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rowcolor=#ffffff>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1956 홍콩 | 1960 대한민국 | 1964 이스라엘 | 1968 이란 | 1972 태국 | |
<rowcolor=#ffffff>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1976 이란 | 1980 쿠웨이트 | 1984 싱가포르 | 1988 카타르 | 1992 일본 | |
<rowcolor=#ffffff>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1996 아랍에미리트 | 2000 레바논 | 2004 중국[1] | 2007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 2011 카타르 | |
<rowcolor=#ffffff>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
2015 호주 | 2019 아랍에미리트[2] | 2023 카타르[3] | 2027 사우디아라비아 | 2031 미정 | |
| |||||
같이 보기: 역대 AFC 아시안컵, 역대 UEFA 유로, 역대 코파 아메리카, 역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CONCACAF 골드컵, 역대 OFC 네이션스컵 | }}}}}}}}} |
1976 AFC 아시안컵 이란 | ||
AFC Asian Cup Iran 1976 ۱۹۷۶ جام ملتهای آسیا | ||
대회기간 | 1976년 6월 3일 ~ 6월 13일 | |
개최국 | 이란 | |
본선 진출팀 | 6개팀 | |
대회 결과 | ||
우승 | 이란 | |
준우승 | 쿠웨이트 | |
3위 | 중국 | |
4위 | 이라크 | |
수상 | ||
MVP | 알리 파르빈 | |
득점왕 | 파티 카밀 골람 호세인 마즐루미 나세르 누라에이 | |
이전·이후 대회 | ||
1972년 태국 | 1976년 이란 | 1980년 쿠웨이트 |
[clearfix]
1. 개요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의 AFC 아시안컵 6회 대회이며, 지역예선을 통과 한 6개국(6강)이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했다.2. 경기장
도시 | 경기장 이름 | 수용인원 |
테헤란 | 아리아메르 스타디움[1] | 100,000명 |
티브리즈 | 바그 소말 스타디움 | 25,000명 |
3. 진행 방식
- 개최국이면서 지난 대회 우승팀 이란에게 자동 진출권권이 주어졌다. 남은 5장의 본선 티켓을 놓고 14개국이 지역예선에 참가하였다.
- 아시안컵 지역예선은 4개조로 나뉘어 각 조 1,2위팀이 본선 6개팀(6강)에 진출한다.
- 본선에선 원래 8개팀(8강)으로 치러야 하나 3개팀이 기권을 선언하는 바람에 3개팀 2개조로 나뉘어 6강 조별리그를 실시하여 각 조 상위 1,2위팀이 4강에 진출한다. 4강부터는 토너먼트로 실시한다.
- 1976년 6월 3일 쿠웨이트와 말레이시아의 개막전을 시작으로 결승전인 6월 12일까지 약 2주간 진행된다.
4. 지역예선
당초 그룹 편성은 다음과 같다.- 1조 : 이란, 쿠웨이트, 남예멘, 바레인, 레바논, 파키스탄[2], 시리아
- 2조 :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방글라데시, 인도, 요르단, 네팔
- 3조 : 브루나이, 홍콩[3],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버마, 스리랑카
- 4조 : 일본, 중국, 대한민국, 남베트남, 이스라엘, 크메르, 라오스, 필리핀
이란은 개최국이라 자동으로 6강 본선에 진출이 되었고, 기권팀들도이 속출했고, 이스라엘은 아예 AFC에서 축출되었을 뿐만아니라, 중화인민공화국은 AFC에서 축출됐다가 다시 복귀하면서 3조으로 이동하고, 일본도 돌연 3조으로 옮겨져가고,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은 갑자기 4조로 바뀌고, 북한 역시 3조으로 배정되면서
- 1조 : 쿠웨이트, 남예멘
- 2조 :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 3조 : 브루나이, 홍콩, 중국, 북한, 일본, 싱가포르
- 4조 : 말레이시아, 태국, 대한민국, 인도네시아, 남베트남
4.1. 1조
바레인, 레바논, 파키스탄, 시리아가 모두 기권하여, 남은 두 팀 쿠웨이트와 남예멘의 본선 자동진출이 확정되었다.4.2. 2조
1975년 4월 2일~1975년 4월 14일까지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개최되었다.홈&어웨이 방식의 풀리그로 진행되었다.
