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2 22:43:21

2025 NH농협은행 한국여자바둑리그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한국여자바둑리그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현재 진행 중인 경기}}}에 대한 내용은 [[2025 NH농협은행 한국여자바둑리그/후반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2025 NH농협은행 한국여자바둑리그/후반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2025 NH농협은행 한국여자바둑리그/후반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현재 진행 중인 경기: }}}[[2025 NH농협은행 한국여자바둑리그/후반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2025 NH농협은행 한국여자바둑리그/후반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2025 NH농협은행 한국여자바둑리그/후반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한국여자바둑리그 역대 시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 ||
한국여자바둑리그 역대 시즌 일람
2024 시즌 2025 시즌 2026 시즌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30><table bordercolor=#fdedee,#fdedee> 파일:2025 여자리그_로고.png
2025 NH농협은행 한국여자바둑리그 }}}
주최, 주관 한국기원
주관방송사 바둑TV
타이틀스폰서 NH농협은행
대회기간 정규리그: 2025년 7월 10일 ~ 10월 16일
포스트시즌: 2025년 ~
전기 우승팀 OK만세보령(舊 보령 머드) (2024시즌)
참가팀 철원 한탄강 주상절리길, 평택 브레인시티산단, H2 DREAM 삼척,
부안 붉은노을, OK만세보령, 포스코퓨처엠,
부광약품, 여수세계섬박람회, 영천 명품 와인
대국규정 장고(1국) 각자 40분 + 착수시 20초 추가 피셔방식
속기(2~3국) 각자 10분 + 착수시 20초 추가 피셔방식
계가 한국룰 6.5집
{{{#!folding [ 대회 결과 ] 우승
미정
정규리그 우승 미정
MVP 미정 (-)
다승왕 미정 (-)
}}} ||

1. 개요2. 중계 및 해설진
2.1. 중계2.2. 해설진
3. 참가팀4. 시작하기 전에5. 선수 구성 및 대진 순번
5.1. 선수 선발식 결과5.2. 대진 순번
6. 프리시즌: 한일 여자바둑리그 올스타전7. 대회 진행
7.1. 정규리그 순위7.2. 정규리그 전적표
7.2.1. 전반기7.2.2. 후반기
7.3. 포스트시즌
8. 대회 결과9. 여담

1. 개요

한국기원이 주최, 주관하고 NH농협은행의 후원으로 열리는 한국여자바둑리그의 11번째 시즌이다. 7월 여름리그로 개막하는 세 번째 시즌이며, 2018시즌 이후 7년 만에 9개팀 체제로 리그를 운영한다.

2. 중계 및 해설진

2.1. 중계

2.2. 해설진

  • 캐스터 : 한해원 三단, 배윤진 三단, 김여원, 고윤서 初단
  • 해설 : 최명훈 九단, 홍성지 九단, 박정상 九단, 송태곤 九단
  • 이번 시즌엔 지난 시즌의 중계진에 송태곤 九단이 해설진에 새롭게 합류했고, 바둑TV 유튜브 '수읽녀'[1]와 유튜브 방송에 자주 출연하는 고윤서 初단이 이번 시즌 여자바둑리그 캐스터로서 데뷔하게 됐다.
  • 통상적인 정규시즌 중계진 로테이션은 목요일 배윤진-박정상, 금요일 고윤서-최명훈, 토요일 한해원-송태곤, 일요일 김여원-홍성지 순으로 돌아가며 해설진 스케줄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다.
  • 이번 시즌에도 김규리 캐스터와 박경근 六단[2]의 매 라운드 주요 대국을 선정해 리뷰하는 '주간 여바리' 유튜브 방송이 진행되며, 7월 29일 첫 방송을 시작으로 시즌 동안 매주 목요일 오후 4시에 진행될 예정이다.

