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3 12:16:18

푼타포랑-페드로후안카바예로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wiki
'''[[파라과이|{{{#fff 파라과이}}}]][br][[파라과이/행정구역|{{{#fff {{{+1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수도 지구(Distrito Capital)
동부(파라네냐)(Departamento)
콘셉시온
[[콘셉시온(파라과이)|
파일:콘셉시온시장.png
콘셉시온
]]
파일:산페드로주기.svg
산페드로
[[산페드로데이쿠아만디유|
파일:산페드로데이쿠아만디유시장.png
산페드로데이쿠아만디유
]]
파일:코르디예라주기.svg
코르디예라
[[카쿠페|
파일:카쿠페시장.png
카쿠페
]]
파일:과이라주기.svg
과이라
[[비야리카|]]
파일:카과수주기.svg
카과수
[[코로넬오비에도|
파일:코로넬오비에도시장.png
코로넬오비에도
]]
파일:카사파주기.svg
카사파
[[카사파|
파일:카사파시장.png
카사파
]]
파일:이타푸아주기.png
이타푸아
[[엥카르나시온|]]
파일:미시오네스주기.svg
미시오네스
[[산후안바우티스타(파라과이)|
파일:산후안바우티스타시장.png
산후안바우티스타
]]
파일:파라과리주기.svg
파라과리
[[파라과리|
파일:파라과리시장.png
파라과리
]]
알토파라나
[[시우다드델에스테|
파일:시우다드델에스테시장.png
시우다드델에스테
]]
파일:센트랄주기.svg
센트랄
[[아레과|
파일:아레과시장.png
아레과
]]
파일:아맘바이주기.svg
아맘바이
[[페드로후안카바예로|
파일:페드로후안카바예로시장.png
페드로후안카바예로
]]
카닌데유
[[살토델과이라|
파일:살토델과이라시장.png
살토델과이라
]]
파일:알토파라과이주기.png
알토파라과이
[[푸에르테올림포|
파일:푸에르테올림포시장.png
푸에르테올림포
]]
파일:보케론주기.png
보케론
[[필라델피아(파라과이)|
파일:필라델피아시장.png
필라델피아
]]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의 도시
파일:아맘바이주기.svg 아맘바이주의 주도 · 최대도시
페드로후안카바예로
Pedro Juan Caballero
{{{#!wiki style="margin: -16px -10px" 파일:페드로후안카바예로시기.jpg 파일:페드로후안카바예로시장.png
<rowcolor=#fff> 시기(市旗) 시장(市章) }}}
<nopad>
위치
<colbgcolor=#d52b12><colcolor=#fff> 국가 <colbgcolor=#fff,#191919>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파라과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파라과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파라과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아맘바이
면적 456㎢
하위 행정구역 60개 구
별명 Terraza del país
인구 127,437명 (2022)
인구 밀도 565명/km²
시간대 UTC-03:00 (PYT)[1]
한국과 시차 -12시간
기후 온난 습윤 기후(Cfa)
GDP $25만 (2023)
시청 소재지 C7X9+5P5, Cerro León &, Alejo García, Pedro Juan Caballero
시장

[[정통급진자유당|
정통급진자유당
]]
<colbgcolor=#fff,#191919> 로날도 아세베도
우편번호 130101–130149
지역번호 336
언어 스페인어, 과라니어, 포르투갈어[2]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연방 공화국의 도시
Ponta Porã

Punta Porá[스페인어]
폰타포랑
지역 마투그로수두수우
면적 5,328.621km²
인구 98,598명
인구밀도 15.716명/km²
시간대 UTC-4/UTC-3(서머타임)
<colbgcolor=#fff,#1f2023> 파일:pjcimage.jpg
파일:pjcfrontera.jpg
파일:pedrojuancaballera.jpg
페드로후안카바예로 시내의 모습

1. 개요2. 상세3. 역사4. 지리
4.1. 인구4.2. 기후4.3. 행정구역
5. 교통6. 경제7. 관광
7.1. 관광 명소
8. 생활·문화
8.1. 주거 환경8.2. 교육8.3. 의료기관8.4. 치안
8.4.1. 카르텔
8.5. 언어8.6. 스포츠
8.6.1. 축구
9. 정치10. 여담11. 각종 매체에서의 등장12. 출신 인물13. 자매 결연 지역14. 관련 문서

1. 개요

페드로후안카바예로는 파라과이 아맘바이주의 주도이며, 폰타포랑은 브라질 마투그로수두수우주의 도시이다. 국경을 넘어 연담화된 도시권이며, 서로 사실상 쌍둥이 도시처럼 연결되어 있다. 페드로후안카바예로는 파라과이에서는 아순시온, 시우다드델에스테, 엥카르나시온 및 이들의 도시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4번째로 큰 도시이다. 도시 이름은 파라과이의 독립 영웅인 페드로 후안 카바예로(Pedro Juan Caballero)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보통 줄여서 말할 때는 페드로후안, 쓸때는 PJC라고도 한다.

