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13:32:59

Top Esports

DAN Gaming에서 넘어옴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Top Esports/2024 시즌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wiki style="margin: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파일:LPL_2020_white_notext.pngLPL
참가팀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 파일:TES 로고 2019.svg 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
Bilibili Gaming DreamSmart Weibo Gaming TapTap Top Esports LNG Ninebot Esports
파일:Anyone%27s_Legendlogo_profile.png파일:Anyone's Legend text-white.png 파일:Ninjas_in_Pyjamas_2021_neon_logo.png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FPX 로고 2021.svg
Anyone's Legend Ninjas in Pyjamas JDG Intel Esports Club FunPlus Phoenix
파일:LGD_Gamingnewlogo.png파일:LGD_Gamingnewlogo_white.png 파일:TT_%28Chinese_Team%29logo_square.png 파일:Oh_My_Godlogo.png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LGD Gaming Thunder Talk Gaming Oh My God Invictus Gamin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Ultra_Prime.png 파일:Team_WE.png 파일:RNG 로고 2017.svg
Edward Gaming Hycan Ultra Prime Team WE Royal Never Give Up
LDL 참가팀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파일:TESlogo.png
<colbgcolor=#ff3e24><colcolor=#000> 탑 이스포츠
Top Esports
창단 2017년 12월 21일
소속 리그 LPL
팀명 2144 Danmu Gaming(2015.3~2016.12)
DAN Gaming(2016.12~2017.12)
Topsports Gaming(2017.12~2019.5)
Top Esports(2019.5~)
모기업 탑 스포츠
CEO 궈하오
Hao
매니저 덩바오싱
Lazi
리더 추이지광
Jigwang
감독 [[양지쑹|양지쑹
Maokai
]]
코치 [[저우리펑|저우리펑
Despa1r
]]
분석 [[뤄샹|뤄샹
Shuijing
]]
주장 [[위원보|위원보
JackeyLove
]]
약칭 TE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기록
LPL
(1회)
2020 서머
MSC
(1회)
2020
Demacia Cup
(2회)
2020, 2021
XEC
(1회)
2018[1]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3e24><colcolor=#000> 파일:TOP_icon_black.png
TOP
파일:중국 국기.svg [[바이자하오|바이자하오
369
]]
파일:JGL_icon_black.png
JGL
파일:중국 국기.svg [[가오톈량|가오톈량
Tian
]]
파일:MID_icon_black.png
MID
파일:중국 국기.svg [[린젠|린젠
Creme
]]
파일:중국 국기.svg [[쑤한웨이|쑤한웨이
xiye
]]
파일:ADC_icon_black.png
BOT
파일:crwn.png 파일:중국 국기.svg [[위원보|위원보
JackeyLove
]]
파일:SUP_icon_black.png
SPT
파일:중국 국기.svg [[톈예|톈예
Meiko
]]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 개요2. 상세3. 주요 경력4. 역사 및 역대 시즌5. 플레이 스타일6. 멤버7. Top Esports Challenger8. 기타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TES 로고 2019 블랙.svg
파일:2024 Worlds TES.jpg
#ToTheTop
나이키, 아디다스, 푸마 등 국제 스포츠 브랜드의 중국 유통을 맡고 있는 TOP SPORTS를 모체로 한 중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팀 약자는 TES.[2]

2. 상세

2017 시즌부터 LPL에 참가했으며 2144 Gaming[3]의 2팀인 2144 Danmu Gaming을 이어받아 창단된 팀이다.[4] 나진 출신의 LCK 준우승 및 월드 챔피언십 경력자 꿍 유병준과 Winners의 CK 1차 전성기 시절 코어였던 Karin 정수종, Natz 이용진을 보유하여 한국인 용병 선수들의 면면은 LSPL에서 굉장히 탄탄했고 승격 후 LPL에서도 그리 꿀리지 않을 수준의 팀이었다.