3. 참가팀

2025 NH농협은행 한국여자바둑리그 참가 구단
팀명 연고지 감독
파일:2025보령.png 보령 OK만세보령
(전기 정규 2위, 최종 우승)
충청남도
보령시
김미리
파일:2025평택.png 평택 브레인시티산단
(전기 정규 1위, 최종 준우승)
경기도
평택시
안형준
파일:2025삼척.png 삼척 H2 DREAM 삼척
(전기 정규, PS 통합 3위)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이다혜
파일:2025부안.png 부안 부안 붉은노을
(전기 정규, PS 통합 4위)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김효정
파일:2025여수.png 여수 여수세계섬박람회
(전기 정규리그 5위)
전라남도
여수시
조인선
파일:2025포스코.png 포항 포스코퓨처엠
(전기 정규리그 6위)
경상북도
포항시
이정원
파일:2025부광약품.png 서울 부광약품
(전기 정규리그 7위)
서울특별시 이상훈(大)
파일:2025철원.png 철원 한탄강 주상절리길
(전기 정규리그 8위)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혜림
파일:2025영천.png 영천 영천명품와인
(리그 이동[3], 신생팀)
경상북도
영천시
이상헌
  • 이번 시즌은 전기 8개 팀에 레전드리그 '스타 영천' 팀을 운영했던 경북 영천시가 리그를 옮겨와 '영천 명품와인'이라는 팀명으로 이번 시즌에 새로 참가함에 따라 2018시즌 이후 7년 만에 9개 팀 체제로 리그를 진행한다. 경북 연고팀이 한 팀 더 생기면서 삼척과 철원의 '강원 더비'에 이어 포스코(포항)와 영천의 '경북 더비'가 여바리에서 성사되었다.
  • 전기 우승팀 '보령머드'는 'OK만세보령'으로, 준우승팀 '평택 브레인시티'는 '평택 브레인시티산단'으로 각각 팀명을 변경하여 이번 시즌에 출전한다.
  • 이번 시즌에는 일부 팀에서 감독 교체가 있었는데 먼저 '여수세계섬박람회'는 2018시즌부터 6년간 팀을 이끌었던 이현욱 감독이 물러나고 한국바둑 국가대표팀 코치를 지낸 바 있는 조인선 四단[4]을 새 감독으로 선임했으며, 부광약품은 원년 시즌인 2015시즌부터 계속해서 팀의 감독이었던 던 권효진 감독이 이번 시즌엔 선수로 참가하게 되면서 빈 감독 자리에 한국바둑리그에서 감독으로 총 4차례 우승을 이끌어낸 [5] 이상훈(大) 九단이 새로 지휘봉을 잡았다. 이 밖에 지난 2022시즌부터 2023시즌까지 여자바둑리그 '순천만 국가정원'의 감독이었고, 2022시즌엔 팀의 준우승을 이끌기도 했던 이상헌 五단이 이번 시즌 신생팀 '영천 명품와인'의 감독으로 여자리그 감독직에 복귀하게 됐다.
  • 이번 시즌 각 팀의 코치들은 다음과 같다.
    OK만세보령 - 송규상 七단
    평택 브레인시티산단 - 안성준 九단
    H2 DREAM 삼척 - 박승화 九단
    부안 붉은노을 - 박경근 六단
    여수세계섬박람회 - 박민규 九단
    포항 포스코퓨처엠 - 박현수 七단
    서울 부광약품 - 원성진 九단
    철원 한탄강 주상절리길 - 송지훈 九단
    영천 명품와인 - 한상조 八단

4. 시작하기 전에

  • 이번 시즌은 2018시즌 이후 7년 만에 9개 팀 체제로 시즌을 운영함에 따라 정규리그는 총 18라운드, 더블 라운드 로빈 풀리그로 진행된다. 팀 수가 홀수이므로 라운드마다 휴식하는 팀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포스트시즌도 9개 팀 체제가 됨에 맞춰 상위 5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해 스텝레더로 대진을 구성함에 따라 7시즌 만에 와일드카드 결정전이 부활하게 되었다.
  • 대국 규정은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1국 장고대국은 각자 기본시간 40분, 2국과 3국의 속기 대국은 각자 기본시간 10분이며 세 판 모두 공통으로 착수시 20초의 추가 시간이 주어지는 피셔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정규리그는 지난 시즌보다 30분 당겨서 저녁 7시 30분에 시작한다.
  • 이번 시즌은 7월 4일 엘리아나 호텔에서 개막식을 가진 뒤 7월 10일 부터 2025 시즌 일정에 돌입한다. 특히 이번 시즌은 정규리그 18라운드 중 절반인 9번의 라운드가 통합라운드로 편성되었는데 마지막 라운드인 18라운드를 제외한 8번의 라운드가 전반기와 후반기에 각각 네 라운드가 4일 연속으로 진행되는 통합라운드 주간이 편성된다.

