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영국 왕립해군 군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잠수함 | 재래식 | <colbgcolor=#fefefe,#191919>암피온급, 익스플로러급, 포어포이즈급, 오베론급, 업홀더급 | ||
SSN | 드레드노트초대, 밸리언트급, 처칠급, 스위프트셔급, 트라팔가급, 아스튜트급, {SSN-AUKUS} | ||||
SSBN | 레졸루션급, 뱅가드급, {드레드노트급} | ||||
고속정 | 게이급, 다크급, 브레이브급, 아일랜드급, 시미터급, 아처급 | ||||
원양초계함 | 캐슬급, 캐슬급(원양초계함), 리버급 | ||||
호위함 | 대잠 호위함 | 12형 휘트비급, 14형 블랙우드급, 15형M, 16형M, 21형 아마존급 | |||
방공 호위함 | 41형 레오파드급, 61형 솔즈베리급 | ||||
다목적 호위함 | 12M형 로스시급, 12I형 리앤더급, 81형 트라이벌급, 22형 브로드소드급, 23형 듀크급, {26형 시티급}, {31형 인스퍼레이션급}, {32형 호위함} | ||||
구축함 | 배틀급, 데어링급, | ||||
순양함 | 밸파스트, 셰필드, | ||||
전함 | 뱅가드 | ||||
상륙함 | LPH | 오션급 | |||
LPD | 피어리스급, 베이급RFA, 알비온급 | ||||
LSL | 라운드 테이블급RFA | ||||
경항공모함 | 센토어급, 인빈시블급 | ||||
항공모함 | 빅토리어스M, 오데이셔스급M, | ||||
소해함 | 벤처러급, 윌튼급, 리버급, 헌트급, 샌다운급 | ||||
무인함 | UUV | 시캣, {세투스 XLUUV} | |||
군수지원함RFA | 리프급초대~4대RFA, 타이드급초대RFA, 로버급초대RFA, 포트 로자리급RFA, 포트 빅토리아급RFA, 웨이브급RFA, 타이드급2대RFA, {FSS}RFA | ||||
항공훈련함/병원선RFA | 아거스RFA | ||||
※ 황색 글자: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RFA: 왕립 보조전대(Royal Fleet Auxiliary) 소속 함선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영국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Type 15 frigate[1] |
1. 개요
15형은 23척 건조된 영국 해군의 대잠 호위함이다.자매함 중 F53 언던티드는 헬리 데크가 장착돼 역사상 최초로 헬기를 탑재 및 운용한 호위함이 됐다.
2. 개발 배경
기껏 만든 전시 비상계획 구축함은 구축함이라 하기에도 창피할 정도였다.심지어 독일의 26형 유보트[2]가 몹시 위협적으로 다가와 그동안 건조한 군함 대부분이 무용지물이 됐다.
이런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12/14형이 개발됐다.
하지만 그들이 취역하기엔 시간과 제약이 문제였다.
그래서 전시 비상계획 구축함 중 일부를 호위함으로(?) 개조하려고 했다.
총 23척이 15형, 10척이 16형으로 명명됐다.
이 사업은 미국 해군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녹스급 호위함,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이 정식 취역할 때까지 여러 플레처 / 기어링급 구축함이 개량됐다.
3. 설명
완전히 새로워진 전자 장비와 넓어진 숙소 덕분에 큰 인기를 얻어 남아프리카, 호주, 캐나다가 운용하기도 했다.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미사일의 발전 때문에 딱히 큰 활약은 없다.
시대를 잘못 타고 나온 명작.
