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23:08:56

페스티 에보셀리

파일:Gin2CsFWQAA23fw.jpg
<colbgcolor=#002952>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No. 36
페스티 에보셀리
Festy Ebosele
<colcolor=#fff> 본명 페스티 오세이 에보셀리
Festy Oseiwe Ebosele
출생 2002년 8월 2일 ([age(2002-08-02)]세)
아일랜드 웩스퍼드 주 에니스코시
국적
[[아일랜드|]][[틀:국기|]][[틀:국기|]]
|
[[나이지리아|]][[틀:국기|]][[틀:국기|]]
신체 180cm / 체중 64kg
포지션 라이트백[1][2] / 윙어[3]
소속 <colbgcolor=#002952><colcolor=#fff> 유스 브레이 원더러스 FC ( ~2018)
더비 카운티 FC (2018~2022)
프로 더비 카운티 FC (2020~2022)
우디네세 칼초 (2022~2025)
왓포드 FC (2024~2025 / 임대)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2025~ )
국가대표 7경기[4] (아일랜드 / 2023~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02952> 등번호 더비 카운티 FC - 29번[5], 36번[6]
우디네세 칼초 - 2번
청소년
국가대표
U16 2경기 (2018)
U17 7경기 1골 (2018~2019)
U19 7경기 (2019)
U21 5경기 (2021~2023)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

[clearfix]

1. 개요

아일랜드 국적의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소속 축구 선수이다.

2. 경력

2.1. 더비 카운티 FC

2.1.1. 더비 카운티 FC U18

2018-19 시즌 22경기에서 3도움을 기록하며 팀의 U18 프리미어 리그 통합 우승에 기여했다.

이어진 2019-20 시즌 UEFA 유스 리그에서 5경기 출장하여 1골 1도움을 기록했고, 리그에서는 13경기에서 4골 1도움을 기록했다. 이러한 활약에 힘입어 U23팀으로 승격했다.

2.1.2. 더비 카운티 FC U23

시즌 초반 3경기를 뛰었으나 첼시 FC U23 전에 부상을 당하며 3개월간 결장했다. 이후 FA컵 촐리 FC전에 교체 출전하며 1군 데뷔전을 치렀고, 이후에도 U23팀에서 9경기 출장하여 좋은 모습을 보이며 웨인 루니의 눈에 들었다.

4월 노리치 시티 FC전에 교체 투입되어 1군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팀은 1 - 0 패배. 이후 블랙번 로버스 FC,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전에도 교체 출전하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2.1.3. 더비 카운티 FC/2021-22 시즌

프리시즌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솔퍼드 시티 FC전에 후반전 교체 출전하며 기회를 받았고 노츠 카운티 FC전에는 선발로 출전하여 공수 양면에서 매우 좋은 모습을 보였다.[7] 네이선 번을 제외하면 라이트백 뎁스가 얇은 더비이기에, 1군에서 정식 기회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등번호를 29번에서 36번으로 변경하였고, 1군으로 승격되었다.

개막전 허더즈필드 타운 AFC전 후반전 68분 카밀 유주비아크와 교체되어 매우 준수한 활약을 보였다. 웨인 루니 감독은 경기 후 인터뷰에서 라이트백으로 키우기에는 너무나 좋은 개인기를 가지고 있음을 언급하며, 윙어로 키울 마음이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

카라바오컵 1라운드 솔퍼드 시티 FC전에 선발 출전하여 매우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부진한 카밀 유주비아크를 대신하여 2R 피터버러 유나이티드 FC전에 출장했으나 그리 인상적인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

피터버러 유나이티드전 부상을 당한 이후 현재 회복 중이다.

8R 스토크 시티 FC전 부상에서 복귀하여 벤치 명단에 포함되었다. 실제로 경기에 투입되지는 않았다.

경고누적으로 빠진 네이선 번을 대신하여 12R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전에 선발 출장했다. 드리블 돌파로 위협적인 장면을 많이 연출했고, 유효슈팅도 기록했으나 아쉽게 상대 키퍼 선방에 막혔다.

17R 밀월 FC전에 선발 출전하여 데뷔골을 기록했다. 팀은 아쉽게도 무승부를 거뒀다.

더비 카운티에서 보여준 활약을 바탕으로 우디네세 칼초와 사전 계약을 맺었다. 2022년 여름에 합류할 예정이다.

시즌 후반 훈련 태도에서 문제를 보이며 말콤 에비오이에게 주전 경쟁에서 밀렸다.

2.2. 우디네세 칼초

2022년 7월 2일, 우디네세로 이적했다. 5년 계약.

2.2.1. 왓포드 FC (임대)

2024년 8월 30일, EFL 챔피언십왓포드 FC로 한 시즌간 임대를 떠났다.

2025년 1월, 원소속팀인 우디네세로 복귀했다.

2.3.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2025년 1월 31일,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로 이적했다. 계약 기간은 3년 반이다.

