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7 11:13:56

한국어의 방언/선어말 어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국어의 방언
한국어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492DA><colcolor=#fff>문자한글 · 옛한글 · 한자 · 한글 점자
표기한글전용 · 국한문혼용체 · 한글 전 한국어 표기 (이두 · 향찰 · 구결) · 맞춤법 (역사)
시대별 분류한국조어 ·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국가별 표준남한 표준 · 북한 표준
방언한국어의 방언
관련 언어 고구려어 · 백제어 · 신라어 · 가야어 · 발해어 · 탐라어 · 제주어 · 육진어 · 한국 수어
관련 문서한국어 문법 · 한국 한자음 · 한국어족 · 한국어의 외래어 · 존비어 문화 · 한자 사용 · 한글의 문제점과 논쟁
한글로 쓸 수 없는 발음 · 한글로 쓸 수 없는 음소
국어기본법 · 점자법 · 한국수화언어법
타 문자
전사
<colbgcolor=#3492DA><colcolor=#fff>한국어의 로마자 표기 · 표기법별 대조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 예일식 표기법 · ISO식 표기법 · 한글학회 로마자 표기법 · 한글을 로마자로 적는 법 · 한세회식 표기법 · 유만근식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 김복문식 표기법 · 양병선식 표기법 · 21세기 표기법 · 국립국어원식 표기법 · 루코프식 표기법 · 홀로도비치 표기법
한국어의 키릴 문자 표기
홀로도비치 표기법 · 콘체비치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법}}}}}}}}}

한국어방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한국어의 방언
분류/초분절 음소/음운 변화/불규칙 활용/선어말 어미/오해
표준
표준어 문화어
국내
서북 방언 육진 방언
동북 방언
황해 방언 영서
방언
영동
방언
경기 방언
충청 방언
서남 방언 동남 방언
제주 방언
해외
중앙아시아 한국어 중국 조선어 재일 한국어 미주 한인어
}}}}}}}}} ||


1. 개요2. -었-3. -겠-
3.1. -(으)크-
4. -어ᇝ-5. -(으)시-
5.1. -어게-
6. -느-7. -드랫-, -댓-8. -어낫-

1. 개요

한국어의 방언의 선어말 어미에 대한 문서이다.

'-었-, -겠-'은 대부분 한국어의 방언(최명옥)을 참고하였으며, 나머지 문단은 각 문단에 출처를 표기했다.

2. -었-

-었-
서북 방언 동북 방언
황해 방언 영서
방언
영동
방언
경기 방언
충청 방언
서남 방언 동남 방언
제주 방언
-었-, -엇-(황해)

과거 선어말어미는 대부분 방언에서 었형, 서북 방언, 동북 방언, 제주 방언에서 엇/어시형이 나타난다. 엇/어시형의 '-엇-'은 자음소, '-어시-'는 모음소와 어울려 쓰인다.

특히 방언마다 '모음소'로 따지는 성분이 다른데, 동북 방언과 제주어는 '-으-'를, 서북 방언은 '-어-'를 모음소로 따진다
  • 동북 방언
    • 밥 먹엇지? (먹- + -엇- + -지)
    • 못 먹어시문 나가자. (먹- + -어시- + -으문)
  • 제주 방언
    • 밥 먹엇주? (먹- + -엇- + -주)
    • 못 먹어시민 나가게. (먹- + -어시- + -으민)
    • 밥 먹엇어예? (먹- + -엇- + -어예)

'-지, -주'처럼 자음소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 '-엇-'이, '-으문, -으민'처럼 모음소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 '-어시-'가 쓰인다.
  • 서북 방언
    • 밥 먹엇디? (먹- + -엇- + -디)
    • 못 먹엇으문 나가자. (먹- + -엇- + 으문)
    • 밥 먹어시요? (먹- + -어시- + -어요)

서북 방언은 특이하게 '-디'처럼 자음소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 '-엇-'이, '-어요'처럼 모음소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 '-어시-'가 쓰인다. '-어서'와 결합해도 '-어시서'라고 활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은 15세기 중세 국어에서 '-엣/에시-'로 나타난다. 여기서 ㅔ는 ㅓ에서 ㅣ로 넘어가는 이중모음이며, 그 원형태는 사실 '-어 잇/어 이시-'다. '잇-/이시-'는 현대 국어에서 '있-'이 되었다. 이에 따라 '-어 잇/어 이시-'를 직역하면 '-어 있-'이 된다.