4. 제원
15형 호위함 Type 15 frigate | ||
표준배수량 | 2,337톤 | |
만재배수량 | 2,700톤[3] | |
전장 | 109m | |
전폭 | 11.5m | |
흘수 | 4.4m | |
최고 속력 | 31노트 (약 57km/h) | |
기관 | 증기 터빈 | 어드미럴티 3 드럼식 보일러 2기 (총 40,000SHP) |
추진 | 2축 프로펠러 | |
소나 | 표적 분석 | 162형 |
전투 | 170형 | |
수색 | 174형 | |
레이더 | 사격통제 | 262형 |
대함 | 277Q형 | |
항법 | 974형 | |
표적 탐지 | 293Q형 | |
피아식별 | 1010형 Mk.10 | |
무장 | 주포 | 2연장 4인치 QF Mk.19 함포 1문 |
부포 | 2연장 40mm 보포스 Mk.5 대공포 1문 | |
대잠 | 박격포식 폭뢰 발사대 스퀴드 및 림보 Mk.10 2문 |
5. 동형함 목록
함번 | 함명 | 기공 | 진수 | 취역 | 비고 |
R급 구축함 기반 | |||||
F138 | 라피드 (Rapid) | 1941년 6월 16일 | 1942년 7월 16일 | 1943년 2월 20일 | 1981년 9월 13일 표적함으로 침몰 |
F185 | 릴렌틀리스 (Relentless) | 1941년 6월 20일 | 1942년 7월 15일 | 1942년 11월 30일 | 1965년 8월 ?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F193 | 로켓 (Rocket) | 1941년 3월 14일 | 1942년 10월 28일 | 1943년 8월 4일 | 1967년 3월 ?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F195 | 로벅 (Roebuck) | 1941년 6월 19일 | 1942년 12월 10일 | 1943년 6월 10일 | 1968년 8월 8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T급 구축함 기반 | |||||
F09 | 트러브릿지 (Troubridge) | 1941년 11월 10일 | 1942년 9월 23일 | 1943년 3월 8일 | 1970년 5월 ?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U, V급 구축함 기반 | |||||
F197 | 그렌빌 (Grenville) | 1941년 11월 1일 | 1942년 10월 12일 | 1943년 5월 27일 | 1983년 ?월 ?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F83 | 울스터 (Ulster) | 1941년 11월 12일 | 1942년 11월 9일 | 1943년 6월 30일 | 1980년 ?월 ?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F17 | 율리시스 (Ulysses) | 1942년 3월 14일 | 1943년 4월 22일 | 1943년 12월 23일 | 1970년 ?월 ?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F53 | 언던티드 (Undaunted) | 1942년 9월 8일 | 1943년 7월 19일 | 1944년 3월 3일 | 1978년 11월 ?일 표적함으로 침몰 |
F141 | 운디네 (Undine) | 1942년 3월 18일 | 1943년 6월 1일 | 1943년 12월 23일 | 1965년 11월 ?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F08 | 우라니아 (Urania) | 1942년 6월 18일 | 1943년 5월 19일 | 1944년 1월 18일 | 1967년 1월 ?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F196 | 얼친 (Urchin) | 1942년 3월 28일 | 1943년 3월 8일 | 1943년 9월 24일 | 1967년 8월 ?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F200 | 우르사 (Ursa) | 1942년 3월 18일 | 1943년 6월 1일 | 1943년 12월 23일 | 1967년 10월 28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F50 | 비너스 (Venus) | 1942년 1월 12일 | 1943년 2월 23일 | 1943년 8월 28일 | 1972년 12월 20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F29 | 베루람 (Verulam) | 1942년 6월 26일 | 1943년 4월 22일 | 1943년 12월 12일 | 1972년 9월 23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F93 | 비질런트 (Vigilant) | 1942년 1월 31일 | 1942년 12월 22일 | 1943년 9월 10일 | 1965년 6월 6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F76 | 비라고 (Virago) | 1942년 2월 16일 | 1943년 2월 4일 | 1943년 11월 5일 | 1965년 6월 4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F41 | 볼러지 (Volage) | 1942년 12월 31일 | 1943년 2월 15일 | 1944년 5월 26일 | 1972년 10월 28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W, Z급 구축함 기반 | |||||
