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7:56:03

클래식 테트리스 월드 챔피언십

CTWC에서 넘어옴
파일:Classic_Tetris_World_Championship_logo.svg
<colbgcolor=#FFDB76><colcolor=#000> Classic Tetris World Championship
클래식 테트리스 월드 챔피언십
약칭 CTWC
창설년도 2010년
개최지 로스앤젤레스 다운타운 인디펜던트 극장(2010)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2011)
오리건 컨벤션 센터[1](2012~2019, 2022~2023)
패서디나 컨벤션 센터[2](2024)
최근 우승자 Alex T(2024)
최다 우승자 조나스 뉴바우어(2010~2013, 2015~2017, 7회)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역사
2.1. 개최 이전2.2. 2010년~2011년2.3. 2012년~2014년2.4. 2015년~2017년2.5. 2018년~2019년2.6. 2020년~2021년2.7. 2022년2.8. 2023년~
3. 규칙
3.1. 예선3.2. 본선
3.2.1. Round Zero (라운드 제로)3.2.2. 32강 ~ 결승
4. 대회 일람
4.1. Classic Tetris Monthly (CTM)4.2. 지역 예선
5. 역대 종목들6. 역대 본선 진출자 및 성적
6.1. 역대 우승자6.2. 역대 준우승자6.3. 유명 참가 플레이어들
7. 역대 해설진&캐스터8. 대회 용어9. 트로피10. 여담
10.1. NES 테트리스에 대해서
11.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aGameScout의 CTWC 소개 영상
한국어로 되어있는 CTWC 관전 팁
클래식 테트리스 월드 챔피언십(이하 CTWC)은 2010년부터 미국에서 해마다 개최되고 있는 비영리 테트리스 대회이다.

주 종목은 대회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고전(클래식) 테트리스인 NES(닌텐도) 테트리스(1989년 버전)이며, 가끔씩 Tetris The Grand Master닥터 마리오등의 다른 게임들도 이벤트 종목으로 체택되지만 결과 업데이트가 잘 안되는 종목들이다보니, 이 문서는 매년 열리며 비중이 가장 큰 NES 테트리스 종목 위주로 서술하고 있다. 단, 이벤트전 및 타 종목들에 대한 정보는 대회 문서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직까지 인지도가 높지는 않고, 독립 대회라 상금도 적은 편이지만 엄연히 테트리스 대회들 중에선 권위가 높은 대회이다. 당장 유튜브에 Tetris Tournament라고 치면 대부분 이 대회 비디오들이 결과로 나온다.

2010년과 2011년은 로스앤젤레스 지역에서 개최되었고, 2012년부터는 거점을 옮겨 미국 오리건 주의 오리건 컨벤션 센터(Oregon Convention Center)에서 매년 가을마다 열리는 포틀랜드 고전게임 엑스포(Portland Retro Gaming Expo)에서 개최되었다.[3] 허나 2020년부터는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입지가 좁다. 우선 닌텐도 테트리스가 한국에서는 유명하지 않은 것도 있고 대회에 대해서 안다고 하더라도 CTWC 본선이 한국 시간으로 새벽에서 아침까지 진행되다 보니 실시간 시청이 어려운 것도 있다. 또한 넷마블, 한게임에서 서비스했던 테트리스, 뿌요뿌요 테트리스 같은 빠른 페이스의 모던 테트리스에 익숙한 사람들이 대부분이라 점수 대결로 진행되는 CTWC는 보기 지루하다는 사람들이 많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 문단 참조. 거기다 영상들과 리소스들이 죄다 영어로 되어 있기에 언어장벽도 크게 작용한다.

2. 역사

2.1. 개최 이전

발단은 2010 CTWC의 개최와 함께 만들어진, 닌텐도 테트리스 마니아들의 이야기를 다룬 다큐멘터리 "Ecstasy of Order"이다. 당시 테트리스는 큰 대회가 개최된 적이 거의 없었고 소규모 대회들만 빈번했는데, 이에 좀 더 규모가 큰 대회를 열고 싶었던 로빈 미하라(Robin Mihara)가 대회에 참가할 실력자들을 물색하기 시작했다. Twin Galaxies에 등록된 닌텐도 테트리스 세계기록 보유자였던 조나스 뉴바워, 해리 홍, 제시 켈카, 벤 멀런이 수면 위로 떠올랐으며, 1990년 닌텐도 월드 챔피언십(Nintendo World Championship, 이하 NWC) 전국 챔피언이었던 토르 애컬런드도 참가를 결정하며 선수층의 갈피가 잡히기 시작했다.

CTWC는 1990 NWC과의 접점이 큰데, 대회 3종목 중 하나가 테트리스였으며[4], 초창기 대회 인원 중 NWC 출신인 올드비 플레이어들이 상당히 많은 편이었다. 출전 선수 중 트레이 해리슨[5], 토르 애컬런드, 크리스 브레이디, 마이크 윈지넥 등이 NWC 출신이며, 다큐멘터리 주연 로빈 미하라, 해설진 크리스 탕도 NWC 출신이다.

테트리스 컴퍼니 공식 웹사이트에 올라온 인터뷰를 보면 대회 원년 프로듀서 중 한 명인 빈스 클레멘테(Vince Clemente)는 "왜 많은 버전의 테트리스 중 NES 테트리스를 선택했나"라는 질문에 "NES 테트리스가 가장 완벽하기 때문"이라고 답한 바 있다.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버전이기도 하고, 80~90년대 닌텐도 팬들의 관심을 사로잡은 게임 중 하나였고, 거기다 올드비 플레이어들은 최신 버전의 테트리스를 배척하는 경향이 있어 고전 테트리스로 밀고 나가는 것을 선택했다고 한다.

2.2. 2010년~2011년

파일:2010ctwclineup.png
첫 대회였던 2010 CTWC 8강 3라운드가 진행되고 있는 모습[6]
왼쪽부터 벤 멀런(Ben Mullen), 조나스 뉴바워(Jonas Neubauer), 해리 홍(Harry Hong), 토르 애컬런드(Thor Aackerlund), 제시 켈카(Jesse Kelkar), 트레이 해리슨(Trey Harrison), 맷 부코(Matt Buco), 데이나 윌콕스(Dana Wilcox).
초창기에는 '월드 챔피언십'이라는 명칭에 이의가 많았다. 전술했둣 2010년에 테트리스 고수들을 미국 전역에서 끌어들여 캘리포니아 주에서 친선대회를 치르는 것이 시작이었는데, 당시에는 미국 플레이어들만 모아놓고 무슨 월드 챔피언십이냐는 반응이 있긴 했다. 거기다 고물로 취급받던 중고 NES 콘솔을 가지고 대회를 치르는 것 때문에 시대에 뒤처지는 것 아니냐는 소리도 있었다. 게다가 2011년 대회는 미국 거주인만 출전할 수 있다고 해서 더더욱 명칭의 뜻이 바랬다.

2011년까지만 해도 본선 진출 인원은 단 8명이었으며, 친선대회의 성격이 강해 별로 주목도 받지 못하는 시절이었다. 심지어 공식 웹사이트에 있는 공식 순위표도 2012년부터 만들어서 2010년과 2011년 공식 순위표는 존재하지 않는다.

2.3. 2012년~2014년

파일:2013ctwcfinals.jpg
2013 CTWC 결승전
2012년에 CTWC는 대격변을 맞는데, 우선 기존의 8강 체재에서 32강으로 선수 풀을 대폭 확장시켰으며, 미국 오리건 주에서 개최하는 고전게임 전시회 포틀랜드 고전게임 엑스포와 협약을 해 모든 본선 경기를 이 곳에서 진행하게 되었다. 이 협약은 CTWC에게 한 줄기 빛과도 같았는데, 원년 해설자 크리스 탕에 의하면 CTWC는 2011년 이후 미래가 상당히 불투명해 PRGE의 스폰서십이 없었다면 2012년에 대회를 열지 못했을 수도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2012년에서 2014년까지의 대회들은 32강과 16강 영상을 찾아볼 수 없으며[7], 특히 2014 CTWC는 현재 결승전 영상을 제외하면 모든 VOD가 유실된 상태이다(...). 이 때까지만 해도 소수의 테트리스 마니아 사이들에서만 알려진 대회였기에 입지가 좁았다.[8]

그래도 2014년에 열린 대회는 CTWC 역사에 한 획을 그은 대회로 기록되는데 바로 해리 홍이 4연속 챔피언 조나스 뉴바워를 저지하고 우승을 차지한 것. 당시에는 2010년부터 이 둘 사이에 존재했던 라이벌 사이가 극에 달한 시기였다.

2.4. 2015년~2017년

파일:2017ctwcsemi.jpg
2017 CTWC 4강이 진행되고 있는 장면
CTWC의 관심도가 본격적으로 높아진건 2015년부터이다. 2014년 우승자인 해리 홍이 이때부터 조금씩 부진하며 매년 결승에 진출한 조나스 뉴바워과의 라이벌 구도가 조금씩 흐려지기 시작했으며, 새로운 도전자들이 늘어나면서 플레이어들의 실력들이 상향 평준화되기 시작했다.

또한 프로그래머 트레이 해리슨이 2015년부터 인력에 투입되어 중계 스크린이 상당히 발전되었으며, 공식 대회 유튜브 채널도 2015년에 개설되었다.

여전히 미국 플레이어들이 많긴 하지만 2015년부터 지역 대회들을 미국 외 해외에서도 개최하고, 일본과 유럽[9] 플레이어들이 CTWC에 출전하는 등 국제 대회임을 확고히 했다.[10] 그에 따라 인지도와 시청자들도 꾸준히 늘기 시작.

그리고 급기야 2016 CTWC 결승에서 전설의 "BOOM TETRIS FOR JEFF" 밈[11]이 나오면서 폭발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알 수 없는 유튜브 알고리즘 덕분에 경기 영상을 찾아본 사람들이 많으며, 대부분 "테트리스 세계대회가 있는 줄도 몰랐다"등의 반응을 보였지만 동시에 묘한 중독성때문에 계속 보게 된다는 사람들도 많았다. 현재 해당 결승 동영상은 조회수 1천만을 넘긴 상태다.

2.5. 2018년~2019년

파일:75553067_3256865797687037_6500045325862961152_o.jpg
2019 CTWC가 진행되고 있는 장면
앞 정중앙에 테트리스의 창시자 알렉세이 파지노프가 경기를 관람하고 있다.
2018년에 CTWC는 또 한번의 전환점을 맞는다. 먼저 중계 스크린이 확연히 발전한 것이 보이며, 그동안 다소 중년(30-40대)인 플레이어들이 많았던 CTWC에 급격한 세대교체가 시작되었다. 2018년 당시 16세 조셉 세일리와 20세 그린티(GreenTea)가 첫 출전에 우수한 성적[12]을 거둔 것을 시작으로, 2019년에는 본선에 많은 젋은 신예 선수들이 유입되었으며[13], 2017년 말에 개설된 Classic Tetris Monthly라는 닌텐도 테트리스 커뮤니티도 신규 플레이어들의 발굴 및 유입을 도우고 있다. 이에 따라 CTWC 예선 참가 인원도 폭발적으로 늘어서, 2019년에는 결국 면적이 기존의 대회 장소보다 두 배 넓은 홀에서 개최할 정도였다.

그리고 2019년에는 7회 우승자 조나스 뉴바워와 항상 그의 라이벌로 평가되었던 해리 홍이 32강에서 탈락하는 이변을 연출했고, 유력 우승후보들인 알렉스 커, 퀘이드, 제프 무어, 스바바 거나슨, 야니 헤를레비도 조기 탈락함으로서 더 이상 CTWC는 베테랑들만의 대회가 아닌 것이 입증되었다. 그나마 Koryan이 결승까지 진출했지만, 조셉 세일리가 3:2로 승리해 2연속 우승에 성공하면서 이제는 신세대(특히 10대) 선수들이 대회를 점차 지배하고 있음이 명확해졌다. 또한 테트리스의 아버지 알렉세이 파지노프가 대회에 참석해 관람하고 우승자와 준우승자에게 트로피를 전달하는 상징적인 장면도 보여졌다.

2.6. 2020년~2021년

2020년에는 PRGE가 코로나바이러스-19 사태로 인해 취소됨에 따라 8년 만에 오리건 컨벤션 센터의 지붕을 떠나 장소를 바꿔야 했고, 결국 7월에 대회 프로듀서들이 2020 CTWC는 온라인으로 개최될 것을 발표했다. 2-3일만에 짧게 끝났던 지난 대회들과는 달리 2020년에는 10월부터 12월까지 상당히 길게 대회를 진행했으며, 64인 더블 엘리미네이션[14]으로 진행되었다.

2021 CTWC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온라인으로 개최되었다.

두 대회 모두 조셉 세일리보다도 나이가 어린 Dogplayingtetris (본명 Michael Artiaga)가 우승하면서 CTWC의 세대교체를 더더욱 굳건이 했으며, 롤링 플레이스타일로 인해 전체적으로 대회에서의 점수들이 상당한 인플레이션을 겪기 시작했다.

