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9 13:35:36

052D형 구축함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현대의 중국인민해방군 해군 군함 파일:중국 인민해방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잠수함 재래식 <colbgcolor=#fefefe,#191919>031형, 033형, 035형 밍급, 039형 쑹급, 킬로급, 039A/041형 위앤급, 032형 칭급
하이브리드 {041형 주급}
SSN 091형 한급, 093형 샹급
SSGN {095형 쒜이급}, {097형}
SSBN 092형 샤급, 094형 진급, {096형 탕급}
고속정 062형 상하이I/II급, 062I형 상하이 III급, 037형 하이난급, 037I형 하이칭급
어뢰정 123형, 02형, 025형
미사일 고속정 021형, 024형, C14급, 037IG형 허우신급, 037II형 허우지엔급, 022형 후베이급
초계함 056(A)형 쟝다오급
호위함 053K형 장동급, 053(H · H1 · H2 · H1Q · H1G)형 지앙후(I · II · III · IVT · V)급,
053H2G형 장웨이 I급, 053H3형 장웨이 II급, 054(A)형 장카이 (I · II)급, 054B형
구축함 구축함 6607형, 051형 루다급, 항저우급, 052형 루후급, 051B형 루하이급,
052B형 루양 I급
방공구축함 051C형 루저우급, 052C형 루양 II급, 052D형 루양 III급, 055형 르언하이급
상륙정 067형 윈난급S, 069형 위친급S, 724형 징사 II급 LCAC, 726형 위이급 LCAC, 728형
상륙함 LHA 075형 위션급, {076형}
LPD 071형 위쟈오급
LST 072형 위칸급, 072(II · III · A)형 윈칭(I · II · III)급
LSM 074형 위하이급, 073(II · IIY)형 위다오급, 073III형 위덩급, 073A형 윈슈급, 079형 위량급
기뢰소해함 010형, 081형 워치급, 082형 워사오급, 082II형 워장급
군수지원함 903(A)형 푸치급, 904(A · B)형 따윤급, 905형 푸칭급, 908형 칭하이후, 901형
항공모함 001형 랴오닝, 002형 산둥, {003형 푸젠}, {004형 항공모함}
갈색 글자: 퇴역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윗첨자S: 비축 함선
취소선: 계획으로만 끝났거나 취소된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Type-052D_Destroyer.2.jpg
파일:type-052d-luyang-iii-ddg-172-kunming.jpg

1. 개요2. 제원3. 상세
3.1. 성능개량 사업
4. 수출
4.1. 알제리
5. 동형함 목록
5.1. 형식
5.1.1. 052DL5.1.2. 052DM
6. 사건 사고7. 대중매체8. 관련 문서

1. 개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방공 구축함. 052C형 구축함의 개량형이며, NATO 코드명으로는 루양 III급(Luyang III-class)이라 불린다.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이 70척을 넘어가는 숫자로 미 해군의 수적 주력이듯이, 052D형 구축함 역시 30척을 넘게 확보할 예정으로 중국 해군의 수적 주력으로 여겨진다.

2. 제원

052D형 구축함
052D型导弹驱逐舰 
만재배수량 7,500톤
전장 156-157m(초기형)
161m(선체 연장형)
전폭 18m
흘수선 6m
승조원 약 280명
추진 방식 CODOG
기관 QC-280 가스터빈 2기
MTU-20 V956 TB92 디젤엔진 2기
속력 30노트(56km/h)
항속거리 15노트(28km/h)로 8,300km
레이더 H/LJG-346A 4면 고정 AESA 레이더[1]
H/LJQ-364 대수상/저고도 레이더[2]
H/LJQ-517 조기경보 레이더[3]
H/LJQ-366 다목적 레이더
H/LJP-344 함포 사격통제 레이더
전자전 H/RJZ-726 전자 대항 시스템
18연장 H/RJZ-726-4 전자 교란기 발사 장치 4기
소나 고정 H/SJD-9 능동/수동 소나
예인 SJG-311 능동/수동 예인 소나
무장 함포 H/PJ-38 130mm 함포 1문
VLS 64셀(전방 32셀, 후방 32셀)
HHQ-9B 함대공 미사일
YJ-18 대함 미사일
YJ-100 순항 미사일
CY-5 대잠 미사일
CIWS HQ-10 24연장 발사기
H/PJ-12 730식 CIWS
H/PJ-11 1130식 CIWS [4]
대잠 7424형 3연장 324mm 어뢰 발사관 2기
탑재 항공기 카모프 Ka-28 또는 하얼빈 Z-9C ASW/SAR(Batch-I, Batch-II) 1기
하얼빈 Z-20F 1기(Batch-III, Batch-IV)
탑재 수상정 고속단정 2척

