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왕립 해군 (1546~현재) Royal Navy | ||||
| 잠수함 | 재래식 | <colbgcolor=#fefefe,#191919>암피온급R, 익스플로러급R, 포어포이즈급R, 오베론급R, 업홀더급R | |||
| SSN | 드레드노트초대R, 밸리언트급R, 처칠급R, 스위프트셔급R, 트라팔가급R, 아스튜트급, {SSN-AUKUS} | ||||
| SSBN | 레졸루션급R, 뱅가드급, {드레드노트급} | ||||
| 고속정 | 게이급R, 다크급R, 브레이브급R, 아일랜드급R, 시미터급R, 아처급 | ||||
| 원양초계함 | 캐슬급R, 캐슬급(원양초계함)R, 리버급 | ||||
| 호위함 | 대잠 호위함 | 12형 휘트비급R, 14형 블랙우드급R, 15형M/R, 16형M/R, 21형 아마존급R | |||
| 방공 호위함 | 41형 레오파드급R, 61형 솔즈베리급R | ||||
| 다목적 호위함 | 12M형 로스시급R, 12I형 리앤더급R, 81형 트라이벌급R, 22형 브로드소드급R, 23형 듀크급, {26형 시티급}, {31형 인스퍼레이션급}, {32형 호위함} | ||||
| 구축함 | 배틀급R, 데어링급R, | ||||
| 순양함 | 밸파스트, 셰필드R, | ||||
| 전함 | 뱅가드R | ||||
| 상륙함 | LPH | 오션급R | |||
| LPD | 피어리스급R, 베이급RFA, 알비온급 | ||||
| LSL | 라운드 테이블급RFA | ||||
| 경항공모함 | 센토어급R, 인빈시블급R | ||||
| 항공모함 | 빅토리어스M/R, 오데이셔스급M/R, | ||||
| 소해함 | 벤처러급R, 윌튼급R, 리버급R, 헌트급, 샌다운급 | ||||
| 무인함 | UUV | 시캣, {세투스 XLUUV} | |||
| 군수지원함RFA | 리프급초대~4대RFA/R, 타이드급초대RFA/R, 로버급초대RFA/R, 포트 로자리급RFA, 포트 빅토리아급RFA, 웨이브급RFA, 타이드급2대RFA, {FSS}RFA | ||||
| 항공훈련함/병원선RFA | 아거스RFA |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RFA: 왕립 보조전대(Royal Fleet Auxiliary) 소속 함선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
| Type 41 & Leopard-class frigate[1] |
1. 개요
영국 해군, 인도 해군, 방글라데시 해군이 운용했던 방공 호위함.장거리 임무에 투입해도 연료 소모량이 낮았으며, 전투 체계가 간소화돼 기술자를 적게 태울 수 있었다.
14RPM의 2연장 4.5인치 함포 연사력을 24RPM까지 올리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실패했다. 시캣 대공 미사일 장착 역시 비용 문제로 취소되었다.
방글라데시 해군은 성능에 만족해 2013년까지 운용했다.
2. 제원
| 41형 레오파드급 호위함 Type 41 Leopard-class Frigate | |||
| 표준배수량 | 2,337톤 | ||
| 만재배수량 | 2,560톤 | ||
| 전장 | 100m | ||
| 전폭 | 12m | ||
| 흘수tjs | 4.9m | ||
| 최고속력 | 24노트 (약 44km/h) | ||
| 동력 | 기관 | ASR1 디젤 엔진 8기 (총 14,400SHP) | |
| 추진 | 프로펠러 2축 | ||
| 레이더 | 대공 | Type 960/965 | |
| 항법 | Type 974 | ||
| 표적표시 | Type 293Q[2]/993 | ||
| 피아식별 | Type 1010 | ||
| 고도측정 | Type 277Q | ||
| 사격통제 | Type 262/275 | ||
| 소나 | Type 164 Type 174 | ||
| 무장 | 주포 | QF 4.5인치 함포 2문 보포스 40mm 포 9문[3] | |
| 대잠 | 스퀴드 대잠 박격포 1문 | ||
3. 동형함 목록
| 함번 | 함명 | 기공 | 진수 | 취역 | 비고 |
| F14 | 레오파드 (Leopard) | 1953년 3월 25일 | 1955년 5월 23일 | 1958년 9월 30일 | 1977년 스크랩 |
| F27 | 링스 (Lynx) | 1953년 8월 13일 | 1955년 1월 12일 | 1957년 3월 14일 | 방글라데시가 운용 후 2013년 1월 22일 스크랩 |
| F34 | 푸마 (Puma) | 1953년 11월 16일 | 1954년 6월 30일 | 1957년 4월 27일 | 1976년 스크랩 |
| F37 | 재규어 (Jaguar) | 1953년 11월 2일 | 1957년 7월 20일 | 1959년 12월 12일 | 방글라데시가 운용 후 2013년 1월 22일 스크랩 |
| F34 | 팬서 (Panther) → 브라마푸트라 (Brahmaputra) | 1955년 10월 20일 | 1957년 3월 13일 | 1958년 3월 31일 | 인도에 판매 후 1986년 6월 30일 스크랩 |
| F37 | 베아스 (Beas) | 1956년 11월 29일 | 1958년 10월 9일 | 1960년 5월 24일 | 인도가 운용 후 1992년 스크랩 |
