을 사용한 뒤 취소하고 다시 다른 파티원으로 콤보 스킬을 발동시켜 빌리가 한 그로기에 2번 콤보 스킬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4번의 콤보 스킬이 아닌 빌리 혼자만 2번 쓰게 되므로 궁극기가 없는 상황의 경우 오히려 딜량이 낮아질 수 있으니 주의. 아스트라의 궁극기 이후 발동되는 콤보 스킬도 버프를 쌓아주기 때문에 아스트라가 파티에 있다면 좀 더 유연하게 써먹을 수 있다.
3.3. 형상 시네마
| |
<nopad> {{{#!wiki style="min-width: 30%; display:inline-table;" {{{#!folding [ 01 ~ 03 활성화 ] {{{#!wiki style="margin:-10px -1px" | |
- [ 04 ~ 06 활성화 ]
- ||<tablewidth=100%><nopad>
||
<colbgcolor=#CF443F><colcolor=#fff> 01 | 깜짝 등장 |
[대시 공격] 혹은 [회피 반격]이 적에게 명중 시 빌리가 에너지를 추가로 2.7pt 회복한다. 5초 동안 최대 1회 발동한다. 「악역 치고 너무 정직하잖아!」 「주인공을 위해 설치한 움직이지 않는 과녁처럼!」 | |
02 | 무빙 사격술 |
[회피 반격]으로 주는 피해가 25% 증가한다. [일반 공격] 중 구르기 사격이 회피 동작으로 간주되며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획득하고 [극한 회피]를 발동할 수 있다. 구르기 사격으로 [극한 회피] 발동 시 [회피 반격]을 자동으로 이어서 시전한다. 「별빛 기사는 위험을 피하지 않아. 그건 도망이 아니라 게릴라 작전이라고!」 ——스타라이트-커뮤니티, 회원 「꿈속의 모니카」의 댓글 | |
03 | 별빛 기사의 가르침 |
[일반 공격], [회피], [지원 스킬], [특수 스킬], [콤보 스킬]의 스킬 레벨+2 훈련을 게을리하지 말고, 발전을 멈추지 않는 것. 이것이야말로 별빛 기사가 주장하는 정신이다. 빌리는 이 말을 곧이곧대로 믿고 그렇게 따르고 있다. | |
04 | 스타라이트-징벌의 탄약 |
[강화 특수 스킬]이 적에게 명중 시 스킬의 치명타 확률이 자신과 타깃의 거리에 따라 증가한다. 빌리와 타깃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증가 효과가 두드러진다. 최대 증가: 32% 빌리의 특제 폭발형 총알은 근접전에서 놀라운 위력을 가진다. 사실 빌리가 총알을 개조한 목적은 더 멋져 보이기 위해서이다. | |
05 | 사라진 기술 구조체 |
[일반 공격], [회피], [지원 스킬], [특수 스킬], [콤보 스킬]의 스킬 레벨+2 미지의 정밀한 부품과 독자적인 구조 설계로 인해 빌리는 동급의 로봇보다 훨씬 뛰어난 성능을 가지게 되었다. 물론 수리 및 유지 보수 비용도 높아졌지만 말이다. | |
06 | 스타라이트-영웅의 순간 |
적에게 누적 10회 명중하거나 [극한 회피] 발동 시 빌리가 주는 피해가 6% 증가한다. 최대 중첩: 5스택, 적에 의해 넉백 혹은 넉업되면 버프 효과가 초기화된다. 「오~ 느낌이 와! 엔비, 비켜. 이제 여기는 내 홈그라운드니까!」 「어, 엔비, 별빛 기사 오프닝곡 좀 틀어줄래?」 ——교활한 토끼굴 「10대 금기어」 선정, 엔비 상정 |
- 형상 1 - 깜짝 등장
대시 공격이나 회피 반격이 적중하면 추가로 에너지를 2.7pt 회복한다. 쿨타임은 5초다.
빌리를 온필드 딜러로 활용한다면 쉽게 터뜨릴 수 있지만, 쿨타임이 5초로 제법 길고 회복량도 높지 않아 체감이 크게 되진 않는다. 있으면 좋은 능력 정도로 생각하는 편이 좋다.
- 형상 2 - 무빙 사격술
회피 반격 피해량이 25% 증가한다. 또한 일반 공격의 구르기 동작이 회피로 간주되어, 시전 중 무적 상태가 되고 극한 회피를 발동한다. 이 방법으로 극한 회피 성공 시 회피 반격이 자동으로 시전된다.
빌리의 온필드 딜러로서의 활용을 돕는 돌파다. 회피 쿨타임에 영향받지 않는 회피 수단이 생기는 덕에 안정성이 오른다. 6돌 이후 숙련이 되면 빌드업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써먹어서 빠르게 스택을 쌓는 것도 가능해진다.
- 형상 4 - 스타라이트-징벌의 탄약
강화 특수 스킬의 치명타 확률이 32%까지 증가한다. 해당 효과는 가까운 적에게 적중될수록 증가한다.
