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6 16:12:22

2024-25 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녹아웃 스테이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2024-25 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2024-25 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파일: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워드마크(가로형).svg
2024-25 시즌
플레이오프 그룹 스테이지 녹아웃 스테이지 결승


1. 개요2. 규정3. 진출 팀4. 대진표5. 8강6. 준결승
6.1. 대진6.2. 경기 결과6.3. 결승 진출 구단
7. 결승

1. 개요

2024-25 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의 녹아웃 스테이지에 대한 내용이다.

2. 규정

  • 8강부터는 단판 승부로 진행된다.
  • 준결승부터 결승까지의 총 세 경기는 중앙 리그 형식으로 진행된다.

3. 진출 팀

<rowcolor=#ffffff> 그룹 스테이지 1위 그룹 스테이지 2위 그룹 스테이지 3위
<colcolor=#fff> 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인천 현대제철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부다비 파일:중국 국기.svg 우한 장한
B 파일:호주 국기.svg 멜버른 시티 파일:이란 국기.svg 밤 카툰 진출 실패
C 파일:일본 국기.svg 우라와 레즈 파일:베트남 국기.svg 호찌민 시티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타이중
홈 팀 | 원정 팀
  • 각 조 1위 3팀과 조 2위 중 가장 성적이 좋은 1팀이 8강 홈경기 권한을 얻는다.
  • 그룹 스테이지의 같은 조에 속했던 팀과는 만나지 않는다.

4. 대진표

파일: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워드마크(가로형).svg
2024-25 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녹아웃 스테이지 대진표
<rowcolor=#ffffff> 8강 준결승 결승
{{{#!wiki style="margin: -10px -5px; word-break: keep-all"
1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인천 현대제철 1
파일:이란 국기.svg 밤 카툰 0 }}} {{{#!wiki style="margin: -10px -5px; word-break: keep-all"
1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인천 현대제철
파일:호주 국기.svg 멜버른 시티 }}} {{{#!wiki style="margin: -10px -5px; word-break: keep-all"
결승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
{{{#!wiki style="margin: -10px -5px; word-break: keep-all"
2경기
파일:호주 국기.svg 멜버른 시티 3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타이중 0 }}}
{{{#!wiki style="margin: -10px -5px; word-break: keep-all"
3경기
파일:일본 국기.svg 우라와 0(5)
파일:중국 국기.svg 우한 0(6) }}} {{{#!wiki style="margin: -10px -5px; word-break: keep-all"
2경기
파일:중국 국기.svg 우한
파일:베트남 국기.svg 호찌민 시티 }}}
{{{#!wiki style="margin: -10px -5px; word-break: keep-all"
4경기
파일:베트남 국기.svg 호찌민 시티 5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부다비 4 }}}

5. 8강

5.1. 대진


대진 추첨은 한국 시간 2025년 1월 8일 오후 4시에 실시되었다. 각 조 1위 3팀과 조 2위 중 성적이 좋은 1팀은 포트 1로, 나머지 4팀은 포트 2로 배정되었다. 또한 이미 그룹 스테이지에서 맞붙은 팀은 다시 만날 수 없다.
파일: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로고(가로형).svg
2024-25 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8강 대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 #fff)" 파일: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심볼.svg 어웨이
인천 현대제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vs 파일:이란 국기.svg 밤 카툰
멜버른 시티 파일:호주 국기.svg vs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타이중 블루 웨일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파일:일본 국기.svg vs 파일:중국 국기.svg 우한 장한 대학교
호찌민 시티 파일:베트남 국기.svg vs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부다비 컨트리 클럽
}}} ||

5.2. 경기 결과

5.2.1. 1경기: 인천 현대제철 vs 밤 카툰

파일: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로고(가로형).svg
2024-25 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8강
2025년 3월 22일 (토) 19:00 (UTC+9)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 (대한민국, 인천)
주심: 파일:일본 국기.svg 코이즈미 아사카
관중: 583명
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엠블럼.svg
1 : 0
파일:Bam_Khatoon_FC.png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밤 카툰
81' 김명진 (A. 하루히)파일:득점 아이콘.svg-
경기 보고서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1]
Man of the Match: 김명진
국내 중계
파일:IB SPORTS 로고.svg
캐스터

강영호
해설자

강성주
12년 연속 WK리그 통합 우승이 무산된 현대제철허정재 감독의 선임과 신인으로 김명진배예빈, 외국인 선수로 토리우미 유카, 스즈키 하루히를 영입하는 등 분위기를 쇄신하였고, 직전에 벌어진 WK리그 개막전에서 스즈키 하루히의 결승골로 문경 상무에 1:0 승리를 거두며 초반의 좋은 분위기를 형성한 상태에서 시즌 두 번째 공식 경기를 국제전으로 맞게 되었다. 상대인 밤 카툰은 이란 리그 10회 우승에 빛나는 명문으로, 조별 리그 B조에서 멜버른 시티의 뒤를 이어 1승 1무 1패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양 팀은 이미 2023년에 시범 경기 형식으로 치렀던 AFC 여자 클럽 챔피언십 조별 리그에서 만났고 현대제철이 2:1로 승리한 전적이 있다.

