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 ||
| ||
사고 헬기의 추락 당시 사진 | ||
<colbgcolor=#00529c><colcolor=#ff0> 발생일 | 1993년 6월 14일 | |
발생 위치 | 한강 잠실선착장 부근 서울특별시 송파구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사고기 | 시코르스키 S-76 | |
운영 기관 | SK에코플랜트 | |
출발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잠실 헬리패드 | |
도착 예정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잠실 헬리패드 | |
기체 등록번호 | HL9245 | |
유형 | 조종사 과실, 정원 초과 | |
탑승 인원 | 승객: 7명 승무원: 1명 | |
인명피해 | <colbgcolor=#00529c><colcolor=#ff0> 사망 | 승객: 6명 승무원: 1명 |
생존 | 승객: 1명 |
[clearfix]
1. 개요
1993년 6월 14일, 서울 한강의 잠실선착장 부근에서 영화를 촬영하던 중 헬리콥터가 근접 촬영을 위해 고도를 낮추다가 추락하여 7명의 사망자를 낸 추락 사고이다.2. 사고 기체
HL9245 | |
<colbgcolor=#f5f5f5,#2d2f34> 등록번호 | HL9245 |
제조사 | 시코르스키 |
기종 | S-76 |
기령 | 16년 |
생산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최초 비행일 | 1977년 |
최초 인도 항공사 | [[틀:국기| ]][[틀:국기| ]][[틀:국기| ]] |
선경건설 도입일 | 1990년 11월 7일 |
3. 사고 진행
1993년 6월 14일 오후 4시경 서울 송파구 한강공원 부근의 잠실선착장에서 미도영화사[1]가 제작하는 영화 <남자 위에 여자(고영남 감독)>의 첫 장면인 선상 결혼식 장면을 촬영하기 위해 당시 주연이었던 변영훈[2]과 영화사 관계자, KBS 연예가 중계 촬영팀이 헬기에 탑승한 후 이륙하였고 선착장 부근에서는 상대 주연이었던 황신혜가 촬영을 위해 대기 중이었다.이날 오후 3시 50분경 잠실 헬리패드를 이륙한 헬기는 10분 가량 한강 50여 m 상공에서 두 차례 선회하며 선상 결혼식 장면을 촬영했다.
오후 4시경 촬영감독인 손현채가 최정조 기장에게 '앵글이 잘 안 잡힌다'며 '근접 촬영을 위해 고도를 낮춰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따라 최정조 기장은 헬기의 고도를 수면으로부터 10여 m 떨어진 곳까지 낮추었고 이때 헬기가 기우뚱거리면서 수면으로 추락했다.
이 사고로 최정조 기장, KBS 카메라맨 백순모[3], 촬영감독 손현채, 촬영보조 김종만, 선경건설 (現 SK에코플랜트) 직원 김성준은 현장에서 즉사했다. 미도영화사 사장 이상언과 영화배우 변영훈은 구조되어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이상언은 이송 4시간만에 사망했고 변영훈은 뇌사 상태에 빠져 75일만에 세상을 떠났다.
유일한 생존자인 KBS 김일환 PD는 헬기 안에서 허우적거리다 깨진 창문으로 빠져 나와 기체 위로 올라가 목숨을 건졌으며 선착장에 있던 세모[4]유람선 소속 구조요원들이 그를 구출했다.
추락한 헬기는 사고 다음 날 인양되었고 당연하지만 영화는 제작이 영원히 중단되었다. 감독인 고영남도 충격을 받아 한동안 요양을 가야 했다. 고영남은 이후 활동이 저조해졌다가 1999년 그림일기를 찍었으나 평가는 최악이어서 은퇴작이 되었고 2003년 9월 17일 사망하였다.
4. 사고 원인
정원을 초과하여 탑승한데다 반드시 탑승해야 할 부기장 이용운이 탑승하지 않았으며[5] 최정조 기장은 조종석에 촬영감독인 손현채를 앉히고 부조종석에서 헬기를 조종하는 바람에 사고에 제대로 대처를 하지 못했다. 촬영감독의 요구로 기장이 안전 고도를 무시한 채 무리하게 하강비행을 하다가 결국 추락하고 말았다. 당시 교통부(현 국토교통부)가 항공기 전반에 검사를 실시했는데 기체에는 아무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당시 추락 지점에서 불과 50여 m 앞에 한강 순찰대 본대가 있었으며 순찰대원들은 추락 장면을 목격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구조 작업이 늦게 이뤄져 결국 안타까운 비극을 낳고 말았다.
