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3 21:16:39

혼불(BL)/등장인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혼불(BL)
등장인물 · 설정 · 단행본 · 굿즈 · 드라마 CD · 웹툰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나례청
1.1. 축역부1.2. 암행부1.3. 제구부1.4. 정화부1.5. 관계자
2. 벽사단3. 재겸의 식구들4. 그 외 등장인물

1. 나례청

1.1. 축역부

  • 부장 석주련 - 성우: 이미형
    스트레스로 인해 만성 두통에 시달리고 있어 진통제를 밥처럼 먹고 있다. 부하를 끔찍하게 아끼지만 남을 잘 못 믿는 성격. 윤원중이 죽을 때 어린 태희를 죽이지 않고 못 본 척 해주었다.
  • 제1팀 수석 윤태희 - 성우: 박기욱
    본작의 주인공(攻).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
  • 제1팀 선임 표지호 - 성우: 이승행
  • 제1팀 주임 강이빈 - 성우: 김채하
    26세. 암행부 출신이라고 한다.
  • 제1팀 주임 고준형
  • 제1팀 김시현
  • 제1팀 수습 김재겸 - 성우: 김다올
    본작의 주인수(受).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
  • 제2팀 최 수석
  • 제2팀 선임 한주영 - 성우: 허예은
    7년 차 나자. 20대 중반. 석주련의 직속 부하.

1.2. 암행부

  • 부장 최원영
  • 심기정 - 성우: 이세레나
    허스키한 목소리의 소유자. 머리는 거의 반삭 수준으로 짧고, 입술에 어두운 보라색 립스틱을 발라서 난해하고 아주 강렬한 인상을 줬다. 재겸에게 골드패스를 준 1차 나자 시험 감독관.
  • 제3팀 나자 홍민재
  • 제4팀 수습 임효문 - 성우: 정의한
    초라니 출신. 재겸이 번호표를 꽂기 위해 분주할 때 도와 준 탈색남. 재겸이의 나례청 동기로 재겸에게 프렌즈팡을 알려준 인물이다. 재겸을 칠칠이라고 부르며 인생 선배 행세를 하지만 사실은 상당히 눈치가 없는 편이다. 윤태희에 의해 혼란스러운 재겸에게 나름 연애상담을 해주기도 한다.

1.3. 제구부

  • 제1팀 수석 이영신 - 성우: 석승훈
    윤태희와 친구 사이로, 윤태희보다 1년 일찍 나례청에 입청해 먼저 선임 직급을 달았으나 윤태희가 초고속 승진을 하게 된 케이스. 그러나 이영신은 자신의 능력에 여유와 확신이 있었기에 개의치 않았고, 이후 윤태희에 이어 수석을 달았다.
  • 제1팀 주임 신서영
    축역부 황 선임과 동기.
  • 제1팀 주임 박수원

1.4. 정화부

  • 도나영. 신입 OT 진행.
  • 지원자 노병준. 27세.

1.5. 관계자

  • 정한석
    관제실 나자 중 가장 오래 일한 나자. 근무 성실도가 좋지 못하다.
  • 전옥례
    명부실 서기. 79세. 나자들에게는 '옥례 씨'라고 불린다. 나자들이 제출한 목폐에 하나하나 직접 주술을 걸어 명부실에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아홉수에 굉장히 집착을 하며 아홉수가 돌아올 때마다 음력 4월부터 7월까지 석 달간 산속 암자로 피신을 간다.
  • 옛 나자
    • 묘정 - 성우: 전승화
    • 휘림
    • 수향
    • 부적부 윤원중
      윤태희의 양아버지.
    • 채 주임
      복지사로 위장하여 태희에게 접근했다.

2. 벽사단

  • 단주 윤태희
    바깥에 모습을 드러낼 적이면 항상 적색 두루마기를 걸치고 나타난다.
  • 영귀
    • 패현 - 성우: 박준원
      윤태희가 부리는 귀신. 오래 묵은 검귀(劍鬼)이다. 정적인 성격을 가졌으며, 허리까지 내려오는 긴 생머리에 옛날 비단 한복 복식을 하고 있다. 태희와 나자가 되기 전 어린 시절부터 알고 지낸 사이. 자신의 그림자가 없다는 사실을 알고도 공포에 질리지 않은 태희와는 나자가 되어서도 변함없이 가깝게 지낸다.
      윤태희가 "검신은 피를 받아 마셔라."라고 말하면 검이 되는데, 패현은 수많은 인간의 피를 마신 검에 혼이 들러붙어서 생겨난 영귀이자 존재 자체가 검신(劍神)으로, 모든 것을 벨 수 있다.

    • 새로 - 성우: 박준형
      파일:혼불 새로.webp

      “영귀, 새로가 왔슴다. 태희 님.”

      윤태희가 부리는 귀신. 선혈로 그 대상의 과거 내력을 알아낼 수 있다. 볼 때마다 새롭고 해괴한 헤어스타일과 복장을 하고 있다. 귀신답지 않게 호기심도 많고 새로운 것을 좋아하며 인간에게 호의적인 영귀 중 하나이다. 패현과는 정반대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붙여 놓으면 으르렁댄다.

