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키즈키급 구축함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군함에 대한 내용은 아키즈키급 문서 참고하십시오.현대의 일본 해상자위대 함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b76e79,#914852> 일본 자위대 (1954~현재) 日本 自衛隊 | ||||
잠수함 (SS) | <colbgcolor=#fff,#191919>쿠로시오R, 오야시오R, 하야시오급R, 나츠시오급R, 오오시오R, 아사시오급R, 우즈시오급R, 유우시오급R, 하루시오급R, 오야시오급, 소류급, 타이게이급 | ||||
경비정 (PC) | 유리급R, PT9R | ||||
구잠정 (PC) | 카리급R, 카모메급R, 하야부사급R, 우미타카급R, 미즈토리급R | ||||
미사일 고속정 (PG) | 1호형 미사일정R, 하야부사급 | ||||
초계프리깃 (PF) | 쿠스급R | ||||
다목적 프리깃 (FFM) | 모가미급, {신형 FFM} | ||||
호위구축함 (DE) | 아사히급R, 아케보노R, 이카즈치급R, 와카바IJN/R, 이스즈급R, 치쿠고급R, 이시카리R, 유우바리급R, 아부쿠마급 | ||||
구축함 | 구축함 (DD) | 아사카제급R, 하루카제급R, 아야나미급R, 무라사메급R, 아리아케급R, 아키즈키급R, 야마구모급R, 타카츠키급R, 미네구모급R, | |||
방공구축함 (DDG) | 아마츠카제R, 타치카제급R, 하타카제급R, 공고급, 아타고급, 마야급,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 ||||
헬기구축함 (DDH) | 하루나급R, 시라네급R, 휴우가급 | ||||
다용도 운용모함 (DDH) | 이즈모급 | ||||
상륙정 | 1001호형R, 2001호형R, 3001호형R, 수송정 1호형, LCAC 1호형 | ||||
상륙함 | 오오스미급(초대)R, 아츠미급R, 유라급R, 미우라급R, 오오스미급(2대) | ||||
기뢰전함 | 소해모함 | 나사미R, 미호R, 하야토모R, 하야세R, 우라가급 | |||
소해함 | 하츠시마급 R, 우와지마급R, 스가시마급, 히라시마급, 에노시마급, 야에야마급, 아와지급 | ||||
소해정 | 야시마급R, 우지시마급R, 아타다급R, 야시로R, 카사도급R, 타카미급R, 소해정 1호형R | ||||
소해관제정 | 후쿠에R, 니이지마급R, 이에시마급 | ||||
구조함 | 치하야(초대)R, 후시미R, 치하야(2대), 치요다R, 치요다(2대) | ||||
군수지원함 | 보급함 | 사가미R, 토와다급, 마슈급 | |||
급유함 | 하마나R | ||||
연료수송함 | YOT-1급 | ||||
잠수함모함 | 수중처분모선 1호형 | ||||
다용도 지원함 | 81호형R, 히우치급, {다목적 초계함정} | ||||
정보수집함 | 해양측정함 | 아카시R, 후타미R, 스마R, 와카사, 니치난, 쇼난 | |||
음향측정함 | 히비키급 | ||||
쇄빙함 | 시라세(초대)R, 시라세(2대), 후지R | ||||
시험함 | 구리하마R, 아스카, {타이게이} | ||||
특무정 | 유우치도리R, 하야부사R, 히요도리R, 하시다테 | ||||
훈련함 | 연습함 (TV) | 카토리R, 야마구모급T/R, 미네구모급T/R, 야마기리급T, 카시마, 시마유키급T/R, 하타카제급T | |||
훈련지원함 (ATS) | 쿠로베, 텐류 | ||||
연습잠수함 (TSS) | 유우시오급T/R, 아사시오T/R, 하야시오급T/R, 오야시오급T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IJN: 일본 제국해군(Imperial Japan Navy) 소속이었던 것을 개장한 함선들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자위대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あきづき型護衛艦 |
[clearfix]
1. 개요
일본 해상자위대의 범용 구축함. 참고로 2차대전 때에도 동명의 구축함급이 있었는데 대공&대잠전투 전담이라는 특이한 물건이었다.아키즈키급의 기준배수량은 5,000톤(전장 150m, 전폭 17.6m)으로 4,650톤인 다카나미급과 비교해 350톤 정도 늘어났다. 만재배수량은 다카나미급의 만재배수량인 6,300톤보다 더 큰 6,800톤이다. 척당 건조비용은 책정된 예산은 725-750억엔 가량으로 한화로 약 1조원 가량 소요된다고 한다.[1]
1번함부터 3번함까지는 미쓰비시 중공업이, 4번함은 미쓰이 E&S 홀딩스가 건조했다.