준수한 딜링기인 강특의 치명타 확률을 크게 높이나, 코앞에서 맞혀야 최대 수치가 적용된다는 난감함이 있다. 이 때문에 빌리는 긴 사거리에도 불구하고 제 화력을 내려면 근거리 위주의 전투를 해야 한다.
- 형상 6 - 스타라이트-영웅의 순간
공격을 10회 적중시키거나 극한 회피 발동 시 모든 스킬의 피해량이 6% 증가한다. 5회까지 중첩되며, 넉백 및 넉업되면 중첩이 초기화된다.
최대 피해 증가량 30%라는 높은 버프량을 보여주나, 단 한 번만 경직에 걸려도 버프가 사라지기에 유지 난이도가 만만찮다. 4돌파 효과를 감안했을 때, 이 효과를 온전히 활용하려면 근거리에서 피격을 감수하고 모든 공격을 피해야 한다. 그나마 적이 가만히 있는 그로기 때는 발동이 쉬워진다는 게 위안이며, 어차피 일반 공격이 아닌 대시 공격으로도 스택이 쌓이기에 피격 직후가 아니라면 금방 쌓이기도 한다. 또한 경직 상태가 기준이고 무릎쏴와 별개로 작동하므로 이동이나 교체로는 스택이 초기화 되지 않는다.
3.4. 에이전트 파일
상세 정보 빌리 키드, 금단 테스트를 통과한 스마트 구조체. 쉽게 말해 자유의지를 보유한 로봇이다. 이름 그대로 로봇의 외형을 하고 있지만 사실 내면세계는 (철부지) 어린아이나 다름없다. 「별빛 기사」라는 특수촬영물을 무척 좋아한다. 극 중의 주인공 같은 영웅이 되고 싶은 빌리는 스스로를 별빛 기사라고 부르며, 다소 과장된 제스처로 극 중의 대사를 따라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행동은 대부분 (분위기 띄우기에 적격인) 개그 효과만 낳을 뿐이다. 「날 바보 취급하지 말라고! 내가 얼마나 똑똑한데!」——by 빌리 엔비와 마찬가지로 빌리의 이력도 상당 부분 비어있다. 정보에 따르면 빌리는 교활한 토끼굴에 들어오기 전 오랫동안 다른 베일에 싸인 조직에 충성했다고 한다. 아직도 빌리는 뉴에리두 외환선에 있는 조직의 두목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 같다. 협력 비고 벨 「별빛 기사」 시리즈의 특수촬영물이라면, 오빠도 어릴 때 한동안 빠져있었지? 아, 오빠가 허리에 양손을 짚고 「스타라이트, 영광의 환영!」이라고 외쳤던 때가 그립네… 와이즈 그런 적 없거든? 사실과 맞지 않는 그 기억들, 당장 머리에서 지워. 난 그 나이에서 벗어난 지 오래야. 어쨌든 내 이름에는 「키드」가 없으니까 |
3.5. 비디오 가게
「배우에 가까운 연기」
영화 속 장면을 재현하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해 연기를 펼친다. 과장된 연기는 관중의 흥미를 자아낼 만하다.
영화 속 장면을 재현하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해 연기를 펼친다. 과장된 연기는 관중의 흥미를 자아낼 만하다.
- 메시지 정보: 나만 믿어, 점장. 200%의 열정으로 홍보를 도와줄게. 헤헤, 그에 대한 보답으로 「별빛 기사」 시리즈를 가게에 더 들여올 수 있으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어!
4. 운용
4.1. W-엔진
- S급
- 유황석
11호의 전용 엔진. [일반 공격], [대시 공격] 혹은 [회피 반격]이 적에게 명중 시 착용자의 공격력 중첩증가로 최대 28%-56% 증가하는 엔진. - 심금을 울리는 야상곡, 순결한 희생
각각 이블린과 0호·엔비의 전용 엔진으로, 치명타 피해를 확보해 디스크를 간편하게 맞출 수 있다. 야상곡은 치명타 확률도 챙길 수 있고, 순결한 희생은 치명타 피해만 극도로 올려주므로 일장일단이 있다.
- A급
- 별빛 엔진 레플리카
빌리의 전용 엔진. 주력 딜러로 사용할 때 고려해 볼만하다. 대시 공격이나 일반 공격을 6m 밖의 적에게 명중 시 타깃에게 주는 물리 피해가 8초간 36%-57.5% 증가하는 제법 단순한 효과이지만, 빌리를 주력 딜러로 사용한다면 약간 거리를 벌려 엔진의 버프를 받은 뒤 EX를 발동해 최대한의 피해량을 뽑아내는 운용법이 정립된다. - 별빛 엔진
회피 반격 혹은 빠른 지원 시 공격력이 12초간 12%-19.2% 증가한다. 템포가 빠른 게임 특성상 12초면 어지간한 공격은 제법 할 수 있기 때문에 레플리카가 없다면 이것으로 대체하여 똑같이 온필드 딜러로 운용할 수 있다. - 거리의 슈퍼스타
그로기 딜러로써 궁극기 세팅을 중심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빌리의 추가 능력 활용을 위해 콤보 스킬을 캔슬해서 빌리만 콤보 스킬이 두 번 들어갈 경우 2스택밖에 쌓지 못하므로 아스트라가 파티에 없다면 한 번의 그로기만으로는 궁극기의 딜 증가를 최대화 할 수는 없다.