2. 상세

국경 도시 특성상 서로간의 교류가 활발하고 지역 경제도 두 나라 간의 무역과 상거래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두 도시 사이에는 시우다드델에스테-포즈두이과수 마냥 이 있는 것도 아니고 정말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실질적인 국경 통제가 유명무실하여 사람과 물자가 자유롭게 오간다. 실제로 두 도시 사이 국경에 있는 상점들에서는 파라과이 과라니브라질 헤알이 둘다 쓰인다.

상권이 크지는 않지만, 마투그로수두수우주에서 브라질인들이 싼 가격에 면세 전자제품, 의류, 술 등을 사기 위해 페드로후안카바예로로 넘어오는 일이 흔하다. 특히 카메라나 캠핑 장비는 파라과이가 훨씬 싸기 때문에 이 둘을 주로 사러 많이 온다. 그 외에도 폰타포랑에 사는 사람들은 환율이 바뀔 때마다 파라과이로 넘어가서 의식주를 해결한다.

도시 자체는 비슷한 조건의 시우다드델에스테-포즈두이과수에 비해 비교적 평온하지만, 마약 밀매, 조직 범죄, 무기 밀수 등으로 여전히 골머리를 썩고 있다. 파라과이-브라질 국경 일대는 남미 주요 마약 경로 중 하나로, 파라과이 북동부의 넓은 삼림 지대는 헬기·차량 밀반입에 최적화된 환경이라 밀매 조직들이 마약을 유통하는 데 이 지역을 애용한다. 실제로 현지 경찰이나 군대가 대규모 단속을 벌이기도 하지만, 카르텔 세력과 얽힌 정치인들의 부패 문제로 인해 실효성은 떨어지는 편. 특히 콜롬비아, 페루, 볼리비아에서 재배된 코카인들은 유럽으로 운송될 때 거의 무조건 볼리비아 -> 파라과이 그란 차코 -> 페드로후안카바예로/폰타포랑 -> 브라질 -> 서아프리카[4]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유럽 경로를 거치게 된다.

한인 이민자는 70명 정도로 다른 도시들에 비해선 적으며, 주로 상업에 종사하고 있다. 다른 지역에 비하면 아시아계 존재감이 미미한 지역이다. 일본계 브라질인이 오히려 더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도시 내에 스시 레스토랑이 몇몇 존재한다.

실질적으로 국경이 없기 때문에 자유롭게 오갈 수 있지만, 만약 페드로후안카바예로 -> 브라질 -> 제3국으로 출국할 예정이라면 혹시라도 추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파라과이 출국심사소와 브라질 입국심사소를 통해 제대로 된 국경심사를 거치고 가는 게 좋다. 국경 통과 가이드

파라과이가 시간대를 섬머타임으로 영구 고정한 뒤부터 여러 혼란이 생기고 있다. 섬머타임이 아닐 때 폰타포랑보다 페드로후안카바예로가 1시간 더 앞서는데,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파라과이 쪽에서 오전 8시에 수업이나 직장 시작이면 브라질 쪽은 그때 아직 오전 7시이기에 브라질 거주자 중 파라과이 쪽으로 출퇴근 또는 통학하는 사람들은 1시간 더 일찍 움직여야 한다. 더해서 이에 맞춰 세관들도 운영시간을 맞추기 위해 브라질 쪽 관세청은 종전 시간 유지를 하고 반면 파라과이 쪽은 작업 시작이 한 시간 앞당겨졌다. #

3. 역사

원래 이 지역은 모두 파라과이의 영토였으나 삼국 동맹 전쟁 이후 분할되어 브라질이 일부를 가져갔다. 그러나 놀랍게도 이 두 도시는 삼국 동맹 전쟁 이후에 지어진 도시인데, 즉 도시권 자체가 이렇게 섞인 것이 러레이도누에보라레도, 샌디에이고티후아나처럼 한 도시였던 것이 전쟁 이후 분할된 것이 아니라 애초에 이런 모습으로 처음부터 형성이 된 것이다. 이 점에서 도시의 형성 자체가 상당히 흥미롭다고 할 수 있다. 원래는 두 도시의 이름이 푼타포라(스페인어)/폰타포랑(포르투갈어)로 같았으나, 이후 파라과이 쪽 도시는 페드로후안카바예로로 개명되었다.

