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21:35:19

하테와야 히스톨리티카

하테와야 히스톨리티카
Hathewaya histolytica
학명 Hathewaya histolytica
(Weinberg and Séguin 1916) Lawson and Rainey 2016
분류
<colbgcolor=#bff4ff><colcolor=#000> 세균역(Bacteria)
미분류 그람 양성균(Gram-positive bacteria)
후벽균문(Firmicutes)
클로스트리디움강(Clostridia)
클로스트리디움목(Clostridiales)
클로스트리디움과(Clostridiaceae)
하테와야속(Hathewaya)
하테와야 히스톨리티카(H. histolytica)

1. 개요2. 상세3. 독소
3.1. 알파 독소3.2. 베타 독소3.3. 감마 독소3.4. 델타 독소3.5. 엡실론 독소
4. 단백질 분해 효소5. 콜라겐 분해 효소6. 질병에서의 역할7. 진단 및 치료

1. 개요

똥과 토양에서 발견되는 세균의 한 종. 과거에는 클로스트리디움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별개의 속으로 분리되었다.

2. 상세

운동성이 있는 그람 양성균으로 공기에 내성을 가진 혐기성 세균이다. 종종 다른 세균 종과 함께 가스 괴저를 일으키며 기니피그, 생쥐, 토끼, 사람 등에서 병원성을 보인다. 초기에 토양을 경작할 때 샘플을 섭씨 60도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여 토양에서 분리할 수 있다. 쌍이나 짧은 사슬로 덩어리지는 경향이 있으며 막대 모양이다. 세포는 편모가 많고 매우 운동성이 좋다. 큰 내생포자를 생성하고 당분해성과 단백질 분해성을 띈다. 혐기성이지만 호기성 배양을 통해 최소한의 성장을 얻을 수 있다. 당에 의해 성장이 억제되고 포자가 열에 잘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배양이 어렵다.

3. 독소

포자 형성 능력이 높을수록 독소 유발 능력이 더 높다. 독성 유발성 균주는 독성이 약하거나 독성이 없는 균주보다 생장 잠재력이 더 높다. 알파, 베타, 델타, 감마, 엡실론의 다섯 가지 독소를 만든다.

3.1. 알파 독소

가장 많은 독소로 근육에 주입하면 동물 실험 결과 몇 시간 내에 사망한다. 괴사성 독소지만 용혈성 독소는 아니며 배양액에서 여과되어 분리된다.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해 쉽게 불활성화되며 토양에서 분리된 균주의 약 29%만이 이 독소를 생성한다.

3.2. 베타 독소

7가지 콜라겐 분해 효소로 구성되어 있고 이 효소는 콜라겐젤라틴을 작은 조각으로 분해하는 아연 금속단백질 분해 효소이다. 7가지 콜라겐 분해 효소의 이름은 각각 알파, 베타, 감마, 델타, 엡실론, 제타, 에타이다. 이 독소는 체내 콜라겐 섬유를 파괴하고 괴사를 유발하는 능력을 가져 병원성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폐 표면에 닿으면 출혈을 유발하고 쥐의 발에 주사한 결과 출혈과 부종을 유발하고 정맥에 주사하면 치명적인 폐내 출혈을 유발한다.

3.3. 감마 독소

시스테인 활성화 단백질 분해 효소로 가죽가루, 젤라틴, 카제인을 분해한다. 콜라겐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3.4. 델타 독소

칼슘 이온에 의해 활성화되는 엘라스타제이다. 시스테인에 의해 저하되고 환원제에 의해 가역적으로 불활성화된다.

3.5. 엡실론 독소

산소 불안정 용혈소이다.

4. 단백질 분해 효소

독소 생성 균주는 상술했듯 인체의 장기와 근육을 괴사시키고 분해할 수 있는 단백질 분해 효소와 콜라겐 분해 효소를 분비한다. 단백질 분해 효소는 암모니아를 형성하면서 천연 및 합성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분해한다. 또한 우유를 응고시키고 나중에 응고물을 소화하고 양의 피를 용혈시킬 수 있다. 단백질 분해 효소는 화상으로 생긴 딱지를 분해하고 상처에서 화상을 입은 조직을 제거하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감마 독소와 델타 독소는 그 자체로 인체에서 활동적이지 않고 베타 독소가 이미 부분적으로 분해한 콜라겐 물질만 공격하고 영양 공급을 돕는다.

단백질 분해 효소는 조직단백질과 아미노산을 펩타이드로 전환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이 효소들은 대사 최종 산물인 이소산을 생산하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매우 독특하다.

5. 콜라겐 분해 효소

근육의 결합 조직을 파괴할 수 있으며 손에 병적인 콜라겐 생성 및 침착이 발생하는 질환인 듀피트렌 구축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6. 질병에서의 역할

상술했듯이 단백질 분해 및 괴사 작용을 하는 강력한 독소를 분비하여 심각한 국소 괴사를 유발한다. 하지만 인체 감염 사례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지만 통증, 발열, 근육괴사, 심한 부종을 동반하는 급성 감염인 가스 괴저를 유발할 수 있어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전신 중독증, 다발성 장기 부전, 심지어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고 이 감염은 몇 시간 만에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으로까지 악화될 수 있다.

7. 진단 및 치료

가스 괴저 자체는 눈에 띄는 괴사와 특유의 냄새로 쉽게 진단할 수 있지만 감염을 확인하려면 혐기성 배양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감염에는 클린다마이신페니실린 치료, 호기성 및 혐기성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을 표적으로 하는 항균제 칵테일을 사용한 치료, 메트로니다졸, 이미페넴을 사용한 치료 등을 쓰지만 진행성 가스 괴저 감염은 사지를 절단해야만 치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