2.7. 2022년

PRGE가 2022년에 정상개최됨에 따라 CTWC 역시 같은 지붕 아래에서 3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개최될 예정이다. 그동안 각종 지역 예선들은 작년부터 오프라인으로 개최했었지만 CTWC 본선 정상 개최는 2019년 이후 처음으로, 지난 2년간 클래식 테트리스 씬을 휩쓴 롤링 플레이스타일이 최초로 CTWC 오프라인 무대에서 선보여질 것으로 보여졌다. 이는 현실이 되었고, 결승전을 비롯해 롤링을 통한 끈질긴 킬스크린 생존력을 보여주는 경기가 다수 나왔다. [15]

2.8. 2023년~

롤링 기술의 발달과 전반적인 숙련도 상승으로 테트리스 매치가 갈수록 정확성과 테트리스 비율보다는 생존력을 겨루는 마라톤 형식의 게임이 되며 매치가 장기화되자, 기존 킬스크린의 취지를 되살리기 위해 39레벨에 슈퍼 킬스크린[16]을 도입해 330줄의 라인 캡을 만들었다. 이로써 테트리스 매치는 18레벨, 130줄의 전반/19~28레벨, 100줄의 중반/29~38레벨, 100줄의 후반으로 나뉘게 되었다.

2024 CTWC는 10년 넘게 몸담았던 오리건 주 포틀랜드 대신 캘리포니아 주의 패서디나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10월 일정이 앞당겨져 현지 시간 6월 8-9일에 개최되었다. 본선 Gold Bracket에 진출하기 위해 퀄리파이어에서 맥스아웃을 3번은 내야 했으며, 마지막 하이퍼태퍼 Dillan이 16강까지 진출하며 롤링의 시대 속에서도 태핑의 경쟁력을 보여주었다.

게다가 클래식 테트리스 "월드" 챔피언십이라는 이름에 맞게, FIFA 월드컵의 지역예선처럼 각지에서 지역예선이 열리고 있다. 2024년 9월 16일 기준 최신 공지는 "라틴아메리카 지역 토너먼트" 개최 소식이며, 10월 10–14일 콜롬비아의 수도 보고타에서 개최된다고 한다. 그 외에도 다른 지역예선이 있으나 한국은 아직 개최된 적은 없다.[17]

이렇게 태핑은 물론 롤링이라는 고도의 기술로 닌텐도 테트리스 세계를 제패하고 있는 사이, 지난날의 조나스나 해리 홍, 퀘이드가 있었던 DAS 시절로 다시 돌아가자는 복고적인 생각을 지닌 사람이 있었다. 그리하여 "CTWC DAS"라는 대회가 매년 별도로 개최되고 있다. 태핑이나 롤링을 구사할 줄 모르지만 그간 DAS 기법으로 120만 점대(혹은 130만 점대)를 기록한 사람들이 존재하는 만큼, 향상된 점수로 인해 2017년까지의 대회와는 조금 다른 느낌을 받을 수 있다.

3. 규칙

  • 모든 규칙은 2020년 기준이며, CTWC의 메인 종목인 닌텐도 테트리스 종목을 기준으로 한다.
  • 규칙과 대진표 방식은 해마다 계속 바뀌어왔다.
    • 2010 CTWC
      • 초기에는 8명만 본선에 진출했으며, 그 마저도 5명은 세계기록 보유자라는 명목 하에 본선에 자동 진출했기에 예선에서 3명만 올라왔다.
      • 예선에서는 Type-B(25줄 클리어 모드)가 사용되었으며,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한 1, 2, 3위가 본선에 진출했다.
      • 본선에서는 8명 전원이 동시에 게임을 진행했는데, 1라운드는 라인 클리어 대결, 2-3라운드는 점수 대결을 펼쳐 결승에 올라갈 최종 2명을 가른다.
      • 결승전은 3판 2선승으로 진행되며, 각 세트당 점수가 더 높은 플레이어가 승리했다.
      • 결승을 포함해 모든 경기가 레벨 9에서 시작되었다.
    • 2011 CTWC
      • 2011년 예선 역시 Type-B 모드를 사용했다. 단, 레벨 19에서 시작해 25줄을 지웠을 경우 100,000점이 가산점으로 추가되었다.
      • 본선 진출 인원은 8명이나 2010년과 달리 자동 진출자 없이 8명 모두 예선을 통과해야 했다.
      • 본선은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진행되었으며, 모든 경기는 3판 2선승으로 펼쳐졌다. 덧붙여 모든 본선 경기가 레벨 18에서 시작했다.
    • 2012 CTWC
      • 2012년부터 32강 체재로 바뀌었다.
      • 예선에서 Type-B 모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대신 Type-A 모드에서 최소 레벨 9부터 시작해[18]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한 32명이 본선에 진출했다.
      • 본선은 2011년과 마찬가지로 토너먼트 방식이었으며, 32강~4강까지는 3판 2선승, 결승은 5판 3선승으로 진행되었다.
      • 매 경기마다 플레이어들이 번갈아 가며 시작 레벨을 결정했다. 1, 3세트에서는 시드가 더 높은 플레이어에게 결정권이, 그리고 2세트에서는 시드가 더 낮은 플레이어에게 결정권이 주어졌다.[19] 이 당시에는 결승까지도 시작 레벨을 9부터 18까지 아무렇게 선택할 수 있었다.
      • 공식 순위표가 2012년부터 만들어졌다. 몇 라운드까지 진출했는지, 패배한 경기에서 몇 세트를 땄고 득점을 얼마나 했는지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 2013 CTWC
      • 큰 변경점은 없으나, 8강부터는 시작할 수 있는 최소 레벨이 9에서 13으로 상향되었다.
    • 2014 CTWC
      • 4개의 렌탈 스테이션이 예선에 추가되었다. 기존의 예선 스테이션은 한 게임이 끝날 때마다 줄을 다시 서야 했지만 렌탈 스테이션을 예약하면 1시간동안 줄을 설 필요 없이 계속 본선 진출 시도를 할 수 있다. 추가 비용은 20달러. 참고로 기존 예선 참가 비용은 10불이었다.
    • 2015 CTWC
      • 순위표 방식이 바뀌었다. 기존에는 패배한 세트의 점수들을 합쳐 순위를 결정했으나 이번에는 그 점수에다 예선 점수까지 합해 순위를 결정했다. 하지만 2017년부터 다시 기존 방식으로 바뀌었다.
      • 8강부터 시작할 수 있는 최소 레벨이 13에서 15로 다시 상향되었다.
    • 2016 CTWC
      • 2016년부터 매 경기마다 대결하는 두 플레이어의 게임에 똑같은 테트로미노 RNG가 생성되도록 개조된 2인용 카트리지를 사용한다.[20] 이 2인용 카트리지는 점수 표기가 7자리로 되어 있어 백만 단위의 점수도 나오게 되어있다.
      • 32강에서 시작할 수 있는 레벨은 15나 18뿐이며, 16강부터는 모든 경기가 레벨 18에서 시작한다.
      • 렌탈 스테이션이 6개로 늘어났다.
      • 예선 참가 비용이 10불에서 15불로 상향되었다.
    • 2018 CTWC
      • 본선 진출 인원이 32명에서 40명으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25-40시드는 예선 후 바로 당일에 라운드 제로(Round Zero)에 참가하며, 승리한 8명은 32강에 진출한다.
      • 라운드 제로는 32강 룰을 따르며, 레벨 15나 18에서 시작할 수 있다.
    • 2019 CTWC
      • 본선 진출 인원이 다시 48명으로 늘었으며, 17-48시드는 라운드 제로에 참가해 승리한 16명은 32강에 진출한다.
      • 지난 대회들이 결승만 5판 3선승이었던 것을 바꾸어 8강부터 5판 3선승으로 진행된다.
      • 렌탈 스테이션이 12개로 늘어났다.
      • 예선 참가 비용이 20불로 상향되었다.
    • 2020 CTWC
      • 본선 진출 인원이 64명으로 늘어났다.
      • 온라인으로 개최되기 때문에 예선은 참가자의 트위치 스트리밍에서 2시간 동안 점수를 내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8명씩 8개 조로 나뉘어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조 1위를 가리고, 8강부터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진행된다.
      • 조별 경기를 포함한 모든 경기가 5판 3선승으로 진행된다.
      • 조별 경기에 한하여 본선 진출 선수들이 각자 집에서 각자의 카트리지로 플레이한다. 그로 인해 2016년 이전처럼 양측 플레이어의 RNG가 다르며, 플레이어가 게임 지니 등의 방법을 쓰지 않았다면 점수가 카운터 스톱될 수 있다.[21]
      • 8강전에서는 모든 선수들이 주최측으로부터 특수 제작[22]된 카트리지를 수령받아[23] 플레이한다[24].
      • 예선 참가 비용이 50불로 상향되었다.

3.1. 예선

  • 컨트롤러는 자신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나, 기계적인 수정이 가해지지 않은 오리지널 NES 컨트롤러여야 한다.[25] 없다면 렌트를 할 수 있다.[26]
  • 줄을 섰다가 자신의 차례가 되면 NES 스테이션에서 본선 진출 시도를 할 수 있다. 단, 한 게임이 끝날 때마다 줄을 다시 서야 한다. 줄을 서고 싶지 않다면 추가 비용을 내고 NES 렌탈 스테이션에서 1시간 동안 계속 시도할 수 있다.[27]
  • NES 테트리스 Type A 모드로 진행하며, 최소 레벨 9에서 시작해야 한다.[28]
  • 한 게임이 끝나고 점수가 기록되길 원하면[29] 심판을 불러 점수를 기록하게 해야 한다.
  • 이렇게 해서 하루 동안의 참가자 중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한 48명의 플레이어들이 본선에 진출한다. 1위부터 1번 시드, 2번 시드, …48번 시드를 받게 된다.
  • 만약 같은 점수를 기록한 플레이어들이 2명 이상일 경우, 그 플레이어들의 타 시도에서 기록한 점수로 순위를 결정한다. 즉, 기록하기 전후의 시도들에서 더 높은 점수를 기록한 플레이어가 더 높은 순위.[30]

3.2. 본선

3.2.1. Round Zero (라운드 제로)

파일:roundzero.png
파일:2019ctwcroundzero.png
2018년 라운드 제로 대진표[31] 2019 CTWC 48인 대진표
  • 2018년에 추가된 대진.[32] 2018년에는 본선 인원이 32명에서 40명으로 늘어났으며, 2019년에는 다시 40명에서 48명으로 증가했다.
  • 1시드~16시드는 32강에 자동 진출하며, 17시드~48시드는 라운드 제로에 진출해 3판 2선승 방식으로 대결해 32명 중 승리한 16명이 32강에 진출하게 된다.
  • 1세트와 3세트는 시드가 더 높은 플레이어가, 그리고 2세트는 시드가 더 낮은 플레이어가 레벨 15 또는 18에서 시작할 지를 선택할 수 있다.[33]
  • 라운드 제로는 예선 마감 후 당일에 진행한다.

3.2.2. 32강 ~ 결승

  • 32강부터 결승까지 모두 하루 안에 진행된다.[34] 32강과 16강은 3판 2선승이며, 8강부터 결승까지는 5판 3선승이다.
    • 사족으로, CTWC에서는 32강과 16강을 각각 1라운드(Round 1), 2라운드(Round 2)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한 3, 4, 5라운드는 각각 8강, 4강, 결승을 일컫는데 어느 쪽으로 부르는 지는 크게 상관없는 듯.
  • Round Zero처럼 32강에선 플레이어들이 세트를 번갈아가며 레벨 15 또는 18에서 시작할 지를 선택할 수 있다.[35]
  • 16강부터는 모든 매치가 레벨 18에서 시작된다.
  • 플레이어들은 경기 시작 전 잠시 레벨 19로 1~2분간 워밍 업을 하는 것이 허용된다.
  • 워밍 업 후 두 플레이어가 준비되면 심판은 정20면체 주사위 2개를 던져 나온 숫자들에 따라 해당 세트 RNG를 결정한다.[36]
  • 심판의 콜에 따라 두 플레이어는 동시에 게임을 시작하게 되며, 각자 옆에 앉아 심판을 등진 채로 패미컴 모니터로 게임을 진행한다. 만약 플레이어들간에 다툼이 있다면 심판이 해결한다.
  • 매 게임당 점수가 높은 플레이어가 승리한다.[37] 이 말인 즉슨,
    • A 가 B보다 더 낮은 점수를 기록한 상태에서 A가 탑아웃 할 경우: B 승리
    • A 가 B보다 더 높은 점수를 기록한 상태에서 A가 탑아웃 할 경우:
      • B가 게임을 계속하여 A의 점수를 넘을 경우: B 승리
      • B가 A의 점수를 넘는데 실패하고 탑아웃 할 경우: A 승리
  • 플레이어가 게임을 일시정지하거나 고의로 기계 오작동을 일으킬 경우(전선을 뽑는다던지) 그 게임은 해당 플레이어의 패배로 기록된다.
  • 만약 경기 중 비의도적인 기술적 오류가 발생할 경우, 두 가지 경우로 나뉜다.
    • 플레이어의 모니터가 꺼지거나 화면이 멈춰서 게임 진행이 완전히 불가능한 경우: 심판이 해당 오류 전까지의 경기 결과를 확인 후, 점수 차이에 따라 재경기를 하거나 판정승을 줄 지를 결정할 수 있다.[38]
    • 일시적인 오류[39] 때문에 게임플레이에 지장을 줄 경우: 플레이어는 계속 게임을 진행해야 하며, 경기가 반드시 끝나고 난 후에야 심판에게 비디오 판독 및 재경기를 신청할 수 있다. 만약 해당 세트 후 비디오 판독 신청이 없으면 승부가 그대로 받아들여지며, 이후 플레이어는 항의 및 판독 요구를 할 수 없다.
      • 2018 CTWC에서 생긴 문제 때문에 추가된 규칙으로 보인다. 문제의 경기는 16강 Alex Kerr vs Quaid 와 Jeff Moore vs Svavar Gunnar 두 경기였는데, 알렉스 커와 제프 무어가 게임 도중 화면에 문제가 생겨 게임에 방해를 받았기 때문. 다만 둘 다 패배에 항의하지 않고 결과에 그대로 승복했다.