5. 매체
- 너희가 재즈를 믿느냐?: 장정일의 소설로 주인공이 마치 환상을 보는 느낌으로 한강에 영화촬영 헬기가 추락하는 걸 목격하고 이후 중요 소재 중 하나가 되는데 1994년에 출간되었음을 감안하면 이 사건이 모티브인 듯 하다.
6. 기타
- 이 사고가 일어났던 1993년과 그 이듬해였던 1994년에 걸쳐 유독 헬기 추락사고가 많았다. 2개월 후인 8월 13일에는 경상북도 성주군 금수면 무학리에서 진해해군기지에서 수리 후 백령도로 가던 대한민국 해군 6항공전단 소속의 슈퍼링스 헬기가 추락해 탑승하고 있던 군인 10명이 사망하고 1명이 중상을 입었다. 8월 17일에는 경상남도 합천군에서 농약을 살포하러 가던 한국항공[6] 소속 MD 500 헬기가 짙은 안개 때문에 추락하여 부기장이 사망하고 기장이 중상을 입은 사례도 있었다. 이듬해였던 1994년 3월 3일에는 경기도 용인시(당시 용인군)에서 대한민국 공군 UH-60이 추락해 당시 공군참모총장이었던 조근해 대장이 순직하였다. 그리고 같은 해 10월 6일에는 충청남도 연기군에서 주한미군 소속의 UH-60이 고압선과 충돌해 탑승객 5명이 전원 사망했다.
- 사고 기종인 S-76은 한국에서 이 사고 이후에도 4건의 큰 사고를 일으켰다. 1997년에도 동아건설 소속의 S-76B가 안양시 수리산에 추락해 탑승객 3명이 전원 사망하기도 했고 2001년에는 대우조선해양 소속의 헬기가 추락했고[7] 2013년에도 이 사고가 일어난 곳과 가까운 곳에서 큰 사고를 일으켰다. 2020년 4월에도 지리산 헬기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 다만 다른 문서에서도 나오듯이 조종 착각이나 기상악화 때문에 추락했으나 그럼에도 기종 자체는 동급 최고 성능으로 꼽히는 헬기라 여전히 VIP 운송용으로 많이 쓰인다.
- 이 영화 제작사 사장이자 제작자인 이상언은 영화감독 출신으로, 1992년 영화 아래층 여자와 위층 남자를 제작해 흥행에 성공했다. 그가 사망한 뒤에 가족이 이어받아 영화사를 운영했으나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문을 닫아 사라졌다. 미도영화사는 곡스나 에이스 벤추라 2 등의 수입사이기도 했다.
7. 유사 사고
[1] SKC로부터 자본 등 지원을 받는 영화사로, 삼성-스타맥스 및 대우-우일영상 관계와 유사하다고 보면 된다.[2] 주연이 탑승한 이유는 헬기에서 뛰어내린 후 배에 착지하는 장면을 촬영하기 위해서였다.[3] 그로 인해 사고가 일어난 지 6일 뒤에 방송된 드라마 게임 제471화는 그가 제작에 참여한 마지막 드라마가 되었으며 엔딩 크레딧 직전에 생전 사진과 함께 추모 문구를 방송했다.[4] 훗날 그 이상을 능가하는 사고를 일으킨 청해진해운의 전신인 그 회사다.[5] 항공 교범에는 시계 거리가 5km를 초과한 경우에는 부기장 없이도 기장 단독으로 비행이 가능하지만 5km 이내인 경우에는 반드시 부기장을 탑승시키고 비행을 해야 한다. 하지만 사고 당시에 김포공항과의 시야가 4km 정도였음에도 불구하고 부기장인 이용운이 탑승하지 않았다.[6] 대한항공의 자회사였다.[7] 당시 동국제강 대표이사 회장 김종진 등 8명이 숨지고 4명이 부상을 입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