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상수 Mathematical Constant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math(0)] (덧셈의 항등원) | [math(1)] (곱셈의 항등원) | [math(sqrt{2})] (최초로 증명된 무리수)[math(^\ast)] | [math(495)], [math(6174)] (카프리카 상수) | [math(0)], [math(1)], [math(3435)], [math(438579088)] (뮌하우젠 수) |
[math(pi)] (원주율)[math(^{\ast\ast})] | [math(tau)] (새 원주율)[math(^{\ast\ast})] | [math(e)] (자연로그의 밑)[math(^{\ast\ast})] | [math(varphi)] (황금비)[math(^\ast)] | [math(i)] (허수단위) | |
[math(G)] (카탈랑 상수)[math(^{\ast?})] | [math(zeta(3))] (아페리 상수)[math(^{\ast\ast?})] | [math({rm Si}(pi))] (윌브레이엄-기브스 상수)[math(^{\ast?})] | [math(gamma)]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math(^{\ast?})] | [math(gamma_n)] (스틸체스 상수)[math(^{\ast?})] | |
[math(Omega)] (오메가 상수)[math(^{\ast\ast})] | [math(2^{sqrt{2}})] (겔폰트-슈나이더 상수)[math(^{\ast\ast})] | [math(C_n,)] (챔퍼나운 상수)[math(^{\ast\ast})] | [math(A,)] (글레이셔-킨켈린 상수)[math(^{\ast?})] | [math(A_k,)] (벤더스키-아담칙 상수)[math(^{\ast?})] | |
[math(-e, {rm Ei}(-1))] (곰페르츠 상수)[math(^{\ast?})] | [math(mu)] (라마누잔-졸트너 상수)[math(^{\ast?})] | [math(B_{2})], [math(B_{4})] (브룬 상수)[math(^{\ast?})] | [math(rho)] (플라스틱 상수)[math(^\ast)] | [math(delta)], [math(alpha)] (파이겐바움 상수)[math(^{\ast?})] | |
[math(G)] (란다우 상수)[math(^{\ast?})] | [math(C_A)] (아르틴 상수)[math(^{\ast?})] | ||||
[math(^{\ast?})] 유리수인지 무리수인지 밝혀지지 않음 |
1. 개요
1. 개요
Plastic number, Plastic constant플라스틱 상수(Plastic constant)라고도 하는 플라스틱 수는 삼차방정식 [math(x^3 = x + 1)]의 실근으로, 그리스 문자 [math(rho)]로 표기한다. 이 수의 실제 값은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rho = \sqrt[3]{\frac{9+\sqrt{69}}{18}} + \sqrt[3]{\frac{9-\sqrt{69}}{18}})] |
플라스틱 수는 파도반 수열(Padovan sequence) 및 페랭 수(Perrin number)의 인접항 비의 극한이고 피솟 비자야라가브한 수(Pisot number, Pisot–Vijayaraghavan number)이며, 피솟 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이기도 하다.
이 값은 놀랍게도 아래처럼 쌍곡선 함수, 역쌍곡선 함수로도 표현이 가능하다.
[math(\displaystyle \rho = \frac{2}{\sqrt{3}} \cosh \! \left(\frac{1}{3}\,{\rm arcosh}\!\left(\frac{3\sqrt{3}}{2}\right)\!\right))] |
또한, 플라스틱 수는 다음의 대수적 방정식의 실근이기도 하다.
- [math(x^{5}=x^{4}+1)]
- [math(x^{5}=x^{2}+x+1)]
- [math(x^{6}=x^{2}+2x+1)]
- [math(x^{6}=x^{4}+x+1)]
- [math(x^{7}=2x^{5}-1)]
- [math(x^{7}=2x^{4}+1)]
- [math(x^{8}=x^{4}+x^{3}+x^{2}+x+1)]
- [math(x^{9}=x^{6}+x^{4}+x^{2}+x+1)]
- [math(x^{12}=2x^{10}-x^{4}-1)]
- [math(x^{14}=4x^{9}+1)]
이는 [math(x^{3}-x-1=0)]의 양변에 [math(x^k)]을 곱하여 정리한 방정식들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