2. 제원
아키즈키급 호위함 あきづき型護衛艦 | |||
이전함급 | 무라사메급 구축함 다카나미급 구축함 | ||
다음함급 | 아사히급 구축함 | ||
건조 업체 | 미쓰비시 중공업 미쯔이 타마노 사업소 | ||
건조 기간 | 2009년 ~ 2014년 | ||
취역 기간 | 2012년 ~ | ||
건조 대수 | 4척 | ||
전장 | 150.5m | ||
전폭 | 18.3m | ||
흘수선 | 5.4m | ||
기준 배수량 | 5,050톤[2] | ||
만재 배수량 | 6,800톤 | ||
동력 | 방식 | COGAG | |
기관 | SM1C 가스터빈엔진 x 4기 총 64,000 SHP | ||
추진 | 가변 피치 프로펠러 2축 | ||
최대 속력 | 30노트[3] | ||
승조원 | 200명 | ||
레이더 | 다기능형 | FCS-3A 위상 배열 레이더 | |
선박용 | OPS-20 C밴드 레이더 | ||
소나 | 체계 | OQQ-22 통합 소나 체계 | |
고정 | 바우 소나 | ||
예인 | OQR-3 TACTASS | ||
무장 | 함포 | Mk.45 5"/62구경장 함포 x 1문 | |
VLS | Mk.41 VLS x 32셀 | ||
대잠체계 | 68식 324mm 3연장 어뢰 발사기 x 2기 | ||
근접방어체계 | Mk.15 팰렁스 Block 1B x 2문 | ||
함대공 미사일 | RIM-162 ESSM | ||
함대함 미사일 | 90식 함대함 미사일 | ||
대잠 로켓 | RUM-139 VL-ASROC[4] 07식 대잠 로켓[5] | ||
어뢰 | Mk.46 경어뢰 73식 어뢰 | ||
탑재 항공기 | SH-60K × 1 |
3. 특징
일본 자국산 범용호위함 최초로 4면 고정 레이더가 탑재 되었다. 또한 이후 나올 자국산 함선들의 시스템들과 쉽게 통합처리될 수 있는 새로운 공통화 전투 지휘 시스템(OYQ-11)이 최초로 탑재되었다.통신 시스템으로는 단파(HF), 초단파(VHF), 극초단파 (UHF) 라디오 외에도 링크 11 및 링크 16에 대응해 통합 데이터 네트워크(JDN)와 해군 전술 정보 시스템(NTDS)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위성 통신으로는 X 밴드 NORA-1C(주로 SUPERBIRD B2 위성 통신), Ku 밴드 NORQ-1, 민간 Inmarsat 위성 통신용 NORC-4B 및 미군의 UHF-SATCOM에 연결할 수 있는 AN/USC-42 위성 통신 장치가 탑재되어있다
아키즈키급의 주목적은 공고급 이지스함이 탄도 미사일 방어 임무를 수행할 때 이를 보호하는 것으로 이지스 BMD 시스템 초기형에서는 탄도 미사일 방어 모드에서 중저고도 방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아키즈키급이 곁에서 이를 보완해 주는 것이다.
3.1. 레이더 및 무장
아키즈키급은 함대영역 방공능력의 향상을 위해 FCS-3A 다기능 레이더를 탑재했다. 이는 세계 최초로 현역에 배치된 GaN(질화 갈륨) 기반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 시스템으로 GaAs(갈륨 비소) 형식을 사용하는 기존 레이더 보다 출력이 3배 이상 향상되었다. 주레이더인 C밴드 AESA 레이더의 옆에는 X밴드 일루미네이터가 자리하고 있다.
또한 해상자위대 함선 최초로 어뢰 기만 장치(FAJ)가 탑재되었고, 당시 건조 중이던 아사히급과 같이 멀티스태틱 소나 기술을 2015년부터 적용하여 잠수함 탐지거리와 확률을 크게 증가 시켰다.[6]
VLS 주무장으로는 ESSM과 07식 新아스록(일본 국산 아스록)을 탑재한다. 원래는 일본이 자랑하는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인 AAM-4를 개량해서 XRIM-4라고 명명된 함대공 미사일을 독자적으로 개발하려고 했지만 예산 삭감으로 인해 개발이 중지된 이후 미국으로부터 ESSM을 라이센스 생산하여 도입하게 되었는데, 이 때문에 반능동레이더유도 형식인 ESSM을 유도하기 위해 APAR에도 사용된 ICWI(간헐적 연속파 일루미네이팅) 기술을 네덜란드 탈레스에서 도입하여 X밴드 일루미네이터를 추가로 부착해야만 했다. 이 기술은 기존의 AN/SPG-62 일루미네이터가 계속 표적을 물어주어야 하는 것과는 달리 여러 표적에 전자적으로 조향되는 빔을 간헐적으로 날리면서 여러 미사일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아키즈키급은 독일의 작센급이나 호주의 CEA-FAR/CEA-MOUNT가 탑재된 안작급 개량형과 동등한 수준의 동시교전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 체계는 중량때문에 5,000톤급 미만의 플랫폼에는 올릴 수 없다고 한다.