4. 지리

4.1. 인구

4.2. 기후

온난 습윤 기후(Cfa)이나 고도가 600m로 높기 때문에, 여름철(11월~3월)이라도 다른 파라과이 도시(특히 아순시온, 시우다드델에스테)에 비해 훨씬 덜 덥다. 대체로 25~30도 선을 유지하며 극단적인 폭염은 드물다.

겨울철(6월~8월)에는 반대로 쌀쌀한 편이다. 가끔씩 5도 이하로 내려가는 다른 지역과 달리 최저기온이 꽤 자주 0도 가까이 떨어지는데 아침저녁으로는 두꺼운 점퍼나 패딩이 필요하다. 더해서 난방시설이 부족한 주택이 많아 오히려 체감으로는 더 춥게 느껴진다.

4.3. 행정구역

5. 교통

페드로후안카바예로의 경우 철도는 당연히 없으며, 심지어 버스도 존재하지 않아 대중교통은 오직 택시만 이용 가능하다. 택시 요금은 저렴한 편이지만, 기사들이 포르투갈어만 하는 경우도 있어서 스페인어만 할 줄 알면 가끔 애먹을 수 있다. 다만 폰타포랑에는 버스가 다닌다.

페드로후안카바예로와 폰타포랑은 생활권이 이어져 있어서, 걸어서 넘어가는 것도 가능하다. 심지어 국경 검문소조차 무시하고 그냥 넘어다니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양국간에는 국경을 통과하는 무료 교통편이 있다.

교통체증은 그렇게 많진 않은 편이다.

아순시온과의 거리는 약 450km로, 버스를 타면 8시간 정도 걸린다. 오후 1시, 오후 11시 30분, 오후 11시 45분, 이렇게 세 시간대에 아순시온에서 오는 버스 표가 있고 한화 약 2만원 정도가 든다. 사실 버스로 이렇게 오래걸릴 것은 아니지만 파라과이 도로 상태가 개판이기 때문에 다른 국가에서 동일한 거리를 가는 것보다 오래 걸린다. 아순시온보다 조금 더 짧은 거리인 캄푸그란지는 버스로 4시간도 채 걸리지 않는다.

캄푸그란지까지는 4시간이 좀 안되게 걸리며, 보통은 폰타포랑에서 버스를 잡는 게 시간 선택지가 많기에 낫지만 아침 8시에 페드로후안카바예로 버스 터미널에서 바로 출발하는 버스편을 타도 된다.

이 외에도 콘셉시온, 시우다드델에스테까지도 버스편이 있다.

페드로후안카바예로에 공항이 있으나 더 이상 항공편이 없어 영업 중단 상태이며, 폰타포랑에 아직 운행하는 공항이 존재한다. 다만 폰타포랑에서도 항공 노선은 캄피나스로 밖에는 없으며, 아순시온으로 가는 법은 버스밖에 없다.

그 외에는 브라질의 유명 관광지 보니토와도 가까운 거리에 있는데, 폰타포랑에서 버스를 타고 가야한다.

6. 경제

밀수 경제가 발달해있다.

7. 관광

7.1. 관광 명소

8. 생활·문화

8.1. 주거 환경

8.2. 교육

8.3. 의료기관

8.4. 치안

오토바이 강도(motochorros)가 약간 있긴 하지만 실질적으로 대낮에 관광객이 범죄에 휘말릴 가능성은 거의 없다. 잡범은 상당히 적으며, 살인률이 높은 이유는 마약 카르텔끼리 다툼이 심하기 때문이다. 사실 라틴아메리카에서 마약 밀매가 심한 도시들은 도시 자체 치안은 별로 위험하지 않은데, 이는 절도, 소매치기 등 경범죄를 할 사람들이 수익성이 낮은 잡범죄 대신 모두 마약 카르텔의 하급 조직원으로 활동하기 때문이다. 또한 마약 카르텔들도 사회 분위기의 혼란과 민심 하락을 걱정하기 때문에 잡범을 어느정도 통제한다.

물론 대형 교도소 탈옥 사건, 총격전, 무기 강탈, 경찰 매수, 청부 살인 등의 일이 일어나며, 어디나 그렇듯 저녁 이후 외출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특히 외지인이나 관광객은 타깃이 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또한 가끔씩 마약 카르텔끼리 길거리에서 총싸움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보통 이 경우에는 경찰서마저 문을 닫고 활동을 멈추며, 주변 길거리는 민간인 피해를 막기 위해 가져온 트럭으로 통제되기도, 통제가 안되기도 한다. 이런 경우 재빨리 수상하지 않게 도망치는 것이 좋으며, 주의해야한다.