'이시-'과 '잇-'는 함께 나타나 각각 모음소/자음소 어미와 결합하는 모습이 보인다. 이는 '-엣/에시-'도 마찬가지다. 15세기 후기~18세기는 '-엣/에시-'에서 반모음이 탈락한 '-엇/어시-'가 나타난다. 이들이 그대로 이어져 '-어시/엇-'의 구분으로 남게 된 것이다.
<rowcolor=#fff,#eee> 모음소 앞 자음소 앞
-어 이시-
-에시-
-어 잇-
-엣-
-어시- -엇-
-엇- → -었-
'-었-'이 '-엇-'으로 발음되는 방언은 '있다'의 기저형도 '잇다'로 나타난다. 그리고 '-엇/어시-' 구분이 있는 방언은 '잇다'도 '잇-/이시-'로 구분된다. 또한 '없다'에 해당하는 말도 '없-/없이-'(제주 방언은 '엇-/엇이-')로 구분되는 현상을 보이는데, '이시-'에 이끌려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

중세 한국어의 '-어 잇/어 이시-'는 상태 지속상의 자질을 지니고 있었는데, 현대 한국어의 '-었-'으로 넘어온 것은 과거의 의미로 변화하였고, 줄지 않은 '-어 있-'은 지속상의 자질을 여전히 지니고 있다. 하지만 제주 방언의 '-엇/어시-'는 과거와 지속상의 의미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

제주 방언은 '있다'의 의미로 '시다'가 존재하는데, 이 '시다' 또한 중세 국어의 '이시-/잇-'처럼 '시-/싯-'으로 나타나 각각 모음소/자음소 어미와 결합한다. '싯다(-다), 싯곡(-곡), 시민(-으민), 시난(-으난)'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남한의 모든 방언은 과거 선어말어미 '-었-'과 관형사형 어미 '-는'이 결합한 '-었는'이 사용되는데, 이는 표준 어형으로 '-은'이다. 김태우는 '-었는'이 중부 방언/서남 방언에서 '-은'과 의미가 구분되어 추정/추론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보았으며,[2] 권미영은 동남 방언에서 '-었는'이 과거와 지속상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 보았다.[3]. 동남 방언의 '-었는'은 최근에 중년층을 중심으로 '-언'으로 새로 문법화되어 '했는 것'은 '핸 것', '먹었는 밥'은 '먹언 밥'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3. -겠-

-겠-
서북 방언 동북 방언
황해 방언 영서
방언
영동
방언
경기 방언
충청 방언
서남 방언 동남 방언
제주 방언
-겠-

미래/추측/의도 선어말어미는 대부분 지역에서 겠형, 서남 방언, 충청 방언, 동남 방언에서 '-겄-'형, 황해 방언에서 '-갓-'형이 나타나며, 서북 방언 '-갓-/-가시-'와 동북 방언 '-갯-/-개시-'는 '-었-'과 마찬가지로 자음소/모음소 어미에 따른 교체가 일어난다.

--의 기원은 --과 비슷한데, 우리가 익히 아는 부사형 연결 어미 '-'와 '이시-'의 결합으로 설명된다. '-게'는 중세 한국어에서 양성/음성 모음에 따라 교체되어 '-ᄀᆡ/-게'로 나타났으며, 이 '-게'가 보문소 역할을 하여 '-ᄀᆡ/게 이시-'와 같이 쓰였다고 추측된다. 이는 현대 한국어로 직역하면 '-게 있-'이 된다. ㅔ는 ㅓ에서 ㅣ로 넘어가는 이중모음, ㆎ는 ㆍ에서 ㅣ로 넘어가는 이중모음으로 발음되며 다음과 같은 변화를 거쳤다.
<rowcolor=#fff,#eee> 양성 모음 음성 모음
<rowcolor=#fff,#eee> 모음소 앞 자음소 앞 모음소 앞 자음소 앞
단모음화 -ᄀᆡ 이시- -ᄀᆡ 잇- -게 이시- -게 잇-
-개시- -갯- -게시- -겟-
-겟- → -겠-
반모음 탈락[4] -ᄀᆡ 이시- -ᄀᆡ 잇- -게 이시- -게 잇-
-ᄀᆞ시- -ᄀᆞᆺ- -거시- -것-
-가시- -갓-
-갓- -것- → -겄-
  • 동북 방언
    • 밥 먹갯지? (먹- + -갯- + -지)
    • 못 먹개시문 나가자. (먹- + -개시- + -으문)
  • 서북 방언
    • 밥 먹갓디? (먹- + -갓- + -디)
    • 못 먹갓으문 나가자. (먹- + -갓- + 으문)
    • 밥 먹가시요? (먹- + -가시- + -어요)

3.1. -(으)크-

제주 방언의 '-(으)크- ~ -(으) 커- ~ -(으)ㄹ 커-'는 '-(으)ㄹ 거'에서 기원했으며 '-겠-'과 어원적 연관성이 없으나, 의미는 '-겠-'과 같다 (미래/추측/의도).

