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잠수함 | 재래식 | <colbgcolor=#fefefe,#191919>암피온급, 익스플로러급, 포어포이즈급, 오베론급, 업홀더급 | ||
SSN | 드레드노트초대, 밸리언트급, 처칠급, 스위프트셔급, 트라팔가급, 아스튜트급, {SSN-AUKUS} | ||||
SSBN | 레졸루션급, 뱅가드급, {드레드노트급} | ||||
고속정 | 게이급, 다크급, 브레이브급, 아일랜드급, 시미터급, 아처급 | ||||
원양초계함 | 캐슬급, 캐슬급(원양초계함), 리버급 | ||||
호위함 | 대잠 호위함 | 12형 휘트비급, 14형 블랙우드급, 15형M, 16형M, 21형 아마존급 | |||
방공 호위함 | 41형 레오파드급, 61형 솔즈베리급 | ||||
다목적 호위함 | 12M형 로스시급, 12I형 리앤더급, 81형 트라이벌급, 22형 브로드소드급, 23형 듀크급, {26형 시티급}, {31형 인스퍼레이션급}, {32형 호위함} | ||||
구축함 | 배틀급, 데어링급, | ||||
순양함 | 밸파스트, 셰필드, | ||||
전함 | 뱅가드 | ||||
상륙함 | LPH | 오션급 | |||
LPD | 피어리스급, 베이급RFA, 알비온급 | ||||
LSL | 라운드 테이블급RFA | ||||
경항공모함 | 센토어급, 인빈시블급 | ||||
항공모함 | 빅토리어스M, 오데이셔스급M, | ||||
소해함 | 벤처러급, 윌튼급, 리버급, 헌트급, 샌다운급 | ||||
무인함 | UUV | 시캣, {세투스 XLUUV} | |||
군수지원함RFA | 리프급초대~4대RFA, 타이드급초대RFA, 로버급초대RFA, 포트 로자리급RFA, 포트 빅토리아급RFA, 웨이브급RFA, 타이드급2대RFA, {FSS}RFA | ||||
항공훈련함/병원선RFA | 아거스RFA | ||||
※ 황색 글자: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RFA: 왕립 보조전대(Royal Fleet Auxiliary) 소속 함선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인도네시아 해군 (1945~현재) Tentera Nasional Indonesia Angkatan Laut | ||
<colbgcolor=#ED1C24> '''[[잠수함| 잠수함 ]]''' | <colbgcolor=#ED1C24> ''' SSK ''' | {스코르펜급} | 나가파사급 | 차크라급(2대/1981) | 차크라급R(초대/1959) | |
구잠정 (PC) | 클라방급R | 바라쿠다급R | 히우급R | ||
어뢰정 (PT) | 세리갈라급R | 앙인 보호록급R | ||
'''[[초계정| 초계정 ]]''' | PB | 도랑급 | FPB-57급 | 파리급 | 바다우급 | 시바라우급 | 두리안급R | 방고급R | 알카이급R | 메르바부급R | HDML급R | |
PG | PGM-39급R | 프로옉트 191M급R | ||
'''[[고속정| 고속정 ]]''' | ''' PCF ''' | KAL-28m급 | 보아급 | PC-28m급 | 비루엔급 | 시나방급 | CB-18m급 | |
[[미사일 고속정|''' 미사일 고속정 (FACG) ''']] | {KCR-60m급} | 클레왕급 | 삼파리급 | 클루리트급 | 만다우급 | 클라플린타급R | ||
'''[[초계함| 초계함 ]]''' | ''' PCE ''' | 카피탄 파티무라급 | 파티무라급R | 항 투아급R | |
''' PCG ''' | {PPA급} | 붕 카르노급 | 디포네고로급 | 붕 토모급 | 파타힐라급 | 데완타라급R | ||
호위구축함 (DE) | 사마디쿤급R | 이맘 본졸급R | ||
'''[[호위함| 호위함 ]]''' | FF | 요스 수다르소급R | 마르타 크리스티나 티아하후급R | |
''' FFG ''' | {메라 푸티급} | {카를로 베르가미니급} | {마에스트랄레급} | 마르타디나타급 | 아흐마드 야니급 | ||
'''[[구축함| 구축함 ]]''' | DD | 실리왕이급R | 가자 마다급R | |
'''[[순양함| 순양함 ]]''' | CA | 이리안R | |
'''[[상륙함| 상륙함 ]]''' | '''[[상륙수송선거함| LPD ]]''' | 마카사르급 | |
'''[[전차상륙함| LST ]]''' | 뜰룩 빈투니급 | 뜰룩 랑사급 | 뜰룩 세망카급 | 뜰룩 길리마눅급 | 뜰룩 파리기급R | ||
'''[[상륙정| 상륙정 ]]''' | ''' LCU ''' | 쿠팡급R | 도르급R | |