4.2. 디스크
권장 메인 속성 | ||
<rowcolor=#fff> [4] | [5] | [6] |
치명타 확률 치명타 피해 | 물리 피해 보너스 공격력 백분율 | 공격력 백분율 |
부속성 | ||
치명타 확률 / 치명타 피해 / 관통 수치 / 공격력 백분율 |
4세트
- 딱따구리 일렉트로
고점을 위해 빌리를 온필드 딜러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세트다. - 복어 일렉트로
궁극기 피해량을 뻥튀기해 빌리를 오프필드 딜러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세트다. 궁극기 피해량을 증가시키는 추가 능력에 복어 4세트의 효과를 더해 그로기 딜링을 끌어올리는 데 집중한다.
2세트
- 호르몬 펑크/고요 속의 별
공격력을 제공하는 무난한 세트다. 호르몬 펑크를 4세트까지 쓰기에는 복어 엘렉트로라는 대체재가 있어 매력적이지 않다. 고요 속의 별도 2세트 효과는 동일하기 때문에 남거나 옵션이 좋으면 차용해도 괜찮다. - 딱따구리 일렉트로
치명타 확률을 제공한다. - 나뭇가지 검의 노래
2세트가 치명타 피해를 제공하므로 옵션을 맞추기 조금 더 쉬워진다. - 복어 일렉트로
딱따구리 일렉트로 4세트를 사용하고 있다면 나머지 자리에 채용해 관통력을 챙길 수 있다. - 송곳니 메탈
물리 피해를 제공한다. 빌리는 강공 캐릭터라 강타를 활용하기 힘든 관계로 2세트만 채용해도 무방하다.
4.3. 추천 파티
[include(틀:젠존제 조합,1번=빌리,
2번=엔비,
3번=니콜,
방부이름=에밀리온,
방부랭크=S랭크,
2번1=청의,
)]
- 빌리 + 엔비 + 니콜
교활한 토끼굴 조합. 프롤로그만 완료해도 바로 갖춰지는, 젠존제 입문자가 가장 먼저 접하는 조합이다. 성능의 고점은 낮으나 강공 + 격파 + 지원이라는 아주 정석적인 구성이기에 젠존제 전투에 익숙해지는 데 좋다. 청의가 있다면 엔비를 청의로 대체해 더 편하게 격파를 수행할 수 있다.
[include(틀:젠존제 조합,
1번=빌리,
2번=카이사르,
3번=루시,
방부이름=레드모쿠스,
방부랭크=S랭크,
방부1=리볼버부,
방부1랭크=S랭크,
)]
- 빌리 + 카이사르 + 루시
실드를 제공하며 격파도 어느 정도 겸하는 카이사르를 채용해 빌리의 온필드 딜러로서의 안정성을 높인 조합이다. 빌리는 카이사르의 추가 능력 발동 조건(패링 지원 보유 또는 칼리돈의 자손 소속)에 해당하지 않는 탓에, 이를 활성화시킬 서포터로 루시가 필요하다. 공격력 버프와 멧돼지로 화력을 보강받으며 실드로 안정감 있는 온필드 운영이 가능하다.
[include(틀:젠존제 조합,
1번=빌리,
2번=니콜,
3번=아스트라,
방부이름=에밀리온,
방부랭크=S랭크,
방부1=공명부,
방부1랭크=S랭크,
방부2=찰칵이,
방부2랭크=S랭크
)]
- 빌리 + 니콜 + 아스트라
빌리에 니아 엔진을 붙여, 안정성보다는 빌리의 화력을 극대화하는 데 치중한 조합이다. 진영이 같은 니콜이 빌리의 추가 능력을 활성화하고, 아스트라의 궁극기는 빠른 지원을 콤보 스킬로 바꾸기에 빌리의 추가 능력을 쉽게 적용시킬 수 있게 한다. 교활한 토끼굴 조합보다 체급이 훨씬 높으면서도, 최강의 DPS를 자랑하는 방부인 에밀리온의 추가 능력이 여전히 활성화된다는 것도 소소하게 좋은 점이다. 다만 범용성 높은 서포터 둘을 써야 하다 보니 다른 파티를 구성하는 데 부담이 될 수 있다.
