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wcolor=#FFF> 🀐 | 마작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B0><colcolor=#FFF> 국표마작 | 국표마작/진행 · 국표마작/역 · 국표마작/점수 | |
리치마작 | 리치마작/진행 · 리치마작/역 · 리치마작/점수 | ||
기타 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구 홍콩마작 · 홍콩대만마작 · 대만마작 · 싱가포르마작 · 말레이시아마작 · 한국마작 · 이십이마작 · 미국마작 | ||
마작 요소 | 마작패 · 점수봉 · 작탁 · 마장(한국 내 마장) · 용어 · 변형 규칙 · 커뮤니티 | }}}}}}}}} |
1. 개요
한국식 마작의 규칙을 설명하는 문서.2. 한국마작의 특징
한국마작에서는 기본 족보가 2번 이상이어야 인정(2판 묶음)된다.[1] 그러니 아래 기본 족보들을 두 개 이상 조합해야 한다는 걸 명심할 것. 특히 멘젠과 쓰무, 그리고 핑후 이 세 역의 관계에 대해 반드시 제대로 숙지해둬야 한다. 또한 '엎어'는 일본마작의 '리치'에서 따온 것이지만, 기본 역에서 제외되는 등 극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어찌보면 일본식 리치마작과 중국식 국표마작의 절충된 모양일수도 있으며, 일본에서 유행하던 3작마작과 이십이마작을 모델로 했을 가능성도 있다.[2]참고로 한국식 마작은 하는 곳마다 역의 판수가 다르며 역에 대한 명칭도 다르다. 쉽게 생각하자면 고스톱에서 대통령(총통)유무와 쪽의 유무, 여기에 오열쌍피, 나가리 등등…의 차이. 그나마 인터넷을 통해 표준이 정착된 고스톱과는 달리, 마작은 아예 처음부터 판수가 다르고 족보도 다 다르다. 물론 우리나라에 한국마작연맹(KML)이 있지만 거기에 있는 표준규칙은 일본식 리치마작 기준.
이러한 사정 때문에 한국식 마작에는 별 다른 표준역이 없어, 한국마작의 역을 설명하는 책[3]과 홈페이지마다 판수도 다르고 인정되는 역도 다르다. 여기에 판수 계산법을 사용하나, 이마저도 하위역의 판수를 인정하느냐 안하느냐의 차이가 있다. (대체적으로는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하위역의 판수를 전부 인정하여, 판수를 별도로 계산한다.) 따라서 여기에 설명되어 있는 역은 나가리의 초보 마작교실(이하 나가리)에 있는 판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이곳(이하 삼식이)과 이곳(이하 커피향)도 참고할 것.
대체로 일본마작의 역과 비슷하지만 삭수가 반드시 필요한 역(국사무쌍, 녹일색, 삼색류)은 존재하지 않는다.
전체적으로 확률이 낮은 역들의 판수가 큰 편으로
그러나 그것 뿐이라서 한국마작은 여전히 도박성이 강한 게 현실. 앞서 언급했듯 규칙이 제각각이니 세계의 마작을 다루는 해외 사이트들마저 한국마작에 대한 언급은 빠져 있는 게 태반이며, KML에서도 자료 부족을 이유로 제대로 된 연구를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한국의 몇몇 마장에서는 이를 경기 성격의 한국마작으로 개량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일단 기본적인 문제는 부가역의 판수가 너무 높고, 우연에 의한 역들을 너무 높게 쳐준다. 우연에 의존하는 하이테이, 영상개화(깡올라) 등의 판수나, 역만 중에서도 구련보등, 천화에 대한 판수가 너무 높다.(가장 낮은 삼식이에서도 12판)그런데 삭수가 없음에도 한국 마작만의 공식 역이 없어서 각 역들의 판수를 높여야만 게임으로서의 흥미가 성립하는 자가당착의 룰인 게 현실이기도 하다.
작혼이 인터넷 방송 스트리머의 유행을 타면서 일본 리치마작이 한국에서도 크게 알려지게 되었고, 이런 인기의 영향으로 작혼 공식 한국 서버까지 출시된 시점에는 한국에서도 마작이라고 하면 사실상 리치마작을 가리키며 한국마작은 사장된 상황이다. 온라인 한국마작 게임은 엠게임 마작을 제외하면 모두 서비스를 중단했으며, 엠게임마저 노후화[4]된 시스템과 극소수의 이용자로 버티고 있는 실정이다. 안철화의 '마작 게임 배우기' 책에 지엠지 마작을 기반으로 개발된 싱글 게임이 있으나, 이마저도 아바타 문제로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
3. 진행
3.1. 첫 친(親)을 정하는 방법
3.2. 패산 쌓기
네 명의 대국자는 패를 섞고 자신의 앞에 각각 두 층의 패산을 쌓는다. 한 사람 앞에 쌓는 패산의 수는 그 마작 룰에서 사용되는 패의 개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한 층당 (그 룰에서 사용되는 패의 개수)÷8개(4명이 두 층이므로)씩 쌓으면 된다. 한국마작의 경우 한 줄의 패산은 13개가 된다.전동마작은 이 과정을 기계로 하기 때문에 편리하다.