| F38 | 베트와 (Betwa) | 1957년 5월 29일 | 1959년 9월 15일 | 1960년 12월 8일 | 인도가 운용 후 1988년 스크랩 |
4. 둘러보기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인도 해군 (1612~현재) भारतीय नौ सेना | ||||
| 잠수함 | 재래식 | <colbgcolor=#fefefe,#393b42>칼바리급(1967), 벨라급, 시슈마르급, 신두고쉬급, 칼바리급, {P-75I} | |||
| SSN | 차크라, 차크라급 | ||||
| SSBN | |||||
| 고속정 | 비드윳/차마크급, 방가람급, 트린카트급 | ||||
| 원양초계함 | {피파바급}, 수칸야급, 사리우급 | ||||
| 초계함 | 마드라스급, 아르날라급, 두르그급, 코라급, 쿠크리급, 압하이급, 카모르타급, 비르급 | ||||
| 호위함 | 탈와르급(1958), 닐기리급(1972), 고다바리급, 쿠크리급, 브라마푸트라급(초대), 브라마푸트라급, 탈와르급, 쉬발릭급, {투쉴급}, {트리푸트급}, 닐기리급 | ||||
| 구축함 | 고다바리급, 라지푸트급, 델리급, 콜카타급, 비샤카파트남급 | ||||
| 상륙정 | LCU 51급 | ||||
| 상륙함 | LPD | 잘라슈와, {차기 LPD} | |||
| LST | 가리알급, 쿰비르급, 마가르급, 샤르둘급 | ||||
| 정보수집/연구함 | 사가드와니급, 샌드하약급, 마카르급 | ||||
| 경항공모함 | 비라트 | ||||
| 항공모함 | 비크라마디티야, 비크란트급 | ||||
| 소해함 | 퐁디셰리급 | ||||
| 군수지원함 | 아디티야급, 디팍급, 죠티급, {FSS} | ||||
| 무인기 | UUV | 후긴 AUV | |||
| ※ 갈색 글자: 퇴역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방글라데시 해군 (1971~현재) বাংলাদেশ নৌবাহিনী|Bangladesh Navy | ||
| <colbgcolor=#006A4E><colcolor=#F42A41> '''[[잠수함| 잠수함 ]]''' | <colbgcolor=#006A4E><colcolor=#F42A41> ''' SSK ''' | 나바자트라급 | |
| 강상 경비정 (PBR) | 파브나급R | ||
| 구잠정 (PC) | 바르카트급 | 두르조이급R(초대/1982) | 카르나풀리급 | ||
| 어뢰정 (PT) | TB 35급R | TB 1급R | ||
| '''[[초계정| 초계정 ]]''' | PB | 파드마급 (2대/2013) | 메그나급 | |
| '''[[고속정| 고속정 ]]''' | ''' PCF ''' | 티타시급 | 샤히드 다울라트급R | |
| [[미사일 고속정|''' 미사일 고속정 (FACG) ''']] | 두르드하르샤급 | 두르바르급R | ||
| 원양초계함 (OPV) | 산구급 | 파드마급R(초대/1973) | 비슈칼리R | ||
| '''[[초계함| 초계함 ]]''' | ''' PCE ''' | 마두마티 | |
| ''' PCG ''' | 샤드히노타급 | 두르조이급 (2대/2013) | 비조이급 | ||
| '''[[호위함| 호위함 ]]''' | FF | 소무드라 조이급 | 아부 바크르급R(초대/1982) | 우마르 파루크R(초대/1976) | |
| ''' FFG ''' | 우마르 파루크급 (2대/2020) | 아부 바크르급 (2대/2014) | 칼리드 빈 왈리드 | 오스만R | ||
| '''[[상륙정| 상륙정 ]]''' | ''' LCU ''' | 돌핀급 | 사완드위프급 | 샤 포란급 | 샤 아마나트급 | |
| ''' LCT ''' | LCT 103급 | ||
| ''' LCM ''' | LCM 101급 | ||
| ''' LCVP ''' | L1011급 | ||
| '''[[소해함| 소해함 ]]''' | ''' MSO ''' | 샤플라급 | |
| ''' MSC ''' | 사가르급 | ||
| ''' 지원함 ''' | ''' 급유함 (AOR) ''' | 칸 자한 알리급 | 이맘 가잘리급 | |
| ''' 수리함 (ARL) ''' | 사하약 | ||
| ''' 원양 예인선 (ATF) ''' | 카뎀 | ||
| 지원정 | 샤 잘랄급 (잠수지원정) | 세박 (YT) | 룹샤급 (YT) | 할다급 (YT) | ||
| 연구함 | 아누샨단 | 다르샥급 | 아그라둣급 | ||
| 훈련함 | 샤히드 루훌 아민R | ||
| ※ 윗첨자R: 퇴역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
| ※둘러보기 : | }}}}}}}}} |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네덜란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 바레인 | 카타르 |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경비함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