홈 | 경기결과 | 원정 |
이라크 | 1 - 0 | 카타르 |
사우디아라비아 | 2 - 0 | 아프가니스탄 |
이라크 | 4 - 0 | 아프가니스탄 |
사우디아라비아 | 2 - 1 | 카타르 |
이라크 | 1 - 1 | 사우디아라비아 |
카타르 | 2 - 1 | 아프가니스탄 |
이라크 | 3 - 0 | 카타르 |
사우디아라비아 | 6 - 0 | 아프가니스탄 |
이라크 | 2 - 1 | 사우디아라비아 |
카타르 | 1 - 1 | 아프가니스탄 |
이라크 | 3 - 1 | 아프가니스탄 |
사우디아라비아 | 0 - 1 | 카타르 |
순위 |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위 | 이라크 | 6 | 5 | 1 | 0 | 14 | 3 | 11 |
2위 | 사우디아라비아 | 6 | 3 | 1 | 2 | 12 | 5 | 7 |
3위 | 카타르 | 6 | 2 | 1 | 3 | 3 | 5 | 5 |
4위 | 아프가니스탄 | 6 | 0 | 1 | 5 | 3 | 18 | 1 |
4.3. 3조
3조은 6팀이라 3팀씩 2조로 나뉘어 풀리그 형식으로 진행되었다.1975년 6월 14일~26일까지 홍콩 정부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4]
- 그룹 배정경기
홍콩 | 0 - 0 (PK 4 - 3) | 일본 |
중국 | 1 - 0 | 북한 |
싱가포르 | 6 - 0 | 브루나이 |
4.3.1. 그룹리그
중국 | 10 - 1 | 브루나이 |
홍콩 | 3 - 0 | 브루나이 |
홍콩 | 0 - 1 | 중국 |
브루나이는 사실 전력이 좋을 리가 없었고, 그룹 배정경기까지 합하면 19실점을 하며 광탈.
홍콩은 결국 동아시아 팀과 경기를 가지게 되었으나, 브루나이라는 승점자판기 덕분에 최하위를 면하며 다음 토너먼트로 진출했다. 대회 첫출전의 중국은 그룹 배정경기부터 북한을 꺾고, 브루나이를 상대로 무려 10골을 득점하며 기대를 모았다.
순위 |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위 | 중국 | 2 | 2 | 0 | 0 | 11 | 1 | 4 |
2위 | 홍콩 | 2 | 1 | 0 | 1 | 3 | 1 | 2 |
3위 | 브루나이 | 2 | 0 | 0 | 2 | 1 | 13 | 0 |
북한 | 1 - 0 | 일본 |
북한 | 1 - 0 | 싱가포르 |
일본 | 2 - 1 | 싱가포르 |
순위 |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위 | 북한 | 2 | 2 | 0 | 0 | 2 | 0 | 4 |
2위 | 일본 | 2 | 1 | 0 | 1 | 2 | 2 | 2 |
3위 | 싱가포르 | 2 | 0 | 0 | 2 | 1 | 3 | 0 |
4.3.2. 준결승전
중국 | 2 - 1 | 일본 |
북한 | 3 - 3 (PK 11-10) | 홍콩 |
4.3.3. 3, 4위전, 결승전
홍콩 | 0 - 1 | 일본 |
북한 | 2 - 0 | 중국 |
4.4. 4조
5개의 팀이 풀리그로 경기를 치러 상위 2개팀이 본선에 진출했다.1975년 3월 15일~24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개최되었다.