F159 | 웨이크풀 (Wakeful) | 1942년 6월 3일 | 1943년 6월 30일 | 1944년 2월 17일 | 1971년 6월 10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F187 | 위얼윈드 (Whirlwind) | 1942년 7월 31일 | 1943년 8월 30일 | 1944년 7월 20일 | 1974년 10월 29일 표적함으로 침몰 |
F72 | 위저드 (Wizard) | 1942년 9월 14일 | 1943년 9월 29일 | 1944년 3월 30일 | 1967년 2월 16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F157 | 랭글러 (Wrangler) | 1942년 9월 23일 | 1943년 9월 29일 | 1944년 7월 14일 | 1976년 4월 14일 표적함으로 침몰 |
F102 | 제스트 (Zest) | 1942년 7월 21일 | 1943년 10월 14일 | 1944년 7월 12일 | 1970년 7월 18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6. 둘러보기
현대의 호주 왕립해군 함선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fdead,#513100> 잠수함 | <colbgcolor=#ffdead,#513100> 재래식 | 옥슬리급, 콜린스급, |
SSN | {버지니아급}, {SSN-AUKUS} | ||
경비함/정ABF | 오셔닉 바이킹ABF, 오션 프로텍터ABF, 오션 쉴드ABF, 리버급ABF, 케이프급ABF | ||
초계정 | 어택급, 프리맨틀급, 아미데일급 | ||
초계함 | {아라푸라급} | ||
호위함 | 호위함 | 리버급M, 리버급(추가 개조형)M, 쿼드런트급 | |
방공호위함 | 애들레이드급, 앤잭급, {헌터급}, {티어 2 전투함} | ||
구축함 | 구축함 | 앤잭급, 보이저급M | |
방공구축함 | 퍼스급M, 호바트급 | ||
상륙정 | LCVP, LCH 발릭파판급, LCM-8, {LCM-1E} | ||
상륙함 | LHD | 캔버라급 | |
LPD | 출스 | ||
LSH | 토브룩 | ||
LST | 카님블라급M | ||
소해함 | 컬류급, 러쉬커터급, 휴온급 | ||
군수지원함 | 석세스, 시리우스급, 서플라이급 | ||
정보수집/연구함 | 리윈급, 팔루마급 | ||
경항공모함 | 벤전스L, 시드니급M | ||
무인함 | UUV | 고스트 샤크 XL-AUV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윗첨자L: 리스한 함선 ※ 윗첨자ABF: 오스트레일리아 국경 경비대(Australian Border Force) 소속 함선 | |||
}}}}}}}}} |
현대의 캐나다 해군 군함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da291c> 잠수함 | <colbgcolor=#fefefe,#191919>오베론급, 빅토리아급 | |
초계정 | 오르카급 | ||
초계함 | 플라워급, 캐슬급, 킹스턴급, 해리 드울프급 | ||
호위함 | 리버급, 알골킨급, 로크 아크나쉰급, 핼리팩스급 | ||
구축함 | A급, C급, D급, E급, F급, G급, H급, V급, 윅스급, 클렘슨급, 타운급, 트라이벌급, 생 로랑급, 레스티구치급, 맥켄지급, 아나폴리스급, 이로쿼이급, {리버급} | ||
순양함 | 온타리오급, 우간다급, 프린스급 | ||
항공모함 | 매그니피센트, 보나벤처 | ||
소해함 | 레이크급, 뱅거급, 알제린급, 펀디급, 르웰린급 | ||
군수지원함 | 프로텍터급초대, 아스테릭스급, {프로텍터급2대} | ||
※ 황색 글자 : 퇴역 함선 ※ ※ {중괄호} : 도입 예정 | |||
※둘러보기 :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현대의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방군 함정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ffb612><colcolor=#002395> 잠수함 | 스피어급, | ||
어뢰정 | R1급, R10급 | |||
고속정 | 헬데를란트급, 워리어급 | |||
초계함 | ||||
호위함 | 테비엇급, 굿 호프급, 프레지던트급, 프리스테이트, 밸러급 | |||
구축함 | 얀 반 리베크급 | |||
소해함 | 다반급, 피터마리츠버그급, 리버급 | |||
조사함 | 프로테아(초대), 프로테아 | |||
※ 황색 글자: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남아공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바레인 | 카타르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