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그래픽 용어
자세한 내용은 쿼터뷰 문서 참고하십시오.2. 일본 서브컬쳐계의 실사 미디어믹스
다음 분류도 참고하십시오: 무대화일본 서브컬쳐계에서 쓰는 용어로, 원작이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2D였던 것을 실사로 구현한 것. 2차원과 3차원의 중간이라 하여 2.5차원(2.5D)이라 부르며, 한국 동인계에서는 더 줄여서 쩜오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실사판과 비슷한 단어지만 무대 공연 장르에 한정적으로 쓰이는 용어.
넓게보면 피규어, 프라모델처럼 2D를 비인격체 3D로 만들었거나, 2D 원작을 실제 배우들이 연기해서 실사 영상물(영화, 드라마)화했거나, 2D 캐릭터를 실제 사람이 코스프레한 것도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대개 2D 원작을 실사 무대화한 것을 지칭할 때 2.5차원이란 용어를 쓴다.
본래는 애니컬이란 용어가 있었는데 이 용어는 오직 원작이 애니인 걸 뮤지컬화한 것만 가리킬 수 있었고, 원작이 애니가 아닌 코믹스, 게임이었거나, 파생 매체가 뮤지컬이 아닌 연극, 쇼라면 애니컬이라 부를 수 없었기 때문에, 애니컬보다 더 폭넓은 의미를 가진 2.5D라는 용어가 만들어졌다. 2014년에 일본 2.5차원 뮤지컬협회가 설립되고나서 2.5차원이라는 용어가 급속도로 퍼졌다.
다만 2.5D 장르는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데, 2D 캐릭터를 실존 배우들이 연기하다보니 환상이 깨진다거나, 애니판의 성우와 공연 배우의 목소리가 달라서 싫다던가 하는 이유들 때문에 무대화를 싫어하는 원작 팬들이 있다. 특히나 무대 공연은 관객 앞에서 실시간으로 연기를 전달해야 해서 배우들은 과장되게 연기할 수밖에 없게 되는데 이런 연극 연기에 익숙하지 않다면 오글거림이 느껴지고, 저예산 제작으로 인해 가발, 의상 등의 분장 퀄리티가 떨어질수록 위화감이 심해진다는 평가를 받는다.
여성팬이 많은 작품이 주로 실사 무대화되며 젊은 미남 배우들이 캐스팅된다. 일본의 젊은 남배우들이 초반 커리어를 쌓는 장르가 되고 있다. 커리어를 쌓는 것 뿐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배우들은 2.5D 뮤지컬을 중점으로 활동하고 있다. 몇년 전에 들어서야 2.5차원 뮤지컬 협회가 창설되긴 했지만 테니뮤 1st 캐스트들은 아직도 2.5D 뮤지컬에서 활동하고 있다. 대부분의 배우들이 2.5D 중심이다. 데뷔후 2.5D계를 떠났다가 돌아온 일도 빈번함.
2.5D 뮤지컬이 널리 알려진 건 테니스의 왕자 뮤지컬이 계기다. 세일러문 뮤지컬, 블리치 뮤지컬, 사쿠라 대전 뮤지컬 등도 널리 알려져있으나 2.5D 뮤지컬을 활성화한 건 테니스의 왕자 뮤지컬이었다.
WACCA에서는 이런 2.5D 뮤지컬 수록곡을 '2.5차원'이라는 별도 폴더로 분류하고 있다.
3. 국내 실사 영상물 팬덤의 용어
한국에서는 드라마나 실사영화를 지칭하는 말로 자주 쓰인다. 주로 2.5D를 줄여서 쩜오디, 혹은 쩜오라고 부르며. 실제 배우가 연기를 하는 매체와 이를 소비하는 팬덤의 소비(덕질) 형태를 총체적으로 쩜오디라고 부른다.팬덤의 소비 방식을 가리킬 때는, 실사 배우가 전면으로 나타나는 매체이면서, 배우가 아니라 작품과 배역에 더 큰 중점을 두면 쩜오디 덕질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아이언맨이라는 캐릭터를 좋아하거나,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표현한 아이언맨이라는 배역을 좋아하는 식이면 쩜오디 덕질이고, 아이언맨 역을 맡은 것과 무관하게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라는 배우 자체를 좋아하는 것이면 쩜오디 덕질로 분류되지 않는다. 한 배우의 필모그래피를 세계관처럼 여겨서 그 배우의 작품 중심으로 덕질하는 경우에는 애매한데 이 경우도 일반적인 연예인 덕질과 차이를 두고 광의의 의미에서 쩜오디 덕질로 보기도 한다. 따라서 2차원 매체를 기반으로 하면서 연기자에 대한 선호가 주가 되는 성우 덕후는 쩜오디 덕질로 분류하지 않으며, 성우 오타쿠들에게서 가끔 드러나는 성캐일치와도 다른 개념이다. 미디어믹스가 전개된 작품군에서 실사판이 있어도 코믹스나 애니메이션, 소설 등 비실사 매체가 주력이면 쩜오디 덕질에 속하지 않는다.
쩜오디를 기반으로 한 2차 창작 팬픽이 RPF인가 아닌가에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이는 작품의 팬이 아닌 사람들이 영화나 드라마를 봤을 때 작중의 배역이 아니라 배우의 이름으로 캐릭터를 지칭하는 습관이 있는 것과 비슷한 이유로 보인다. 연기자의 얼굴이 직접 드러나기 때문에 배역=연기자라고 생각하기 쉬운 것[1]. 이렇기에 실제 사람의 얼굴이나 표현을 바탕으로 하는 이상 완전한 분리가 불가능하다고 RPF와 같이 취급하는 사람도 있는가 하면, 영화 속 세계관의 캐릭터가 중요한 것이고 배우는 그 캐릭터를 구현하는 사람이지 캐릭터 자체가 아니라며 확실히 구분짓고 문제삼지 않는 사람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쩜오디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RPF, 특히 RPS가 되어 실제 배우에게 영향을 주지 않게 구분지으려고 한다. 다만 위에서 말한 대로 특정 배우의 필모그래피를 일종의 연결된 세계관처럼 즐기는 경우 배우에 좀 더 초점이 가기 때문에 구분이 애매해진다. 또한 작품 내 배역으로만 즐기다가 정말로 RPF로 넘어가거나 그에 준하는 모호한 경계선상에서 즐기게 되는 사람들도 암암리에 존재한다.
[1] 실제로 캐주얼한 시청자들 중에서 배우와 배역을 어느정도 동일시하는 시청자들이 많기 때문에 아예 다른 작품에서 다른 캐릭터를 연기하는 배우를 보고도 익숙한 배역 이름으로 부르거나, 어떤 배우가 악역을 맡으면 배우의 안티가 늘어나는 등의 현상도 일어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