현재 개량작업을 거쳐 일본판 CEC인 FC 네트워크를 탑재했으며, 육상자위대가 운용하고 있는 03식 지대공 미사일 개량형을 개조한 23식 함대공 미사일을 통합해 장거리 함대 방공 능력을 가지게 되었다.#
3.2. 선체
선체는 무라사메, 다카나미급의 선체 설계가 답습되었다. 선수와 함교 형상을 이전 함선들보다 더욱 경사지게 만들어 전면 RCS 저감을 꾀했고, 또한 철골 구조의 형상의 마스트에서 탈피했지만 선체 가림판 등은 생략돼 측면 RCS는 경시되었다.원래는 스텔스 대책을 더욱 중시하여 만들어질 계획이었다.
주선체의 경사진 선형과 탑형의 마스트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함수에서 함미까지 쭉 이어지는 선체 형태로 만들고, 각 부분은 레이더 반사를 피하기 위해 경사진 평면으로 구성되도록 하며, 갑판 위에 있는 장비와 의장품들을 모두 선체 안으로 숨길 수 있는 레이더 반사판과 심지어 마스트에 레이더 흡수 복합재 케이스를 씌우거나 통합전기추진방식도 고려되었으나 재무성의 예산 삭감으로 모두 취소 되었다.
3.2.1. 개량형 아사히급 구축함
자세한 내용은 아사히급 구축함 문서 참고하십시오.
4. 동형함 목록
일본 해상자위대 | |||||||
함번 | 함명 | 기공 | 진수 | 취역 | 건조사 | 소속 | 상태 |
DD-115 | 아키즈키 (あきづき) | 2009년 7월 17일 | 2010년 10월 13일 | 2012년 3월 14일 | 미쓰비시 중공업 | 제1호위대군 제5호위대 | 현역 |
DD-116 | 테루즈키 (てるづき) | 2010년 6월 2일 | 2011년 9월 15일 | 2013년 3월 7일 | 제2호위대군 제6호위대 | 현역 | |
DD-117 | 스즈츠키 (すずつき) | 2011년 5월 18일 | 2012년 10월 17일 | 2014년 3월 12일 | 제4호위대군 제8호위대 | 현역 | |
DD-118 | 후유즈키 (ふゆづき) | 2011년 6월 14일 | 2012년 8월 22일 | 2014년 3월 13일 | 미쓰이조선 | 제3호위대군 제3호위대 | 현역 |
5. 관련 문서
(영어위키)Akizuki-class destroyer (2010)(일본어위키)あきづき型護衛艦 (2代)
6. 여담
2017년에 대만 해군이 공개한 차기 방공구축함 개념도가 아키즈키급과 비슷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일부에서는 대놓고 흉내낸 것 아니냐는 말까지 할 정도.프라모델 회사 아오시마에서 관련 프라모델을 출시 했는데 박스아트에서 뒤에 독도가 나와 있어서 많은 논란을 야기하였다. 기본적으로 자국민 대상의 애국심 마케팅의 일환으로 추측되지만 한국인 입장에선 공격적이라고 느낄 수밖에 없다. 랴오닝함 건도 그렇고 전범회사 출신이라서 우익 성향을 노골적으로 드러낸다는 평가가 많다.[7] 2016년 현재 발매 중인 키트는 일본 국내외를 막론하고 박스아트에서 독도 그림이 삭제되었다.
애니메이션 하이 스쿨 플릿에서 토마이고교 소속 교원함으로 등장. 무사시의 학생들이 타고 있다는 것을 의식해서 인지 선제 공격을 당해 ASROC로 대응하지만 해당 항목에 고증 오류란을 보면 알겠지만, 고작 대잠용으로 만들어진 경어뢰 따위로 어지간한 어뢰는 씹어 드시는 야마토급 전함에게 이빨도 먹히지 않는 모습이 보인다. 이후 증원 함대가 오지만 주포를 한 발도 발포하지 않으면서 여전히 ASROC로 대응하고 결국 유도 기능이 맛이 가면서 전함 전투 불능으로 리타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