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21:54:52

하야부사급 미사일 고속정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차 세계대전의 일본 어뢰정에 대한 내용은 하야부사급 어뢰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일본 국기.svg 현대의 일본 해상자위대 함선 파일:해상자위대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b76e79,#914852> 일본 자위대 (1954~현재)
日本 自衛隊
잠수함
(SS)
<colbgcolor=#fff,#191919>쿠로시오R, 오야시오R, 하야시오급R, 나츠시오급R, 오오시오R,
아사시오급R, 우즈시오급R, 유우시오급R, 하루시오급R, 오야시오급, 소류급, 타이게이급
경비정
(PC)
유리급R, PT9R
구잠정
(PC)
카리급R, 카모메급R, 하야부사급R, 우미타카급R, 미즈토리급R
미사일 고속정
(PG)
1호형 미사일정R, 하야부사급
초계프리깃
(PF)
쿠스급R
다목적 프리깃
(FFM)
모가미급, {신형 FFM}
호위구축함
(DE)
아사히급R, 아케보노R, 이카즈치급R, 와카바IJN/R, 이스즈급R, 치쿠고급R, 이시카리R, 유우바리급R, 아부쿠마급
구축함 구축함
(DD)
아사카제급R, 하루카제급R, 아야나미급R, 무라사메급R, 아리아케급R, 아키즈키급R, 야마구모급R, 타카츠키급R, 미네구모급R, 2,500톤급, 하츠유키급R, 아사기리급, 무라사메급, 타카나미급, 아키즈키급, 아사히급, {13DDX}
방공구축함
(DDG)
아마츠카제R, 타치카제급R, 하타카제급R, 공고급, 아타고급, 마야급,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헬기구축함
(DDH)
하루나급R, 시라네급R, 휴우가급
다용도 운용모함
(DDH)
이즈모급
상륙정 1001호형R, 2001호형R, 3001호형R, 수송정 1호형, LCAC 1호형
상륙함 오오스미급(초대)R, 아츠미급R, 유라급R, 미우라급R, 오오스미급(2대), 니혼바레급G 요코급G
기뢰전함 소해모함 나사미R, 미호R, 하야토모R, 하야세R, 우라가급
소해함 하츠시마급 R, 우와지마급R, 스가시마급, 히라시마급, 에노시마급, 야에야마급, 아와지급
소해정 야시마급R, 우지시마급R, 아타다급R, 야시로R, 카사도급R, 타카미급R, 소해정 1호형R
소해관제정 후쿠에R, 니이지마급R, 이에시마급
구조함 치하야(초대)R, 후시미R, 치하야(2대), 치요다R, 치요다(2대)
군수지원함 보급함 사가미R, 토와다급, 마슈급
급유함 하마나R
연료수송함 YOT-1급
잠수함모함 수중처분모선 1호형
다용도 지원함 81호형R, 히우치급, {다목적 초계함정}
정보수집함 해양측정함 아카시R, 후타미R, 스마R, 와카사, 니치난, 쇼난
음향측정함 히비키급
쇄빙함 시라세(초대)R, 시라세(2대), 후지R
시험함 구리하마R, 아스카, {타이게이}
특무정 유우치도리R, 하야부사R, 히요도리R, 하시다테
훈련함 연습함
(TV)
카토리R, 야마구모급T/R, 미네구모급T/R, 야마기리급T, 카시마, 시마유키급T/R, 하타카제급T
훈련지원함
(ATS)
쿠로베, 텐류
연습잠수함
(TSS)
유우시오급T/R, 아사시오T/R, 하야시오급T/R, 오야시오급T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취소선: 계획만 되었거나, 취소된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IJN: 일본 제국해군(Imperial Japan Navy) 소속이었던 것을 개장한 함선들
※ 윗첨자G: 육상자위대 소속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국기.svg 자위대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PG_Hayabusha_1.jpg
はやぶさ[ruby(型, ruby=がた)]ミサイル[ruby(艇, ruby=てい)]

1. 개요2. 제원3. 특징4. 현황 및 평가5. 동형함 목록6.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일본 해상자위대고속정.

