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1-07-14 19:15:19

한자 우월론

1. 개요2. 주요 주장3. 주요 반론4. 관련 문서

1. 개요

한자 우월론[1]이란 표의문자, 표어문자한자가 다른 표음 문자에 비해 뛰어나다는 주장 또는 생각을 말하며, 소수설로 전혀 인정되고 있지 않거나 심각한 비판을 받고 있다. 또한 일부 중국인이 한자 우월론의 관점을 취하고 있으며 때로는 대한민국에서 한글 전용이나 한자 폐기 등에 대한 주장이 나올 때 거기에 반대하는 근거로 한자 우월론이 이용되기도 한다.

2. 주요 주장

대한민국의 한글 전용 정책을 편협한 민족주의라고 비판하는 사람도 있다.
漢字は形態素表記文字であるから このような漢字表記も一種の共通語である.この共通語圏から早くもヴェトナムが離脱したのが他律的だったとしても, 「自律的に」 離脱した朝鮮は実に愚かとしか言いようがない.もっとも漢字という他民族の文字を用いることを不名誉と感じるかどうかという問題がある.

한국인 정서에는 타민족의 문자인 한자를 사용하는 것을 불명예로 여기는 문제가 있다.
간노 히로오미

3. 주요 반론

우선 문자로서 '한자'가 표의문자, 표어문자라는 통념과 달리, 한자 역시 중국어의 음을 표기하는 표음문자의 일종에 지나지 않는다는 반론이 있다. 이 견해에 따르면, 한자는 다른 표음문자와 달리, 문자와 발음의 관계가 극히 희박하고 추상적인 표음문자의 일종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한자가 가진 시각적 상징성도 한자만의 특징이 아니며, 한글의 낱자나 영어 알파벳도 상징성을 띠는 경우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 '낫', '낯', '낱' 등 발음이 같으면서 기저음에 따라 형태소 표기가 각기 다른 형태주의 표기법이 이런 상징성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한글이라고 해서 표의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한글 맞춤법은 서유럽 언어학계에서 형태음소론이라는 것이 체계화되기 전에 마련됐지만, 놀랍게도 형태음소론의 이론이 그대로 반영돼 있다. 즉 한글 맞춤법에서 하나의 형태소는 늘상 동일한 형태를 갖게 돼 있다. 독립적으로 발화되면 똑같이 〔낟〕이라고 발음되는 낟, 낫, 났, 낮, 낯, 낱 따위 말들의 맞춤법을 구별하는 것이, 한글 맞춤법의 형태음소론적 성격을 또렷이 드러내는 예로 흔히 거론된다. 이런 낱말들의 맞춤법은 표음 기능만이 아니라 표의 기능까지 겸하고 있는 것이다.
고종석, 〈한자에 대한 단상〉

또한 베트남어한국어, 좡어 등의 언어에서, 한자를 쓰지 않아도 언어생활에 큰 불편을 겪지 않는다는 점도 지적되고 있다.
이 개혁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중국인의 한자우월론과 쇼비니즘을 배제할 필요가 있다. 한자사용을 제한하면 전통문화를 지킬 수 없다는 논리는 기우에 지나지 않는다. 한자문화권인 일본은 한자제한을, 한국과 베트남은 한자사용을 폐지했으나, 경제발전과 문화전승에 아무런 지장도 없다.
텐진이공대학 후베이, 〈국제화와 중국어의 국제화〉

4. 관련 문서


[1] 漢字 優越論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