3. 국가대표 경력

아일랜드 청소년 대표를 두루 거친 에보셀리는 2022년 5월 25일, 아르메니아, 우크라이나 그리고 스코틀랜드와 치르는 UEFA 네이션스 리그 3연전 명단에 포함되면서 첫 성인 대표팀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2023년 9월 7일, 프랑스와의 유로 2024 예선 경기에서 84분에 치에도지 오그베네를 대신해 투입되면서 성인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4. 같이 보기

파일: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로고.svg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2023-24 시즌 스쿼드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G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볼칸 바바잔 Volkan Babacan
2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셰네르 외즈바이라클르 Şener Özbayraklı
3 D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하산 알리 칼드름 Hasan Ali Kaldırım
5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레오 두아르치 Léo Duarte
7 FW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세르다르 귀를러 Serdar Gürler
8 M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다니옐 알렉시치 Danijel Aleksić
9 FW 파일:폴란드 국기.svg 크시슈토프 피옹테크 Krzysztof Piatek
11 FW 파일:프랑스 국기.svg 무니르 추이아 Mounir Chouiar
13 MF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미겔 크레스푸 Miguel Crespo
14 MF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아주부이케 오케추쿠 Azubuike Okechukwu
15 FW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바투한 첼리크 Batuhan Çelik
16 G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무하메드 셴게제르 Muhammed Şengezer
17 FW 파일:세네갈 국기.svg 필리프 케니 Philippe Kény
18 FW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트리크 시시 Patryk Szysz
19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베르카이 외즈잔 Berkay Özcan
21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마흐무트 텍데미르 Mahmut Tekdemir 주장
23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데니즈 튀뤼츠 Deniz Türüç
27 DF 파일:세네갈 국기.svg 우세누 바 Ousseynou Ba [A]
32 DF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프란시스 은자바 Francis Nzaba
34 FW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무하메트 아르슬란타쉬 Muhammet Arslantaş
36 DF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페스티 에보셀리 Festy Ebosele
41 D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에페 아르다 코윤주 Efe Arda Koyuncu
42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외메르 알리 샤히네르 Ömer Ali Şahiner
59 DF 파일:알제리 국기.svg 아흐메드 투바 Ahmed Touba
60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카스 리마 Lucas Lima
78 G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야으즈 에페 에라타만 Yağız Efe Erataman
80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주니오르 카이사라 Júnior Caiçara
97 MF 파일:기니 국기.svg 세쿠아 방구라 Sekoua Bangoura
98 G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데니즈 딜멘 Deniz Dilmen
구단 정보
회장: 괵셀 귀뮈쉬다 / 감독: 차다쉬 아탄 / 홈 구장: 바샥셰히르 파티흐 테림 스타디움
출처: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공식 홈페이지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9월 5일

[A] 올림피아코스 FC에서 임대

}}}}}}}}} ||

{{{#!wiki style="color: #1A2842;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 #555555"
포지션 등번호 이름 생년월일 출장 클럽
GK 1 퀴빈 켈러허
(Caoimhín Kelleher)
1998년 11월 28일 20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리버풀 FC
16 맥스 오리어리
(Max O'Leary)
1996년 10월 10일 0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브리스톨 시티 FC
23 마크 트레버스
(Mark Travers)
1999년 5월 18일 4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AFC 본머스
DF 2 맷 도허티
(Matt Doherty)
1992년 1월 16일 48 2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3 칼럼 오다우다
(Callum O'Dowda)
1995년 4월 23일 32 1 [[웨일스|
파일:웨일스 국기.svg
]] 카디프 시티 FC
4 다라 오셰이
(Dara O'Shea)
1999년 4월 4일 32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입스위치 타운 FC
5 리암 스케일스
(Liam Scales)
1998년 8월 8일 9 1 [[스코틀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셀틱 FC
12 제이크 오브라이언
(Jake O'Brien)
2001년 5월 15일 3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에버튼 FC
15 라이언 매닝
(Ryan Manning)
1996년 6월 14일 13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사우스햄튼 FC
20 마크 맥기니스
(Mark McGuinness)
2001년 1월 5일 1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루턴 타운 FC
22 네이선 콜린스
(Nathan Collins)
2001년 4월 30일 26 2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브렌트포드 FC
MF 6 조쉬 컬렌
(Josh Cullen)
1996년 4월 7일 40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번리 FC
8 제이슨 몰럼비
(Jayson Molumby)
1999년 8월 6일 29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13 앤드류 모런
(Andrew Moran)
2003년 10월 15일 2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스토크 시티 FC
14 핀 아자즈
(Finn Azaz)
2000년 9월 7일 5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미들즈브러 FC
17 코너 코번트리
(Conor Coventry)
2003년 3월 25일 0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찰턴 애슬레틱 FC
FW 7 사미 스모딕스
(Sammy Szmodics)
1995년 9월 24일 10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입스위치 타운 FC
9 에반 퍼거슨
(Evan Ferguson)
2004년 10월 19일 18 4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10 트로이 패럿
(Troy Parrot)
2002년 2월 4일 26 5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AZ 알크마르
11 마이키 존스턴
(Mikey Johnston)
1999년 4월 19일 13 2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18 케이시 맥아티어
(Kasey McAteer)
2001년 11월 22일 4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레스터 시티 FC
19 톰 캐넌
(Tom Cannon)
2002년 12월 28일 2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스토크 시티 FC
21 페스티 에보셀리
(Festy Ebosele)
2002년 8월 2일 7 0 [[잉글랜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일정 UEFA 네이션스 리그 2024년 11월 15일(금)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 핀란드
2024년 11월 18일(월) 원정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잉글랜드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1월 18일
}}}}}}}}} ||


[1] 주로 윙백으로 뛴다.[2] 우측면 전체를 소화하는 멀티 플레이어다.[3] 라이트백이었으나 웨인 루니의 주도로 포지션을 변경하였다. 풀백으로 뛰기에는 공격력이 너무 좋고, 수비력은 조금 부족한 선수였기에 팬들은 크게 놀라지 않았다. 실제로 카밀 유주비아크, 루이 시블리가 부진한 틈을 타 주전 자리를 차지하며 포지션 변경의 적절한 사례가 되었다.[4] 2024년 11월 18일 기준[5] 2020-21 시즌[6] 2021-22 시즌[7] 주목할 만한 장면은, 후반 막판에 드리블 돌파로 PK를 얻어낸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