2018 시즌이 끝나고 초특급 유망주 미드 나이트와 한국인 바텀 듀오 로컨을 영입하고 신인 탑솔 369를 발굴하며 2019 시즌 LPL의 초신성으로 주목받았다. 이후 RNG의 카사, IG의 재키러브를 영입하며 본격적으로 강팀 반열에 올랐고 2020 섬머에 드디어 첫 LPL 우승을 달성해 LPL의 신흥 강호로 자리매김하였다.

팀의 중국어 명칭은 滔搏电子竞技俱乐部인데, 앞의 두 글자가 한국어 그대로 읽으면 도박이 되어버린다. 한국에서는 나훈아의 노래 <테스형!>이 흥하면서 'TES(테스)형'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팀 내에서도 이걸 아는 모양인지 재키러브는 이에 대해 굉장히 긍정적으로 코멘트했다.[5]

3. 주요 경력

우승 경력
2018 Xinhua E-Sports Conference 우승
Invictus Gaming Topsports Gaming 폐지
2020 Mid-Season Cup 우승
대회 출범 Top Esports 폐지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우승
JD Gaming Top Esports Royal Never Give Up
2020 Demacia Cup 우승
2021 Demacia Cup 우승
Royal Never Give Up Top Esports Bilibili Gaming Pingan Bank
준우승 경력
NEST 2018 준우승
JD Gaming Topsports Gaming Bilibili Gaming
2018 Demacia Cup Winter 준우승
Bilibili Gaming Topsports Gaming Edward Gaming
2019 Rift Rivals KR-CN-LMS-VN 준우승
LCK
(KZ, AFs, KT, SKT)
LPL
(IG, JDG, FPX, TES)
폐지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준우승
Royal Never Give Up Top Esports JD Gaming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준우승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준우승
FunPlus Phoenix Top Esports Bilibili Gaming Pingan Bank
2024 LoL Pro League Spring 준우승
LNG Ninebot Esports Top Esports Weibo Gaming TapTap
Esports World Cup 2024 준우승
대회 출범 Top Esports 미정
수상 경력
LPL 연간 어워드 2020년 올해의 팀
FunPlus Phoenix Top Esports Edward Gaming

4. 역사 및 역대 시즌

파일:2144_Danmu_Gaminglogo_square.webp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DAN_Gaminglogo_square.png 파일:380px-Topsports_Gaming_allmode.png 파일:TES 로고 2019.svg
2144 Danmu Gaming DAN Gaming Topsports Gaming Top Esports
2144 단무 게이밍 단 게이밍 탑스포츠 게이밍 탑 e스포츠
2017

5. 플레이 스타일

나이트와 재키러브가 오래 몸을 담은 만큼 LPL내에서 가장 체급이 높은 팀을 꼽으라면 항상 첫 손에 꼽히는 팀이다. 캐리 라인들의 막강한 라인전을 기반으로 전라인 캐리가 가능한 팀이며, 플레이 스타일의 자유도가 높다. 굳이 TES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승리 공식을 말하라고 한다면, 라인 주도권을 잡은 이후 정글의 갱킹으로 초반 주도권을 잡고 오브젝트나 다이브 같은 설계를 하며, 이후 캐리라인들의 플레이메이킹 능력을 통해 교전을 계속 유도해 승리를 챙겨가는 것.

하지만 막강한 체급에 비해서 조금은 아쉬운 운영 능력과 둘째가라면 서러운 기복을 가진 것이 약점으로 꼽힌다. 원래 LPL 리그가 전체적으로 교전으로 게임을 풀어나가는 성향이 강해 기복이 어느정도 있지만 강팀들일수록 LCK식 운영까지 탑재해 저점 또한 높은 경향이 있는데, TES는 리그에서 손꼽히는 강팀이면서도 유독 기복이 심하다. 한마디로 도깨비팀. 막강한 라인전과 교전력으로 강팀들을 상대로도 압도적으로 승리하는 경기가 종종 있지만, 그만큼 던질땐 잘 던지고 게임을 시원하게 말아먹어 라이벌 팀들과 약팀들에게 대주는 경우도 많다.