5. 평가
장점- 우수한 지속 화력
빌리는 2돌파 효과로 기존 회피 외에도 구르기라는 회피 하나를 더 얻고, 무릎쏴 자세에만 들어가도 최대 화력을 낸다는 단순한 딜링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다른 딜러들이 어느 정도 정형화된 딜링 사이클이 존재하며 필연적으로 화력의 공백이 생기는 것과 달리, 빌리는 상대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회피하며 최대 화력을 유지하기 용이하다. 빌리의 다른 돌파 효과도 빌리의 온필드 딜러로서의 활용을 돕는 효과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니 빌리로 고점을 보겠다면 지속 화력을 살리기 좋은 온필드 딜러로 쓰는 게 일반적이다. - 조건부로 강해지는 궁극기 화력
빌리는 궁극기의 피해량을 자체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몇 안 되는 딜러다. 추가 능력 조건을 맞추고 콤보 스킬을 두 번 쓴 다음 무릎쏴 자세에 들어가야 최대치가 나온다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그 조건만 맞추면 A급답지 않은 상당한 궁극기 위력을 보여준다. 그렇기에 빌리는 육성 및 돌파가 덜 됐거나 저점을 챙기겠다면 지원 돌격으로 데시벨을 쌓으며 온필드 격파 캐릭터의 보조를 받는 오프필드 딜러로 활용할 수도 있다. - 긴 사거리와 넓은 공격범위
빌리는 모든 스킬이 신체 부위나 근접 무기를 휘두르는 게 아니라 총으로 사격하는 방식인데, 그래서인지 이들의 사거리가 매우 길다. 또한 대시 공격, 콤보 스킬, 궁극기는 총을 주위에 마구잡이로 난사하기에 넓은 범위를 커버한다. 덕분에 빌리는 잡몹이 나오는 단계에서도 진행이 불편하지 않으며, 스킬 적중 난도가 쉬워 그만큼 회피에 집중하기 좋다.
단점
- 유명무실한 사거리
빌리는 모든 공격의 사거리가 매우 길고 전용 엔진도 원거리의 적을 맞혀야 효과가 발동한다. 하지만 정작 젠존제 시스템상 적과의 거리가 어느 정도 멀어지면 스킬 위력이 급감하는지라 그 사거리가 유명무실한 감이 있다. 빌리 혼자 유별나게 사거리가 길다 보니 다른 캐릭터와 거리 감각도 잘 안 맞는 건 덤이다. 게다가 빌리 자체적으로도 문제가 있는 게, 형상 시네마 4단계 효과를 최대한 보려면 강화 특수 스킬을 초근거리에서 맞혀야 한다. 이런 다소 일관적이지 못한 설계 탓에 빌리는 긴 사거리를 살리지 못한 채 지근거리 전투를 벌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궁극기에 의존하는 순간 화력
빌리는 그로기에 빠진 적에게 화력을 빠르게 투사할 방법이 궁극기 말고는 별달리 없다. 추가 능력 덕에 궁극기의 위력이 확실히 높긴 하나, 그 궁극기를 한 번 쓰고 나면 남는 건 일반 공격과 다소 평범한 강특뿐이다. 아무리 궁극기가 강하다곤 해도 유의미한 난이도의 콘텐츠에서 궁극기 한 번만으로 죽는 보스는 거의 없다. 이 부실한 순간 화력 때문에 빌리는 강공 캐릭터의 공통된 전술인 그로기 후 폭딜에서 약점을 보일 수밖에 없으며, 고점을 위해서는 온필드 딜러로 쓰는 것이 거의 강제된다. - 낮은 편의성
극초반부터 무료로 지급되는 A급이다 보니 편의성이 한정 S급 딜러보다 떨어지는 편이다. 일반 공격 막타나 구르기 사격, 강특 같이 전방으로 발사하는 스킬들이 꽤 자주 빗나가고 패링이 아닌 회피 지원이라 애매하게 발동이 안 될 때가 많다. 또 무릎쏴 자세와 6돌 효과를 원활히 유지하려면 최대한 맞지 않아야 하므로 일정 이상의 숙련도와 패턴 숙지가 필수적이다. 게다가 빌리의 온필드 비중을 아무리 높인들 서포터로 교체하면 다시 무릎쏴 자세에 들어가야 한다는 불편함도 있다. 이를 준수한 회피 성능과 간편한 빌드업으로 최대한 메우는 것이 빌리 운영의 관건이다.
기본 지급 3인방 중 딜러 역할을 맡는다. 교활한 토끼굴 멤버만으로 시작하는 극초반에 제대로 된 화력 투사가 가능한 캐릭터는 사실상 빌리뿐이고, 그 긴 사거리 덕분에 숨 돌릴 틈을 언제든지 만들어준다. 그러면서도 숙련도가 받쳐준다면 고점도 나쁘지 않아 빌리에 애정이 있다면 계속해서 주력 딜러로 삼기에 충분하다. 다만 편의성 면에서는 S급에 확실히 밀리고, 물리 온필드 딜러에는 제인이라는 걸출한 경쟁자가 있는지라 육성 우선도가 높은 건 아니다.
6. 작중 행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빌리 키드/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빌리 키드/작중 행적#|]][[빌리 키드/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인간관계
- 엔비 데마라
영화와 현실을 마음대로 뒤섞는 엔비와 특촬물에 푹 빠져 주인공들을 롤모델로 삼는 빌리는 비슷하면서도 서로의 관심사에 공감하지 못하기에 서로 태클 걸 거리가 많은 개그 케미를 보여준다. 엔비가 "영화에선 이렇던데"라고 토를 달면 빌리가 "쟤 또 시작이다"라며 가상과 현실을 구분하라는 잔소리를 하고, 빌리가 "별빛 기사는 그러지 않는다!"며 찬양을 늘어놓으면 반대로 엔비가 "현실을 생각해라"고 찬물을 끼얹는 티키타카가 계속된다.