2025 NH농협은행 한국여자바둑리그 개막식

5. 선수 구성 및 대진 순번

5.1. 선수 선발식 결과

  • 이번 시즌은 6월 2일에 각 팀 지역 연고 선수 및 보호지명 선수들이 마감됐고, 6월 10일 오후 2시에 선수 선발식이 열렸다. 선수선발식 영상
  • 드래프트 순서[6][7] : H2 DREAM 삼척영천 명품와인평택 브레인시티산단부안 붉은노을서울 부광약품포항 포스코퓨처엠OK만세보령철원 한탄강 주상절리길여수세계섬박람회
2025 NH농협은행 한국여자바둑리그 선수 지명
팀명 보호
여부
1지명
(주장)
2지명 3지명 4지명
(후보/외국인)
<colcolor=#fff,#fff> H2 DREAM 삼척 X 김은지 권효진 김신영 리허
영천 명품와인 N 허서현 김은선 김수진 양쯔쉔
브레인시티산단 스미레 김주아 고미소 우이밍
부안 붉은노을 오유진 박소율 김상인 뉴 에이코
부광약품 김채영 이나현 최서비 백여정
포스코퓨처엠 김혜민 김경은 박태희 이정은
OK만세보령 김민서 김다영 이슬주 윤라은
한탄강 주상절리길 조승아 오정아 이민진 유주현
여수세계섬박람회 정유진 이영주 최민서 이나경
노란색: 지역 연고 선수, 녹색: 보호선수
4지명 칸에서 보라색으로 칠해진 칸은 외국인 선수
○ : 전체 보호, △ : 일부 보호, × : 전체 재건, N : 신생팀
  • 3년 보호 연한 해제 선수(괄호 안은 지난 시즌 소속팀) : 김은지 (여수세계섬박람회)