태국 | 3 - 1 |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 2 - 1 | 대한민국 |
인도네시아 | 2 - 1 | 남베트남 |
태국 | 0 - 1 | 말레이시아 |
대한민국 | 1 - 0 | 남베트남 |
말레이시아 | 0 - 0 | 인도네시아 |
태국 | 4 - 0 | 남베트남 |
대한민국 | 1 - 0 |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 3 - 0 | 남베트남 |
태국 | 1 - 0 | 대한민국 |
순위 |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위 | 말레이시아 | 4 | 3 | 1 | 0 | 6 | 1 | 7 |
2위 | 태국 | 4 | 3 | 0 | 1 | 8 | 2 | 6 |
3위 | 대한민국 | 4 | 2 | 0 | 2 | 3 | 3 | 4 |
4위 | 인도네시아 | 4 | 1 | 1 | 2 | 3 | 5 | 3 |
5위 | 남베트남 | 4 | 0 | 0 | 4 | 1 | 10 | 0 |
5. 6개국 본선 진출국
국가명 | 진출 자격 | 진출 자격 획득일 | 진출횟수 | 최근 진출 | 최고성적 | |
이란 | 개최국 | - | 3회 | 1972 | 우승 [IRN] | |
쿠웨이트 | 예선 1조 승자 | 1975년 | 2회 | 1972 | 조별리그[6] [KUW] | |
남예멘 | 1회 | 첫 진출 | ||||
이라크 | 예선 2조 1위 | 1975년 12월 2일 | 2회 | 1972 | 조별리그[8] [IRQ] | |
중국 | 예선 3조 2위 | 1975년 6월 23일 | 1회 | 첫 진출 | ||
말레이시아 | 예선 4조 1위 | 1975년 3월 23일 | 1회 | 첫 진출 |
6. 진행 경과
6.1. 결선 조별리그[6강]
6.1.1. A조
A조의 경기는 타브리즈, 바그 소말 스타디움에서 열렸다.쿠웨이트 | 2 - 0 | 말레이시아 |
중국 | 1 - 1 | 말레이시아 |
쿠웨이트 | 1 - 0 | 중국 |
순위 |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위 | 쿠웨이트 | 2 | 2 | 0 | 0 | 3 | 0 | 4 |
2위 | 중국 | 2 | 0 | 1 | 1 | 1 | 2 | 1 |
3위 | 말레이시아 | 2 | 0 | 1 | 1 | 1 | 3 | 1 |
6.1.2. B조
B조의 경기는 테헤란 아리아메르 스타디움에서 열렸다.이란 | 2 - 0 | 이라크 |
이라크 | 1 - 0 | 남예멘 |
이란 | 8 - 0 | 남예멘 |
순위 |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위 | 이란 | 2 | 2 | 0 | 0 | 10 | 0 | 4 |
2위 | 이라크 | 2 | 1 | 0 | 1 | 1 | 2 | 2 |
3위 | 남예멘 | 2 | 0 | 0 | 2 | 0 | 9 | 0 |
6.2. 토너먼트
이후 경기는 테헤란 아리아메르 스타디움에서 개최되었다.6.2.1. 준결승[4강] 1경기 쿠웨이트 3 - 2 이라크
1976년 6월 11일전반 11분에 터진 이브라힘의 골에 이라크는 끌려가기 시작했으나, 후반 시작하자마자 압둘 잘릴의 만회골로 승부를 원점으로 되돌린다. 파티 카멜이 77분 골을 터트리고, 이라크의 하산이 다시 85분에 골을 터뜨리며 연장전에 돌입했다. 두번째 골의 주인공 파티 카멜이 연장전에 다시 대회 3호골을 터뜨리며 쿠웨이트가 사상 첫 결승에 진출하게 되었다.
6.2.2. 준결승[4강] 2경기 이란 2 - 0 중국
1976년 6월 11일개최국이자 디펜딩챔피언이며 아시안컵 11연승의 강자 이란을 상대로 실점을 하지않고 잘버텨 연장전에 돌입했으나 연장전에서 코르시디, 로샨의 골에 패배했다.
6.2.3. 3-4위전 중국 1 - 0 이라크
1976년 6월 13일중국은 허 지아의 골로 이라크를 제압하며 아시안컵 첫 승리를 거두었고, 첫출전에 3위라는 좋은 성적으로 대회를 마무리 했다.
6.2.4. 결승전 이란 1 - 0 쿠웨이트
1976년 6월 13일두팀다 조 1위로 본선리그를 통과하고, 연장전을 치르는 고난끝에 결승에 진출했지만, 파르빈의 골에 힘입어 홈팀 이란이 아시안컵 13연승이라는 괴물같은 성적과 함께 아시안컵의 유일한 3연패 국가로 남게 되었다.