현대제철은 전반부터 80%의 점유율로 밤 카툰을 공격적으로 몰아붙여 많은 기회를 창출하였다. 전반 16분에는 오연희의 강력한 슈팅이 크로스바를 넘겼고, 핸드볼 반칙으로 인해 골로 인정되지는 않았지만 23분에는 새로 영입된 토리우미 유카가 골망을 흔들었다. 하지만, 밤 카툰은 5백 기반의 두줄 수비를 유지하였고, 역습 기회를 얻으면 위협적인 슈팅을 시도하는 등 반격이 만만치 않았다.

후반에도 장창, 김소은 등이 날카로운 슈팅을 얻는 등 전반의 기세를 유지했지만 상대는 여전히 역습 위주의 플레이와 침대 축구로 시간을 끄는 모습 등을 자주 보여 줬다. 이 와중에 후반 12분, 김명진이 골대 쪽으로 공을 차면서 득점한 것처럼 보여 레드 엔젤스를 응원하는 관중이 환호했는데 알고 봤더니 그냥 네트에 공이 얹혀진 거여서 당연히 득점으로 인정되지 않았다.[2] 이렇게 답답했던 흐름이 계속되던 후반 36분, 교체로 들어간 스즈키 하루히의 측면 크로스가 드래프트 1순위로 선발된 김명진의 침착한 슈팅으로 이어져 이 경기의 결승골을 만들어냈고, 이 골을 끝까지 지켜내며 준결승에 진출하였다.

5.2.2. 2경기: 멜버른 시티 vs 타이중 블루 웨일

파일: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로고(가로형).svg
2024-25 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8강
2025년 3월 23일 (일) 13:00 (UTC+9)
AAMI 파크 (호주, 멜버른)
주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유정
관중: 1,865명
파일:멜버른 시티 FC 로고.svg
3 : 0
파일:타이중 블루 웨일 로고.png
멜버른 시티 FC타이중 블루 웨일
4' 마리아나 스펙마이어 (A. 테일러 오토)
43' (OG) 리페이중
63' (PK) 홀리 맥나마라
파일:득점 아이콘.svg-
경기 보고서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Man of the Match:

5.2.3. 3경기: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vs 우한 장한 대학교

파일: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로고(가로형).svg
2024-25 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8강
2025년 3월 23일 (일) 15:00 (UTC+9)
쿠마가야 육상 경기장 (일본, 쿠마가야)
주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현정
관중: 1,681명
파일: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로고.svg
0 : 0
A.E.T.
(5 PSO 6)
파일:우한 장한 대학교 FC 로고.png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우한 장한 대학교
-파일:득점 아이콘.svg-
경기 보고서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Man of the Match: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5 : 6 우한 장한 대학교
선축
(GK: 이케다 사키코)
후축
(GK: 천천)
다카하시 하나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1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야오웨이
시호코시 유즈호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2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 우하이옌
후지사키 사코토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 3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덩멍예
이케다 사키코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4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자오위신
고토 와카바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5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왕슈앙
이토 미키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 6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 한탕
쿠리시마 아카리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7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마쥔
엔도 유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 8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쉬첸첸
이 대회 우승 후보로 꼽히는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는 조별리그 C조에서 21득점 무실점으로 가볍게 3전 전승을 거두었던 반면, 인천 현대제철과 중동의 복병 아부다비에 패해 1승 2패로 A조 3위에 머물렀던 우한 장한 대학교는 다행히 각 조 3위간 경쟁에서 골득실에서 우위를 보여 8강 티켓을 겨우 얻었다. 우한 장한 대학교는 전력 보강을 위해 인천 현대제철에서 뛰었던 테리 엔게샤와 국가대표 수비수 김혜리,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에서 뛰었던 중국 국가대표 공격수 왕슈앙을 영입하였다.

우라와는 우승 후보 답게 시종일관 우한을 강력하게 몰아붙였고, 우한은 전반 3분 테리 엔게샤의 슈팅을 제외하고 5백 수비로 대응하였다. 경기가 진행되면서 우한의 단단한 수비는 유지되었고, 우라와는 슈팅은 많으나 박스 안에서 결정력이 떨어지는 등 홈에서 치르는 경기에도 불구하고 우위를 점하지 못했다. 결국 경기는 연장까지 이어졌고, 우한은 연장 후반 종료 1분을 남기고 마치 승부차기를 대비한 것처럼 골키퍼를 단신의 딩슈안에서 장신의 천천으로 교체하였다.

