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4 20:03:04

A(레인보우)/타이틀곡

파일:레인보우 프리즘_로고.png



[ 한국 음반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000000><width=20%>
파일:attachment/1287757556_1718685_1.jpg
||<width=20%>
파일:attachment/1287757556_2014400_1.jpg
||<width=20%>
파일:attachment/1287757556_2107985_1.jpg
||<width=20%>
파일:external/cmsimg.mnet.com/217429.jpg
||<width=20%>
파일:attachment/rb2ndminirp.jpg
||
Gossip Gir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e6b00; font-size: .8em;"
2009.11.12
A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808080; font-size: .8em;"
2010.08.12
Mach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e00fe; font-size: .8em;"
2010.10.20
So 女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a5089; font-size: .8em;"
2011.04.07
Sweet Drea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007f; font-size: .8em;"
2011.06.22
파일:external/cmsimg.mnet.com/280960.jpg
파일:external/cmsimg.mnet.com/292997.jpg
파일:external/cmsimg.mnet.com/406775.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0021346.jpg
파일:Over The Rainbow.jpg
Rainbow Syndrom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76930; font-size: .8em;"
2013.02.13
Rainbow Syndrome Part.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3c4f6, #e9488a); font-size: .8em;"
2013.06.04
INNOCENT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2015.02.23
Pris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8374d, #dd742f, #fde137, #488b2a, #2b6a85, #802e7a); font-size: .8em;"
2016.02.15
'''[[Over The Rainbow(2019년 음반)|Over Th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2019.11.14
[ 일본 음반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000000><width=20%>
파일:external/cdn-jp.umgi.net/umck-9446_eAT_extralarge.png
||<width=20%>
파일:external/cdn-jp.umgi.net/umck-9458_nbS_extralarge.png
||<width=20%>
파일:external/cdn-jp.umgi.net/umck-9465_zSR_extralarge.png
||<width=20%>
파일:external/cdn-jp.umgi.net/umck-9473_cur_extralarge.png
||<width=20%>
파일:external/cdn-jp.umgi.net/umck-9604_bNs_extralarge.png
||
A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1.09.14
マッハ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e00fe; font-size: .8em;"
2011.12.07
ガナガナGO!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683f30; font-size: .8em;"
2012.03.14
Over The Rainbow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3bafb, #ffeb38, #2b77da, #e94044, #f19133, #83cf2a, #8237a3); font-size: .8em;"
2012.03.26
Over The Rainbow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33d32; font-size: .8em;"
2012.12.12
[ 유닛 목록 ]
||<tablewidth=100%><table bgcolor=#000><width=1500> 파일:20180224_135236.png ||<width=50%> 파일:20180224_134714.jpg ||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width=1500> 음반 목록 ||
A
파일:A(레인보우) 앨범 아트.jpg
발매일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010년 8월 12일
아티스트 레인보우
러닝타임 3:20
장르 댄스
작사 송수윤
작곡 한재호, 김승수
편곡 한재호, 김승수, 홍승현
레이블 DSP미디어
발매사 엠넷미디어
수록 음반
1. 개요2. 뮤직비디오3. 가사4. 인스트루멘탈5. 안무6. 관련 영상7. 평가8. 커버9. 여담

[clearfix]

1. 개요

Track 1 〈A〉
이번 디지털 싱글 앨범에 수록되어 있는 “A” 란 곡은 한재호, 김승수 콤비의 작품으로 힙합비트에 락 적인 느낌을 융화하여 현대적으로 풀어낸 강력한 댄스 팝 넘버이며, 곡의 완성도를 위해 사전기획단계부터 DSP와 Sweetune 맴버들이 총 동원되어 오랜 시간 심혈을 기울여 완성시킨 역작의 곡이다. 또한, 기존의 곡들에서는 느낄 수 없었던 레인보우만의 차별화된, 강렬하고도 매력적인 색깔로 완성되었다. 레인보우 멤버들의 개성 있고 시원스러운 보이스 컬러와 맛깔스러운 랩핑, 절묘한 코러스의 조화로 한층 업그레이드 된 이번 디지털 싱글 앨범의 수록 곡인 “A”는 노래가사인 '적어도 너만은 세상에 너만은 소중히 여길 수 있길' 처럼 자칫 가벼워질 수 있는 인스턴스 식 사랑을 하지 말기를 바라는 메세지를 전하고 있으며, 연인의 마음 속 깊은 곳에 자리잡고 싶어하는 레인보우 일곱 멤버들의 바램을 노래하는 곡이기도 하다.[1][2][3]

레인보우의 디지털 싱글 《A》 타이틀곡이자 미니 2집 《So 女》 수록곡.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 뮤직비디오