8.4.1. 카르텔


페드로후안카바예로/폰타포랑과 연계된 마약 범죄에 대한 영상.

사실상 여기가 유명한 원인이자 파라과이 전국에서 위험한 도시라 하면 여기부터 생각하는 원흉이다.

이 지역의 제일 큰 문제는 바로 페드로후안카바예로가 국제적인 마약 조직인 PCC의 영향력이 강하게 퍼져 있는 마약 밀매의 중심지라는 것이다. 이는 브라질쪽 도시 폰타포랑과 없이 바로 국경을 접하여 사실상 한 도시라는 것에 있다. 지도에서는 국경선이 있어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냥 길 하나만 건너면 다른 국가이다. 시우다드델에스테 방면 국경과 비교해보면 황당한 수준. 마약 밀매가 너무나도 자유롭다. 브라질 쪽 경찰과 파라과이 쪽 경찰이 도로 하나 사이에 서로 지켜만 보고 범죄자들이 어느 쪽으로 도망치느냐에 따라 관할권이 달라져서 공백이 생기기도 한다.

실제로 2020년, PCC 조직원 75명이 땅굴로 탈옥한 사건이 발생했는데, 심지어 그 땅굴은 밖에서 안으로 파였고, 교도관들은 그 사실을 알고도 “몰랐다”고 한다. 교도소 안에서 핸드폰, 술, 마약, 무기, 심지어 냉장고까지 발견되었고 군납용 베개에 권총까지 숨겨 들어오는데 정말 과연 몰랐을까? 실질적으로는 부패한 지역 정치인들과 교도관들이 뇌물을 받고 이들의 탈출을 묵인해준 것이라고 봐야한다.

2022년 당시 시장이던 José Carlos Acevedo는 마약 카르텔에 반대하는 발언을 한지 몇일도 지나지 않아 대낮에 무장 괴한에게 수십 발 총격을 받고 사망하였다. 시청 바로 앞에서 발생했는데도 범인은 아직 공식적으로 검거되지 않았다. 더해서 2023년에는 라디오 저널리스트 알렉산더 알바레스가 마약 카르텔에 의해 살해되는 등, 거의 멕시코 수준으로 마약 카르텔에 의한 민간인 탄압이 극심한 도시이다. 이들 말고도 여기서 마약 카르텔의 심기를 거슬러 살해된 저널리스트는 수없이 많다. 파라과이 다른 지역에서는 아무리 심기에 거슬려도 압박을 통해 해임하는 수준에서 그치지만[5] 여긴 진짜 죽인다.

사실 조직범죄 문제는 최근의 문제가 아니며, 오히려 조직화된 마약 카르텔이 도시를 차지한 뒤 나아진 축에 속한다. 70~90년대에는 이민자 갱을 포함한 수많은 갱들끼리 출신 국가별 업종을 나눠 서로 집단의 사업 영역을 침범하는 사람을 암살하고, 그리고 나서 그 피해자가 가해자 갱단에 살인 청부를 하는 등 군웅할거의 시대가 따로 없었다.

8.5. 언어

포르투갈어의 영향력이 크다. 페드로후안카바예로는 스페인어가 공식 언어이지만 많은 주민들이 브라질인이며 이들은 포르투갈어를 사용하고 스페인어는 잘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거기에 스페인어 억양도 브라질식이 살짝 섞여 있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포르투뇰 구사자 비중이 높다. 페드로후안카바예로 쪽만 해도 이런데 폰타포랑은 당연히 포르투갈어를 사용하는 지역이며, 도시권 전체에서 스페인어의 영향력은 제한적인 편이다.

8.6. 스포츠

8.6.1. 축구

9. 정치

10. 여담

11. 각종 매체에서의 등장

12.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페드로후안카바예로 출신 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페드로후안카바예로 출신 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페드로후안카바예로 출신 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자매 결연 지역

14. 관련 문서



[1] 2024년부터 서머타임 미실시.[2] 정식 언어는 아니나 브라질과 국경도시이기 때문에 매우 많이 쓰인다.[스페인어] [4] 주로 세네갈, 가나, 시에라리온, 나이지리아[5] 미겔 프리에토도 정부를 마약 카르텔과의 연관으로 비판하고 반부패를 주장하는 등 고위층의 심기를 제대로 거스르고 있지만 시장직 해임에서 끝났을 뿐 멕시코나 브라질마냥 살해 협박 등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