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ECF2FA,#2D2F34><colcolor=#000,#FFF> 중추공항 | 인천 |
거점공항 | 김포(서울) · 제주 · 김해(부산)■■ · 대구■■ · 청주■■ · | |
일반공항 |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사천■ · 군산■■ · 원주(횡성)■ | |
도심공항터미널 | 서울역 · 광명역 | |
사설·기타 비행장 | 울진 · 정석 · 태안 · 수색■ · 잠실 헬리패드 | |
군 전용공항 | 서울(성남)■■ · 수원■■ · 오산■■ · 평택■ · 이천■ · 계룡■ · 충주■ · 예천■ · 강릉■ · 속초■ · 전주■ · 목포■ · 진해■ · 캠프 워커■ · 현리(인제)■ | |
공사 중인 공항 | 울릉 | |
착공예정 공항 | 가덕도(부산) · 대구경북■■ · 흑산 · 제주2 · 백령■ | |
추진 중인 공항 | 경기남부(미정)■ · 포천■ · 서산■ · 새만금(군산) | |
폐쇄된 공항 | 여의도 · 수영 · 알뜨르 · 춘천■ · 전주(송천동)■ · 충주(목행동) · 코엑스(도심공항) | |
군(軍)공항: ■ 육군, ■ 해군, ■ 공군, ■ 주한미군 |
[1]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로 인한 2026년 1월 5일까지 운항중단.
}}}}}}}}} ||'''잠실 헬리패드''' | |
분류 | |
헬리포트 | |
공항 코드 | |
IATA | - |
ICAO | RKSJ |
주소 |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 | |
개업 | |
1992년 12월 30일 | |
운영기관 | |
국토교통부 |
|
잠실 핼리패드의 전경 |
1. 개요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에 위치한 헬리포트이다.2. 역사
국내 항공교통망 체증심화 해소를 위해 당시 교통부-국방부 간 협의로 김포∼잠실간 한강 비행금지공역을 여객수송헬기에 한해 해제하고 93년도 서울-대전간 엑스포 행사 인원수송, 기타 비즈니스 및 관광용으로 정기 운항노선을 개설하여 민간헬기 시대의 개막을 기대하며 나름대로 야심차게 추진되었던 사업이 있었다. 이에 맞춰 1992년 12월 30일 잠실헬기장이 완공되어 한국항공, 서울항공, 삼성항공 등 3개사가 자사 보유 헬리콥터로 운항을 시작하였다.3. 특징
잠실헬기장 시설물 안전관리는 서울지방항공청이 직접 관리중에 있다.주로 각 기업의 자가용 헬기들이 사용하며 출장을 가는 임직원들이 이곳을 이용한다. 이곳을 이용하려면 서울지방항공청에 비용을 내고 헬기를 타고 내릴 수 있다.
영상에서 볼 수 있듯 자전거도로가 바로 앞에 위치해 있으며, 여러 시민들이 구경하곤 한다. 헬기장에서 2m 떨어진 곳에 자전거도로가 있어서 헬기 이착륙시에는 서울지방항공청 소속 파견 직원들이 자전거도로를 통제한다.
잠실헬기장은 민간 헬기의 야간비행이 없다.경찰 및 소방헬기 등의 야간비행도 매우 제한적이다. 주간에도 안개 등 시정이 좋지 않으면(시정 5000m 이하) 이착륙을 통제한다.
3.1. 주요시설
잠실 헬리패드에는 1개의 TLOF 구역[1]과 2기의 주기장, 유도로가 있어 최대 3대의 헬리콥터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다. 서울지방항공청 파견직원이 잠실헬리패드 관리를 위하여 근무하고있는 컨테이너와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다.4. 사건사고
1993년 잠실헬기장을 이륙한 SK건설 소속 자가용 헬기가 조종사 과실과 정원초과로 한강 영화촬영 헬기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2013년 잠실헬기장으로 오던 LG전자 소속 자가용 헬기가 기상악화로 서울 삼성동 헬기 추락사고가 발생했다.
[1] Touch-down and Lift-o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