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메 로사노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둘러보기 틀 모음 | |||
대표팀 | ||||
60대 | ||||
클럽 | ||||
}}} ||
멕시코의 축구 감독 | |||
<colbgcolor=#eeeeee><colcolor=#000000> 이름 | 하이메 로사노 Jaime Lozano | ||
본명 | 하이메 아르투로 로사노 에스핀 Jaime Arturo Lozano Espín | ||
출생 | 1978년 9월 29일 ([age(1978-09-29)]세) | ||
멕시코 멕시코 시티 | |||
국적 | [[멕시코| ]][[틀:국기| ]][[틀:국기| ]] | ||
신체 | 키 171cm | ||
직업 | 축구 선수 (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 ||
소속 | <colbgcolor=#eeeeee><colcolor=#000000> 선수 | UNAM 푸마스 (1998~2001) 셀라야 FC (2001~2002) UNAM 푸마스 (2002~2005) 티그레스 UANL (2005~2007) 크루스 아술 (2007~2012) → 아틀레티코 모렐리아 (2010~2012) UNAM 푸마스 (2012~2013) | |
감독 | UNAM 푸마스 (2014 / 아카데미) 케레타로 FC (2015~2016 / 아카데미) 케레타로 FC (2016~2017 / 코치) 멕시코 U-23 대표팀 (2018~2021) 클루브 네카사 (2022) 멕시코 대표팀 (2023 / 감독 대행) 멕시코 대표팀 (2023~2024) | ||
국가대표 | 34경기 12골 (멕시코 / 2000~2007) |
[clearfix]
1. 개요
멕시코의 축구선수 출신 감독.2. 감독 경력
2.1. 멕시코 올림픽 축구 국가대표팀
2018년 멕시코 U-23 대표팀 감독에 선임, 2020 도쿄 올림픽 본선에서 A조 2위로 조별예선을 통과한 뒤, 8강에서 만난 대한민국을 6-3으로 대파하고,[1] 4강에서 브라질과 연장전 끝에 승부차기로 패한 뒤, 동메달 결정전에서 홈팀 일본을 3-1로 대파해 조별예선의 복수에 성공하고 동메달 획득에 성공했다.2.2.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2023 CONCACAF 골드컵 개막이 얼마 안남았던 상황에서 당시 멕시코 감독으로 있던 이전 디에고 코카 감독이 CONCACAF 네이션스 리그에서 졸전을 벌이며 4위에 그치자 결국 즉각 경질을 당하여, 이에 임시방편으로 로사노가 멕시코 대표팀의 감독 대행으로 선임되었고 2023 CONCACAF 골드컵을 우승시켜 8월에 바로 멕시코 대표팀 정식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2024 코파 아메리카 미국에선 B조에 속해 충분히 8강 올라가리란 전망이었으나 조별리그 3위로 탈락했다. 2024년 7월 16일, 멕시코 대표팀을 떠났다.3. 둘러보기
2024 코파 아메리카 미국 참가 감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FFFFFF)" {{{#!wiki style="color: #003282;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letter-spacing:-1px" | <colbgcolor=#003282> A조 | 리오넬 스칼로니 ★ | 호르헤 포사티 | 리카르도 가레카 | 제시 마시 |
B조 | 하이메 로사노 | 펠릭스 산체스 바스 | 페르난도 바티스타 | 헤이미르 하들그림손 | |
C조 | 그렉 버홀터 | 마르셀로 비엘사 | 토마스 크리스티안센 | 안토니우 카를루스 자구 | |
D조 | 도리바우 주니오르 | 네스토르 로렌소 ☆ | 다니엘 가르네로 | 구스타보 알파로 | |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16 | 1917 | 1919 | 1920 | 1921 | 1922 1923 | 1924 | 1925 | 1926 | 1927 | 1929 1935 | 1937 | 1939 | 1941 | 1942 | 1945 1946 | 1947| 1949| 1953 | 1955 | 1956 1957| 1959| 1959 | 1963 | 1967 | 1975 1987 | 1989 | 1991 | 1993 | 1995 | 1997 1999| 2001| 2004 | 2007 | 2011 | 2015 2016| 2019| 2024 | }}}}}}}}}}}} |
[1] 멕시코 올림픽 축구 역사상 최초로 대한민국에 거둔 승리였다.
분류
- 1978년 출생
- 멕시코시티 출신 인물
- 멕시코의 남자 축구 선수
- 멕시코의 남자 축구 감독
-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은퇴, 이적
- 티그레스 UANL/은퇴, 이적
- 크루스 아술/은퇴, 이적
- 클루브 네카사/역대 감독
-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멕시코의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
- 2007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
- 멕시코의 코파 아메리카 참가 선수
- 2004 코파 아메리카 페루 참가 선수
- 2007 코파 아메리카 베네수엘라 참가 선수
- 2005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독일 참가 선수
- 2023 CONCACAF 골드컵 참가 감독
- 2024 코파 아메리카 미국 참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