4. 대회 일람

파일:Classic_Tetris_World_Championship_logo.svg
역대 클래식 테트리스 월드 챔피언십 대회 일람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4.1. Classic Tetris Monthly (CTM)

디스코드 링크
CTM은 2017년에 새로 생긴 온라인 대회이자 닌텐도 테트리스 커뮤니티이다.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대회가 매달(Monthly) 열리는 것이 특징이다. 인터넷 속도가 각 지역마다 다르다 보니 퀄리티가 그닥 좋진 못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플레이어들의 유입과 발굴을 도우는 역할을 해서 닌텐도 테트리스 커뮤니티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40] 전용 디스코드 채널에 가입 후 트위치 채널을 만들면 대회에 참가할 수 있다.

CTWC처럼 NES 테트리스 북미판을 사용하며, 트위치 개인방송에서 1시간 동안의 제한시간을 둔 후 그 1시간 동안 세운 최고 점수를 제출해 예선 순위에 따라 알맞는 대회에 배정된다. 한 달에 한 번만 제출할 수 있으며, 특정 달의 대회에 참가하고 싶다면 예선 마감은 로컬 타임으로 그 전 달 마지막 날의 자정이다.[41]

CTWC와는 달리 에뮬레이터 사용이 허용되며, NES용 컨트롤러 외의 다른 컨트롤러(키보드 포함)를 사용해도 된다. 단, 터보/Autofire 기능이 있는 컨트롤러 사용은 금지. 또한 기계적으로 개조되지 않은 롬을 사용해야 하며, 예선이든 본선이든 에뮬레이터에 내장된 일시정지 및 빨리감기[42] 기능은 사용할 수 없다.

주기적으로 열리는 온라인 대회로서 CTWC에서는 볼 수 없는 업셋이 굉장히 많이 나온다. 특히 CTWC에는 참가하지 못했지만 실력은 걸출한 플레이어들이 많아서 이름이 잘 알려지지 않은 플레이어가 유명한 플레이어를 이기는 구도도 자주 나온다. 그러다 보니 클래식 테트리스 씬에서 굉장히 많은 인재들을 발굴한 대회로 인정받고 있으며, 베테랑들의 선전과 신인들의 반란이 자주 교차되면서 클테 상위권 유저들의 평균 실력을 엄청나게 끌어올린 계기가 되었고, 자연스럽게 CTWC에서의 세대교체와 수직상승한 경쟁률로 이어지게 되었다.

4.2. 지역 예선

사실 CTWC 창립 전에도 독립된 소규모 NES 테트리스 지역 대회들이 열린 적도 있지만[43], 2015년부터 미국의 중서부 지역 예선전과 유럽 지역 대회 CTEC(Classic Tetris European Championship)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CTWC와 연계된 지역 예선전 및 유사 대회들이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CTEC 2015가 준비되고 있는 사진 CTWC 지역 예선이 단순한 지역 대회와 다른 점은 바로 CTWC 본선 자동 진출이 걸려 있다는 것. 2018년부터 공식 예선전이 미국 5곳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며, 2019년에는 캐나다, 노르웨이, 싱가포르, 대만 등 다른 나라에서도 예선전을 치르게 되었다.[44]

CTWC 공인 지역 예선은 미니 CTWC라고 생각하면 쉽다. 점수 예선을 통해 본선에 8명[45]이 진출하며 싱글 엘리미네이션으로 진행하는데, 8강과 4강은 3판 2선승이며 결승전은 5판 3선승이다. 우승자는 CTWC에 무료로 참가할 수 있게 된다.[46] 단, CTWC 본선 자동 진출을 위해서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 CTWC에서 자동 진출권을 수여하는 공인된 대회여야 하며[47], 해당 대회에서 반드시 북미판 닌텐도 테트리스를 사용해야 한다.[48]
  • 우승자는 해당 지역 대회 점수 예선에서 70만점을 넘긴 선수여야 한다.[49] 예선에 들기 위한 예선전
  • 만약 해당 조건들을 만족시키지 않았을 경우, CTWC 공인 지역 예선이라 하더라도 무료 출전권만 주어지고 본선 자동 진출은 불발된다.

자동 진출을 하더라도 CTWC 점수 예선전에는 여전히 참가가 가능하다. 드물지만 만약에 본선 자동 진출자가 CTWC 점수 예선에서 컷오프 안에 들지 못할 경우 자동 진출 규칙에 따라 기존 최하위 시드에 있는 선수를 밀어내고 본선 최하위 시드에 배정된다.

5. 역대 종목들[50]


한편 CTEC에서는 게임보이 테트리스 부문도 매년 개최하고 있다.

6. 역대 본선 진출자 및 성적

  • 2010년에는 8강에서 2명만 결승에 진출했기에 4강은 존재하지 않았다.
  • 2020년에는 8개 조에서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1위만 8강에 진출했다.
  • R0 = 라운드 제로
역대 CTWC 본선 진출자 목록
<rowcolor=#FFDB76> 플레이어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진출 횟수
Jonas Neubauer[55] 우승 우승 우승 우승 준우승 우승 우승 우승 준우승 32강 조 2위 11회
Harry Hong 준우승 4강 8강 준우승 우승 4강 4강 8강 8강 32강 조 7위 11회
Matt Buco 8강 8강 16강 4강 32강 8강 32강 4강 16강 16강 - 10회
Alex Kerr - 준우승 4강 32강 8강 4강 8강 준우승 16강 R0 조 7위 10회
Ben Mullen 8강 8강 16강 8강 16강 - 16강 16강 16강 16강 - 9회
Trey Harrison 8강 - 16강 8강 32강 32강 8강 16강 32강 32강 - 9회
Robin Mihara - 4강 16강 16강 32강 32강 32강 32강 R0 32강 - 9회
Sean Ritchie[56] - - 8강 16강 16강 준우승 8강 4강 8강 32강 조 3위 9회
Chris Brady - - 16강 16강 8강 16강 32강 16강 32강 32강 - 8회
Terry Purcell - - 32강 32강 4강 8강 16강 - 16강 8강 조 5위 8회
Jani Herlevi - - - 8강 32강 16강 8강 8강 16강 16강 조 7위 8회
Dana Wilcox 8강 8강 16강 32강 16강 32강 32강 - - - - 7회
Mike Winzinek - - 준우승 16강 16강 16강 16강 32강 32강 - - 7회
Chad Muse - - - 4강 32강 8강 16강 8강 16강 16강 - 7회
Jeff Moore - - - - 16강 16강 준우승 16강 16강 32강 조 5위 7회
Eli Markstrom - 8강 4강 - 4강 - 16강 8강 32강 - - 6회
Josh Tolles - - 8강 8강 8강 - - - 8강 8강 조 7위 6회
Bo Steil - - 8강 16강 8강 8강 16강 16강 - - - 6회
Rigel Pearce - - 32강 32강 32강 32강 32강 32강 - - - 6회
Vince Clemente - - 32강 32강 32강 32강 32강 32강 - - - 6회
Matt Schoolmaster - - - - 16강 16강 16강 32강 32강 32강 - 6회
Jake Stein - - - 32강 16강 - 32강 - 32강 32강 - 5회
Frank Westphal - - - - 32강 32강 32강 32강 32강 R0 - 5회
Joey Parker - - - - - 16강 16강 32강 16강 R0 - 5회
Koryan[57] - - - - - - 4강 16강 4강 준우승 조 2위 5회
Chris Extine - - 32강 32강 32강 32강 - - - - - 4회
Ryan Ritchie - - 32강 32강 32강 32강 - - - - - 4회
Steven Hughes - - 32강 32강 32강 32강 - - - - - 4회
Cameron Eure - - - 32강 16강 32강 32강 - - - - 4회
Peter Grisafi[58] - - - - - 16강 32강 16강 32강 - - 4회
Gin Morgan - - - - - 32강 32강 32강 32강 - - 4회
Jon Baker - - 32강 - 32강 - - - R0 - - 3회
Patrick Nyffeler - - - - 32강 - 32강 - 32강 - - 3회
Paul Tesi[59] - - - - - - - 32강 32강 16강 - 3회
SQR[60] - - - - - - - 32강 32강 32강 - 3회
Stacy Schierholz - - - - - - - 32강 32강 R0 - 3회
Joseph Saelee - - - - - - - - 우승 우승 8강 3회
Svavar Gunnarsson - - - - - - - - 8강 32강 조 5위 3회
Jesse Kelkar 8강 - 16강 - - - - - - - - 2회
Kevin Birrell - - 16강 - - - - 32강 - - - 2회
Shakil Assi - - 32강 16강 - - - - - - - 2회
Bob Jenkins - - 32강 16강 - - - - - - - 2회
Dain Anderson - - 32강 32강 - - - - - - - 2회
Louie Skouie - - 32강 - - - - - - R0 - 2회
David Vulich - - - 16강 - 16강 - - - - - 2회
Danny Vulich - - - 32강 - 32강 - - - - - 2회
Kristen Stein - - - - 32강 - - - R0 - - 2회
Jason Simoneaux - - - - 32강 32강 - - - - - 2회
Adam Cornelius - - - - - 32강 32강 - - - - 2회
Sean Miller - - - - - - 32강 16강 - - - 2회
Sam Parry - - - - - - - 32강 32강 - - 2회
Greg Vander Velden - - - - - - - 32강 R0 - - 2회
GreenTea[61] - - - - - - - - 4강 8강 - 2회
David Legendre - - - - - - - - 32강 R0 - 2회
Packie[62] - - - - - - - - 32강 R0 - 2회
Ethan Daniels - - - - - - - - R0 R0 - 2회
Matt Martin - - - - - - - - - 8강 조 5위 2회
Allen Qiu - - - - - - - - - 16강 8강 2회
Marc Maier - - - - - - - - - 16강 조 5위 2회
Scottobozo - - - - - - - - - 32강 조 4위 2회
Paul Yeo - - - - - - - - - 32강 조 3위 2회
Reed Hanson - - - - - - - - - 32강 조 7위 2회
Sharky[63] - - - - - - - - - R0 조 2위 2회
Thor Aackerlund 8강 - - - - - - - - - - 1회
Steve Hill - - 32강 - - - - - - - - 1회
Shawn Schwartz - - 32강 - - - - - - - - 1회
Paul Fujita - - 32강 - - - - - - - - 1회
Nathan Graybeal - - 32강 - - - - - - - - 1회
Jack Slater - - 32강 - - - - - - - - 1회
Chris Bidwell - - - 32강 - - - - - - - 1회
Melissa Williams - - - 32강 - - - - - - - 1회
Matt Rose - - - 32강 - - - - - - - 1회
Henry Tonoyan - - - 32강 - - - - - - - 1회
Grant Siefker - - - - 32강 - - - - - - 1회
Brian Glessner - - - - - 32강 - - - - - 1회
Kim Alceo - - - - - 32강 - - - - - 1회
Brian Pellegrini - - - - - - 32강 - - - - 1회
Jordan Harrison - - - - - - 32강 - - - - 1회
Mary Powell - - - - - - - 32강 - - - 1회
Douglas Arcadi - - - - - - - 32강 - - - 1회
Burke Kenney - - - - - - - - R0 - - 1회
Betastrep[64] - - - - - - - - R0 - - 1회
Justin Olejnik - - - - - - - - R0 - - 1회
Batfoy[65] - - - - - - - - - 4강 - 1회
DanQZ[66] - - - - - - - - - 4강 - 1회
Philip Ng[67] - - - - - - - - - 16강 - 1회
Keith Wong - - - - - - - - - 32강 - 1회
Adudeabides - - - - - - - - - 32강 - 1회
Austin Bennett - - - - - - - - - R0 - 1회
Peter LaRoe - - - - - - - - - R0 - 1회
NESCardinality - - - - - - - - - R0 - 1회
Michael de Guzman - - - - - - - - - R0 - 1회
Mattia Fornasiero - - - - - - - - - R0 - 1회
Lars Vandenbergh[68] - - - - - - - - - R0 - 1회
Eris (Matthias Currat) - - - - - - - - - R0 - 1회
dog - - - - - - - - - - 우승 1회
PixelAndy - - - - - - - - - - 준우승 1회
Huff - - - - - - - - - - 4강 1회
Nenu - - - - - - - - - - 4강 1회
Cheez - - - - - - - - - - 8강 1회
Sam Finch - - - - - - - - - - 8강 1회
fractal - - - - - - - - - - 조 2위 1회
Hydrant - - - - - - - - - - 조 2위 1회
Sodium - - - - - - - - - - 조 2위 1회
Richard - - - - - - - - - - 조 2위 1회
Breandan - - - - - - - - - - 조 2위 1회
Myles - - - - - - - - - - 조 3위 1회
Pepe - - - - - - - - - - 조 3위 1회
Jerpidude - - - - - - - - - - 조 3위 1회
Eric - - - - - - - - - - 조 3위 1회
Tristop - - - - - - - - - - 조 3위 1회
Phillip - - - - - - - - - - 조 3위 1회
Ben - - - - - - - - - - 조 4위 1회
Benjy - - - - - - - - - - 조 4위 1회
Johann - - - - - - - - - - 조 4위 1회
Ian - - - - - - - - - - 조 4위 1회
Nerdzzzz - - - - - - - - - - 조 4위 1회
RedShurt - - - - - - - - - - 조 4위 1회
Saltdsofa - - - - - - - - - - 조 4위 1회
Doge - - - - - - - - - - 조 5위 1회
Lukeand26 - - - - - - - - - - 조 5위 1회
DaAsiann - - - - - - - - - - 조 5위 1회
Jake B. - - - - - - - - - - 조 5위 1회
Asta - - - - - - - - - - 조 5위 1회
Phamtom - - - - - - - - - - 조 5위 1회
Jesper - - - - - - - - - - 조 5위 1회
Pokenerd - - - - - - - - - - 조 5위 1회
Tugi - - - - - - - - - - 조 5위 1회
TetrisTime - - - - - - - - - - 조 5위 1회
B14NK - - - - - - - - - - 조 5위 1회
Sidnev - - - - - - - - - - 조 7위 1회
Feoden - - - - - - - - - - 조 7위 1회
Anthony - - - - - - - - - - 조 7위 1회
Radmir - - - - - - - - - - 조 7위 1회
Jordan - - - - - - - - - - 조 7위 1회
moodeuce - - - - - - - - - - 조 7위 1회
Eren - - - - - - - - - - 조 7위 1회
Gregboom - - - - - - - - - - 조 7위 1회
Anomalous - - - - - - - - - - 조 7위 1회
ALEX_H - - - - - - - - - - 조 7위 1회
Nolan - - - - - - - - - - 조 7위 1회