'-(으)크-'의 의미가 넓어 인용법 어미 '-젠/젱'(-으려고)을 '의도'의 의미로 사용하여 해결한다. 또한 현대 제주 방언은 육지말에서 들여온 '-겟-'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자음소/모음소에 따른 '-겟-/-게시-' 교체가 발생하지 않고 항상 '-겟-'만 나타난다.
  • 제주 방언
    • 밥 먹으크라? (먹- + -으크- + -이라) → 미래/추측/의도
    • 밥 먹젠? (먹- + -젠) → 의도
    • 먹으 커민 나가게. (먹- + -으 커- + -으민) → 미래/추측/의도
    • 먹젱 허민 나가게. (먹- + -젱 + 허- + -으민) → 의도

4. -어ᇝ-

-어ᇝ-
서북 방언 동북 방언
황해 방언 영서
방언
영동
방언
경기 방언
충청 방언
서남 방언 동남 방언
제주 방언
-어ᇝ-/-엄시-

진행 선어말어미는 오직 제주 방언에서만 나타나며, '-었-'과 마찬가지로 자음소/모음소 어미에 따른 교체가 일어난다.
  • 제주 방언
    • 밥 먹어ᇝ주? (먹- + -어ᇝ- + -주)
    • 못 먹엄시민 나가게. (먹- + -엄시- + -으민)
    • 밥 먹어ᇝ어예? (먹- + -어ᇝ- + -어예)

'-어ᇝ-'의 기원 또한 '-엄'과 '이시-'의 결합으로 설명된다. '-엄'은 제주 방언에서 특징적으로 형성된 보문소이며, 직역 시 '-엄 있다'가 된다. 다만 고대 한국어 연구자들 중 일부는 신라시대의 안민가에서 音叱로 표기된 부분을 이 선어말어미로 해석하기도 한다.[5] '-엄'에서 '-어-'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어서/-어라' 등에서 쓰이는 보조 연결어미이며, '-ㅁ'는 보조사로 분석되나 현재 제주 방언에서 쓰이지 않아 정확히 무슨 구실을 한 건지 알 수 없다. 육지말에서 대응하는 표현은 '-고 있-'이나, '-고 있-'은 '진행상'뿐만 아니라 '완료 지속상'의 자질도 지니는 반면[6], 제주 방언의 '-어ᇝ-/-엄시-'는 '완료 지속상'의 자질이 없고 '진행상' 자질만 있다.

'-어ᇝ-'은 '-엇-'과 '-(으)크-'와 결합할 때 순서가 육지말과 같다.
  • 제주 방언: -어ᇝ- + -어시- + -(으)크- → -어ᇝ어시크-
  • 대응 표준어: -고 있- + -었- + -겠- → -고 있었겠-

중세 한국어에서 '-고 이시/고 잇-'은 진행상으로 쓴 용례가 소수 존재하긴 하나 거의 사용되지 않았고 '-어 이시/어 잇-'이 그 자리를 대신한 경우가 많았다. 육지에서 '-고 잇-'는 중세 한국어 시기를 지나 점차 활발히 사용되기 시작했다. 만약 '-고 이시/고 잇-'이 중세 시대에 활발히 사용되었더라면, 현대에 들어 '먹곴다, 먹곴어'처럼 진행 선어말어미로 '-곴~궀-'을 사용하고 있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5. -(으)시-

-(으)시-
서북 방언 동북 방언
황해 방언 영서
방언
영동
방언
경기 방언
충청 방언
서남 방언 동남 방언
제주 방언
-(으)시-

높임 선어말어미 '-(으)시-'는 제주 방언, 동북 방언을 제외한 모든 방언에서 나타난다. 하지만 제주 방언은 적어도 60여 년 전 육지말의 영향을 받아 '-(으)ㅂ서', -(으)ㅂ주' 등의 높임 어미에서 '-(으)십서', '-(으)십주'와 같은 형태가 나타나기도 한다. 동북 방언도 비슷한 현상이 있을 것이다.