중국의 다른 강팀인 IG, EDG와 플레이스타일을 비교해보자면, 전성기 IG는 무시무시한 골드차이를 벌리는 속공에 능하면서도 자신들의 쓰로잉으로 게임이 비벼질 때 강한 라이너들의 힘과 강한 교전 수행능력으로 다시 승리를 가져올 수 있었으며, 전성기 EDG는 LPL 역대 최강의 코리안 딜러진을 바탕으로 숨도 쉬지 못하게 빈틈없는 지공으로 상대를 말려 죽이면서도 지에지에라는 강력한 선봉대장을 필두로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속공을 구사할 수 있었다. 그에 비해, TES는 플레이 스타일이 자유롭고 전라인 캐리가 가능한 강점이 있어 고를 수 있는 전략이 많고 다른 전략으로 전환하는 능력은 높지만 결단력이 부족해서 전략의 강점을 확실하게 살리는 능력은 애매한 편이다. 그래서 체급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는 강팀과의 진검승부에서는 확실한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마침표를 잘 찍지 못한다.

우선 원딜인 재키러브의 오더 비중이 높다는 것 자체가 다른 팀원들의 중후반 운영 영향력이 적다는 의미이며, 특히 S급 팀에 걸맞은 서포터를 가져본 적이 없는 슬픈 팀이다. 서포터 포지션 적응도 자체가 아쉬웠던 TES 시절의 츄츄를 필두로 듀오인접률 최상위의 병사형 서폿 유얀지아, 무색무취한 亡주 주오에 라인전에 뚜렷한 하자가 있는 기복형 서포터 마크, 기본적의로 강하지만 실수를 연발하고 기복이 심한 메이코까지 하나같이 나사가 정도는 다르지만 빠져 있다. 재키러브라는 S급 원딜러의 기량에 기대어 리빌딩을 멍청하게 한 TES 프런트의 안목이 의심되는 이유이다. 이 부족한 서포터 기량으로 인해 위에 언급된 강한 딜러진으로 인한 높은 플레이스타일의 자유도를 제대로 살리지 못한다. 특히 탑서폿 기량이 애매해도 이렇게 정식 한타가 강한 팀이 초반 골드차까지 잘 벌린다며 호사가들의 고평가를 받던 2022 서머 TES조차도, 정글러 티안의 비정상적인 차력쇼에 의존했기 때문에 한계가 명확했다.

그래서 체급이 높다는 인식에 비해 골드와 경험치 차이를 벌리는 능력은 20년, 22, 24년 연속으로 엮이는 라이벌 징동 게이밍만큼 압도적이지 못하다. TES의 안정적인(...)[6] 딜러진을 바탕으로 한 한타능력 우위는 소위 아웃라이어 지표에 반영되지 않기 때문. 그리고 이러한 딜러진의 안정감과 폭발력마저 쇠퇴한 2022 롤드컵은 마이너 리그에게 털리는 역사에 남을 대기록을 세우며 2020 롤드컵을 능가하는 TES 최악의 국제대회로 남았다. 2024 msi에서 상성을 역상성으로 바꿔버린 BLG와 함께 젠지의 삼성이후 LPL 다전제 무승을 끊어주고 LEC(G2)에게 셧아웃 이라는 대기록과 함께 젠지와 LEC를 부활시켜 주는 역사에 남을 대기록을 세우며 라이벌 징동과 함께 젠지이상으로 국제전에 약한팀이라는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PL 1회 우승, 3회 준우승으로 경쟁이 치열한 LPL에서 어마어마한 커리어를 보유한 명문팀임은 확실하다.
단지 나이트재키러브라는 대단한 체급과 이론적인 다재다능함을 가진 화려한 라인업에 비하면 최종 결과물이 2% 아쉬울 뿐이다.