  • 여자랭킹 1위(2025년 6월 기준) 최정이번 시즌에도 불참하는 것으로 확정됐으며, 여자랭킹 9위(2025년 6월 기준) 조혜연(지난시즌 여수 2지명)도 지난 시즌을 끝으로 여자바둑리그 은퇴를 선언하고 레전드리그 및 개인 시합, 바둑 보급 등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기에 이번 시즌부터 여자리그에는 출전하지 않는다.
  • 6월 2일 마감 된 보호선수 및 지역 연고 선수 지명에서 먼저 지역 연고 지명으로 여수가 이나경 선수를 4지명으로 다시 지정했다. 이나경은 해당 연고지가 고향이므로 5년 규정이 적용되어 이번이 지역 연고지명 3년차 시즌이 된다.
  • 보호 선수 지명 결과 지역 연고 선수를 지정한 여수를 포함해 무려 7개 팀이 보호 선수를 지정했다. 전기 우승팀인 보령은 지난 시즌 1~3지명인 김민서, 김다영, 이슬주를 보호했고, 준우승팀 평택스미레, 김주아, 고미소를 보호 선수로 지정했다. 이 두 팀은 4지명을 새로 뽑게 된다. 부안은 지난 시즌 팀의 원투펀치로 맹활약한 오유진과 박소율을 보호 지명했으며, 지난 시즌 최하위였던 철원조승아오정아를 다시 보호 지명했다.
  • 지난 시즌 포스트시즌에 오르지 못했던 포스코부광약품전원보호로 이번 시즌을 치르게 됐다. 포스코김혜민, 김경은, 박태희는 이번 시즌이 3년 보호 연한 마지막 시즌이다. 여기에 지난 시즌 7위였던 부광약품김채영, 이나현, 최서비, 백여정이 다시 한 번 보호 지명을 받았는데[8] 부광약품은 지난 시즌 김채영을 제외한 나머지 선수들이 모두 지난 시즌이 여자리그 데뷔 시즌이었던 신예 선수들이고, 이들의 성적이 좋지는 못했지만 미래를 보고 다시 한 번 전체 보호 지명을 행사한 것으로 보인다.
  • 반면 지난 시즌 3위를 했던 삼척보호 지명을 포기하며 허서현, 정유진, 김은선이 드래프트 시장에 풀렸다. 사실상 이번 시즌 드래프트 최대어인 김은지 쟁탈전에 참전하기 위해 보호 지명을 과감히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여수와 3년 보호 연한 만료로 이번 시즌 드래프트로 나온 김은지를 두고 삼척과 신생팀인 영천이 선수 선발식에서 경쟁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9]. 김은지의 3년 보호 연한이 만료된 여수와 신생팀 영천을 제외하면 보호 지명을 행사하지 않은 유일한 팀이기도 하다.
  • 드래프트 시작 하루 전, 쿠키뉴스 단독 보도를 통해 평택이 외국인 선수로 중국의 우이밍[10]을 영입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로 인해 평택은 지난 시즌 리샤오시에 이어 중국 출신 외국인 선수를 영입하여 이번 시즌도 한중일 3개국의 프로기사가 함께 뛰는 팀이 되었고, 단숨에 우승후보의 위용을 갖추게 되었다. 이를 포함해 이번 드래프트에서 네 팀이 외국인 선수 영입을 발표했다. 우이밍을 영입한 평택 외에도 일본 출신 외국인 선수를 주로 데려왔던 부안은 일본의 뉴 에이코 선수를 외국인 선수로 영입했으며[11] 삼척은 지난 시즌에 이어 중국의 리허와 두 시즌 연속으로 동행하게 되었다. 그리고 신생팀 영천은 대만의 양쯔쉔 선수를 외국인 선수로 영입했다.[12]
  • 드래프트 결과 이번 드래프트 최대어인 김은지가 전체 1번으로 삼척의 지명을 받았다. 김은지는 2020시즌 이후 5시즌 만에 삼척에서 활동하게 됐다. 허서현은 전체 2번으로 영천의 주장으로 선발되었고 여수의 주장으로 지명된 정유진은 여자바둑리그 데뷔 후 처음으로 주장으로 발탁되었다.
  • 오랫동안 부광약품의 감독을 맡다가 선수로써 데뷔시즌을 맞게 된 권효진삼척의 2지명으로 선발되었다. 또한 이번 시즌을 통해 복귀한 선수들이 있는데 두 시즌 만에 돌아온 이영주여수의 2지명으로, 2023 시즌 중도 하차 후 복귀 시즌을 맞는 이민진철원의 3지명으로, 그리고 2019시즌 이후 6년 만에 여자바둑리그에 돌아온 김신영삼척의 3지명으로 각각 선발됐다.
  • 2025년 1월에 열린 여자 입단대회를 통해 프로에 입단한 최민서[13]여수팀의 3지명으로 뽑히면서 여자바둑리그 데뷔 시즌을 맞게 되었다.

5.2. 대진 순번

  • 이번 시즌은 9개팀으로 진행되므로 매 라운드 휴식팀이 나오며 휴식 주간을 갖는 팀은 대진 순번의 역순으로 지정된다.
대진 순번
순번 휴식 라운드
1 <colcolor=#fff,#fff> 부광약품 9라운드, 18라운드
2 부안 붉은노을 8라운드, 17라운드
3 H2 DREAM 삼척 7라운드, 16라운드
4 브레인시티산단 6라운드, 15라운드
5 한탄강 주상절리길 5라운드, 14라운드
6 포스코퓨처엠 4라운드, 13라운드
7 OK만세보령 3라운드, 12라운드
8 영천 명품와인 2라운드, 11라운드
9 여수세계섬박람회 1라운드, 10라운드

