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help는 "돕다", "도움"을 나타내는 영어 단어이다.the를 붙인 the help는 "가사 도우미"를 의미하기도 한다. 아래 영화 영화의 제목은 그 의미로 붙은 것이다.
굴절형은 help-helped-helped로 '-ed' 규칙형이다. 고대 영어 시기에는 helpan - healp - holpen 식으로 모음 교체를 하여 제3류 강변화 동사에 속했으나 규칙화되었다.[1]
2. 구문
3형식 구문에서는 "[도와주는 사람] help [도움받는 사람] with [도움받을 일]" 식으로 자주 쓰인다. 한국어 '돕다'와는 달리 목적어로는 항상 [도움받는 사람]이 오고 "숙제" 따위의 [도움받을 일]이 올 수 없다. 그래서 "숙제 좀 도와줘"를 "Please help my homework"로 쓰는 오류가 종종 발생한다고 한다. # 단, 명사 목적어로 [도움받을 일]을 쓸 수 없다는 것이지 동사 원형/to 부정사로는 [도움받을 일]을 쓸 수 있다.#문법적으로는 준사역동사로 "[도와주는 사람] help [도움받는 사람] [동사]" 구문으로 쓸 때 동사 자리에 원형과 to 부정사를 모두 쓸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청자를 대상으로 한 명령문으로써 자기를 도와달라는 뜻으로 "Help me"가 자주 쓰인다.
3. 발음
발음은 /hɛlp/이며 한글로는 '헬프'라고 적는다. 다만 [l]의 발음 특성상 '헤업' 심지어 '해협'처럼 들리기도 하고 그렇게 말해야 알아듣더라는 이야기가 한국에서 자주 이야기된다. help에서와 같이 연구개성을 띠는 [l]을 ɫ(연구개화 설측 치경 접근음)이라고 한다. 흔히 '어두운 L'(dark L)이라고 하는데 한국인한텐 'ㅓ' 비슷하게 들리는 특징이 있다. 다만 헬프라고 한다고 못 알아듣는 것은 아닌데, 애초에 '어두운 L'은 그저 L의 변이음일 뿐 다른 음소가 아니기 때문이다. 'milk'도 비슷하게 '밀크'보다는 '미역'에 더 가깝다는 썰이 있다.4. 복합어
행위주 접미사 '-er'이 결합한 helper라는 단어가 있다. 2020년대 한국에서는 리그 오브 레전드 관련 불법 보조 프로그램을 가리키는 용법으로 자주 쓰였다.help desk는 지원 시스템을 뜻한다. 한국에서는 전산 쪽에서 외래어로 자주 쓴다. 대학교에서도 이 단어를 쓰곤 한다.
5. 한국에서
한국에도 널리 알려진 영어 단어 중 하나이다. '헬프 요청'[2], '헬프 치다' 식으로 자주 쓴다. 간혹 '헬'이라고 줄이기도 한다. 주로 도움받는 입장에서 도움을 요청할 때 쓰고 자기가 도와줄 때는 '헬프'라는 말을 잘 쓰지 않는다. 이따금씩 "헬프해드릴게요" 하는 표현이 쓰이기도 한다. "헬프해" 검색 결과우리말샘에는 도움말이 표시된 화면을 뜻하는 말로 '헬프 화면'이 실려있다.
왈도체 중 'Help!'를 동사가 아닌 명사로 '도움!'이라고 한 것이 유명하다. 단, 문서를 참고하면 '도움!'은 왈도체의 유래가 된 마이트 앤 매직 6의 오역은 아니고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의 왈도체 풍 패러디에서 왔다는 모양이다.
6. 동음이의어
6.1. 헬프(The Help), 미국 드라마 영화
6.2. Help!, 비틀즈의 음반과 동명의 곡(Help!)
6.3. 헬프증후군(HELLP症候群), 임신중독증의 한 증상
용혈, 간 기능 장애, 혈소판 감소증이 함께 나타나는 증후군. 'HELLP'는 용혈(hemolysis), 간 기능 장애(elevated liver enzymes), 혈소판 감소증(low platelets)에서 앞글자를 딴 두문자어이다(우리말샘).
6.4. 헬프 대학교(HELP University), 말레이시아의 대학교
교명 HELP는 Higher Education Learning Philosophy의 두문자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