제주 방언은 과거 선어말어미 '-어시-'/진행 선어말어미 '-엄시-'와 높임 선어말어미 '-(으)시-'의 형태가 비슷하여 혼동할 여지가 있기 때문에 '-(으)시-'와 제주 방언은 서로 공존할 수가 없다. 그래서 '-(으)시-'의 활용은 제주 방언에서 매우 제한적으로 쓰인다.
  • 어드레 가시민 (가- + -아시- + 으민)
  • 어드레 가시민 (가- + -(으)시- + 으민) ← 의미 충돌, 사용되지 않음

동북 방언도 과거 선어말어미 '-어시-'/추측 선어말어미 '-개시-'와 의미 충돌이 일어난다.
  • 어디메르 가시문 (가- + -아시- + 으문)
  • 어디메르 가시문 (가- + -(으)시- + 으문) ← 의미 충돌, 사용되지 않음

'-(으)시-'는 '-어요'로 활용되면 '-(으)셔요'가 되는데, 현대 한국어의 모든 방언에서 '-(으)세요' 단모음화 형태 또한 사용된다. 또한 중부 방언에서는 가끔 '-(으)서요'도 사용된다[7].

5.1. -어게-

서남 방언에서 '-(으)시어-'에 해당하는 '-어게-'가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어 겨다'에서 분화하였다. '겨다'는 '있다'의 높임말로 현대 한국어에서는 '-(으)시-'로 굳어진 '계시다'가 남아있다. '먹어게요', '가게도', '봐겠고마' 등은 실제 의미가 '먹으셔요', '가셔도', '보셨구먼'이나, 기원적으로 따졌을 때 먼 옛날에는 '먹어 계셔요', '가 계셔도', '봐 계셨구먼'과 비슷한 용도로 쓰였을 것이다.

'-어게-'는 현재도 끊임없이 활용법과 의미가 변화하고 있으며, 형태가 변해 '-게-'로 나타나거나 '먹게라우(먹- + -게- + -라우)' 일부 지역은 '-(으)시어-'가 아닌 '-(으)시-'의 역할로 사용하기도 하나 일반적이지는 않다. '와게까(오- + -아게- + -으까)'.

6. -느-

먹는다, 빠르다
서북 방언 동북 방언
황해 방언 영서
방언
영동
방언
경기 방언
충청 방언
서남 방언 동남 방언
제주 방언
먹는다, 빠르다

대부분 방언에서 '-느-'는 동사 어간 뒤에 붙어 현재 시제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느-/-는-/-ㄴ-' 등 매우 다양한 형태가 있는데, '-다'를 제외하면 거의 모두 '-느-'가 결합한다. 경기 방언에서 그 결합 방식은 다음과 같다.
  • -는-
    • (동사 어간 자음소) + -는- + -다
      • 먹는다(먹-), 닫는다구(닫-), 훑는다믄(훑-)
    • (동사 어간) + -는- + -구-
      • 먹는군(먹-), 가는구나(가-), 보는군(보-)
  • -ㄴ-
    • (동사 어간 모음소) + -ㄴ- + -다
      • 간다(가-), 본다구(보-), 가린다믄(가리-)
  • -느-
    • '-(으)ㄴ'과 결합할 때
      • 보는(보-), 먹는데(먹-), 가는걸(가-)

전북 북부를 제외한 서남 방언동사 어간 뒤에 자주 '-느-'가 결합하지 않는데 아직 이유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어떤 이는 통사론적 변화로 인해 타방언과 다른 방향으로 분화하였기 때문이라고 보기도 하고, 음운론적 변화로 '-느-'가 탈락했기 때문이라고 보기도 한다.[8] '-느-' 탈락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중앙어와 동일한 형태도 사용된다. 또한 '있다', '없다'는 항상 '-느-'가 결합해야 한다.
  • -는-
    • (동사 어간) + -는- + -구-
      • 먹는군(먹-), 가는구나(가-), 보는구만(보-)
  • -(으)ㄴ-
    • (동사 어간) + -(으)ㄴ- + -다
      • 먹은다(먹-), 훑은다고(훑-), 가린다먼(가리-)
  • 없음
    • '-(으)ㄴ'과 결합할 때
      • 본(보-), 먹은디(먹-), 간걸(가-)

자음소로 끝나는 어간은 '-(으)ㄴ'과 결합하면 현재시제와 과거시제 형태가 동일해지나 둘의 뜻은 다르다. 본~보는(현재 시제) - 본(과거 시제)