A
Music Video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 가사

[ 가사 보기 ]
ALL 김재경 고우리 조현영 김지숙 노을 오승아 정윤혜
A AAA A AAA A AAA

Just U'r collection line ez acess line
스스로 매인 AAAA
그렇게 갇혀서 쌓인 니 깊숙히 패인
나아아 나아아 나아아 오

그저 감출 뿐이야 허술한 포장에
허울 좋은 허상일 뿐 진실이 될 수 없어
널 내리 누르고 또 조르고

A! oh oh oh oh oh oh oh woo
Just A! (A!) oh oh oh oh oh oh oh woo

(Love) 그게 흔하니 (Love) 사랑이 흔하니
(Love) 쉽게 다 change a love 갈아타 갈아타 oh
(Love) 적어도 너만은 (Love) 세상에 너만은
(Love) 소중히 여길 수 있길 있길

Just U'r collection line ez acess line
스스로 매인 AAAA
그렇게 갇혀서 쌓인 니 깊숙히 패인
나아아 나아아 나아아 오

A! oh oh oh oh oh oh oh woo
Just A! (A!) oh oh oh oh oh oh oh woo

그저 서툴 뿐이야 두꺼운 화장에
매일 같은 위선일 뿐 영원히 갈 수 없어
널 내리 누르고 또 조르고

(Love) 그게 흔하니
(Love) 그게 흔하니 (Love) 사랑이 흔하니
(Love) 쉽게 다 change a love 갈아타 갈아타 oh
(Love) 적어도 너만은 (Love) 세상에 너만은
(Love) 소중히 여길 수 있길 있길

Just U'r collection line ez acess line
스스로 매인 AAAA
그렇게 갇혀서 쌓인 니 깊숙히 패인
나아아 나아아 나아아 오

똑바로 나를 바라보라고

가식이 진실을 진실이 가식을
적어도 너만은 그래도 너만은
똑바로 날 바라 보길 보길
(Love) 적어도 너만은 (Love) 세상에 너만은
(Love) 소중히 여길 수 있길 있길

Just U'r collection line ez acess line (Uh~)
스스로 매인 AAAA (Ah~ Yeah)
그렇게 갇혀서 쌓인 (Oh) 니 깊숙히 패인
나아아 나아아 나아아 오 (Ah ah)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 인스트루멘탈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 안무

파일:레인보우 배꼽춤.jpg

2010년 당시 변화를 시도한 레인보우를 성공하게 해준 일등공신이라고 할 수 있다. 뮤직비디오 티저 공개 당시 검은색 시스루에 짧은 반바지를 입고 상의를 다같이 올리면서 배꼽을 보여주는 안무는 제대로 노이즈 마케팅이 되었고 일본 진출 당시에도 이 배꼽춤을 한번씩 보여달라고 했을 정도. 물론 수위가 수위라서 지상파 방송에서는 안무 수정으로 손짓만 했다.

2021년에는 치어리더들의 공연곡으로도 쓰이고 있는데, 한화 소속 치어리더인 김유나가 60만 조회수로 화제가 된 적이 있다. 김유나가 이 배꼽춤을 원래 안무보다 몇 배는 과감하게 추면서[4] 화제가 되었고 트레이드 마크곡으로 자리매김했다. 이후 2022년에는 다른구단에도 많이 공연곡으로 사용되고 있는 만큼 여러 치어리더들의 배꼽춤도 화제를 모았다.[5]

조현영이 자신의 유튜브 채널 영상에서 연습 당시 오승아가 마지막에 팔짱 끼라는 말을 옆사람과 팔짱 끼라는 뜻으로 잘못 이해해서 엄숙했던 분위기를 풀어줬다고 밝혔다.[6]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1 (이전 역사)
문서의 r2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6. 관련 영상

리뷰해조현영[7]
오늘은 배꼽대신 입 턴다ㅋㅋㅋ

2023년 1월 27일에 공개했다.
  • 조현영이 빌보드 선정 2010년대 최고의 K-Pop 100곡 16위라는 말을 듣고 활동할 때보다 활동 끝나고 나서 더 잘된 곡이었다며 생각보다 높다고 소감을 밝혔다.
  • 조현영이 생일 다음 날에 발매됐다는 말에 별 감흥이 없었다.
  • 뮤직비디오 촬영 당시 스타일리스트가 준비한 의상이 너무 별로여서 대표가 아메리칸 어패럴로 데리고 가서 의상을 구매했다.
  • 배윤정이 대표인 안무팀 야마앤핫칙스가 안무를 담당했다.
  • 조현영하남 공연 직캠을 감상하며 활동 당시보다 화장이 연해지고 살이 좀 붙었다고 자평했다.
  • 연습생 때 한 명씩 거울을 배정받아서 표정 연습을 했다.
  • 조현영이 한줄평으로 효자곡이었다고 평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 외부 콘텐츠 #===
A
경남대학교 개교 67주년 한마대동제
A
2K13 Feel Korea in Vancouver
A
제31회 합강문화제
A
G-STAR 2013
A
2014 SAF
A
2015 던파 페스티벌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7. 평가