3. 상세

130mm 함포와 서방식으로 만든 64기의 VLS를 탑재하고 있으며, 소자를 더 많이 배치한 AESA 레이더를 장착하고 있다.

중국군은 052D형을 총 30척 이상 건조할 계획으로 알려져 있다. #[5] 2019년 기준으로 이미 20척을 넘겼으며 # 2021년 한해에만 카이펑(開封), 쑤저우(蘇州), 화이난(淮南), 난닝(南寧) 등 4척을 취역시켰다. #

# 2024년 현재 25척이 취역 중이고 추가로 13척을 확보할 계획인 듯하다.

2024년 다렌 조선소에서 5척이 동시에 건조되는 모습이 포착됐다. #

3.1. 성능개량 사업

2023년 3월에 네임쉽이자 첫번째로 건조한 쿤밍함에서 대규모 개수[6]를 진행중인데.출처 쿤밍에서 개량이 되면 배치 2까지 적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4. 수출

4.1. 알제리

#

5. 동형함 목록

052D형 구축함
함번 함명 조선소 진수일 취역일 소속 상태
Batch-I
1 172 昆明
(쿤밍)
장난 조선소 2012년 8월 30일 2014년 3월 21일 남부전구해군 현역
2 173 长沙
(창사)
장난 조선소 2012년 12월 18일 2015년 8월 12일 남부전구해군 현역
3 174 合肥
(허페이)
장난 조선소 2013년 7월 1일 2015년 12월 12일 남부전구해군 현역
4 175 银川
(인촨)
장난 조선소 2014년 3월 28일 2016년 7월 12일 남부전구해군 현역
5 117 西宁
(시닝)
장난 조선소 2014년 8월 26일 2017년 1월 22일 북부전구해군 현역
6 154 厦门
(샤먼)
장난 조선소 2014년 12월 30일 2017년 6월 10일 동부전구해군 현역
7 118 乌鲁木齐
(우루무치)
장난 조선소 2015년 7월 7일 2018년 1월 북부전구해군 현역
8 119 贵阳
(구이양)
다롄 조선소 2015년 11월 28일 2019년 2월 22일 북부전구해군 현역
Batch-II
9 155 南京
(난징)
장난 조선소 2015년 12월 28일 2018년 4월 2일 동부전구해군 현역
10 131 太原
(타이위안)
장난 조선소 2016년 7월 28일 2018년 11월 29일 동부전구해군 현역
11 161 呼和浩特
(후허하오터)
장난 조선소 2016년 12월 26일 2019년 1월 22일 남부전구해군 현역
12 120 成都
(청두)
다롄 조선소 2016년 8월 3일 2019년 11월 22일 북부전구해군 현역
13 121 齐齐哈尔
(치치하얼)
다롄 조선소 2017년 6월 26일 2020년 8월 14일 북부전구해군 현역
Batch-III(052DL)
14 156 淄博
(쯔보)
장난 조선소 2018년 8월 14일 2020년 1월 12일 동부전구해군 현역
15 122 唐山
(탕산)
장난 조선소 2018년 7월 7일 2020년 8월 14일 북부전구해군 현역
16 132 苏州
(쑤저우)
장난 조선소 2018년 12월 19일 2021년 1월 동부전구해군 현역
17 123 淮南
(화이난)
장난 조선소 2019년 4월 15일 2021년 2월 북부전구해군 현역
18 162 南宁
(난닝)
장난 조선소 2019년 2월 23일 2021년 4월 15일 남부전구해군 현역
19 163 开封
(카이펑)
다롄 조선소 2019년 5월 10일 2021년 9월 남부전구해군 현역