1999년, 일본에 충격을 준 노토 반도 괴선박 사건 당시 공고급 구축함 묘코를 포함한 함대가 추적 함에도 괴선박의 도주를 허용했고, 2001년 12월 22일 큐슈 해안에서 발생한 북한 공작선 출현 사건 당시에는 해상자위대의 대형 호위함들은 복잡한 발포 절차[1]와 강제 진압수단의 부재로 인해 해상보안청 순시선의 20㎜ 기관포 사격으로 저지를 시도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미 과거에 고속선박이나 잠수함에 의해 자국민들이 납치당한 경험이 있던 일본정부는 고속 소형 선박을 통한 게릴라 침투 시도를 저지하기 위한 고속정 개발에 나서게 된다. 고속정의 경우 이전에도 1991년에 착공한 1호형 미사일정이 있었지만, 46노트의 빠른 속도에 비해 50톤의 소형 함정이라 악천후에 약하고, 대함공격에만 특화된데다 무엇보다 내구성과 장거리 항속능력이 안 좋은 평가를 받아 3척만 건조하고 종료되었다. 때문에 방위성은 이번에는 괴선박을 추격할 수 있는 장거리 순항능력과, 괴선박보다 빠른 속력으로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무장과 방어력을 갖춘 함선을 12척 건조하기로 결정한다. 단가는 94억엔. 약 1천억이었다.

아직 하야부사형의 구체적인 퇴역시기는 불투명하다. 모가미급 호위함의 도입으로 지방대 함정들을 대체 예정이나, 지방대의 주력이지만 노후되어 더이상 못 써먹을 아사기리형이나 아부쿠마형의 대체가 더 급하기에 그나마 새 배인 하야부사형의 퇴역은 늦어질 수 있다. 또한 모가미급과 별개로 초계 활동, 소해 활동, 다용도 지원 임무가 가능한 초계함정이 도입예정이다.

2. 제원

하야부사급 미사일 고속정
はやぶさ[ruby(型, ruby=がた)]ミサイル[ruby(艇, ruby=てい)]
제조사 미쓰비시 중공업
이전급 1호형 미사일정
경하배수량 200톤
만재배수량 240톤
전장 50m
전폭 8.4m
최고속력 46노트 (85㎞/h)
승조원 21명
동력 기관 제너럴 일렉트릭 LM500 가스터빈 3기
추진 워터제트 3기
레이더 대함 OPS-18
항법 OPS-20
사격통제장치 FCS-2-31
광학센서 OAX-2
대응 장비 디코이 BAE Mk.36 SRBOC[2] 디코이 발사기 2기
ESM/ECM NOLR-9B
무장 함포 오토멜라라 76mm 함포 1문
대함 SSM-1B 발사대 4문
기타 M2 브라우닝 2정

3. 특징

설계는 미쓰비시가 담당하게 되었다. 1999년 등장했던 괴선박의 속도를 무조건 상회해야 했기에 계획 당시 40노트였던 최대 속도는 44노트까지 올라갔다. 이에 처음에는 가스터빈 엔진 2기를 장착하려던 계획을 변경하고 LM500-G07 가스터빈 엔진3기를 탑재하여 16,200마력을 내게 되었고, 각각의 엔진을 독립적으로 워터제트에 연결하는 구조를 도입해 속도를 높였다.

함선의 선형은 쌍동선과 활주선형을 비교한 끝에 고속 항행에 유리한 활주선형으로 만들기로 결정하고, 함체의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합금을 선체와 상부구조물에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44노트의 속도를 갖추게 되었으며, 평시 추격임무시 게릴라의 RPG-7의 공격을 막을 수 있는 방탄 설계와 함께 대함임무 등 전시작전시의 생존성 향상을 위해 스텔스성을 갖추도록 설계되었다.

무장은 오토멜라라사의 함포를 도입해 일본이 자체적인 개량을 거쳐 분당 발사속도가 80발에서 100발로 향상되고 스텔스 실드를 갖춘 76㎜ 컴팩트 포 1기와, SSM-1B대함미사일 2연장 2기를 장착하고 있고 그 외 12.7㎜ 기관총 2기를 장착하였다. 센서는 대수상 감시용의 OPS-18-3레이더와 괴선박 탐지용인 OAX-2 적외선 감시 장치, 사격 통제 레이더인 FPS-2-31 레이더가 장착되었고, 네트워크 교전을 위한 MOF와 위성 통신 장치가 있다. 또한 선박의 임검을 의한 보병무장과 작업정을 탑재하고 있다.

4. 현황 및 평가

초도함인 하야부사는 설계를 시작한지 3년만인 2002년에 취역하게 되는데, 이후 5척이 2004년까지 건조되어 마이즈루 지방대와 사세보 지방대에 3척씩 총 6척이 배치된 상황에서 추가건조가 중단되었다.