6.1. 역대 우승자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0000> 파일:Classic_Tetris_World_Championship_logo.svg 클래식 테트리스 월드 챔피언십
역대 우승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0 2011 2012 2013 2014
1-4대
조나스 뉴바우어
5대
해리 홍
2015 2016 2017 2018 2019
6-8대
조나스 뉴바우어
9-10대
조셉 세일리
2020 2021 2022 2023 2024
11-12대
dogplayingtetris
(마이클 아티아가)
13대
EricICX
(에릭 톨트)
14대
Fractal
(저스틴 유)
15대
Alex T

(알렉스 태치)
역대 준우승자
}}}}}}}}} ||

6.2. 역대 준우승자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0000> 파일:Classic_Tetris_World_Championship_logo.svg 클래식 테트리스 월드 챔피언십
역대 준우승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0 2011 2012 2013 2014
1대
해리 홍
2대
알렉스 커
3대
미니 윈지넥
4대
해리 홍
5대
조나스 뉴바우어
2015 2016 2017 2018 2019
6대
Quaid
(션 리치)
7대
제프 무어
8대
알렉스 커
9대
조나스 뉴바우어
10대
Koryan
(니시오 코지)
2020 2021 2022 2023 2024
11대
PixelAndy
(앤드류 아티아가)
12대
Huffulufugus
(제이콥 허프)
13대
Fractal
(저스틴 유)
14대
Sidnev
(이브 코망되르)
15대
dogplayingtetris

(마이클 아티아가)
역대 우승자
}}}}}}}}} ||

6.3. 유명 참가 플레이어들

  • 조나스 뉴바우어 (Jonas Neubauer) - 2018년까지 9회의 대회 모두 결승 진출, 그 중 7번을 우승한 이 바닥의 전설이자 베테랑이다. 2018 CTWC에서 혜성처럼 등장한 신동 조셉 세일리에게 챔피언 자리를 내주었고, 2019년 대회에서는 겨우 32강에서 탈락하며 올포디움 기록도 깨지게 되었지만, 이와 별개로 수많은 경험과 경력을 토대로 유튜브나 트위치에서 테트리스 강좌를 열거나 각종 닌텐도 테트리스 대회에 아내와 함께 해설위원으로 참여하는 등 테트리스 홍보대사의 역할을 톡톡히 했다. 그러나 미국 시간 2021년 1월 8일에 갑작스럽게 사망했다는 안타까운 소식이 들려오며[69] 클래식 테트리스 커뮤니티들의 집단적인 추모가 이뤄졌다.
  • 해리 홍 (Harry Hong) - 한국계 미국인[70]이자, 한때 조나스의 대표적인 라이벌. 2018년까지 참가한 모든 대회에서 8강 이하의 성적을 낸 적이 없는 플레이어다. 2014년까지는 조나스의 유일한 적수라고 여겨졌고, 실제로 2014 CTWC에서 조나스를 3-1로 꺾으며 우승했다. 하지만 이후 결승을 통 올라가지 못하고 있어 라이벌 구도가 조금 흐려졌다. 2019 CTWC에서는 조나스와 더불어 32강에서 탈락해 해설진과 관중들에게 적잖은 충격을 가져다 줬다.
  • 조셉 세일리 (Joseph Saelee) - 몽 부족계 미국인. 2018, 2019년 월드 챔피언으로 단 16세의 나이로 CTWC에 처음 출전해 7관왕 조나스 뉴바우어를 결승에서 3-0으로 완파하고 세대 교체를 달성하는 기염을 토했다. 뿐만 아니라 최연소 로열로더 및 세계최초 레벨 35 진입 성공, CTWC 예선에서 최초로 레벨 30, 31 돌파,[71] 본선 사상 최초 맥스아웃[72] 등 수많은 기록들을 세워 화제가 된 하이퍼태퍼 신동이자 기록 제조기 1.[73] 2019 CTWC도 2연속으로 우승하고 이후 세계 최초로 NES 테트리스에서 130만점[74]을 넘겨 여러 방면에서 자신이 세계 최고의 테트리스 챔피언임을 증명하고 있다. 2021년부터 유튜브에 영상이 거의 올라오지 않고 있는데, 그 대신 트위치에서 집중적으로 스트리밍을 하고 있다. 2020 CTWC 8강, 2021 CTWC 4강 모두 Huff에게 패했지만 여전히 클래식 테트리스의 강자로서 활동하고 있다.
  • Koryan (니시오 코지) - 일본 출신 테트리스 플레이어. TGM 플레이어 출신이며 40대의 나이로 일본 테트리스 커뮤니티를 이끌어가는 영도자급의 위치에 있는 인물. 2016 CTWC TGM2 부문 우승, 2017 CTWC TGM 부문 우승, 2019 CTWC NES 부문 준우승, 또한 친선대회 CTM 1티어 대회 11회 우승이란 기록을 보유 중인, 세계적으로도 최정상급 플레이어이다.[75] 1990년 닌텐도 챔피언쉽 이후 시전자가 사라진 하이퍼태핑 기술을 다시금 부활시킨 장본인이기도 하며, 조셉 세일리가 처음 테트리스를 시작할 때 그를 우상으로 여기면서 그의 하이퍼태핑 기술을 보고 배웠다고 하니 2019 CTWC 결승은 스승과 제자의 일기토였던 셈이다. 닉네임이 코리안[76]으로 읽혀서 가끔 한국인으로 오해받기도 한다(...).[77]
  • 제프 무어 (Jeff Moore) - 2016 CTWC NES 부문 준우승. 테트리스 커뮤니티에서 유명한 "BOOM TETRIS FOR JEFF"의 주인공(...) 되시겠다. 2016 CTWC 결승전 참고. 다만 2016년을 제외하면 참가한 대회에서 16강을 넘긴 적이 없다.
  • 퀘이드 (Quaid, 본명 Sean Ritchie) - 2015 CTWC NES 부문 준우승. 독특한 성향의 플레이어로, 다른 플레이어들이 꺼리는 가운데 웰(Center Well)을 매우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몇 안 되는 플레이어 중 하나이다. 대회에서 닉네임을 자주 바꾸기로 유명하다.[78]
  • 야니 헤를레비 (Jani Herlevi) - 핀란드 출신 플레이어. 2016 CTEC NES 부문 우승, 2018 CTEC 게임보이 테트리스 부문 우승. 유럽판(PAL) 닌텐도 테트리스가 주 종목이지만[79] 북미판을 사용하는 CTWC에도 2013년부터 꾸준히 출전했다.
  • 스바바르 귄나르손 (Svavar Gunnarsson) - 아이슬란드 출신 플레이어. CTWC 출전은 2018년이 처음이었으나 CTEC는 꾸준히 참여하며, 2017년부터 2019년까지 CTEC에서 3년 연속으로 우승했다. 유럽판 테트리스 커뮤니티에서는 Jani와 라이벌로 자주 엮인다.
  • 알렉스 커 (Alex Kerr) - 2011년[80]부터 2019년까지 본선에 개근하여 꾸준한 성적을 내온 플레이어. 2011 CTWC PS3 테트리스 팀전 부문에서 준우승, 2013 CTWC SNES 테트리스 부문에서 우승, 2016 CTWC TGM2 부문에서 준우승, 2011 CTWC2017 CTWC 닌텐도 테트리스 부문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은근 콩라인? 예명 Kitaru로도 알려져 있으며, 같은 TGM 플레이어들인 KevinDDR, qlex, SQR과 함께 GDQ에 몇 번 출연하기도 했다.
  • GreenTea (타테지마 토모호리) - 일본 출신 플레이어이자, NES 테트리스의 떠오르는 혜성 중 한 명. TGM 플레이어 출신이다. Koryan과의 인터넷 방송에서 그를 수차례 꺾어 두각을 보였는데, 2018 CTWC에 처음 출전할 때까지 본명, 나이, 생김새가 밝혀지지 않아 미스터리한 존재로 여겨졌다. 심지어 Koryan이 GreenTea는 나의 테트리스 스승이라고 발언한 적이 있어 40대인 그보다도 나이가 많거나 다른 유명 테트리스 플레이어가 가장한 것이란 추측까지 돌았는데 의외로 20대의 대학생이었다. 2018년 첫 출전 대회에서 4강까지 진출했지만, 2019년에는 8강에 그쳤다.[81] 리액션이 상당히 크고 잘 웃는 것으로 유명하고, 별명에 맞게 녹차병을 들고 다니면서 이미지를 확고히 해 많은 팬들을 끌어모으고 있다.
  • Cheez (Chris Martinez, 크리스 마르티네즈)- 2020년부터 두각을 드러내고 있는 미국의 NES 테트리스 플레이어이자 기록 제조기 2. 2020년 CTWC에 처음 출전해 8강에 진출하는 기록을 세웠으며, 현재는 롤링(Rolling)이라는 컨트롤러를 허벅지나 발에 고정시키고 하부를 쳐서 하이퍼 태핑보다 더 빠른 버튼입력을 가능케 하는 미친 기법을 다수의 플레이어에게 보급한 사람으로 유명하다. 물론 자신도 롤링 기법의 선구자 타이틀에 맞게, DAS 속도가 현저히 빠른 모던 테트리스를 보는 듯한 심히 경악할 만한 테크닉을 지녔다. 게다가 기존의 조셉 세일리의 기록을 롤링 기법으로 대거 갈아치우고 최초로 증명된 140만 점 돌파 영상 및 최초 킬스크린 트랜지션, 200만 점 돌파 등 말도 안 되는 기록들을 세우는 경지에 이르렀다. 이렇게 NES 테트리스에 혁신을 가져온 것은 사실이지만, 의외로 대회 성적은 부진한데, 2022 CTWC에서는 48강에서 패배했다.
  • Dog (Michael Artiaga, 마이클 아티아가) - 2020 CTWC, 2021 CTWC 우승자이자, 역대 최연소 우승자이다. 안정적인 포스트 트랜지션 운용이 강점으로, 하이퍼태퍼임에도 이러한 강점을 내세워 롤링 타법을 쓰는 플레이어들을 따돌리는 기염을 토했다. 롤링에 적응한 뒤에도 여전히 세계 최정상급 실력을 유지 중이라, 2020년대 중반까지도 계속해서 본선에 진출하고 있으며,
  • EricICX (Eric Tolt, 에릭 톨트) - 2020년대의 새로운 강자 중 한 명이자 기록 제조기 3. 롤링이 등장하기 전에도 세계에서 가장 빠른 하이퍼태퍼로 유명했으며, 롤링 등장 이후 경이로운 성장을 보여주어, 최초 600만 점, 북미판 최초 팔레트 버그 등의 대기록을 작성했다. 2022 CTWC에서 Fractal161과의 결승전에서 끈질긴 킬스크린 생존력을 보여주어 제3경기에서 219만 점을 달성해 승리했고[82] 새로운 테트리스 챔피언으로 거듭났다.
  • Fractal161 (Justin Yu, 저스틴 유) - 2022년 CTWC 준우승자이자 2023년 우승자.
  • Sidnev(Eve Commandeur, 이브 코망되르) - 2023년 준우승자, CTWC 최초의 여성 준우승자이다.
  • blue scuti(Willis Gibson, 윌리스 깁슨)- 최초로 게임을 크래시한 플레이어. 2023년 3위.
  • Alex T(Alex Thach, 알렉스 태치) - 2024 CTWC 우승자이자, 게임 크래시를 방지한 GYM 버전에서 최초 1000만 점, 최초 레벨 235[83]를 달성한 플레이어. 세계기록을 달성할 때마다 머리에 우유와 파마산 치즈를 뿌리며 세리머니를 하는 기벽이 있어 CTWC를 우승하자 토너먼트 차원에서 풀장을 준비하고 세리머니를 진행시켜 줬다(...)