''' LCT ''' | 뜰룩 와조급R | ||
''' LCSL ''' | LCS(L)(3)-1급R | ||
''' LCI ''' | 아마하이급R | ||
'''[[소해함| 소해함 ]]''' | ''' MCMV ''' | 풀라우 릉앗급 | |
''' MHC ''' | 풀라우 파니급 | ||
''' MSC ''' | 풀라우 로테급 | ||
''' 지원함 ''' | ''' 수송함 (AP) ''' | 탄중 캄바니급 | 카랑 필랑급 | |
''' 물류 저장함 (AKS) ''' | 뜰룩 믄타와이급 | ||
''' 급유함 (AOR) ''' | 타라칸급 | 아룬급 | 숭아이 그롱급 | ||
''' 지휘함 (AGF) ''' | 물타툴리 | ||
''' 병원선 (AH) ''' | 닥터 와히딘 수디로후소도급 | 세마랑 | 닥터 수하르소 | ||
''' 해저 조사선 (AGOR) ''' | 리겔급 | 데와 켐바급 | ||
'''[[무인기| 무인함 ]]''' | ''' UUV ''' | 후긴 AUV | |
'''[[예인선| 예인선 ]]''' | ''' ATF ''' | 소푸탄급 | |
''' YTB ''' | 갈룽궁급 | ||
지원정 | YTM | ||
훈련함 | 비마 수치 | 데와루치 | 아룽 사무데라 | 카데트급 | ||
※ 윗첨자R: 퇴역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
※둘러보기 : | }}}}}}}}} |
|
Type 81 & Tribal-class frigate[1] |
[clearfix]
1. 개요
영국 해군이 운용했던 호위함.2. 제원
81형 트라이벌급 호위함 Type 81 Tribal-class frigate | ||
이전 함급 | 14형 | |
다음 함급 | 21형 | |
표준배수량 | 2,300t | |
만재배수량 | 2,700t | |
전장 | 109.73m | |
전폭 | 12.88m | |
흘수 | 4.04m | |
추진 | 방식 | COSAG |
증기 터빈 | 12,500SHP급 1기 | |
가스 터빈 | 7,500SHP급 메트로빅 G-6 1기 | |
최고 속력 | 27kn (약 50km/h) | |
레이더 | 사격 통제용 | 262형 |
대공용 | 965형 | |
항법용 | 978형 | |
저고도 탐색용 | 993형 | |
음파탐지기 | 해저 분석용 | 162식 |
공격용 | 170형 | |
탐색용 | 177형 | |
가변 디핑식 | 199식[2] | |
무장 | 주포 | QF 4.5인치 Mk.5 Mod.1 함포 2문 |
부포 | 보포스 Mk.7 40mm 대공포 2문 오리콘 20mm 기관포 2문 | |
대공 미사일 | GWS-20 시캣 4연장 발사대 2문 | |
대잠 박격포 | Mk.10 림보 1문 | |
헬기 | 웨스틀랜드 와스프 1기 |
3. 특징
예상보다 높은 건조비 때문에 20척 계획했으나 7척만 건조됐다. 함체가 비교적 작아 현대화도 어려웠으며, 추진 장치도 부실해 운용에도 제한이 컸다.그래도 분당 9~10발의 발사 속도는 꽤 쓸만해 전투용으론 좋았으나, 수십만 파운드의 비용을 더 투자할 바엔 12형이 더 효율적인 선택이었다.
포클랜드 전쟁 당시엔 퇴역 후 예비함 상태였으며, 3척은 인도네시아 해군에 판매되었다.
4. 목록
함번 | 함명 | 기공 | 진수 | 취역 | 비고 |
F117 | 아샨티 (Ashanti) | 1958년 1월 15일 | 1959년 3월 9일 | 1961년 11월 23일 | 표적함으로 침몰 |
F131 | 누비안 (Nubian) | 1959년 9월 7일 | 1960년 9월 6일 | 1962년 10월 9일 | |
F122 | 구르카 (Gurkha) | 1958년 11월 3일 | 1960년 7월 11일 | 1963년 2월 13일 | 인도네시아가 빌헬뮈스 자카리아스 요하네스로 운용 |
F119 | 에스키모 (Eskimo) | 1958년 10월 22일 | 1960년 3월 20일 | 1963년 2월 21일 | 표적함으로 침몰 |
F133 | 타타르 (Tartar) | 1959년 10월 22일 | 1960년 9월 19일 | 1962년 2월 26일 | 인도네시아가 하사누딘으로 운용 |
F125 | 모호크 (Mohawk) | 1960년 12월 23일 | 1962년 4월 5일 | 1963년 11월 29일 | 스크랩용으로 판매 |
F124 | 줄루 (Zulu) | 1960년 12월 13일 | 1962년 7월 3일 | 1964년 4월 17일 | 인도네시아가 마사 크리스티나 티아하후로 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