6. 프리시즌: 한일 여자바둑리그 올스타전

여자바둑리그 시즌 개막을 앞두고 7월 3일, 7월 7일 그리고 개막 하루 전인 7월 9일에 한일 여자바둑리그 올스타전을 개최할 예정이다. 한일 양국의 여자리그 선수 각 세 명씩 출전해 대결을 펼친다. 3판 다승제로 총 2차전을 치르며 3:3 동률시 2차전 주장전 승리팀이 우승을 차지한다. 일본은 '바둑장기채널' 팀의 후지사와 리나, '센코그룹' 팀의 우에노 아사미, '약리' 팀의 우에노 리사가 출전하며, 한국은 6월 18일부터 24일까지 팬투표를 진행해 상위 3명[14]이 한국 대표로 출전한다. 대국 규정은 제한시간 각자 1시간, 40초 초읽기 5회이며 이번 올스타전은 사이버오로에서 온라인 대국으로 진행된다. 모든 대국은 바둑TV에서 생중계되며, 문도원 三단이 캐스터를, 박정상 九단이 해설을 맡는다. 상금은 우승팀 3000만원, 준우승팀 1000만원이다.
한일 여자바둑리그 올스타전 출전 선수
국가 출전 선수 리그 소속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김은지 H2 DREAM 삼척
스미레 평택 브레인시티산단
오유진 부안 붉은노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우에노 아사미 센코그룹
후지사와 리나 바둑장기채널
우에노 리사 약리
2025 한일 여자바둑리그 올스타전
일정 대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7/3
15:00
1R 1국 스미레 후지사와 리나
197수 흑 불계승
7/3
19:00
2국 김은지 우에노 리사
246수 백 불계승
7/7
11:00
3국 오유진 우에노 아사미
179수 흑 불계승[15]
7/7
15:00
2R 1국
(주장전)
김은지 후지사와 리나
194수 백 불계승
7/9
11:00
2국 오유진 우에노 리사
210수 백 불계승[16]
7/9
15:00
3국 스미레 우에노 아사미
283수 흑 불계승
<rowcolor=#fff> 전적 4
우승
2
준우승

7. 대회 진행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30><table bordercolor=#fdedee,#fdedee> 파일:2025 여자리그_로고.png한국여자바둑리그
2025 시즌 경기 일람
}}}
1~9라운드 10~18라운드 포스트시즌

7.1. 정규리그 순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fdedee,#fdedee> 파일:2025 여자리그_로고.png2025 NH농협은행 한국여자바둑리그
정규리그 순위
}}}
<rowcolor=#fff> 순위 <colcolor=#fff,#fff> 팀명 경기 개인승 비고
1 부광약품 14 11 0 3 26 -
2 H2 DREAM 삼척 14 9 0 5 24 -
3 포스코퓨처엠 13 8 0 5 24 -
4 영천 명품와인 13 7 0 6 20 -
5 여수세계섬박람회 13 6 0 7 17 -
6 부안 붉은노을 14 6 0 8 20 -
7 OK만세보령 13 5 0 8 17 -
8 브레인시티산단 13 4 0 9 17 -
9 한탄강 주상절리길 13 4 0 9 15 -
: 챔피언 결정전 직행, : 플레이오프 진출, : 준플레이오프 진출
: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 : 탈락
  • 15라운드 종료(9월 28일) 기준 순위

7.2. 정규리그 전적표

  • 파란색칸 스코어는 승리, 빨간색칸 스코어는 패배

7.2.1. 전반기

VS <rowcolor=#fff,#fff> 부광 부안 삼척 평택 철원 포스코 보령 영천 여수
<colcolor=#fff,#fff> 부광 - 2:1 2:1 2:1 2:1 1:2 2:1 1:2 2:1
부안 1:2 - 1:2 1:2 2:1 1:2 2:1 1:2 1:2
삼척 1:2 2:1 - 1:2 2:1 2:1 0:3 2:1 1:2
평택 1:2 2:1 2:1 - 1:2 0:3 1:2 1:2 3:0
철원 1:2 1:2 1:2 2:1 - 0:3 3:0 1:2 0:3
포스코 2:1 2:1 1:2 3:0 3:0 - 2:1 1:2 3:0
보령 1:2 1:2 3:0 2:1 0:3 1:2 - 1:2 1:2
영천 2:1 2:1 1:2 2:1 2:1 2:1 2:1 - 1:2
여수 1:2 2:1 2:1 0:3 3:0 0:3 2:1 2:1 -