7. 역대 해설진&캐스터

  • 크리스 탕 (Chris Tang) (2010~): 창단 해부터 유일하게 계속 해설을 맡아온 원년 해설자이다. 스타리그에 비유하자면 엄전김같은 존재.[84] 옛날에는 전 경기를 모두 단독 해설을 맡았지만 현재는 8강부터만 해설을 한다.
  • 제임스 첸 (James Chen) (2017~): EVO 해설자. 크리스 탕과 같이 8강부터 중계하며, 특유의 걸걸한 목소리가 일품.
  • 마이칼 버스터 (Mykal Buster) (2024~): ITZSharky 혹은 Sharky라는 예명을 사용하고 있다. 2019년부터 트위치에 NES 테트리스 관련 방송을 시작한 이후 지금도 지속적으로 기록을 상승시키고 있는 플레이어. 이와 별개로 2020년대부터 계속해서 닌텐도 테트리스 관련 대회에서 해설자로 참가하면서 경력을 쌓은 결과 2024년 CTWC에서 8강 이후 정식 해설자로 채택되어 3인 체제로 해설을 진행하게 되었다. CTWC 관중들에게 아주 좋은 평가를 얻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로 보이며, 특히 2차 트랜지션(레벨 29) 이후로 박진감 넘치고 마치 경매장에 온 듯한 빠른 말투가 인상적이다.
  • 크리스 비드웰 (Chris Bidwell) (2015, 2017~): 2015년에 모든 메인 스테이지 경기들을 해설했다. 이후로는 32강-16강 해설을 주로 맡는다.
  • 아르다 외잘 (Arda Öcal) (2018~): ESPN 출신이자 전 WWE 해설자. 예명 카일 에드워즈(Kyle Edwards)로도 알려져 있다. 터키계 캐나다인이다. 캐스터로서의 박력은 뛰어나나 해설은 다소 호불호가 갈린다.
  • 헤더 이토 (Heather Ito) (2018~): CTWC의 전설 중 한 명인 조나스 뉴바워의 아내이다. 2018년부터 다양한 지역 대회에서 남편 조나스와 같이 해설에 합류했으며, 2018 CTWC부터 사이드 매치들을 중계한다. 조나스와 더불어 해설 평가가 좋은 편.
  • 애덤 코닐리어스 (Adam Cornelius) (2014, 2016~2017): CTWC의 창설을 도운 사람 중 한 명이자, 다큐멘터리 Ecstasy of Order의 감독.
  • 팻 콘트리 (Pat Contri) (2010): 2010 CTWC의 공식 호스트 중 한 명.
  • 크리스 드라이어 (Chris Dryer) (2011): PS3 부문 담당.
  • 제프리 위튼헤이건 (Jeffrey Wittenhagen) (2016): 2019 남서부 지역 예선 (Desert Qualifier)에서도 크리스 탕과 같이 해설을 맡았다.
  • 제스 브로하드 (Jess Brohard) (2015): 크리스 비드웰과 NES 부문 32강~16강과 PS4 부문 해설을 맡았다.
  • 라이언 리치 (Ryan Ritchie) (2016): 32강과 16강에서 객원해설로 참여.
  • 빈스 클레멘테 (Vince Clemente) (2016): 32강 객원해설로 참여.
  • 스티브 델루카 (Steve DeLuca) (2018): 2018 CTWC 32강/16강 사이드 스테이지 해설을 맡았다.
  • 조나스 뉴바워 (Jonas Neubauer) (2019): 32강 탈락 후 객원해설로 참여. 2018년부터 캘리포니아에서 열렸던 서부 예선에서 해설을 시작했고 CTWC 몇몇 사이드 이벤트에서도 해설을 맡았다. 평가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이다.
  • 트레이 해리슨 (Trey Harrison) (2019): 사이드 매치 객원해설로 참여.
  • 키스 디디언 (Keith Didion) (2019~): 사이드 매치 해설로 참여. CTM에서 Vandweller라는 예명으로 유명하다. 2020년부터는 CTWC 조별 토너먼트에서도 중계를 맡는다.

초창기에는 해설자들이 굳이 있어야 하냐는 의견도 있었는데, 이유는 알맹이 없는 해설과 너무 반복하는 말버릇이 많다는 것. 거기다 크리스 탕이 원년 해설자이자 분위기 메이커인지라[85] 이 분 없는 해설은 굉장히 따분하다는 평가가 주류이다.[86] 그리고 CTWC에서는 여러 경기가 한번에 중계되기 때문에 아무래도 해설자들이 디테일한 해설을 하기 힘들기도 하다. 물론 테트리스 애호가들이 아닌 사람이 보기에는 별 특별한 해설이 필요하겠냐만은... 다만 각 플레이어들의 상황과 테크닉, 그리고 플레이스타일을 해설자들이 설명해주기 때문에 테트리스 경기를 보는 것이 익숙해지면 후술할 대회 용어들을 참고하면서 시청하면 꽤 재미를 느낄 수도 있다.

8. 대회 용어[87]