경기 | 대진표 | 경기 | 대진표 |
A | 4강 1경기 쿠웨이트 3:2 이라크 | C | 결승 쿠웨이트 0:1 이란 |
B | 4강 2경기 이란 2:0 중국 | ||
D | 3/4위전 이라크 0:1 중국 |
1976 AFC 아시안컵 우승 |
이란 |
3번째 우승 |
7. 결과
순위 | 국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 | 승점 | 비고 |
1 | 이란 | 4 | 4 | 0 | 0 | 13 | 0 | +13 | 8 | 우승 |
2 | 쿠웨이트 | 4 | 3 | 0 | 1 | 6 | 3 | +3 | 6 | 준우승 |
3 | 중국 | 4 | 1 | 1 | 2 | 2 | 4 | -2 | 3 | 3위 |
4 | 이라크 | 4 | 1 | 0 | 3 | 3 | 6 | -3 | 2 | 4위 |
5 | 말레이시아 | 2 | 0 | 1 | 1 | 1 | 3 | -2 | 1 | 1라운드 |
6 | 남예멘 | 2 | 0 | 0 | 2 | 0 | 9 | -9 | 0 | 1라운드 |
- 득점왕 : 나세르 누레이(1954~)(이란), 골람 후세인 마즐루미(1950~2014)(이란), 파티 카멜(1955~)(쿠웨이트) 3골
- 최우수선수 : 알리 파르빈(1946~)(이란)
8. 이야깃거리
- 개최국 이란은 전승 무실점으로 우승하며 3개 대회 연속으로 우승하였다. 지난 두 개 대회까지 본선에서 13경기를 치러서 단 한 번도 비기거나 지지 않고 모두 이기며 70년대 아시아 최강자임을 증명했다. 아시안컵 13연승이라는 대기록과 더불어 아시안컵 최초 무실점 전승 우승,[13] 3회 연속 득점왕 배출은 덤. 그러나 이게 마지막 우승이며 이후로 한 번도 결승에 오르지 못하고 있다. 덤으로 이란 제국의 마지막 아시안컵.
- 남베트남이 마지막으로 지역예선에 참가했던 대회다.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1975년에 3월 23일에 치른 말레이시아와의 예선 경기가 마지막 경기로, 이유는 한 달 뒤인 4월 30일 나라가 정말 멸망해버렸기 때문이다. 그리고 해당 경기를 치른 선수들은 모두 망명 신청을 하게 된다.
- 남예멘 역시 처음이자 마지막 본선 진출로, 12년 뒤 한번 더 본선 진출을 도전하지만, 실패했고, 이후 예멘에 흡수 통일되었다. 결국 승점 1점, 득점 1점을 못한채 사라졌다.
- 꾸준히 예선에 참가했던 중화민국 축구 대표팀이 참가하지 못했는데, 이유는 AFC에서 축출당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국의 대회 참가가 가능했던것. 16년뒤에야 복귀하게 된다. 이스라엘은 전 대회 문서에 서술한 대로, 이번 대회 예선에서 축출당한 뒤로 영원히 AFC와는 바이바이하게 되었다.
- 결승전의 관중수는 만석인 10만 명. 깨지지 않을 기록이다.
- 대한민국이 예선 탈락해서 참가하지 못한 두번째 대회다.
어째 이란에서 아시안컵을 개최하면 출전을 못하는 것도 한때의 징크스였을지도 모른다. 그나마 다행인 건 일본도 같이 탈락했다는 것이다.
[1] 1974 테헤란 아시안 게임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이란 이슬람 혁명 이후에는 현재의 이름인 아자디 스타디움으로 불리고 있다.[2] 본래 2조에 가야하지만, 2조의 인도와 경기를 거부 하여 1조로 편성되었다.[3] 지정학적 위치는 4조가 맞으나, 3조으로 분류되었다. 남베트남, 크메르, 라오스 조차도 4조로 분류되었건만. 이렇게 피해갔지만.....[4] 제 1회 아시안컵이 열렸던 그 경기장이다.[IRN] 1968, 1972[6] 1972아시안컵 5위(6강 조별리그)[KUW] 1972[8] 1972아시안컵 6위(6강 조별리그)[IRQ] 1972[6강] [4강] [4강] [13] 해당기록은 48년동안 단독기록으로 갖고 있으며 카타르가 2019년 대회에서 근접했으나 결승전에서 실점하며 다음기회로 미루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