제주 방언에서 '-느-'는 육지말과 매우 다른데, '-느-'는 동사, 형용사 둘 다 결합할 수 있다. '-느-/-(으)ㄴ-'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 '-다'를 제외하면 거의 모두 '-느-'가 결합한다. 고영진/현혜림에 따르면 제주 방언의 '-느-'는 '일반적인 진리'를 내포하고 있다[9].
<rowcolor=#fff,#eee> 사실 일반적인 진리
ᄒᆞ라체 -다[10], -(으)녜 -(으)다/-, -
-(으)냐/-(으)니 -냐/-
ᄒᆞᆸ서체 -(으)우다/수다[11] -(으)ㅂ
-(으)우까/수가[12] -(으)ㅂ
  • 동사
    • -다: 여기선 그런 거 안 헌다 <여기선 그런 거 (일반적으로) 안 한다>
    • -(으)녜: 어떤 땐 막 웃느녜 <어떤 땐 (보통) 매우 웃는다>
    • -(으)냐: 그만이 고생 안 허영 살아지느냐? <그만큼 고생 안 해서 (일반적으로) 살 수 있냐?>
    • -(으)니: 그때사 궤기 어디 셩 ᄉᆞᆱ느니? <그때야 (일반적으로) 고기 어디 있어 삶냐?>
  • 형용사
    • -다: 애기동지에는 전렴병이 많은다 <아기동지에는 (일반적으로) 전염병이 많다>
    • -(으)녜: 건 벌겅허느녜 <그건 (일반적으로) 벌겋다>
    • -(으)냐: ᄆᆞᆫ딱 아프주게, 아니 아프느냐? <모두 아프지, (보통) 안 아프니?>
    • -(으)니: 마주목으로이 궤 짠 거 얼마나 좋느니? <멀구슬나무로 궤 짠 거 (보통) 얼마나 좋니?>

제주 방언의 '-느-'는 '화자에게 일반적이라고 느껴지는 일'을 서술하는 기능을 한다. 즉 '밥을 먹은다'는 '일반적으로 밥을 먹는다'를 뜻하여 중앙어 '밥을 먹는다'와 의미가 정확히 대응하지 않는다.

7. -드랫-, -댓-

서북 방언황해 방언은 '-엇-'에 대응하는 말로 '-댓-'이라는 선어말어미도 사용한다. 정인호(2016)에 따르면 '-댓-'('-더라 햇-'이 줄어 굳은 말)이 다른 선어말어미와 구분되는 점은, '-댓-'은 '객관적 회상', '-더-'는 '주관적 회상', '-엇-'은 과거를 나타낸다는 것이다[13]. 또한 '-었었-' 선어말어미가 존재하지 않고 '-엇댓-'을 사용하며, '-어 있-'에 해당하는 '-드랫-'이 사용된다.
  • 서북 방언
    • 안 말레 놓은 디 오래데대시요. (데- + -대시- + -어요)
    • 그때 잠두 안 잣댓디. (자- + -앗댓- + -디)
    • 이 너름에 가드랫수다. (가- + -드랫- + -수다)

충청/경기/영동 방언에서 '-었드랬-'과 '-었었드랬-'이 '-었었-'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8. -어낫-

제주 방언은 표준어 '-었었-'에 대응하는 선어말어미가 없어 과거완료 표현으로 '-어낫-'을 사용한다. 보조 용언 표현 문단 참고.
  • 제주 방언
    • 경 헤나시난 영 뒈엿주. (허- + -여나시- + -으난)


[1] 나 올 때까지 다 모아 있어.[2] ‘-었는’의 발달에 대한 관견[3] 경상방언 관형형 ‘-었는’의 기원과 실현 양상 연구[4] '이시다'에서 '이'가 탈락했을 때 '-ᄀᆡ'와 '-게'의 반모음 \[j\]가 함께 탈락하여 '-ᄀᆞ', '-거'가 나타난 것이다.[5] 다만 양주동은 이두문의 전통적인 풀이법을 따라 '-잇-'으로 해석했다.[6] 옷을 입고 있다. (진행상: 옷을 입는 행동을 하는 중이다.), (완료 지속상: 옷을 입어서 그 상태로 있다.)[7] 중부 방언의 경어법 p.51[8] 서남방언의 ‘-느-’ 탈락의 형태음운론적 해석 - 교체의 단순화 및 유추 변화의 관점에서 -[9] 제주도 방언의 형용사에 나타나는 두 가지 현재 시제에 대하여(고영진), 제주도 방언의 상대높임과 ‘-느-’-‘-수다’와 ‘-읍네다’는 어떻게 다른가?(고영진), 제주 방언의 종결형에 나타난 시간 표현 연구(현혜림)[10] 동사는 '-어ᇝ저, -어ᇝ다' 사용[11] 동사는 '-어ᇝ우다/어ᇝ수다, -(으)우다' 사용[12] 동사는 '-어ᇝ우까/어ᇝ수가, -(으)우까' 사용[13] 평북방언의 선어말어미 고찰(정인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0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0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