  • 탑 아웃(Top Out): 플레이어의 게임 진행이 더 이상 불가능함. 한마디로 게임오버.
  • 킬 스크린(Kill Screen): 레벨 29[88]. 이 레벨부터 일반적인 조작법(DAS)으로는 게임 진행이 거의 불가능[89]하다고 해서 붙여진 별명이다. 그렇기에 플레이어들에겐 이 레벨에 다다를 때까지 득점을 최대한 많이 하는것이 중요하다. 킬 스크린에서 게임을 더 지속할 수는 있겠지만 레벨 29부터는 테트리스를 하기 굉장히 힘들어지기 때문에 싱글, 더블, 트리플만으로는 큰 점수 갭은 좁히기 어렵다. 하지만 롤링의 보급 이후 킬 스크린에서도 안정적인 플레이가 가능해진 상황이라 레벨이 올라갈수록 추가 점수가 덩달아 올라가는 일명 scaling이라는 원리로 오래 버텨가면서 점수를 추월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이 때문에 최상급 플레이어들에게는 제2의 트랜지션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 슈퍼 킬 스크린(Super Kill Screen): 상술했듯, 2023년 부터 도입된 규칙으로, 레벨 39부터 1/60초/0.5 프레임/2G의 속도로 테트로미노가 떨어지는 것.
  • DAS: 정확히는 대회 안에서만 국한되는 용어는 아니고, Delayed Auto-Shift의 준말. 닌텐도 테트리스 문서 참고. 플레이스타일을 논할 때[90]의 DAS는 간단히 말해 D-패드을 꾹 눌러서 플레이하는 사람들을 통칭한다.
    • Early DAS Shift: 블록을 잘못 놓은 상황인 미스드롭(Misdrop)의 일종. DAS를 유지하기 위해서 좌우 버튼을 너무 빨리 누른 나머지 블록이 원래 놓고 싶었던 위치보다 한 칸 왼쪽/오른쪽으로 움직인 경우를 의미한다. 이런 경우 대부분 스택에 1~2칸 정도의 빈칸을 만들기 때문에 처리하지 않는다면 곤란할 수 있다. 숙련된 플레이어가 아니면 눈치채기 힘들기 때문에 잘 쓰이는 용어는 아니다.
    • Lose DAS: 위와는 정반대로 좌우 버튼을 너무 늦게 눌러서 DAS가 유지되지 않는 상황을 의미한다. 블록을 옮기는 것이 순간 아주 제한적이게 되며, 레벨/스택이 높을 때 이런 상황이 발생하면 대단히 위험할 수 있다. 역시 숙련된 플레이어가 아니면 눈치채는 것도 힘들기 때문에 잘 쓰이는 용어는 아니다.
  • 하이퍼태핑(Hyper-Tapping): Joseph Saelee, Koryan같은 플레이어들의 플레이스타일을 이르는 말. 1초에 방향키(D패드)를 11번 이상 누를 수 있다면 하이퍼태퍼로 분류된다. 역시 닌텐도 테트리스 문서 참고.[91]
  • 퀵탭(Quicktap): 닌텐도 테트리스 문서 참조.
  • 롤링(Rolling): 닌텐도 테트리스 문서 참조.
  • 테트리스 준비(Tetris-Ready): 말 그대로 테트리스를 할 수 있는 상태. 1칸 구멍을 유지하면서 스택을 4칸 이상 쌓아올린 경우를 지칭한다.
  • 웰(Well): 직역하면 우물. 테트리스를 하기 위해서 만든 가로 1칸짜리 구멍을 의미한다. 보통은 오른쪽 벽에 웰을 만들지만(Right Well)[92], 상황에 따라서는 왼쪽 벽이나(Left Well) 가운데에(Center Well) 만들기도 한다. 가운데 웰은 유지가 몹시 까다로워서 웬만한 테트리스 고수들도 힘들어하는 고난이도 테크닉 중 하나이다.[93]
    • 더블 웰(Double Well): 가로 두 칸짜리 웰. 보통 일반 웰 바로 위에 만들며, 후술할 버닝을 통하여 테트리스 준비 상태를 만들거나 위기상황을 모면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에 자주 쓰이는 테크닉이다.
  • 버닝(Burning): 테트리스 외의 라인 클리어 (싱글, 더블, 트리플)를 뜻한다. 스킴(Skim) 또는 디그(Dig)[94]라고도 한다. 2018년에는 경기 화면에 버닝 카운터[95]가 추가되어 플레이어가 마지막 테트리스 이후 몇 줄을 버닝했는지 보여준다. 예를 들어, BRN 007이라고 표시되어 있다면 마지막 테트리스 이후 (또는 테트리스를 한 적이 없다면 게임 시작 후) 7줄을 싱글, 더블, 혹은 트리플로 클리어했다는 뜻.
    • 딜레이드 번(Delayed Burn): 넓은 의미의 버닝은 테트리스 외의 라인 클리어 모두를 지칭하나, 좁은 의미로는 테트리스 준비 상태를 유지하면서 줄을 없애는 경우를 지칭한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서는 부득이하게 웰을 블록으로 막는 수밖에 없는데, 웰을 임시로 막은 다음 재빨리 블록을 없애서 다시 테트리스 준비 상태를 만드는 것을 딜레이드 번이라고 부른다.[96]
  • 더티 테트리스(Dirty Tetris): 바닥에 청소할(?) 줄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그 위에 테트리스를 찍었을 때를 말한다. 친선대회 서버 CTM의 경우, 좀 심하게 더러운 필드에서 테트리스가 나오면 심화된(?) 표현인 "Filthy[97] Tetris"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으며, 해설자들이 "나중에 샤워해야겠다"라고 드립을 치기도 한다.
  • 스핀(Spin): 닌텐도 테트리스, 테트리스/용어 문서 참조.
  • 턱(Tuck): 대회 안에서만 국한되는 용어는 아니다. 빈 틈 안에 다른 테트로미노를 끼워 넣는 테크닉으로, 보통은 특정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긴급 해결책으로 쓰지만, Jonas 같은 숙련된 플레이어들은 자유자재로 구사하기도 한다. 가끔 해설진이 스핀을 턱이라고 잘못 부르는 경우도 있다.
    • 스핀턱 (Spintuck): D패드 좌/우키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스핀을 하여 턱을 하는 경우. 위 두 테크닉을 합친 것이며 가끔 대회에서 볼 수 있다.
    • 오버행(Overhang): 선반 모양으로 튀어나온 모양의 스택을 통칭한다. 대부분의 경우 스핀이나 턱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가로 1칸짜리이지만, 간혹 이런 끔찍한(...) 오버행도 나온다.
  • 드라우트(Drought): I미노(작대기)가 일정 간격 동안 나오질 않을 때. 이 간격이 13개 이상일 경우 I미노 카운터가 드라우트 카운터로 바뀌며 간격이 빨간색 숫자로 표시된다. 해설자들은 이를 (간격 숫자)-Drought라고 부르는데, 예를 들어 간격이 25개였다면 25-Drought 또는 25-Piece Drought 라고 부른다. 2018년 공식 대회에서는 무려 64개를 기록했고, 비공식적으로는 89개를 기록했다.
  • 버스트(Burst): 동일한 블록이 짧은 시간에 연속해서 나오는 경우를 의미한다. 블록 등장이 완전히 랜덤[98]닌텐도 테트리스의 특징상 가능한 것. 예를 들어 Z미노가 갑자기 많이 등장할 경우 Z Burst, O미노[99]의 경우 Square Burst라고 부른다. 버스트는 어느 테트로미노나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I Burst(...)도 존재하나, 게임 특성상 I미노는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I Burst라고 따로 말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100]
  • 테트리스율[101](Tetris Rate, TRT): 2018년에 추가된 카운터. (테트리스로 클리어한 줄 횟수)/(총 클리어한 줄 횟수)이다. 예를 들어 테트리스를 7번 했고 총 클리어한 줄 횟수가 40줄이면 TRT는 (7×4)/(40) = 70%이다.
  • 의존성(Dependency): 보통 특정 블록으로만 해결 가능한 상황에 처했을 때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두 칸짜리 구덩이는 L 또는 J Dependency, 세 칸짜리 구덩이는 Line Dependency. 자주 쓰이지는 않지만, 해당 상황의 해결 방안이 단 하나일 경우는 "One-Piece Solve"라고 주르기도 한다. T-Spin이 그 예시.
  • 트랜지션(Transition): 원래는 단순히 한 레벨에서 다음 레벨로 넘어가는 시점을 뜻하지만, 본선에서는 레벨18에서 130줄을 클리어하고 레벨19로 넘어갈 때를 뜻한다[102]. 테트로미노의 하강 속도가 1.5배로 가속되기 때문에 여기부터 얼마나 잘하는가가 고수와 아마추어를 구분짓는 분수령이 된다. 레벨28에서 29(킬스크린)으로 넘어가는 시점은 세컨드 트랜지션이라고 하는데, 원래같으면 이 쯤에서 게임이 끝나지만 하이퍼태핑과 롤링 테크닉이 개발된 현재는 킬스크린에서도 게임을 잠시나마, 혹은 아주 길게 계속 진행하는 최정상급 플레이어들이 있어 아예 제2의 트랜지션에 불과하지 않냐는 우스갯소리에서 나온 용어다.
  • 어그레시브/컨저버티브(Aggressive/Conservative): 플레이어의 플레이 스타일을 묘사하는 단어들이다. 어그레시브 플레이는 테트리스를 최대한 많이 하기 위해 리스크가 따르더라도 스택을 조금 높게 쌓는 것을 말하며, 컨저버티브 플레이는 안전하게 플레이 하기 위해 테트리스를 조금 덜 하고 싱글/더블/트리플에 좀 더 치중한 플레이. 각각 '과감한 플레이, 안정적인 플레이'로 번역할 수 있겠다. 고수들에겐 이 두 플레이를 번갈아 가며 적응해 가는 것이 중요하다.
  • 맥스아웃(Max-Out): 전통적인 닌텐도 테트리스 최대 스코어인 999,999를 뜻하며, 게임 지니 코드로 7자리 점수 표기가 가능한 현재는 백만 점을 넘긴 스코어를 모두 맥스아웃으로 통칭한다. 2010년만 해도 공식적으로 몇 명 밖에 가지지 못한 기록이지만[103], 2020년 현재는 CTWC와 닌텐도 테트리스의 인기에 힘입어 무려 120명이 넘는 플레이어들[104]이 맥스아웃을 기록한 상태이다. CTWC 예선에서는 2013년이 돼서야 처음 맥스아웃이 나왔으며, 2019년 대회 8강에서 드디어 Joseph Saelee[105], Greentea 모두 맥스아웃을 기록해 백만 자리가 기록되는 진귀한 장면이 송출되기도 했다.[106]
    2020년대부터는 선수들이 각각 맥스아웃을 기록하면 주변에서 카우벨을 울리는 행위가 관습화되었다. 그런데 1차 트랜지션 이후에 맥스아웃을 기록할 수밖에 없는 점수 설계 특성상 2010년 남아공 월드컵의 부부젤라처럼 선수들의 집중을 방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으나 걱정할 필요가 없는 것이, 이미 대회 본선 토너먼트(골드 브래킷)에 진출한 사람들은 거의 모두가 스트리머이고 메시지를 읽고 테트리스에 온전히 집중을 하지 않아도 안정적인 플레이가 가능한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 맥스아웃 페이스(Max-Out Pace): 어그레시브 플레이스타일과 비슷한 용어로, 클리어한 줄 대비 점수가 높을 경우 쓰이는 용어. 보통 테트리스율(Tetris Rate)이 60% 이상일 때 이런 말을 사용하지만, 정작 대회 맥스아웃은 2019년 대회 이전에는 전무했다.[107]
  • 데피싯(Deficit): 점수에서 뒤지고 있는 사람의 입장에서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한 플레이어가 2만점 뒤지고 있다면 20,000-point deficit이라고 한다.
  • 리드(Lead): 위의 Deficit의 반댓말로, 점수에서 우세한 사람의 입장에서 사용된다.
    • Deficit과 Lead에 조금 심화된 설명을 덧붙이자면, CTWC 본선에서는 해설자들이 점수 차이를 말할 때 두 가지 경우가 있다. 첫 번째는 심플하게 "(점수 차이)점으로 (플레이어 이름)이 뒤지고 있다 (또는 앞서고 있다)"라고 말하며, 두 번째는 "(플레이어 이름)이 테트리스 몇 개 차이로 뒤지고 있다 (또는 앞서고 있다)"라고 하는 방식이다. 후자의 경우 점수 차이를 해당 레벨 테트리스의 점수로 나눈 값[108]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레벨 18에서 플레이어 A가 약 5만 점으로 뒤지고 있을 경우 A의 입장에서는 약 2테트리스 데피싯 (2-Tetris Deficit)이 되고 상대방 B의 입장에서는 약 2테트리스 리드가 된다. 이렇게 말하면 대략 플레이어가 따라잡기 위한 테트리스 개수를 알 수 있기 때문에 관전할 때 좀 더 편리한 장점이 있다.
  • 사이멀테트리스(Simultetris): 자주 쓰이는 용어는 아닌데, "동시의" 라는 뜻을 가진 영단어 'Simultaneous'와 테트리스(Tetris)를 합친 단어이다. 두 플레이어가 거의 동시에 테트리스를 할 때를 일컫는다.[109]
  • 넥 앤 넥(Neck and Neck): 원래부터 막상막하라는 뜻이 있는 관용구로, 두 플레이어의 점수가 비슷할 때 사용되는 말이다. 그리고 아래의 두 대사처럼 거의 밈화된 용어.
  • BOOM! TETRIS: 이 대회의 명대사(...)이자 되시겠다. 이 대사 없이는 CTWC도 없다는 말이 있을 정도. 플레이어가 테트리스를 하면 해설자들이 "Boom, Tetris for (플레이어 이름)"을 외치는 것이 포인트다.
  • Piece Placement: 2016년 해설진 제프리 위튼하겐이 자주 사용한 용어인데, 두 단어를 헷갈려 "Piecement Places," "Placement Pieces" 등 워낙 발음 실수를 많이 해서(...) 커뮤니티에서 가끔 'Boom! Tetris for Jeff' 밈과 함께 거론되곤 한다.

9. 트로피

파일:2010ctwc.png
첫 2010년 대회 당시 챔피언 Jonas Neubauer가 들고 있는 트로피. 이 때는 트로피가 상당히 큰 편이었다.

파일:2011ctwc.jpg
2011년 대회 트로피. NES 부문 말고도 PS4 부문 개인전/팀전, Tetris Link[110] 부문의 다른 우승자들도 같은 트로피를 받았다.

파일:2012ctwc.jpg
2012년 대회 트로피.

파일:2013ctwc.jpg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사용한 대회 트로피 형태이다. T미노 모양을 본땄으며, 1위 트로피는 금색, 2위 트로피는 은색으로 도색되어 있다.

파일:2021ctwc.jpg
2021년부터 2021년 1월에 사망한 7회 챔피언이자 CTWC의 전설인 Jonas Neubauer를 기려 트로피를 J미노 모양으로 변경하였다.

10. 여담

  • CTWC NES 부문에서 이기는 방법은 스피드가 아닌 점수이다. 속도 있는 플레이보다는 안정성과 정확성을 더 요구하는 닌텐도 테트리스의 특성을 고려한 것.
  • 2010년과 2012년을 제외하면 모두 10월에 개최되었다. 2010년은 8월, 2012년은 9월. 2020년 대회는 온라인 대회 특성상 10월에서 12월에 걸쳐 개최되었다. 그러나 2024년은 6월에 개최되었다.
  • 초반에는 비웃는 시선들이 있었지만 현재는 대회 특유의 중독성으로 인해 팬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특히 유명인 중 작가 John Green[111], 유튜브 뮤지션 Rob Scallon[112]과 aSongScout[113], ESPN 출신이자 전 WWE 캐스터인 Arda Ocal 등이 이 대회의 이름을 알리는 데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있다.
  • 2018년까지는 결승전 외의 경기들이 모두 3판 2선승제인것에 대해 불만을 가지는 사람들이 있었는데, 이것은 엑스포[114]에서 열리는 대회 특성상 본선을 하루 안에 다 진행해야 하는 계획 때문. 10시쯤에 시작해서 5-6시까지 32강부터 결승까지 진행하려면 시간이 상당히 촉박하다.[115] 4강 전까지는 여러 경기를 한번에 치르는 것도 이 때문.[116] 이후 2019년에는 8강전, 4강전도 5판 3선승제가 되었고, 경기가 여러 날에 걸쳐 진행되는 2020년부터는 모든 경기가 5판 3선승제가 되었다.
  • 현재 많은 시청자들이 불평하는 것이 유튜브에 CTWC 본선 동영상이 올라오는 주기가 상당히 느리다는 것. 다른 e스포츠 대회 (롤/스타2/도타2)들을 보면 경기 VOD가 길어봐야 하루 이틀 안에 올라오는 경우가 많은데, CTWC 유튜브 채널에선 32강, 16강, 8강, 4강, 결승 동영상들이 각각 1주일의 갭을 두고 올라온다. 관계자의 말로는 동영상 편집이 주 원인이라고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하루이틀 안에 끝나버리는 대회인데 한 달에 넘게 걸쳐 결과를 기다려야 하니 당연히 스포일러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 아마도 비영리 대회이다 보니 인력/자금이 타 대회들에 비해 적은 게 큰 걸림돌인 듯 하다. 규모가 큰 타 e스포츠 종목들에 비교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지만, 현재의 상승세를 이어가려면 극복해야 할 문제인듯.
    • 2021년 CTWC 본선(예선 1~64위) 조별 토너먼트가 끝난 뒤 이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 시간으로 10월 23일 오전에 CTWC 채널에 올라온 공지에 따르면, 조별경기 VOD는 CTWC Archives 채널에 무편집 녹화방송이 올라오고 CTWC 채널에 8강 진출전 및 경기 후 인터뷰 장면을 녹화한 영상이 업로드되었다. 본선이 치러진 이후에는 8강부터 결승까지 트위치 송출 1주 뒤부터 거의 매일 위와 비슷한 형식의 영상이 업로드되었다.
  • 2019년 3월 18일, 유튜브 채널이 10만 구독자를 달성했다.
  • 비대회 기간 중에는 영상이 비규칙적으로 올라오는데 대부분 CTM 관련 동영상이 올라온다.[117]
  • 소규모 e스포츠 대회이지만, 대회에서 플레이어들이 서로 칭찬하고 응원해주는 점에서 커뮤니티 자체가 친화적이라는 호평을 받는다. 아무래도 초창기 플레이어들이 30-40대의 어른들이기도 했고, NES 테트리스가 얼마나 잔인할 수 있는지 플레이어들이 알기 때문에 실력으로 헐뜯는 경우는 거의 없다.