파일:빌보드 로고.svg파일:빌보드 로고 흰색.svg
'''
2010년대 최고의 K-Pop 100곡
[[https://www.billboard.com/media/lists/best-k-pop-songs-2010s-top-100-8544710/| 2010년대 최고의 K-Pop 100곡]]
'''
파일:이즘로고노배경.png
1


복고와 트렌드가 안정적으로 융화됐다. 1980년대 댄스 가요를 따른 드럼 사운드는 과거를 되살리고 멜로디 후크를 강조한 곡 구조와 깊이 없이 반복되는 가사, 랩의 트라이앵글 속에서는 유행을 추구한다. 문제는 가사를 보지 않고는 이해하기 힘든 노랫말. 가사 전달에 취약한 일곱 멤버의 곡 지배력과 통솔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다른 걸 그룹들과의 차별성을 의식한 뮤직비디오와 의상, 안무는 레인보우의 치명적인 약점을 보완해주지 못한다.
소승근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E6E4E4><tablebordercolor=#0d0d0d><tablebgcolor=#fff,#191919><:> 음악취향Y||
( 음악취향 Best100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특징이라고는 찾아보기 힘든 (다분히 DSP스러운) 데뷔반 『Gossip Girl』(2009)을 뒤로 하고 발표한 「A」는 레인보우의 오래갈 것만 같던 무명생활을 한 번에 벗어나도록 도와주었다. 물론 '검열을 부르는 안무의 이슈화 → 안무 수정 홍보 → 방송활동'이라는 필수 요소(물론 그 때는 의도하던 시절도 아니었다!)를 거치긴 했다. 그럼에도 「A」는 2014년 초반처럼 음악이 휘발된 댄스뮤직과는 명백히 다른 지점에 위치한다. 춤이 가져다 준 화제성과는 별개로, 이 곡이 갖는 아우라는 전적으로 스윗튠의 시그니쳐 사운드에 빚을 지고 있다. 디스토션이 그다지 걸려있지 않은 기타 스트로크와 우직하게 4박을 지키는 드럼은 예스러운 로큰롤을 연상시키면서도, 도드라진 보컬의 사이사이를 메우는 전자음은 정성스러우면서도 절제감 있게 배치되어 있다. 눈썰미가 좋다면, 카라를 통해 발표한 전작 「미스터」(2009)와는 사운드 소스의 유사성을, 1년 뒤 대표작이 된 인피니트의 「내꺼하자」(2011)와 전반적인 구성이 비슷함을 잡아낼 수도 있을 것이다. 아이돌 업계에서 화제성과 기막힌 홍보 전략보다 우선하는 것은 '곡 자체가 갖는 매력'이라는 것을 이 하나의 싱글과 그 뒤 레인보우가 걸어간 행보가 증명한다.
(후략)
안상욱, Y-Best Dance Track 120 32위
(전략)
지금까지도 ‘숨겨진 명곡’으로 회자되는 ‘A’는 섹시함뿐만 아니라 이들이 타고난 ‘예쁨’을 바탕으로 만든 유쾌한 에너지의 곡이었다.
(후략)
김윤하, ize[8]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8. 커버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9. 여담

  • 곡 구성이 1절에서 A-B-C 순으로 진행되고 2절은 B-A-C로 바뀌어 진행된다.
  • 2010년 10월 22일에 〈리듬스타〉에 라이센스 곡으로 수록됐다. 이후 2011년에 출시된 〈TAPSONIC〉에도 라이센스 곡으로 수록됐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파일:벅스 아이콘.png[2] 파일:멜론 아이콘.svg[3] 파일:지니뮤직 아이콘.svg[4] 본래의 배꼽춤은 긴 상의를 살짝만 올려 배꼽만 살짝 보여주지만 김유나는 옷을 올리는 팔이 얼굴을 가릴정도로 과감히 위로 올려 배꼽은 물론 가슴 바로 아래 복부까지 전부 노출했다.[5] 김유나가 소속되었던 한화 이글스, kt wiz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조현영이 칼라하리의 밤(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과 함께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노래해조현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에 연재한 시리즈 리뷰
[8] 파일:ize 로고.svg파일:ize 로고 화이트.svg[9]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10] [손글인터뷰]팬들이 ‘레인보우’에게 묻다...직접 뽑은 ‘킬링파트’부터 숨은 명곡까지[11] [송터뷰]지숙, 노래하는 ‘숙가이버’ 인생노래는?[1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