승부차기에도 우한의 2번 키커가 실축하여 잠시 분위기가 우라와로 기우는 듯 했으나, 우라와의 3번 키커를 맡았던 2006년생 유망주 후지사키 사코토[3]가 실축했고, 양팀의 6번 키커가 전부 실축하는 팽팽한 흐름이 계속되다가 우라와의 8번 키커인 엔도 유의 실축 후 우한의 8번 키커인 쉬첸첸이 성공하면서 이번 대회에서 우승 후보를 탈락시키는 이변을 만들어냈다.

5.2.4. 4경기: 호찌민 시티 vs 아부다비 컨트리 클럽

파일: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로고(가로형).svg
2024-25 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8강
2025년 3월 22일 (토) 21:00 (UTC+9)
통녓 스타디움 (베트남, 호찌민)
주심: 파일:호주 국기.svg 케이시 라이벨트
관중: 1,550명
파일:호찌민 시티 위민 FC 로고.png
5 : 4
파일:Abu_Dhabi_Country_club_logo.png
호찌민 시티아부다비 컨트리 클럽
63' 케 투아
67' 추엉 티 키에 (A. 후인 누)
76' 쩐 응우옌 바오 차우
83' 응오 티 홍 능 (A. 쩐 티 투 타오)
90' (OG) 가니마 알 자아비
파일:득점 아이콘.svg3' 프린셀라 아두베아 (A. 라시다 이브라힘)
15' 투르파 알 가프리
45+2', 74' 유지니아 테테
(A. 45+2' 프린셀라 아두베아, 74' 나에마 이브라힘)
경기 보고서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Man of the Match:
전반에는 아부다비가 3:0으로 앞서가면서 일방적인 경기로 끝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반에 호찌민 시티가 공격적으로 몰아치면서 후반 18분과 22분에 세트피스에서 내리 2골을 넣으며 1점차로 추격했다. 후반 29분 아부다비가 유지니아 테테의 추가골로 4:2까지 다시 벌렸으나 호찌민 시티는 포기하지 않았고 단신의 브라질 국적 골키퍼의 키를 넘은 중거리슛 2방으로 끈질기게 4:4 동점까지 만들더니 분위기가 다시 바뀐 와중에 결국 후반 정규시간 종료를 앞두고 아부다비의 가니마 알 자아비가 호찌민 시티의 롱패스를 백헤딩으로 걷어내려다가 그대로 자기팀 골대로 빨려들어가며 자책골이 되면서 호찌민 시티가 아부다비를 상대로 5:4 극적인 역전승을 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5.3. 준결승 진출 구단

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엠블럼.svg파일:멜버른 시티 FC 로고.svg파일:우한 장한 대학교 FC 로고.png파일:호찌민 시티 위민 FC 로고.png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멜버른 시티우한 장한 대학교호찌민 시티

6. 준결승

6.1. 대진

파일: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로고(가로형).svg
2024-25 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준결승 대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 #fff)" 파일: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심볼.svg 어웨이
인천 현대제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vs 파일:호주 국기.svg 멜버른 시티
우한 장한 대학교 파일:중국 국기.svg vs 파일:베트남 국기.svg 호찌민 시티
}}} ||

6.2. 경기 결과

6.2.1. 1경기: 인천 현대제철 vs 멜버른 시티

파일: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로고(가로형).svg
2024-25 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준결승
2025년 5월 21일 (수) 21:00 (UTC+9)
우한 스포츠 센터 (중국, 우한)
주심: 파일:국기.svg
관중: 명
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엠블럼.svg
# : #
파일:멜버른 시티 FC 로고.svg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멜버른 시티 FC
-파일:득점 아이콘.svg-
경기 보고서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Man of the Match:

6.2.2. 2경기: 우한 장한 대학교 vs 호찌민 시티

파일: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로고(가로형).svg
2024-25 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 준결승
2025년 5월 21일 (수) 17:00 (UTC+9)
우한 스포츠 센터 (중국, 우한)
주심: 파일:국기.svg
관중: 명
파일:우한 장한 대학교 FC 로고.png
# : #
파일:호찌민 시티 위민 FC 로고.png
우한 장한 대학교호찌민 시티
-파일:득점 아이콘.svg-
경기 보고서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Man of the Match:

6.3. 결승 진출 구단

파일:로고.svg파일:로고.svg
미정미정

7. 결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25 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결승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4-25 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결승#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4-25 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결승#|]][[2024-25 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결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AFC 쪽 중계 담당이 "현대"를 계속 "하윤다이"로 발음하는 걸 보면 영국 사람인 듯하다[2] 심지어 중계진도 골로 착각했다[3] 실축 후 바로 눈물을 흘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