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독일 연방해군 (1956~현재) Bundesmarine | ||||
<colbgcolor=#808080> [[잠수함| 잠수함 ]] | <colbgcolor=#808080> '''[[잠수정| SSM ]]''' | U202급V/R | U240급R | |||
SS | {U212CD급} | U212급 | U206급R | U205급R | U201급R | ||||
구잠정 | 421 한스 뷔르크너급R | 420 테티스급R | ||||
어뢰정 (PT) | S149 질버뫼베급R | S142 조벨급R | S141 지아들러급R | S140 야구어급R | S153 페일급V/R | S152 나스티급V/R | ||||
'''[[미사일 고속정| 미사일 고속정 (FACG) ]]''' | S148 티거급R | S143A 게파트급R | S143 알바트로스급R | ||||
'''[[초계함| 초계함 ]]''' | ''' PCG ''' | K130 브라운슈바이크급 | |||
'''[[호위함| 호위함 ]]''' | FF | ||||
''' FFG ''' | {F127급} | {F126 니더작센급} | F125 바덴-뷔르템베르크급 | F124 작센급 | F123 브란덴부르크급 | F122 브레멘급R | ||||
[[구축함| 구축함 ]] | DD | Z101 함부르크급R | Z119 체르슈퇴러 1급R | |||
''' DDG ''' | Z103 뤼첸스급R | ||||
기뢰전함 | '''[[기뢰함| 기뢰함 (MLS) ]]''' | MJ370급R | |||
''' 소해함 (MSH) ''' | MJ352 엔스도르프급 | MJ351 울름급R | MJ343 하멜른급R | MJ341 스콜피온급R | MJ340 크레브스급R | MJ362급R | MJ369급R | MJ368급R | MJ359 슈츠급R | MJ319급R | ||||
'''[[소해함| 연안 소해함 (MSC) ]]''' | MJ321 페게자크급R | MJ320 린다우급R | ||||
''' 기뢰 탐색함 (MCM) ''' | MJ333 쿨름바흐급R | MJ332 프랑켄탈급 | MJ331 풀다급R | 339급R | ||||
''' 수로 소해함 (MSI) ''' | MJ394 프라우엔롭급 | MJ393 아리아드네급R | MJ392 한자급R | MJ391 니오베급R | MJ390 호니스급R | ||||
상륙함 | ''' LSD ''' | 555급R | |||
''' LSM ''' | 551급R | 550급R | 502급R | ||||
상륙정 | ''' LCM ''' | 521급R | 520 바르베급R | |||
'''[[군수지원함| 지원함 ]]''' | ''' 수송함 (AP) ''' | A762 작센발트급R | A764급R | A760 베스터발트급R | |||
모함 | A404 엘베급 | A403 란급(AS)R | A402 모젤급R | A401 라인급(AGP)R | A419 오스트급R | ||||
''' 급유함 (AO) ''' | {A707급} | A704 뢴급 | A703 발첸제급R | A702 베를린급 | A701 뤼네부르크급R | ||||
''' 급탄함 (AE) ''' | A706 슈바르츠발트급R | ||||
''' 수리함 (AR) ''' | A708급R | ||||
''' 청수함 (AW) ''' | A705급R | ||||
''' 어뢰 회수정 (AVR) ''' | A430급R | A439급R | A438급R | ||||
''' 해상 크레인 (YD) ''' | A711 히에프급 | A719 멤메르트급R | ||||
''' 정보 수집함 (AGS) ''' | {A424급} | A423 오스테급 | A422급R | ||||
지원정 | 725 노드스트란트급(YTB) | 724 쥘트급(YTB) | 723 뤼체 호른급(YTL)R | ||||
예인선 (AT) | 722 방어루그급 | 720 헬골란트급R | 729 파사트급R | ||||
다목적함 | 748 슈베데넥급 | 745 스톨러그룬트급 | ||||
훈련함 | {442급} | 441 고르히 포크 | 440 도이칠란트R | 138급R (블랙 스완급/헌트급) | 241 빌헬름 바우어R | ||||
무인함 | '''[[USV| USV ]]''' | 소노봇 5 | |||
'''[[UUV| UUV ]]''' | 시캣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V: 시험평가용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1. 개요
독일에서 개발된 구축함.2. 제원
함부르크급 구축함 Hamburg-Klasse Zerstörer | |||
| |||
<colbgcolor=#eee> 함종 | <colbgcolor=#FFF>구축함 | ||
이전급 | 체르슈퇴러 1급 | ||
다음급 | 브란덴부르크급 | ||
기준배수량 | 3,500톤 | ||
만재배수량 | 4,700톤 | ||
전장 | 133.7m | ||
전폭 | 13.4m | ||
흘수선 | 5.2m | ||
동력 | <colbgcolor=#eee> 기관 | Wahodag 보일러 4기 증기터빈 2기 | |
속도 | 35노트 | ||
항속거리 | 18노트 순항시 3,400해리 | ||
승무원 | 승조원 243명 사관 31명 | ||
''' 레이더 ''' | 사통 | HSA 레이더 | |
소나 | 1BV2 | ||
무장 | 함포 | DCN 100mm/L55 함포 3문 브레다 Mod 64 40mm/L70 2연장 함포 2문 | |
대함 | 4연장 대함 미사일 경사발사대 2기 ┗ MM38 엑조세 8발 | ||
대잠 | 보포스 375mm 4연장 대잠박격포 4문 533mm 어뢰발사관 4문 폭뢰 투하 궤도 2문 ┗ 폭뢰 20발 |
3. 상세
함부르크급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에서 건조된 유일한 구축함이다.[1][2] 서독 해군에 존재하던 수상함 배수량 3,000톤 제한이 6,000톤으로 완화되면서 건조되게 된 함선이다.현재는 브란덴부르크급 호위함으로 대체되어 전 함이 퇴역하였다.
4. 동형함 목록
함명은 독일의 각 주(州)에서 따왔다.독일 연방해군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퇴역일 | 상태 | |
1 | D181 | FGS[3] 함부르크 (Hamburg) | 1959년 1월 29일 | 1960년 3월 26일 | 1964년 3월 23일 | 1994년 2월 24일 | 퇴역 |
2 | D182 | FGS 슐레스비히-홀슈타인 (Schleswig-Holstein) | 1959년 8월 20일 | 1960년 8월 20일 | 1964년 10월 12일 | 1994년 12월 15일 | |
3 | D183 | FGS 바이에른 (Bayern) | 1961년 2월 15일 | 1962년 8월 14일 | 1965년 7월 6일 | 1993년 12월 16일 | |
4 | D184 | FGS 헤센 (Hessen) | 1961년 2월 5일 | 1963년 5월 4일 | 1968년 10월 8일 | 1990년 3월 29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