- 니콜 데마라
니콜이 아무리 위험하고 이상한 일거리를 가져와도 탓하기는커녕 어떻게든 진척이 나면 "역시 보스[6]"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는데, 아부하는 것이 아니라 진심으로 존경하고 따르고 있다.[7] 니콜이 외적으로는 수전노처럼 행동하지만 내적으로는 양심과 정의감을 품고 있기에 그녀의 선택은 특촬물 속 별빛 기사처럼 정의로운 영웅을 꿈꾸는 빌리와 항상 잘 들어맞는다.
- 카이사르 킹
빌리는 칼리돈의 자손의 전신인 칼리돈 소속[8]으로 카이사르의 아버지가 이끌던 조직이다보니 서로 어렸을 때 만난 적은 있지만 기억은 제대로 못하며 후에 술집에서 만나 의형제를 맺으려는 정도로 친해졌다. 빌리가 조직을 나온지 오래되긴 했어도 카이사르와는 여전히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빌리는 카이사르를 누님이라고 부르지만 사실 빌리의 나이가 더 많다.[9] 참고로 카이사르의 왼팔은 의수인데, 이 의수가 원래는 빌리의 예비 기계팔이였다고 한다.
- 라이터
본래 빌리는 칼리돈의 무패의 챔피언[10]였는데 라이터는 그 후임이다. 그 인연으로 빌리를 선배라 부르고 있으며 존경하지만, 빌리의 허세나 순진함을 재미있어하며 놀리기도 한다. 가끔 빌리 쪽에서 별빛 기사 굿즈 줄서주기나 배달 아르바이트같은 부탁을 할 때가 있는데, 라이터는 빌리의 부탁을 거절하지 않고 기꺼이 받아주는 편.
8. 일러스트
|
전신 일러스트 |
|
코팅 다이어리 | 이번 달 82번째 훈련 [[https://youtube.com/shorts/HKa_amKMkjc| |
「별빛 기사, 변…」 「아! 역시 안 되겠어… 변신 아이템은 소중하게 다뤄야 하니까 훈련 땐 꺼내지 않는 게 좋겠어」 「그럼 오늘도 늘 그랬듯이 빈손으로 변신!」 |
|
웹이벤트 「샌드위치 향기의 꿈」 |
8.1. 생일
'''[[젠레스 존 제로| Zenless Zone Zero ]]'''젠레스 존 제로 캐릭터별 생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0px; min-height: 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월 |
## 구분선 [[청의#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2월 |
## 구분선 [[엔비 데마라#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3월 |
## 구분선 [[카이사르 킹#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4월 |
## 구분선 [[세스 로웰#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5월 |
## 구분선 [[앤톤 이바노프#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6월 |
## 구분선 [[코린 위크스#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7월 |
## 구분선 [[아사바 하루마사#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8월 |
## 구분선 [[콜레다 벨로보그#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9월 |
## 구분선 [[주연(젠레스 존 제로)#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10월 |
## 구분선 [[본 리카온#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11월 |
## 구분선 [[니콜 데마라#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12월 |
## 구분선 [[벤 비거#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2024년
|
빌리, 생일 축하해! | 기적의 별빛 |
「세상의 법칙을 찾아 유성과 함께 왔도다!」 「빛을 가리는 손을 내려놓고 네 최후를 맞이하라!」 「별빛 기사, 변신!」 |
8.2. 프로모션
- 2022년 단오
|
「Bangboo」를 이렇게 감싸보세요! |
"빌리! 손에 있는 기름 밥에 묻히지 말라니까!" "「Bangboo」를 이렇게 감싸니까 엄청 재밌다냥~" "음… 햄버거 맛이 더 좋아!" |
- 2023년 화이트데이
|
바래지 않는 마음 | 로프꾼님 행복한 화이트데이 되세요! |
