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잠수함 | 재래식 | <colbgcolor=#fefefe,#191919>031형, 033형, 035형 밍급, 039형 쑹급, 킬로급, 039A/041형 위앤급, 032형 칭급 | ||
하이브리드 | {041형 주급} | ||||
SSN | 091형 한급, 093형 샹급 | ||||
SSGN | {095형 쒜이급}, {097형} | ||||
SSBN | 092형 샤급, 094형 진급, {096형 탕급} | ||||
고속정 | 062형 상하이I/II급, 062I형 상하이 III급, 037형 하이난급, 037I형 하이칭급 | ||||
어뢰정 | 123형, 02형, 025형 | ||||
미사일 고속정 | 021형, 024형, C14급, 037IG형 허우신급, 037II형 허우지엔급, 022형 후베이급 | ||||
초계함 | 056(A)형 쟝다오급 | ||||
호위함 | 053K형 장동급, 053(H · H1 · H2 · H1Q · H1G)형 지앙후(I · II · III · IVT · V)급, 053H2G형 장웨이 I급, 053H3형 장웨이 II급, 054(A)형 장카이 (I · II)급, 054B형 | ||||
구축함 | 구축함 | 6607형, 051형 루다급, 항저우급, 052형 루후급, 051B형 루하이급, 052B형 루양 I급 | |||
방공구축함 | 051C형 루저우급, 052C형 루양 II급, 052D형 루양 III급, 055형 르언하이급 | ||||
상륙정 | 067형 윈난급S, 069형 위친급S, 724형 징사 II급 LCAC, 726형 위이급 LCAC, 728형 | ||||
상륙함 | LHA | 075형 위션급, {076형} | |||
LPD | 071형 위쟈오급 | ||||
LST | 072형 위칸급, 072(II · III · A)형 윈칭(I · II · III)급 | ||||
LSM | 074형 위하이급, 073(II · IIY)형 위다오급, 073III형 위덩급, 073A형 윈슈급, 079형 위량급 | ||||
기뢰소해함 | 010형, 081형 워치급, 082형 워사오급, 082II형 워장급 | ||||
군수지원함 | 903(A)형 푸치급, 904(A · B)형 따윤급, 905형 푸칭급, 908형 칭하이후, 901형 | ||||
항공모함 | 001형 랴오닝, 002형 산둥, {003형 푸젠}, {004형 항공모함} | ||||
※ 갈색 글자: 퇴역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윗첨자S: 비축 함선 ※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055型导弹驱逐舰 |
1. 개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이 운용하는 차세대 수상 전투함이다. 055형으로 분류되며, NATO 코드명은 런하이급(Renhai-class)이다. 052C형 구축함과 052D형 구축함에 이은 중국군의 4면 고정 위상배열 레이더 탑재 한 함선이다.1차 생산 분량으로는 8척이 계획되어 2017년 첫 함선 진수 이후에 3년 동안 8척을 진수시켰다.
2. 제원
055형 구축함 055型导弹驱逐舰 | |||
| |||
<colbgcolor=#eee> 함종 | <colbgcolor=#FFF>방공구축함 | ||
건조업체 | CSSC 국영 조선소 | ||
만재배수량 | 약 12,000-13,000톤[1] | ||
전장 | 180m | ||
전폭 | 20m | ||
흘수선 | 6.6m | ||
동력 | <colbgcolor=#eee> 방식 | COGAG | |
기관 | QC-280 가스터빈 4기 (각 28MW (38,000hp)) QD-50 발전기 6기 (각 5MW (6,700hp)) | ||
속력 | 30노트 이상 | ||
항속거리 | 약 9,300km | ||
승무원 | 승조원 380명 | ||
레이더 | 346B형 C/S-밴드 레이더 | ||
무장 | 함포 | H/PJ-38 130mm 함포 1문 | |
VLS | 유니버셜 VLS 112셀 ┗ HHQ-9 ┗ YJ-18[2] ┗ YJ-21[3] ┗ CJ-10 | ||
대잠 | 324mm 3연장 어뢰발사관 2문 ┗ Yu-7 | ||
CIWS | H/PJ-11 1130식 CIWS 1문 HQ-10 1기 | ||
탑재 항공기 | 중형 헬기 2대 • Z-9 • Z-18 • Z-20 |
3. 특징
|
|
또한 초장거리 은닉 통신을 위한 UHF, VHF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고, 이외에도 ESM, ECM 등 전자전 및 통신 안테나들이 모두 위상배열화 되어 통합형 마스트에 수납되어 있다.
|
이 모든 것이 실체가 드러나고 나서야 알 수 있겠지만, 어찌되었든 055형 구축함은 주변국 해군, 특히 근미래 분쟁지역이 될 확률이 큰 동남아시아 국가 해군들에게는 위협이 될 것이며 한국과 일본 입장에서도 위협이 되는 함선임이 분명하다.