10.1. NES 테트리스에 대해서

CTWC 7회 우승자인 조나스 뉴바우어의 클래식 테트리스 Q&A
  • CTWC NES 부문을 시청하면서 NES 테트리스를 한번도 해보지 않았다면 반드시 시도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118]
  • 대회 초기(2010~2012)에는 유튜브 댓글을 보면 '이게 무슨 테트리스 대회냐', '플레이어들이 너무 못한다', '컨트롤이 너무 느리다' 라는 댓글을 자주 볼 수 있다. 이것은 당시 플레이어들의 낮았던 NES 테트리스 숙련도를 보여주기도 하지만, 플레이어들의 실력이 비교적 상향평준화된 지금도 저런 댓글들이 심심찮게 보인다.
    • 사실 NES 테트리스가 난이도에 비해 저평가 받을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스피드. NES 테트리스 및 고전 테트리스는 하드 드롭이 없다. 그러다 보니 테트로미노가 바로 내려오지 않고 떨어지는 것을 지켜봐야 하니 시청자 입장에선 TGM 플레이어보다 더 느리게 보일 수 밖에. 게다가 TGM에선 흔한 20G 속도는 NES에선 구현이 불가능하므로 (플레이가 아예 불가능) 아무래도 속도감 있는 플레이들은 보기 어렵다.
  • 하지만 NES 테트리스는 보기엔 별 것 아니더라도 체감 난이도는 높은 편이다. 왜냐하면 모던 테트리스[119]와 NES 테트리스의 시스템이 너무나도 달라서 비교가 힘들기 때문. 모던 테트리스는 홀드, 3~5개의 프리뷰, 락다운 딜레이, 킥, T-Spin Triple 등 여러가지 어드밴티지가 있지만 NES 테트리스 같은 클래식 테트리스[120]그런 거 없다. 한마디로 2000년대 이후 테트리스보다 뻑뻑하다.[121] 하이스피드인 레벨18이나 19에서 할 경우 테트로미노가 땅에 닿으면 락다운 딜레이가 거의 없이 바로 고정되어 버리기 때문에[122] 1초도 안 되어 바닥으로 하강하는 테트로미노들을 정확하게 놓지 않으면 말 그대로 망한다. 즉 조금 실수를 해도 고치기 쉬운 모던 테트리스와는 달리 NES 테트리스는 한번 테트로미노를 잘못 놓으면 아차하는 순간 몰려오는 다른 테트로미노들 때문에 게임이 끝날 수도 있다.[123] 한마디로 보기엔 그렇지 않지만, 실제로는 굉장한 컨트롤과 집중력을 요하는 종목이다.
  • 거기다가 NES 테트리스는 테트로미노들이 100% 랜덤하게 나온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N-Blox나 모던 테트리스는 대개 같은 테트로미노가 4개 이상 연속으로 나오는 일이 없도록 되어있으며, I미노도 최악의 경우 13-15개의 테트로미노당 하나 정도는 나오도록 난수 생성에 보정이 들어간다. 참고로 모던 테트리스는 대부분 7-bag나 8-bag라는 랜덤 제너레이터를 사용한다. 하지만 NES 테트리스는 이런게 없어서, Z미노가 4개 연속으로 나올 수도 있으며, 심지어 I미노가 40개의 테트로미노가 나온 끝에 달랑 하나 나올 수도 있다.[124] 따라서 쌓아놓은 블럭들이 너무 높아지지 않도록 중간중간에 버닝으로 조절을 해주어야 한다. 대회 중에 무턱대고 테트리스만 하려다가 I미노가 나오지 않아 탑 아웃하는 경우는 없어야 하니까...
  • 실제로 TGM 고수인 스트리머 KevinDDR은 CTWC 2017에서 TGM 부문에선 결승까지 갔지만 NES 테트리스 부문에선 32강에서 탈락했다. 한 버전의 테트리스에서만 고수라고 모든 종류의 테트리스를 잘 하는게 아니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11. 관련 문서