    • 흑제 - 성우: 황동현
      윤태희가 부리는 귀신. 새하얀 백의 복식을 한 몽마(夢魔). 그림자 속에서 기생하며 꿈을 주무른다. 낮에는 그림자의 형태로 옮겨다니다가 밤에는 타인의 꿈 속을 왕래하며 구경하는 것을 좋아한다. 또한 따로 꿈을 만들거나 조종할 수도 있다. 패현, 새로와는 다르게 말 수가 적고 태희의 명을 그저 받든다.

    • 연옥
      헬멧을 뒤집어쓴 듯한 바가지 머리에 꽃무늬 티셔츠 복장, 등에는 제 덩치보다 훨씬 큰 거문고를 가벼운 가방처럼 짊어지고 있다. 뺨에 주근깨가 나 있고, 앞니 두 개가 빠진 예닐곱 살 쯤의 아이의 외양을 하고 있다.

    • 형운
      앞섬 저고리를 풀어헤쳐 가슴을 드러낸 복식. 옆구리에 술 동이를 끼고 있고, 허리춤에 차고 있는 두꺼운 가죽 주머니 안에 술을 빚고 남은 술 지게미가 있다. 덩치가 몹시 우람하다.

    • 다가
      댕기 머리를 곱게 땋은 복식. 치마 자락 속의 큼지막한 손작두가 있다.

3. 재겸의 식구들

  • 메산 - 성우: 손선영
    파일:혼불 메산.webp

    마음이 여리고 순수한 산삼 동자. 외형은 꼬마아이 모습이지만 나이는 웬만한 영물들보다 많다. 명상 후 토를 하면 이슬로 이루어진 약수가 만들어지는데 이를 마시면 어떤 상처라도 낫게 된다. 재겸이네 집에서 살고 있는 영물로 산이 가까운 곳에서 살아야 한다. 나례청의 계략으로 쫓기게 됐을 때 자연과 융합하여 위기를 모면하려고 했다. 아이스크림을 좋아한다.
  • 정주 - 성우: 정주원
    파일:혼불 정주.webp

    재겸이와 메산이의 보호자 겸 연예인. 호족(은빛 여우)으로 약 100년 정도 살았다. 자본이 약한 둘의 생활을 담당하고 있다. 재겸이 학교에 입학할 수 있도록 손을 쓴다.
  • 유남생
    남생이.깽알이 덕삿골에서 살다가 태풍에 휩쓸려 충청도의 산까지 날아왔다. 산신에게 동굴을 지키라는 명을 받고 수백 년간 지켰는데 말이 너무 많아 도사들에 의해 주술이 걸려 할 수 있는 말이라곤 "깽알."밖에 없었다. 재겸이 "깽알."이라고 말을 따라하자 주술이 풀리게 되었다. 이후부터 재겸을 따른다.

4. 그 외 등장인물

  • 시시
    무신도(巫神圖) 속에 살던 . 태희와의 계약으로 왼쪽 손목에 문신이나 실 팔찌처럼 손목을 감싸고 있는 가느다란 검은 뱀의 형태로 남아 태희의 가신이 되었다. 이 덕분에 윤태희는 온갖 불운을 피할 수 있었다.
  • 신지혜
    반(半)인어이면서 모델 출신. 인어인 어머니와 인간인 아버지에서 태어난 반인어. 인어를 사랑한 아버지가 자신의 쓸개를 주고 인간이 된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아비가 노름에 빠져 어머니는 다시 바다로 돌아가게 되었고 그로 인해 신지혜는 사랑을 믿지 않게 됐다. 인간인 은경이를 짝사랑하는 중.
  • 대륭고등학교
    • 조영우 - 성우: 황동현
      대륭고등학교의 귀재 중 하나. 어려서부터 몸이 허약해 학교에 자주 빠지다 보니 친구를 깊게 사귀지 못했으나, 새로 전학온 재겸과 친해지려 노력한다.
    • 이주열 - 성우: 박준형
    • 학년 주임 - 성우: 박준원
    • 담임 서 선생
    • 문학담임 김 선생
    • 최 선생
  • 나자의 가족
    • 윤기준. 부적부 나자 윤원중의 죽은 아들.
    • 정덕철. 임효문의 아버지. 임효문은 어머니의 성을 따랐다고 한다. '정덕철의 왕돈까스' 사장.
  • 일반인
    • 은경. 신지혜의 짝사랑녀.
    • 박상준. 신지혜의 일행. 이태원에 산다고 한다.
    • 김시우. 다도해 최남단에 위치한 거여도에 사는 7세 소녀.
  • 경찰계
    • 김 경장
  • 기업계
    • 복지재단 김예권 대표. 예움아트센터 소유주.
    • 세강 기업 장필영 회장
    • 세강 기업 김선재 비서실장
    • 주경 건설 사장
  • 무당계
    • 여혜 선사
    • 김석철
    • 서정탁
  • 정치계
    • 허용식 장관

  • 조폭
    • 김성훈
    • 얌생이
    • 털모자를 쓴 남자
    • 빡빡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