7.2.2. 후반기

VS <rowcolor=#fff,#fff> 부광 부안 삼척 평택 철원 포스코 보령 영천 여수
<colcolor=#fff,#fff> 부광 - 1:2 2:1 0:0 0:0 3:0 2:1 2:1 2:1
부안 2:1 - 0:0 2:1 1:2 0:3 1:2 2:1 2:1
삼척 1:2 0:0 - 2:1 3:0 2:1 0:0 2:1 3:0
평택 0:0 1:2 1:2 - 2:1 0:0 1:2 1:2 0:0
철원 0:0 2:1 0:3 1:2 - 1:2 0:0 0:0 2:1
포스코 0:3 3:0 1:2 0:0 2:1 - 3:0 0:0 1:2
보령 1:2 2:1 0:0 2:1 0:0 0:3 - 2:1 0:0
영천 1:2 1:2 1:2 2:1 0:0 0:0 1:2 - 0:0
여수 1:2 1:2 0:3 0:0 1:2 2:1 0:0 0:0 -

7.3. 포스트시즌

8. 대회 결과

9. 여담


[1] '수를 읽어주는 여자'. 바둑TV 유튜브 채널에서 생중계 중 중간 광고 시간에 바둑의 내용을 짤막하게 리뷰해 주는 코너다.[2] 밑에도 나와있듯이 이번 시즌 '부안 붉은노을'팀의 코치이기도 하다.[3] 레전드리그에서 여자바둑리그로 이동[4] 이유진 三단과 부부 프로기사이기도 하다.[5] 2014, 2015, 2016시즌 '티브로드', 2018시즌 '포스코켐텍'[6] 1, 4지명은 드래프트 순서, 2, 3지명은 그의 역순으로 지명[7] 이번 드래프트에서는 보호 지명을 포기한 삼척과 신생팀 영천이 순서 추첨을 해 순서추첨 결과에 따라 순번을 정한 후 나머지 7팀은 남은 순번을 추첨해 자동으로 결정했다.[8] 이나현과 최서비의 지명 순서를 바꿨다.[9] 드래프트 순서 추첨시 신생팀과 보호지명 포기팀에게 우선권이 주어지는데 여수의 경우 지역 연고지명을 행사했기 때문에 그 다음 순위로 밀린다.[10] 2023시즌에는 부광약품의 외국인 선수로 활약하며 3승 2패를 기록했다.[11] 뉴 에이코는 2017시즌 이후 8년 만에 한국여자바둑리그에서 활동하게 됐다.[12] 대만 선수가 여자바둑리그 외국인 선수로 활동하는 것은 2018 시즌 '바둑의 품격' 팀 외국인 선수로 활동했던 헤이자자 이후 7년 만이다.[13] 참고로 아버지는 아마 바둑계 강자로 잘 알려진 최호철 아마 7단이다.[14] 김은지(삼척), 스미레, 김주아(이상 평택), 오유진(부안), 김채영(부광약품), 김민서(보령)까지 6명의 선수가 후보로 올랐으며, 한 사람당 최대 3명까지 투표할 수 있다.[15] 오유진이 우변 백집에 침입한 흑돌을 다 잡아내며 승리를 눈앞에 뒀으나 마지막에 해프닝같은 수상전 착각이 나오며 허무한 역전패를 당하고 말았다.[16] 1국과는 정반대로 오유진이 상당히 불리한 형세였으나 중앙에서 우에노 리사의 축 착각이 나오며 행운의 대역전극이 벌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