3.3. 배패
西 | ||
北 | ■ | 南 |
東 |
예를 들어 첫 번째에서 3, 두 번째에서 4가 나왔다고 하면 서가(3) 앞에 있는 패산의 맨 오른쪽에서 7(3+4)번째 패 다음의 것부터 배패를 시작한다. 게임 진행은 반시계 방향이지만 리치마작과는 다르게 가져가는 사람 순서는 동가부터 시계방향이다.
먼저 동가가 패를 두 톤(네 개)씩 가져가고 나머지 플레이어도 같은 방식으로 가져간다. 이러한 과정을 각각 3번씩 반복해, 4 * 3 = 12개의 패를 자신의 앞에 두고, 이번에는 동가가 한 톤(두 개)를 가져온다. 남가·서가·북가는 패를 하나씩 가져온다. 이렇게 동가는 14개, 나머지는 13개의 패를 자신의 앞에 둔 시점에서 배패가 끝난다.
동가만 두 개를 가져오는 이유는 게임이 무조건 동가가 쯔모하며 시작이 되기 때문인데, 두 개를 동시에 가져오면 시간이 단축된다.
東 西 東 □ □ □ ...
南 北 □ □ □ □ ...
본래는 이렇게 가져오는 것이 정석이다.
東 南 北 □ □ □ ...
東 西 □ □ □ □ ...
그러나 실전에서는 일본마작이나 중국마작과는 다르게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이제 자신 앞의 패를 세우고 정리(이패)하면 게임의 준비는 끝이다.
3.4. 게임의 진행
동가부터 "꽃"이라는 발성과 함께 꽃패를 공개하고, 패산의 맨 끝에서 패를 보충한다. 꽃패가 2장 이상이라도 일단 꽃패를 공개하면 남가에게 꽃패의 공개 유무를 묻고, 그렇게 한 바퀴를 돈 후 2번째 꽃패를 공개할 수 있다. 네 명 모두 공개할 꽃패가 없는 것을 확인한 후에 시작한다.한국마작에서 오르기 위해서는 부가판수를 제외하고 기본판수로 최소 2판의 역이 필요한 양판마작이 보통이다. 판수가 필요없는 무판마작이나, 최소 3판이 필요한 삼판마작을 하기도 한다. 올랐으면 기본 판수[5] 및 역에 대한 판수를 받는다. 쏘아서 났을 경우에는 2배를 받는다.
자(子)가 역을 만들어 올랐을 때 한 국이 끝나게 되며 다음 국으로 넘어간다. 일장이라면 친은 남가에게 넘어가지만, 훌라장을 한다면 오른 사람이 친이 된다. 단, 아무도 오르지 못하고 패산이 다 떨어진 경우엔 나가리가 되고,[6] 전원이 일정한 공탁금을 묻는다. 이 공탁금은 멘젠인 상태에서 쓰무로 오른 사람이 가져갈 수 있다. 만약 친이 나거나 나가리가 될 경우 그 국이 끝나도 친은 바뀌지 않는다. 팅파이(리치마작의 텐파이와 동일) 여부는 따지지 않기에, 황패 나가리는 무조건 연짱이라 보면 된다.
진팅(후리텐)은 자신이 버린 패(현물)에 대해서만 적용되며, 이는 국표마작과 리치마작의 중간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23통을 갖고 있는 1통, 4통 대기에서 1통을 버렸다면 1통으로는 쏠 수 없지만 4통으로 쏘는 것은 가능. 단, (순정)구련보등의 경우는 일단 진팅에 걸리면 해당 수패로는 쏠 수 없으며, 쓰무를 해도 인정되지 않는다. (점프 처리되거나 청일색이 적용된다.)
3.4.1. 각 국의 명칭
처음의 한 바퀴를 동장, 두 바퀴째를 남장, 그리고 그 다음 바퀴들을 서장, 북장이라 하며 동장에서 A,B,C,D가 선인 경우를 각각 1,2,3,4국이라 하여동1국→동2국→동3국→동4국→
남1국→남2국→남3국→남4국→
서1국→서2국→서3국→서4국→
북1국→북2국→북3국→북4국
의 16국을 치르게 된다. 이것을 일장이라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일장이 아닌 신신법이라고 불리는 훌라장이라 불리는 화료작을 하는 경우가 많다. 훌라장은 "장"의 개념이 없으며, 화료한 사람이 다음 국의 친이 된다. 장풍패의 개념은 선 기준이다. 단, 넷마블 및 지엠지, 넥서스 마작은 랜덤하게 장풍패가 정해졌다.
4. 점수 계산
기본적으로 판수계산법을 사용하며, 무조건 1판 당 1점. 그리고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기본족보의 판수(멘젠의 기본판수+족보의 기본판수+쓰무의 기본판수) + 부가족보의 판수 + 계산시 기본적으로 주는 판수
기본족보의 판수는 최소 2판부터 인정되는 것이 보통. 따라서 아무리 부가족보가 높다한들 기본족보 판수가 1판이면 날 수가 없다. 그리고 주어지는 판수는 무조건 다 계산해야한다.