「이 사탕의 이름은 '큐피트의 키스'래」 「이제 뭘 해야 할지는 내가 말 안 해도 알지!」 |
- 2023년 동지
|
겨울맞이 | 온기와 행운이 함께하길[11] |
「흐읍——!(퉷)」 「데니잖아!? 엔비가 먹었다냥…」 「니콜 대장, 이거 좋은 징조지?」 「잘했어, 엔비~ 이 행운의 데니는 기념으로 내가 가져도 되지? 아, 침 닦는 거 잊지 말고」 |
- 2024년 3월 달력 월페이퍼
|
<nopad>
|
「끝! 헤헷, 아가씨들, 오늘도 수고했어~」 「빌리, 일반 상식에 따르면 네 무기는 네 말을 듣지 못해」 「엔비, 분위기 좀 깨지 말아 줄래?」 |
- 2024년 핼러윈
|
[해피 핼러윈] Trick or Treat! |
「로프꾼, 사탕 안 주면 장난칠 거예요.」 「적게 줘도 장난칠 거야!」 「사탕은 제일 큰 봉지로 다섯 봉지면 돼, 빌리는 줄 필요 없어! 어때, 고맙지? 천만의 말씀~」 「니콜 대장! 로봇 차별하는 거야?」 「웅나나웅나!」(번역: 주인님은 안 계시니 돌아가세요) |
- 2025년 설날
|
만사형통 | 웃음꽃 활짝 |
「자, 모두 주목! 새해를 맞이해서 내가 노래 한 곡 뽑아볼게! 근데 무슨 노래가 좋을까나…」 「이아스! 세뱃돈을 그냥 받으면 어떡해, 적어도 한 번 정도는 밀고 당겨야지!」 「이게 그 『풍요로운 새해』라는 모둠 샤오롱바오인 거야? 한 방에 물고기가 든 걸로 뽑아보겠다냥! 「니콜은 우리가 연휴에 편히 쉴 수 있도록 많이 배려해 줬어요. 새해 첫 출근 보너스도 우리가 부담을 느낄까 봐 챙겨주지 않은 거예요.」 |
9. 여담
- 클로즈 베타 때는 모델링 뒷모습 골반 위 꼬리뼈 부분에 A55라고 적혀있었는데, 리트로 읽으면 엉덩이(ASS)라는 말이 된다.[12] 그에 걸맞게 PV에선 아예 둔부를 강조하는 묘사가 많이 들어가 유저들이 경악을 금치 못했다.[13] 공식에서 교활한 토끼굴의 청일점인 점을 이용해 미디어와 스토리 모두에서 팔랑대는 성격으로 전반적으로 개그끼가 넘치는 토끼굴 중에서 독보적인 개그 캐릭터를 담당하고 있다.
- 상당히 많은 요소가 오마주되었는데 이름의 모티브는 서부 개척시대의 무법자이자 총잡이의 이미지를 심어준 빌리 더 키드로 추측되며, 경박한 모습과 유쾌한 대사들은 마블 히어로인 데드풀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14] 붉은 외투에 은발을 휘날리며 아킴보로 권총을 들고 쾌활하게 싸우는 모습은 데빌 메이 크라이 시리즈의 단테도 연상시킨다. 데스티니 시리즈의 케이드-6와 AKIRA의 카네다 쇼타로와도 유사점이 있다.
- 로봇이기 때문에 자신의 신체를 묘사할 때 인간과는 다른 용어를 사용한다. 시각을 담당하는 눈은 영상 센서라고 표현하며 피스톤으로 움직인다고 하는데, 구동부는 인공 근육이 아닌 공압이나 유압 피스톤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피부라 할 수 있는 외피도 단단해서, 엔비가 실성한 척 빌리의 손을 물자 그러다 이 빠진다 하고, 빌리의 손을 쳐낸 니콜이 도리어 아파하고는 앞으로 두꺼운 스웨터를 입으라고 짜증낸다.
- "아가씨들"이라 부르는 쌍권총에 인격이 존재하는지 전용 PV에선 나름 애환이 담겨져있는데 잦은 출격으로 피곤해하는 모습을 시작으로 별빛 기사의 콜라보가 담겨진 강중유를 보여주자 싸구려라는 반응까지 보여준다. 그러나 "너희가 말을 할 수 있으면 좋았을텐데"라는 빌리의 대사로 미루어보아 AI가 탑재되어 있어 권총끼리만 소통 가능하거나 극적 연출로 볼 수 있어 존재 자체는 불분명하다.
- 외환선에서의 행적이 무색하지 않게, 평상시의 유머러스한 모습과 달리 전투 감각이 남다른 것으로 보인다. 5장 스토리에서 대공동 6과가 대화하는 척하며 자신들을 은근슬쩍 포위하려는 것을 알아채고 진작에 전투 태세에 들어가있었다. 이는 전직 방위군 소속이었던 엔비도 마찬가지.
- 현실의 장전 방식을 전부 섞은 리볼버의 구조가 매우 인상적인데, 일반 공격 시 프레임 연결체를 분리하고 실린더 위로 탄피가 배출되는 탑 스트랩(top strap) 모습을 볼 수 있고, 평소 총열과 실린더가 아래로 꺾여 열리는 탑 브레이크(top-break)를 보여주지만 궁극기 연출에서는 실린더만 옆으로 기울어 나오는 스윙아웃 (swing-out)도 볼 수 있다.
- 프로필에서 볼 수 있듯 키가 188cm나 되지만, 1.1 버전에 세스 로웰이 출시되기 전까지는 빌리가 남성 플레이어블 최단신이었다. 그래도 충분히 큰 건 사실이라 여성 플레이어블 중에서는 빌리보다 큰 캐릭터가 존재하지 않는다.[15]
|
- 패미통에서 공개된 컨셉 아트에 따르면 원래는 인간으로 컨셉을 잡았으나 로봇으로 바뀌었다.