[1] Oregon Convention Center. 해당 장소에서 매년 열리는 포틀랜드 고전게임 엑스포(Portland Retro Gaming Expo)의 일부로서 개최되었다.[2] Pasadena Convention Center. 서던 캘리포니아 고전게임 엑스포 (SoCal Retro Gaming Expo)의 일부로서 개최된다.[3] 스타크래프트2 대회로 치자면 블리즈컨에서 열리는 WCS Global Finals와 비슷하다.[4] 나머지 2개는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와 래드 레이서(Rad Racer).[5] 현재까지 CTWC 프로듀서로도 활동하고 있다.[6] 이 당시에는 8명이 전원 동시에 게임을 진행했는데, 스크린에는 4개의 화면만 보였던 지라 4명의 화면을 중계하다가 나머지 4명의 화면으로 자주 번갈아 바꿔주어야 해서 관전할 때 불편한 점이 있었다.[7] 8강~결승전 영상들도 퀄리티가 별로 좋지 않다.[8] 그나마 테트리스 커뮤니티 Hard Drop에서는 이름이 좀 알려진 대회였다. 2011년에 운영자 존 트랜(John Tran)이 PS3 팀전과 개인전 부문에서 우승한 경력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9] 특히 유럽 지역은 덴마크, 핀란드, 독일, 영국, 노르웨이, 폴란드 등의 나라에서 예선전 및 지역 대회들이 열리며 NES 테트리스의 입지를 점점 다져가는 중이다.[10] 스타크래프트 2 대회인 WCS Global Finals와 유사한데, 한국 프로게이머의 입지가 견고한 스타2처럼 닌텐도 테트리스도 미국 플레이어들의 압도적인 강세이다. 하지만 점차 타국에서 온 선수들이 갭을 좁혀가는 중이다.[11] 예시들은 2016 CTWC 문서 참조.[12] 각각 우승과 4강 진출을 기록했다. 특히 2018 CTWC 결승 영상은 현재 대회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모든 영상을 통틀어 조회수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당시 최연소 플레이어였던 조셉이 7회 우승자를 셧아웃했던지라 그 화제성은 대단했다.[13] 이 중 10대 플레이어들인 Batfoy와 DanQZ는 둘 다 4강까지 진출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Batfoy는 2019년 대회 최연소 참가자였다.[14] 단, 8강부터는 싱글 엘리미네이션[15] 71만점 트랜지션, 12블럭 이상 높이에서 테트리스, 218만점 + 레벨 70 이상을 보여주는 엄청난 경기가 있었다. Allen Qiu가 마지막 태핑 생존자였다.[16] 블럭이 1프레임마다 2칸씩 떨어진다. 롤링 기술을 이용해 소프트웨어의 입력 한계인 30Hz에 도달하더라도 생존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킬스크린에서 레벨 30 돌파 미션이 있었듯, 슈퍼 킬스크린에서 레벨 40 돌파 미션도 생겨났다.[17] 대한민국은 클래식 테트리스보다 모던 테트리스를 훨씬 더 선호함과 동시에, 클래식 테트리스도 마라톤처럼 계속 이어지는 닌텐도판 테트리스와 달리, 일정 줄을 없애면 다음 레벨로 넘어가는 아타리판 테트리스에서 기량을 펼친 사람들의 아타리부심(...)도 한몫 한다. 그래서 닌텐도판 테트리스가 한국인의 주목을 끌게 된 것은 2018년 결승전에서 최다(7회) 챔피언 조나스를 이긴 조셉 세일리(Joseph Saelee)와, 2023년 게임 크래시를 일으킨 Blue Scuti (본명 윌리스 깁슨, Willis Gibson)의 사례 둘 밖에 없어 인지도가 없다시피 하다.[18] 이 규칙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19] 예를 들면 1위 v 32위일 경우 1시드인 플레이어가 1, 3세트에서 시작 레벨을 결정하고, 32시드 플레이어는 2세트에서 시작 레벨을 결정한다.[20] 다만 예선에서는 기존의 1인용 카트리지를 사용한다.[21] 이 경우, 심판이 점수를 직접 계산하여 승패를 가린다.[22] 2016년부터 쓰이는 특수 카트리지처럼 점수가 7자리까지 나오고, 선수 간 RNG 통일도 가능하다.[23] 진출자가 해외에 있어도 해당 국가로 배송한다.[24] 조별 경기와 8강 사이 기간 텀이 존재하는 이유이다.[25] 2018년부터 Goofy Foot Controller라는 닌텐도 컨트롤러가 허용된다. 이 컨트롤러는 기존 것과는 달리 방향키(D패드)가 오른쪽에 있고 버튼이 왼쪽에 있다.[26] 경기 중에는 부득이한 경우에만 교체를 허용하는데, 실제로 2018년 레벨 0-19 스피드런 이벤트전에서 GreenTea가 D패드 문제로 경기 중에 실시간으로 트레이 해리슨의 컨트롤러를 빌려서 진행한 경우가 발생했었다.[27] 2018년까지는 단 6개의 렌탈 스테이션만 있었지만 2019년에는 폭발적으로 늘어난 참가 인원 때문에 늘려야 했다고 한다. 플레이어들 왈 역대급으로 줄이 길었다고...[28] 규칙은 이렇지만 대부분의 고수들은 레벨 18에서 시작한다.[29] 원하는 만큼 높지 않은 점수가 나오면 심판을 부르지 않고 그냥 다음 게임으로 넘어가거나 다시 줄에 서는 플레이어들도 있다.[30] 2018년에 맥스아웃을 2번이나 기록한 플레이어들이 4명, 1번 기록한 플레이어들이 3명이었으며, 또한 야니 헤를레비(Jani Herlevi)와 프랭크 웨스트폴(Frank Westphal)이 둘 다 808,220점을 기록해 이 룰을 적용해야 했다.[31] 당시에는 본선 진출 인원이 40명이었다.[32] 롤드컵으로 치자면 플레이-인 스테이지와 비슷하다.[33] 예를 들어 25시드 vs 40시드 대진의 경우, 1세트는 25시드 플레이어, 2세트는 40시드 플레이어, 그리고 3세트는 다시 25시드 플레이어에게 시작 레벨 선택 권리가 주어진다.[34] 이 때문에 컨디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35] 2015년까지는 32강뿐만 아니라 16강에서도, 그것도 레벨 9부터 18까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으나 현재는 라운드 제로/32강에서 레벨 15나 18부터만 시작 가능하다.[36] 2016년부터 도입한 규칙이다. 2015년까지는 두 플레이어의 테트로미노 순서가 달랐으나 현재는 매 게임당 두 플레이어들은 똑같은 테트로미노 RNG가 주어진다.[37] 참고로, 승부가 확정된 상태에서 만약 승리한 플레이어가 탑아웃한 상태가 아니면 즉시 플레이를 멈추는 것이 예의다. 이 특성 때문에 CTWC에서는 맥스아웃을 보기가 매우 어렵다.[38] 판정승은 점수 차이가 몇 십만 단위로 매우 클 경우에만 주게 되어있다.[39] 화면이 몇 초 동안 지직거리거나 밝기가 바뀐다던가 등등.[40] 아쉬운 점이 있다면 적지 않은 실력자의 CTWC 출전이 어렵다는 것. 미국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사람들도 많고 거기다 1등 상금보다 더한 사비로 비행기 티켓 및 숙박을 마련해야 하니... 거기다 CTWC에서는 에뮬레이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에뮬레이터 사용자들은 진출이 어렵다.[41] 예를 들어 10월 대회에 참가하고 싶다면 9월 안에 점수를 제출해야 한다.[42] 단, 본선에서 승부가 확정된 상태에서는 탑아웃 후 레벨 선택 화면으로 빨리 감는 것은 문제 없다.[43] 테트리스 웹사이트 Hard Drop에서 2015년 이전에 열린 지역 대회의 흔적을 조금이나마 찾아볼 수 있다.[44] 참고로, CTWC 로고가 있다고 해서 본선 진출권이 무조건 걸려 있는 대회는 아니다. 예를 들어 CTWC 폴란드는 자동 진출권이 없는 순수한 지역 대회다.[45] 본선 진출권이 없는 단순한 지역 대회에서는 간혹 16명이나 32명이 진출하는 경우도 있다.[46] 비행요금, 숙박비와 엑스포 패스까지 모두 제공.[47] 상당히 많은 지역 대회가 있지만 이 중 몇몇 대회만 본선 자동 진출권이 걸려 있다.[48] 쉽게 말해, 유럽판(PAL) 닌텐도 테트리스를 사용하는 대회들은 모두 CTWC 본선 진출권이 없다.[49] 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2019 CTWC 노르웨이 예선 우승자 McMuffin과 대만 예선 우승자 Tang Song Jie가 CTWC 무료 출전권은 받았지만 본선 자동 진출에 실패했고 예선에서 48위 안에 들지 못해 본선에서 볼 수 없게 되었다.[50] 닌텐도 테트리스를 제외한 종목들은 대부분 이벤트/사이드 종목이라 트로피를 주는 경우도 있고 그냥 경품만 주는 경우도 있다.[51] 팀전/개인전[52] 비디오 게임이 아닌 보드 게임이다.[53] 2013년을 제외하면 SNES 토너먼트는 타 부문들에 참가하지 않는 사람만 참가가 가능했다. 마찬가지로 SNES 부문에 참가하는 사람은 NES 부문에 참가할 수 없었다.[54] 2021년에는 Connected 버전으로 진행되었다.[55] 2021년 1월 사망.[56] 대회 닉네임을 자주 바꾸는데, Quaid (퀘이드)를 가장 많이 쓰지만 2017년에는 Hauser로, 2018년에는 ZZYZX(...)로 출전했다.[57] 본명 니시오 코지[58] 2018년에는 MetalBeast라는 예명으로 출전.[59] 2019년에 Mega Retroman이라는 예명으로 출전. 개인방송 예명이기도 하다.[60] 본명 아카키 쇼[61] 본명 타테지마 토모호리[62] 본명 Patrick Haendle[63] 트위치에서 ITZSharky라는 예명으로 활동 중.[64] 본명 Michael Bowman[65] 본명 Aidan Jerdee[66] 본명 Daniel Zhang[67] 테트리스 커뮤니티에서 예명 MicroBlizz로 유명하다.[68] 루빅스 큐브 해법 중 하나인 VH 해법, 그리고 트위스티 퍼즐의 일종인 스퀘어-1의 대표적인 실전용 해법 반덴버그 해법을 개발한 사람이다.[6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감염 여부를 테스트 하였으나 별다른 말은 없었고, 동년 4월 3일 최종 사인은 원인 불명의 부정맥으로 밝혀진 듯하다. 트위터 링크.[70] 풍산 홍씨 계열이라고 한다.[71] 2019년 대회에서 무려 레벨 31 진입에 성공했는데, 그냥 레벨 31에 돌입한 것으로 끝나지 않고 8줄을 더 없애 레벨 32에 근접할 정도였다. 중계될 때 맥스아웃 세 번에 레벨 30 진입을 두 번이나 성공하기도 했다.[72] 2019 CTWC 8강 2세트에서 본선 사상 최초 맥스아웃을 기록했으며, 3세트에서는 GreenTea와 함께 맥스아웃을 한번 더 기록했다.[73] NES 테트리스 정식 기록 문서의 북미판 항목을 보면 2020년 5월 30일 기준 한 번 깨어지면 영원히 다시 기록할 수 없는 '최연소 맥스아웃'을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 조셉 세일리의 기록으로 점철되어 있었다! 물론 2021년에는 롤링 기법을 플레이어들에게 보급한 Cheez_E에게 배턴을 넘겨주었다.[74] 불과 10년 전만 해도 999,999점이 거의 사람의 한계라는 인식이었음을 감안하면 격세지감.[75] 게다가 이 대회는 일본 시간으로 새벽에 진행된다는 것을 감안하면 엄청난 실력이다.[76] 본인 왈 닉네임 유래는 다름 아닌 고량주(...)라고 한다.[77] 근데 실제로 2019년 CTM 12월 마스터즈에서 16강 상대로 한국인 플레이어인 Holifyre와 붙게 되어 CTM 최초 한일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덕분에 트위치 채팅은 Koryan vs Korean(한국인) 으로 도배되었다. 결과는 Koryan의 2:1 승리.[78] Quaid 말고도 2017년에 유명했던 별명 Hauser가 있다. 그리고 Koryan이 그 당시에 Quaid에게서 받은 가발을 계속 가지고 있어 Kauser(...)라는 별명이 자매품으로 탄생했다. 이 외에도 Kwaid, T.A.F.K.A Quaid, ZZYZX로 대회에 출전한 적이 있다.[79] CTWC의 유럽 축소판인 CTEC (클래식 테트리스 유러피언 챔피언쉽) 및 타 유럽 국가의 대회들은 대부분 PAL 테트리스를 사용한다. 단, 2019년 독일 예선에선 NTSC(북미판) 테트리스를 사용했다.[80] 2010년 대회에서는 예선 4위로 아깝게 본선 진출 실패. 이때는 8명의 참가자 중 5명은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해서 예선에서 3명만 통과했다. 만약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면 Jonas Neubauer, Harry Hong, Matt Buco와 함께 CTWC 본선에 개근한 몇 안되는 플레이어가 되었을 것이다.[81] 그래도 그 상대가 챔피언 조셉 세일리였고, 그도 역대 본선 두 번째 맥스아웃을 기록하여 결승전 못지 않게 CTWC 역사에 한 획을 그은 경기를 치렀다.[82] Fractal161도 218만 점을 달성했지만 결국 EricICX에게 패배해 공식 기록 중 가장 높은 패배 점수로 기록되었다.[83] 레벨 235는 버그로 인해 레벨 클리어를 위해 10줄이 아닌 810줄을 지워야 하고 이에 따라 'long level'(긴 레벨) 이라고 불린다.[84] 이분 없이는 굉장히 보기가 지루하다는 것과 실질적인 해설능력이 다소 비판받는 것까지(...) 똑같다.[85] 사실 CTWC 해설진은 그냥 분위기를 돋우는 역할에 가깝기 때문에, 전문적인 해설은 조금 부족하다는 평을 받는다.[86] 2018 CTWC 홍콩 예선 이벤트전 동영상 댓글을 보면 해설자들이 피곤한 거 같다고 조롱하는 댓글들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동영상은 직관 해설이 아니고 대회 영상에다 트위치에서 해설을 덧입힌거라서 생동감이 덜한건 어쩔 수가 없다.[87] 참고로 모든 용어가 CTWC안에서만 국한되는 건 아니며, 다른 테트리스 게임에도 적용될 수 있는 용어도 있다.[88] CTWC는 북미판(NTSC) 닌텐도 테트리스로 치러지므로 CTWC 영상에서 언급되는 킬 스크린은 항상 레벨 29다. 단, 유럽 대회에서 사용하는 유럽판(PAL) 닌텐도 테트리스의 경우는 킬 스크린이 레벨 29가 아닌 레벨 19.[89] 완전히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특히 2018, 2019 CTWC 챔피언 Joseph Saelee는 레벨 34까지 진입해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 게다가 그는 예선에서 30, 31단계까지 진입할 정도. 물론 롤링이 보급된 2024년 5월 기준 세계 기록(NTSC, 정품 롬)은 레벨 157까지 급격히 상승해버렸는데, 레벨 155부터는 실제로 게임 자체가 버티지 못해 특정 조건 하에서 게임이 깨져서 멈춰버린다. 또한 이렇게 롤링 타법으로 장기전이 벌어질 수 있기 때문에(2022년 대회 EricICX vs. Fractal161) 2023년 CTWC부터는 레벨 39부터 테트로미노가 떨어지는 속도를 다시 두 배로 높이는 Super Kill Screen을 도입하여 롤링 타법을 구사하는 플레이어들조차 조작이 거의 불가능하도록 하였다.[90] 흔히 "DAS Player"또는 "DASer"와 같이 불린다. 다만 워낙 대다수가 DAS를 플레이 방식으로 채택하기 때문에 흔히 쓰이는 용어는 아니다.[91] 닌텐도 테트리스 플레이어 대부분은 DAS 플레이어지만 최근에는 하이퍼태퍼들의 수가 조금씩 늘고 있다. 가끔씩 두 플레이스타일을 같이 쓰는 경우도 있다. 플레이어 Jakegames2가 그 예시.[92] 이것은 I미노의 오른쪽 편향성 때문인데, I미노가 필드로 떨어질 때 세로로 세우면 6번째 열에 위치하게 된다. 10열 중 6번째 열이면 오른쪽으로 I미노를 4칸만 이동하면 되지만, 왼쪽 웰을 만든 상태라면 5번을 탭해야 된다. 레벨 18이나 19 이상일때는 이 한 칸이 아주 큰 차이이기 때문에 대부분 오른쪽 웰을 선호하는 것.[93] Quaid가 가운데 웰을 선호하기로 유명하다. 아예 해설자들도 Quaid-웰이라고 부를 정도.[94] 주로 플레이어가 위험한 상황에서 땅을 파듯 라인 클리어를 하며 빠져나올 때 쓰는 단어. 가끔씩 버닝이 길어질 때가 있는데, 해설진들이 '고고학'을 언급하거나 '보물이 나오는 게 아닌가'라는 등의 드립을 치기도 한다.[95] 테트리스 레이트, 드라우트 카운터가 나오는 같은 박스이다.[96] 모던 (가이드라인) 테트리스에도 비슷한 테크닉이 있는데, Donating(도네이팅)이라는 기술이다. 다만 이건 밑 구멍을 막은 후 T스핀 클리어로 다시 여는 방식. 즉 방식은 비슷하지만 궁극적인 목적은 테트리스가 아니라 T스핀이다.[97] 직역하면 "지독하게 더러운"(...) 정도.[98] 다만 이 말은 엄밀히 틀렸다. 자세한 건 "NES 테트리스에 대해서" 문단에서 후술.[99] 보통 O미노는 그냥 네모(Square)라고 부른다.[100] 다만 필요없는 경우에 I미노가 연속으로 자주 나오는 경우가 없지는 않다.[101] 바로 음역해서 테트리스 레이트라고 하는 경우가 더 많다.[102] 단, 라운드 제로나 32강에서 레벨15에서 시작할 경우는 100줄만 클리어하면 트랜지션(레벨 16)이다. 이때 하강 속도 증가는 약 1.3배.[103] 다큐멘터리 Ecstasy of Order에 의하면 당시 공식 맥스아웃 기록자는 해리 홍과 조나스 뉴바우어 둘 뿐이었으며, 1990 NWC 챔피언 토르 애컬런드는 맥스아웃 기록을 자처했지만 영상 증거가 없어 인정받지 못하다가 2010 CTWC 이후 레벨19 스타트 맥스아웃 (+레벨30)을 영상으로 남기는 데 성공했다.[104] 단, 에뮬레이터를 사용한 맥스아웃을 인정할 것인가는 의견이 갈리기도 한다.[105] 최초 본선 맥스아웃.[106] 본선에서는 상대 선수들 간의 RNG가 같도록 개조된 롬을 사용하는데, 이 영상에서 보듯 백만 자리수까지 표시되어 있다. 이와 달리 예선에서는 999,999까지만 표기 가능한 일반적인 카트리지를 사용한다. 예선에서는 맥스아웃 기록자가 2명 이상일 경우 최고 점수 대신 맥스아웃 횟수로 순위를 매기기 때문에 딱히 예선 중계화면에서까지 100만 이상의 점수를 표기할 필요가 없다. 2024년 기준으로는 롤링의 보급으로 인해 2시간이나 주어지는 예선에서 (거의) 모든 게임에 맥스아웃을 기록하는 어린 괴물들이 출현했으며, 대회 출전 선수들 자체의 상향평준화로 인해 맥스아웃을 일정 횟수 이상 넘기지 못하면 본선인 골드 브래킷은커녕 2부 토너먼트인 실버 브래킷으로 강등되거나 아예 탈락해버린다.[107] 2016년에 Ben Mullen이 성공할 뻔한 적이 있긴 했다.[108] 그렇다고 계산기를 사용해 소수값까지 말하는 건 아니고, 대부분 어림잡은 자연수 값을 말한다. 레벨 18에서 4만 점 차이일 경우 40,000/22,800= 1.75개의 테트리스 차이지만 그냥 편하게 2개 테트리스 차이라고 말하는 것. 가끔 1.5개나 2.5개 등 0.5(Half)를 덧붙이기도 한다.[109] 정식 용어는 아니지만 여기서 더 발전된 클론트리스(Clonetris)도 있다. 2019년 대회 결승전 제4경기에서 경기 시작 직후 일정 시간 동안 두 선수들이 완전히 같은 플레이를 보여주자 Chris Tang이 언급한 단어다. 대결하는 선수들끼리의 RNG가 같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가능하기는 하지만, 두 선수들 사이에 텔레파시가 통하지 않는 한 보기 어려운 진귀한 장면이다.[110] 이건 비디오 게임이 아닌 보드게임이다.[111]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의 저자이다.[112] 조나스 뉴바워와 콜라보레이션 영상을 만들었다.[113] 아예 aGameScout라는 유튜브 채널을 따로 만들어 CTWC와 닌텐도 테트리스 관련 동영상들을 올리고 있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닌텐도 테트리스와 관련한 화제거리들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이제는 차라리 aGameScout가 본진이라고 봐도 될 정도다.[114] 다른 게임 전시회나 대회도 동시에 같이 열리기 때문에 대회 공간이 비교적 협소한 편이다. 그 때문에 의자에 앉아 보는 사람도 있고 일어서서 보는 사람도 많은 편. 그래서 2019년에는 10번째 대회라 그런지 장소 내 아예 기존 장소의 2배 크기를 가진 홀을 대관해서 개최했다고 한다.[115] 2015 CTWC에서 이런 촉박함이 그대로 드러났는데, 조나스와 퀘이드가 맞붙는 결승전에서 "10분 안에 영업을 종료해야 합니다."라는 고지가 경기 중에 퍼졌다. 그 때문인지 퀘이드가 이에 흔들려 조나스에 패배하고 말았다.[116] 2016년, 2017년은 4강에서도 두 경기를 동시에 생중계했다.[117] 하지만 CTM 채널이 따로 생겼기 때문에 이젠 올라오지 않는다.[118] 가능하면 오리지널 NES 콘솔과 컨트롤러로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물론 안 된다면 에뮬레이터와 키보드로 해도 큰 문제는 없다. 테트리스 이펙트에서도 NES 테트리스의 규칙을 재현한 Classic Score Attack 모드를 제공하고 있다.[119] TGM이나 뿌요뿌요 테트리스[120] 텐겐 테트리스아타리 테트리스가 그 예다.[121] 다만 닌텐도 테트리스 테크닉 항목에서 볼 수 있듯이, 스핀은 여전히 한정적으로 가능하다.[122] 정확히는 테트로미노가 한 칸 내려가는 속도와 같다.[123] 당연하지만 프로들은 이런 위기에서 벗어날 능력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점수가 중요한 요인이긴 하지만 탑 아웃을 피하려면 점수를 조금 포기할 줄도 알아야 한다.[124] 실제로 2018 CTWC에선 2016년 CTWC 밈의 주역 Jeff Moore가 16강 1세트에서 64블럭 연속으로 I미노가 나오질 않아서 패배했다. 이런 상황을 Drought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