6. 멤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op Esports/멤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Top Esports Challenger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EF4923><tablebgcolor=#EF4923> 파일:LDL_white.pngLDL
참가팀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LGD.Ylogo_square.png 파일:MAX_Teamlogo_square.png 파일:Bilibili_Gaming_Juniorlogo.png 파일:Weibo_Gaming_Youth_Teamlogo_profile.png 파일:Young_Glorylogo_square.png
LGD Gaming
Young Team
MAX Bilibili Gaming Junior Weibo Gaming Youth Team Invictus Gaming Young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300px-Joy_Dreamlogo_square.png 파일:Oh_My_God_Academylogo_square.png 파일:TT.Y logo.png 파일:EDward_Gaming_Youth_Teamlogo_square.png 파일:Ultra_Prime_Academy_logo_square.png
Joy Dream Oh My God Academy Thunder Talk
Gaming Young
EDG YOUTH TEAM Ultra Prime Academy
파일:MiaoJinglogo_square.png 파일:Team_WE_Academylogo_square.png 파일:Anyone's_Legend.Younglogo_profile.png 파일:Royal_Club_2017_full_lightmode.png파일:Royal_Club_2017_full_darkmode.png 파일:FPB_New_logo.png
MiaoJing Team WE Academy Anyone's Legend.Young Royal Club FunPlus Blaze
파일:Top_Esports_Challengerlogo_square.png 파일:LNG_Academylogo_square.png 파일:Ji_Jie_Haologo_square.png 파일:LDL_2023_logo.png
Top Esports
Challenger
LNG Academy Ji Jie Hao
LPL 참가팀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

파일:Top_Esports_Challengerlogo_square.png
<colbgcolor=#ff3e24><colcolor=#000> 탑 이스포츠 챌린저
Top Esports Challenger
창단 2018년 2월
소속 리그 LDL
팀명 King of Future(2018.2~2019.6)
Top Esports Challenger(2019.6~)
모기업 파일:topsports_logo.jpg
매니저 추이칭
Buz
감독
코치
약칭 TESC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우승 기록
LDL
(1회)
2023 S2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3e24><colcolor=#000> 파일:TOP_icon_black.png
TOP
파일:중국 국기.svg 하오정이
Zhengyi
파일:JGL_icon_black.png
JGL
파일:중국 국기.svg 주지하오
Serene
파일:MID_icon_black.png
MID
파일:중국 국기.svg 쑤하오양
Wangxiao
파일:ADC_icon_black.png
BOT
파일:중국 국기.svg 즈제치
JiaQi
파일:SUP_icon_black.png
SPT
파일:중국 국기.svg 자오원하오
Ycx
파일:중국 국기.svg 왕룬라이
fengyue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우승 기록
2023 LDL Split 2 우승
Royal Club Top Esports Challenger MAX
준우승 기록
2023 LDL Split 1 준우승
EDG YOUTH TEAM Top Esports Challenger Invictus Gaming You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op Esports/멤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기타