9.1. 과거 관련
엔비 데마라와 더불어 가벼워보이는 모습과 달리 여러모로 떡밥투성이인 캐릭터로, 젠레스 존 제로가 출시하기 이전 공개된 캐릭터 PV 때부터 복선이 쌓이고 있다.- 빌리의 재킷 뒤쪽을 보면 맷돼지의 얼굴이 그려져 있는데, 같은 진영의 엔비가 11호와 연관성이 있는 것처럼 빌리 또한 칼리돈의 자손 혹은 에이전트 파일에서 언급된 "뉴에리두 외환선에 있는 조직"과의 연관성이 있는 것이 아닌가 추측되고 있었고, 신뢰 이벤트에서는 빌리의 정체가 대외적으로 유명한 전설의 라이더임을 암시하고 있어서 이 설에 더욱 힘이 실렸다.
그러나 정작 본인은 이런 과거를 흑역사로 여기고 있는지 이 사실이 밝혀지기를 꺼리고 있다. 빌리도 처음에는 '전설의 라이더'가 본인을 칭하는 것을 모르고 그 인물에 대해 주인공 남매와 같이 조사하고 다녔으나, 조사를 하면 할수록 그 전설의 라이더의 정체가 본인이었음을 깨닫고는 조사를 중단한다. 이후 신뢰 이벤트에서 제로 공동에 있던 폭도들이 빌리의 정체를 눈치채고 이 녀석은 절대로 이길 수 있는 상대가 아니다라며 도망친다.[16] 주인공 남매는 이 광경을 보고 호기심을 느끼며 빌리의 과거에 대해 묻지만 누구나 숨기고 싶은 과거가 있는 법이라면서 입을 다문다.
- '불지옥 라이딩' 스토리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칼리돈의 자손, 또는 그 전대 조직인 칼리돈의 '무패의 챔피언'이었다고 한다. 세력 간의 다툼이 발생했을 때 오버로드가 조율하기 힘든 상황일 경우 결투로 해결을 하기 위해 나서는 결투대리인, 말 그대로 챔피언으로, 리더가 최강인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면 보통 해당 집단에서 가장 강한 인물이 맡는다고 하니, 솜씨가 장난이 아니게 뛰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때문에 현재 칼리돈의 자손의 무패의 챔피언인 라이터는 빌리를 선배라고 부른다. 조직을 나온 사유는 불명이나 일단 조직을 완전히 떠났음에도 카이사르나 라이터 등의 전 동료들과 관계는 좋은 상태.
- 사이드 퀘스트에서 밝혀지기를, 빌리는 고대 유적에서 발견되어 칼리돈으로 가져온 것이라고 한다. 잊혀진 기술로 만들어진 듯.
- 랜덤 신뢰 이벤트에서 6단지 트럭을 보고 트럭에서 살았다는 이야기를 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를 볼때 칼리돈 내지는 칼리돈의 자손들은 '트럭'에서 살았거나 사는 것으로 보인다. 그도 그럴 것이, PV나 파이퍼가 트럭을 몰고 다니기 때문에 기정 사실. 또한 PV에서 다들 바이크를 다니는 것으로 말미암아 상기한 전설의 라이더는 역시 칼리돈 시절의 빌리인 것이 확실시되었다. 하지만 빌리가 칼리돈 시절 트럭에서 사는 삶이 녹록지 않았는지 그다지 긍정적인 답을 주지 않는다. 그립지만 돌아가고 싶지는 않은 모양. 모종의 사건으로 인하여 탈퇴한 것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칼리돈 시절에는 사실상 불법 갱단이므로 정의의 영웅 별빛 기사를 꿈꾸는 빌리 입장에서 껄끄러울 수밖에 없지만, 칼리돈의 후손으로 재편된 현재는 나름 합법적인 물류사업으로 전환한 모양인데 여전히 돌아갈 생각이 없는 걸 보면 저것만이 이유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4장 스토리에서 살짝 언급되기로는 예전에는 현재의 개그캐인 성격을 죽이고 무패의 챔피언으로서 싸움을 도맡아하는 킬링 머신으로 살아왔던 듯 하다. 라이터가 빌리를 선배로 부르는 것은 전 무패의 챔피언이기도 하지만, 그의 실력을 존경하기 때문인데, 파에톤이 "그 빌리가?"라며 놀라자 "빌리 선배가 실력을 잘 숨기고 있네"라며 대답한다. 또한 라이터가 언급하기로 빌리는 현재의 삶, 즉 토끼굴의 삶에 만족하며 살고 있을 거라며 따뜻하면서도 씁쓸하게 대답한다.