계산할 시 기본적으로 주는 판수는 국표마장의 8점과 비슷하게 서비스 판수의 개념이며 마작을 하는 곳마다 다른데 대표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멘젠쓰무 | 멘젠쏘아 | 멘젠 파손 |
0판 | ||
10판 | ||
10판 | 5판 | |
10판 | 5판 | 0판 |
10판 | 5판 | 1판 |
5판 | 3판 | 0판 |
4판 | 2판 | 0판 |
친이 연짱(나가리 포함)하는 경우도 조금 다른데, 각자 연짱 판당 2~5판 정도만큼 공탁하고 나중에 멘젠쓰무로 난 사람이 가져가는 게 보통이다. 혹은 멘젠쏘아로 난 사람은 멘젠쓰무로 오른 사람보다 낮게 받을 수도 있다.(예: 5판/2판) 아니면 리치마작처럼 텐파이 상태가 아닌 사람만 공탁금을 내게 할 수도 있다. 역시 구분이 다양해서 미리 확인하고 하자.
점수지급법도 마찬가지로 다르다. 쓰무로 났는데 점수가 12판일 때, 타가에서 각각 12판을 가져온다. 총 36판을 얻게된다. 쏘아로 났는데 점수가 15판이면, 쏘인 타가에서 30판을 가져온다. 즉, 자기 점수에 2배를 가져오면 된다.
쉽게 설명하면 누군가가 X점으로 화료했을때,
- 쓰무로 났으면 타가에서 각각 X점 가져와 총 3X점을,
- 쏘아로 났으면 쏘인 타가에서 2X점을 가져온다.
오름패 :
만약 자기가 저런패를 가지고 엎어를 선언하고 쓰무로 올랐으며 기본제공하는 판수 중 멘젠쓰무가 10판일 경우라면 다음과 같이 계산하고 및 점수를 지급하면 된다.
기본족보 판수(멘젠1판 + 쓰무 1판 + 칠대자 4판 + 자일색 12판) + 부가족보판수(엎어 1판 + 겐쇼 2판) + 기본지급판수(멘젠올라 10판) = 31판.
한국 마작은 점수의 상한 없이 모든 역의 판수를 계산하기 때문에 치또이와 자일색이 같이 적용된다. 물론 순정구련보등은 나오는 순간 콜드게임이 된다.
한국 마작에서는 보통 점수지불봉(점봉)이 아닌 칩이나 돈으로 대체한다. 그러니까 고스톱의 '점당 100원' 비슷하게 친다 보면 된다. 만약 점 1,000원으로 하는 마작인 경우 저 상황에서는 오른 사람이 타가에서 각각 31,000원을 받아 총 93,000원을 받는다. 만약 쓰무가 아닌 쏘인 경우는 쏘인 타가가 31,000원의 2배인 62,000원을 오른 사람에게 지급하면 된다. 그러나 사행성 문제와 자금 부담이 많아, 요즘은 돈을 걸지 않는 대신 점봉을 이용하는 경우도 간혹 찾아볼 수 있다. 리치마작이나 고스톱과는 달리 역의 판수가 제각각인 것도 이러한 사행성 탓이 크다고 볼 수 있다.
5. 족보
자세한 내용은 한국마작/족보 문서 참고하십시오.[1] 일부는 3판 묶음을 적용하기도 한다. 무판마작이 그 다음, 1판 묶음은 극히 일부 지방을 제외하고는 안 쓰는 게 태반이다. 이래서인지 넷마블, 엠게임의 마작도 1판 묶음은 제공하지 않는다. 무판마작은 일명 개마작이라고 부른다. 그냥 개나 소나 아무렇게나 해도 나기 때문.[2] 그 예로 쓰무(츠모)와 핑후가 같이 인정되지 않으며, 이페커 등의 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페커는 1947년(쇼와 22년) 이후에야 나온 '현대 역'이기 때문. 같은 이유로 더 이상 쓰이지 않는 옛날 역(古役)들이 한국마작에는 아직 남아 있으며, '리치'에 대한 점수 공탁이 없다는 것도 이십이마작과 동일하다. 또한 가끔 역만급 역에 '만관(혹은 대만관)'이라는 점수도 있는 것도 그 영향.[3] 박영우, 안철화의 저서는 양판마작, 신재선의 마작책은 3판마작 기준으로 저술되어 있다.[4] 2001년에 출시된 이후 로고 변경 및 청소년유해매체물 표지, 게임 이용 등급 표지 추가를 제외하면 업데이트가 없었다.[5] 가령 넥서스 마작배우기에서는 멘젠 시 10판, 비 멘젠시 5판을 적용함[6] 룰에 따라 패산이 떨어지는 것 이외에 9종9패, 4풍연타의 도중유국이 있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