하야부사급은 빠른 속력과 균형 잡힌 성능으로 초기 등장시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먼저 괴선박을 적당히 제압할 수 있을만한 30~40㎜ 구경의 화기를 탑재하지 않았다는 것이 문제가 되었다.[3] 76㎜ 함포는 우수했지만 한 발만 명중해도 치명적이라 괴선박에 대한 사용이 제한될 수 밖에 없다. 하야부사급은 원래부터 수상한 선박을 임검하며 정선명령에 불응하고 도주하는 선박을 추격하기 위한 용도로 만들어졌지 정규 해전용으로 도입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76㎜ 함포와 90식 대함미사일은 경고사격을 통해 괴선박에 적당한 손상만을 입혀 세운 후 나포하기에는 지나치게 위력이 강했다. 그나마 12.7㎜ 기관총은 RPG 사거리 밖에서 괴선박을 격침시키지 않을 정도의 위력을 갖추고 있지만 문제는 RPG 사거리 밖에서 발포시 저지 능력이 매우 부족했다.괴선박 즉,불심선에 대해서는 웬만해서는 격침보다는 나포에 더 비중을 두는 세계 각국의 해상치안조직들의 경비함정들의 무장이 강해봐야 기관포 정도인 이유도 이와 같다. 물론 개중에 우리 해경의 5천톤급 이청호함이나 미 해안경비대와 같이 76㎜ 함포를 장비하고 운영되는 극소수 예외가 있기도 하지만, 우리 해경도 이청호함을 제외한 대한민국 해경측의 다른 함정의 주포들은 40㎜ 기관포나 20㎜ 기관포를 사용 중이다,거기에다가 당시 일본 해상 자위대처럼 노토 괴선박 출현사건을 겪은 조직인 일본 해상 보안청의 경우에는 괴선박 대응 차원에서 20~40㎜ 구경장 기관포들을 구경장별로 구매해서 신형 순시선 등에 장착[4]하는 식으로 대응한 걸 감안하면 이러한 결정이 얼마나 잘못 되었는 지를 단적으로 보여주기도 한다.

거기에다가 탑재한 OPS-18 레이더는 근거리에서 FRP선박을 탐지하지 못하여 어선을 침몰시킨 아타고급 이지스 구축함에 장착된 OPS-28과 비슷한 구조이기에, 괴선박이 FRP구조의 선박이라면 원활한 추적이 어려울 가능성이 높으며[5] 거기에 44노트이라는 엄청난 속력을 달성하게 한 가스터빈 엔진 3기는 고속 주행시에는 분명히 탁월한 성능을 자랑하나 저속 순항시 연비가 재앙 수준으로 안 좋기에 항속거리와 시간에서 상당한 약점을 갖게 되었다.

그렇다고 해당 함정을 정규 해전용으로 투입하자니 이미 강력한 대형 함선들로 가득한 호위함대, 잠수함대, 100여 대에 달하는 P-3C 해상초계기 세력까지 잔뜩 있었고, 의미있는 수준의 대함 공격력을 갖추기 위한 함선 숫자조차 턱없이 부족했기 때문에 예산낭비라고 판단한 방위성에 의해 6척으로 종료되었고, 결국 20년만 운용하고 퇴역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5. 동형함 목록

해상자위대
함번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상태
1 PG-824 하야부사 (はやぶさ) 2000년 11월 9일 2001년 6월 13일 2002년 3월 25일 현역
2 PG-825 와카타카 (わかたか) 2000년 11월 9일 2001년 9월 13일 2002년 3월 25일 현역
3 PG-826 오오타카 (おおたか) 2001년 10월 2일 2002년 5월 13일 2003년 3월 24일 현역
4 PG-827 쿠마타카 (くまたか) 2001년 10월 2일 2002년 8월 13일 2003년 3월 24일 현역
5 PG-828 우미타카 (うみたか) 2002년 12월 11일 2003년 5월 21일 2003년 3월 24일 현역
6 PG-829 시라타카 (しらたか) 2002년 12월 11일 2003년 8월 8일 2003년 3월 24일 현역

6. 대중매체

파일:MW_JS_Hayabusa.jpg
모던 워쉽에서 1티어 초계함으로 등장한다.


[1] 2001년에는 1999년보다 상대적으로 그러한 제약이 덜했으나, 적어도 해상보안청보다 심각한 수준의 제약이 있었다고 한다.[2] Super Rapid Bloom Offboard Countermeasures Chaff and Decoy Launching System[3] 이러한 문제는 대한민국 해군검독수리급 고속정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 바 있다. 그래도 검독수리급 쪽은 북한 해군과의 전면전을 상정한 함선이었기에, 괴선박 대응용인데도 적함에 적당히 손상을 준 후 나포하기 위한 경고사격에 쓰일 보조무장이 충분치 못 해서 개발 목적에 부합하지 못 하였던 하야부사급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덜 까이는 편이다.[4] 물론 특정 기관포를 지정하지 않고 마구잡이에 가깝게 구매하다보니 수리하기도 복잡하고 운영 유지비나 도입 비용 등이 상당히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으나 적어도 괴선박 대처라는 임무에 적합한 기관포들을 갖추고 있다.[5] 반잠수정이나 밀수용 보트 등의 구조 상당수가 FRP 구조로 된 일반 선박을 개조한 형태가 상당히 많은 편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