이를 볼 때 빌리는 더이상 그 시절의 킬링 머신으로는 활동하고 싶지 않은 모양. 또한 4장에서 의도적으로 빅대디와 만나지 않게 스토리가 전개되어 빅대디와 빌리의 대면은 결국 성사되지 않았다. 참고로 빅대디도 빌리를 일절 언급하지 않는다. 하지만 빌리의 자켓 등쪽에 사슬로 얽힌 칼리돈(빅대디)의 마크가 박혀있는 것으로 볼 때 이 둘에게 접점이 없을 수 없으므로 추후 빌리와 빅대디의 스토리가 공개되어야 이 떡밥이 회수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과거 떡밥 때문에 빌리의 이격 캐릭터를 원하는 유저가 많으며, 마침 동료인 엔비가 1.6 버전에서 바리에이션 캐릭터가 출시됨과 동시에 과거 스토리가 풀렸기에 빌리의 바리에이션 출시 또한 가능성이 커졌다. 게다가 엔비의 에이전트 비화가 끝난 후 빌리에게 말을 걸으면 엔비의 실버 소대 군복에 감탄하면서 "나도 원래의 도색으로 바꿔볼까나?"라고 한다.
1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222,#000><colcolor=#fff> 스토리 | |
콘텐츠 | ||
시스템 | ||
아이템 | ||
미디어 믹스 | ||
기타 |
[1] 이전 소속은 칼리돈. 칼리돈의 자손은 칼리돈이 재편되어 재창단된 조직이다.[2] 베타에는 마이클 슈월비. 녹음사가 BLEND에서 사운드 캐던스 스튜디오로 교체되면서 성우도 바뀌었다.[3] 이 기술을 응용하면 회피와 연계해 모든 공격을 회피할 수 있다. 무릎쏴 상태에서 한쪽 방향으로 회피 2번 이후 타이밍에 맞게 방향키에서 손을 떼고 공격을 누르면 구르기 사격이 발동되는데, 이 시간 동안 회피의 쿨이 다시 차기 때문에 무한하게 회피를 할 수 있다. 다만 회피 반격을 제외하면 대미지가 전혀 안 들어가므로 탑 등반할 때 주로 사용된다.#[4] 연속해서 대시 공격을 쓰다보면 구르기 사격이 캔슬될수 있으므로 타격 사운드나 데미지 표기로 확인하는것이 좋다.[5] 다만 방향에 따라 삑사리 날 때도 많다.[6] 일본어판에서는 오야붕이라고 한다.[7] 파에톤의 갑작스러운 연락두절로 인해 위기를 맞자 니콜에게 파에톤을 경찰에 파는 것을 제안한다. 매정하긴 하지만 이 때는 공동에 너무 오랫동안 갇혀 자칫하다가는 팀 전체가 괴멸 될 뻔한 위기였고, (본의는 아니였지만)로프꾼 역할을 제대로 못하고 중간에 리타이어한 파에톤 남매의 책임도 있었다. 그리고 니콜이 어떤 제안을 하더라도 따르겠다고 위로해주는 모습을 보여준다. 빌리의 성격과 더불어 평소 게임도 같이 할 정도로 파에톤과 친하게 지내는터라 내키지 않아 할텐데 이런 제안을 한 것.[8] 코트 등의 멧돼지 무늬도 칼리돈 소속이란 것을 나타내는 것 같다.[9] 빌리의 행동이 워낙 천진난만해서인지 카이사르는 본인이 당연히 연상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10] 오버로드 부재 시 각 팀의 분쟁을 결투로 해결하는 대표역. 다만 칼리돈의 자손은 무력도 리더인 카이사르가 최강이었기에 라이터는 다른 일을 주로 한다고 한다.[11] 해당 일러스트는 2024년 동지 일러스트 따뜻한 겨울 배달에서 파에톤이 대공동 6과에게 보낸 사진으로 재사용된다.[12] 지금은 ZZZ 또는 222로 변경.[13] 저 PV의 둔부를 양손으로 찰싹 치는 부분이 소스로 이용될 정도.[14] 실제로 데드풀 스킨 모드를 적용하면 위화감(...)이 없다.[15] 여성 플레이어블 캐릭터 중 키가 가장 큰 건 176cm의 카이사르 킹이다.[16] 폭도들이 빌리의 정체를 말하려는 순간, 빌리가 말을 끊고 "나는 별빛 기사다!"라면서 정체를 감춘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젠레스 존 제로/등장인물|젠레스 존 제로/등장인물]]}}}{{{#!if external != "o"
[[젠레스 존 제로/등장인물]]}}}}}}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젠레스 존 제로/등장인물?uuid=5dfcd2d5-60ec-44cf-b52e-90d9d6a269e1|r38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젠레스 존 제로/등장인물?uuid=5dfcd2d5-60ec-44cf-b52e-90d9d6a269e1#s-2.3|2.3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젠레스 존 제로/등장인물?from=384|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젠레스 존 제로/등장인물|젠레스 존 제로/등장인물]]}}}{{{#!if external != "o"
[[젠레스 존 제로/등장인물]]}}}}}}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젠레스 존 제로/등장인물?uuid=5dfcd2d5-60ec-44cf-b52e-90d9d6a269e1|r38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젠레스 존 제로/등장인물?uuid=5dfcd2d5-60ec-44cf-b52e-90d9d6a269e1#s-2.3|2.3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젠레스 존 제로/등장인물?from=384|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