4. 동형함 목록
055형 구축함 | |||||||
순번 | 함번 | 함명 | 조선소 | 진수일 | 취역일 | 소속 | 상태 |
Batch-I | |||||||
1 | 101 | 南昌 (난창) | 장난조선소 | 2017년 6월 28일 | 2020년 1월 12일 | 북부전구해군 | 현역 |
2 | 102 | 拉萨 (라싸) | 장난조선소 | 2018년 4월 28일 | 2021년 3월 2일 | 북부전구해군 | 현역 |
3 | 105 | 大连 (다롄) | 다롄 조선소 | 2018년 7월 3일 | 2021년 4월 23일 | 남부전구해군 | 현역 |
4 | 103 | 鞍山 (안산) | 장난조선소 | 2019년 9월 12일 | 2021년 11월 11일 | 북부전구해군 | 현역 |
5 | 106 | 延安 (옌안) | 다롄 조선소 | 2018년 7월 18일 | 2022년 2월 22일 | 남부전구해군 | 현역 |
6 | 104 | 无锡 (우시) | 장난조선소 | 2020년 5월 9일 | 2022년 3월 10일 | 북부전구해군 | 현역 |
7 | 107 | 遵义 (쭌이) | 다롄 조선소 | 2019년 12월 27일 | 2022년 10월 | 남부전구해군 | 현역 |
8 | 108 | 咸陽 (선양시) | 다롄 조선소 | 2020년 8월 30일 | 2022년 10월 | 남부전구해군 | 현역 |
Batch-II | |||||||
9 | 109 | 东莞 (둥관) | 장난조선소 | 2023년 12월 28일 | 2025년 예정 | 동부전구해군 | 진수 |
10 | 110 | 安庆 (안칭) | 다롄 조선소 | 2024년 3월 26일 | 2026년 예정 | 북부전구해군 | 진수 |
11 | 111 | 泉州 (취안저우) | 장난조선소 | 2025년 3월 | 2027년 예정 | 동부전구해군 | 진수 |
12 | 112 | 哈尔滨 (하얼빈시) | 다롄 조선소 | 2025년 4월 28일 | 2027년 예정 | 동부전구해군 | 진수 |
13 | 113 | 青岛 (칭다오시) | 장난조선소 | 2026년 예정 | 2028년 예정 | 북부전구해군 | 건조중 |
14 | 114 | 嘉兴 (자싱) | 다렌 조선소 | 2026년 예정 | 2028년 예정 | 북부전구해군 | 건조중 |
15 | - | - - | - | - | - | - | 계획 |
16 | - | - - | - | - | - | - | 계획 |
5. 기타
- 과거에 중국에서 줌왈트급과 비슷한 모습의 프로토타입이 나온 적도 있었으나 이 프로토타입의 양산형 건조는 취소되었고 결국 055형 구축함은 현재 모습으로 건조되었다. 현재 이 프로토타입은 스텔스 침투선 개발에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6]
- 미국의 단파방송인 RFA에 의하면 2021년 3월 25일, 북한의 전술탄도미사일 발사 당시에 동해상에서 1번함인 난창함이 미사일 탄착점 바로 앞에서 관측 임무를 수행하며 미사일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에 대한 텔레메트리 신호를 북한과 주고받았다고 한다.#[7]
- 싼야시에서 아스널쉽 or 순양함일 가능성이 있는 제작 초기 단계의 선체 구조물이 발견되었다.# 해당 구조물이 순양함 선체일 경우 전형적인 공격형 순양함으로 예상되며, 취역 시 주변국에게 엄청난 위협이 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산둥함을 수리하기 위한 대들보일 가능성도 상당히 높다.
- 모던 워쉽에 3티어 구축함으로 등장하며 기동성은 별로 안 좋지만 대잠, 대공, 대함전 성능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