20 164 桂林
(궤이린)
장난 조선소 2019년 9월 26일 2021년 9월 남부전구해군 현역
21 165 湛江
(잔장)
다롄 조선소 2019년 5월 10일 2021년 12월 25일 남부전구해군 현역
22 133 包头
(바오터우)
장난 조선소 2019년 8월 28일 2021년 12월 28일 동부전구해군 현역
23 163 焦作
(자오쭤)
장난 조선소 2019년 12월 28일 2022년 1월 17일 남부전구해군 현역
24 134 绍兴
(사오싱)
다롄 조선소 2019년 12월 26일 2022년 2월 동부전구해군 현역
25 157 丽水
(리수이)
다롄 조선소 2020년 8월 30일 2022년 6월 동부전구해군 현역
Batch-IV(052DM)
26 135 达州
(다저우)
장난 조선소 2022년 12월 28일 2024년 말 동부전구해군 현역
27 125 沧州
(창저우)
다롄 조선소 2023년 3월 11일 2025년 3월 10일 북부전구해군 현역
28 126 菏泽
(허쩌)
다롄 조선소 2023년 3월 11일 2025년 7월 27일 북부전구해군 현역
29 127 驻马店
(주마뎬)
다롄 조선소 2023년 4월 2025년 7월 27일 북부전구해군 현역
30 166 渭南
(웨이난)
장난 조선소 2023년 8월 28일 2025년 3월 남부전구해군 현역
31 158 宿州
(쑤저우)
장난 조선소 2023년 12월 25일 2025년 5월 말 동부전구해군 현역
32 176 娄底
(뤄디)
다롄 조선소 2024년 1월 28일 2026년 (예정) 남부전구해군 진수
33 177 铜川
(퉁촨)
장난 조선소 2024년 3월 2026년 (예정) 남부전구해군 진수
34 다롄 조선소 2024년 5월 17일 2026년 (예정) 진수
35 장난 조선소 2024년 7월 2026년 (예정) 진수
36 장난 조선소 2025년 3월 2027년 (예정) 진수
37 다롄 조선소 2025년 4월 15일 2027년 (예정) 진수
38 장난 조선소 2025년 (예정)

5.1. 형식

파일:1000008730.jpg
위 052D (Batch-1,2)
중간 052DL (Batch-3)
아래 052DM (Batch-4)

5.1.1. 052DL

052D형 Batch-3에 해당하는 052DL은 Z-20을 운용하기 위해 헬기갑판을 4m 연장하고 격납고를 개량한 형태다.
추가로 연돌 뒤에 있는 철망 같이 생긴 517형 레이더(H/LJQ-517)를 518형 레이더(H/LJQ-518)로 변경했다.

5.1.2. 052DM

052D형 Batch-4에 해당하는 052DM은 함체는 DL과 동일하지만 마스트 상단의 동그란 형태의 364형 레이더(H/LJQ-364)를 368형 AESA 레이더(H/LJQ-368L로 교체했다.

6. 사건 사고

7. 대중매체

모던 워쉽에서 2티어 구축함으로 등장.

8. 관련 문서



[1] 4차 배치부터 질화갈륨 사용[2] 4차 배치부터 H/LJQ-368 AESA 레이더로 변경[3] 3차 배치부터 촘촘한 그물망 형태의 H/LJQ-518 레이더로 변경[4] 제10함부터 장비[5] 최소치는 26척, 실질적으로는 그 이상이다.[6] 교체 대상은 엔진과 전력 시스템, 통신장비 등을 교체하고 헬기 데크도 늘리는 작업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