LCK에서 국제전의 징크스를 극복하지 못하다는 평을 받는 젠지 이상으로 국제전의 성적이 매우 좋지 않다. 코로나19로 인해 MSI를 대신해 열린 2020 MSC에서 우승을 하긴 했지만 그게 끗발이었다. LPL을 우승하고 처음으로 롤드컵에 진출한 2020 롤드컵에서 8강 상대 중 가장 약체로 평가받은 프나틱에게 1,2세트를 처참하게 짓밟히다 겨우 리버스 스윕을 만든 후 4강에서 쑤닝에게 허무하게 탈락했고 2시드로 다시 롤드컵에 진출한 2022 롤드컵에서는 마이너 리그인 GAM Esports에게도 패배하며 씁쓸히 조별 탈락의 참사를 겪었고 해당 시즌 LPL팀 중 유일하게 조별 리그를 뚫지 못했다. 처음으로 진출한 2024 MSI에서는 LCK의 젠지에게 패해 젠지의 리브랜딩 후 첫 LPL 상대 다전제 승리를 안겨주더니 LEC의 G2에게 3대0으로 짓밟히며 국제전에서 크게 부진하고 있다. 더 심각한 건 이 멤버는 중국인 선수들 중 네임밸류로는 가장 강력한 멤버들을 모은 팀이란 것이다. 순혈 중국팀에 대한 갈망이 큰 중국에서 결승은 커녕 허구한날 조별딱이나 당하는 팀의 이미지가 어떨지는 안 봐도 뻔하다. LEC에 매드 라이온즈가 있다면 LPL에는 테스형이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그나마 EWC에서 철저한 준비로 LCK 패왕 노릇을 하던 젠지를 대떡내고 G2에게도 대떡으로 갚아주며 결승에 올랐으나, 폼 안좋던 BLG와 TL에게도 휘청거리던 T1에게 뜻밖에도 3:1 역전패를 허용하며 또 우승에 실패하고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후 월즈에서는 기껏 준수한 경기력으로 도중에 T1을 한번 잡기도 하는 등 3승 1패로 일찍 8강에 가놓고는 다시 만난 T1에게 모든 면에서 압살당하며 3대 0 참패로 또 또 또 국제전 잔혹사를 추가했다. 심지어 이 과정에서 대놓고 준비가 부족했다는 인터뷰나 코치진이 스위스 스테이지가 끝나갈 때가 되어서야 챔피언스 큐의 존재를 알았다는 등 EWC보다도 오히려 대회 준비가 퇴보했음이 밝혀지면서 현지 여론이 완전히 바닥으로 쳐박힌 상황이다.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파일:LPL_2020_white1.png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역대 우승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3 스프링 2013 서머 2014 스프링 2014 서머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OMGlogo300.png 파일:Positiv_Energy_oldlogo.png 파일:EDG_logo_no_background.png파일:edwardgamig-oldlogowhite.png
Oh My God
Positive Energy
Edward Gaming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2016 서머
파일:EDG_logo_no_background.png파일:edwardgamig-oldlogowhite.png 파일:900px-LGD_Gaming_Org_logo.pn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RNG.png 파일:EDG_logo_no_background.png파일:edwardgamig-oldlogowhite.png
Edward Gaming
LGD Gaming
Royal Never Give Up
Edward Gaming
2017 스프링 2017 서머 2018 스프링 2018 서머
파일:Team WE old.pn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RNG 로고 2017.svg
Team WE
Edward Gaming
Royal Never Give Up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2020 서머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600px-FunPlus_Phoenix_oldlogo_square.png 파일:JD_Gaming.png 파일:TES 로고 2019.svg
Invictus Gaming
FunPlus Phoenix
JD Gaming
Top Esports
2021 스프링 2021 서머 2022 스프링 2022 서머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Royal Never Give Up
Edward Gaming
Royal Never Give Up
JDG Intel Esports Club
2023 스프링 2023 서머 2024 스프링 2024 서머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JDG Intel Esports Club
Bilibili Gaming
Bilibili Gaming
DreamSmart

}}}}}}}}} ||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 파일:LPL_2020_white1.png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연간 어워드 최고의 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4 2015 2016 2017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OMGlogo300.png 파일:EDG_logo_no_background.png파일:edwardgamig-oldlogowhite.png 파일:RNG 로고 2017.svg
Oh My God Edward Gaming Royal Never Give Up
2018 2019 2020 2021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FPX_LoL_new_logo.png 파일:TES 로고 2019.sv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Invictus Gaming FunPlus Phoenix Top Esports Edward Gaming
2022 2023 2024 2025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JDG Intel Esports Club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80><table bordercolor=#02094F> 파일:MSC_white.png Mid-Season Cup
우승팀
}}} ||
{{{#!wiki style="color:#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1px; color:#000000"
순서 우승팀 리그 우승연도 우승 횟수
1 파일:TESlogo.png Top Esports 파일:LPL_2020.png 2020년
1회
2020 MSI 취소로 인해 LCK와 LPL을 중심으로 대신 개최된 대회이다.
}}}}}}}}} ||





[1] Topsports Gaming 시절 달성[2] 2144 Danmu Gaming 시절에는 2144D, DAN Gaming 시절에는 DAN, Topsports Gaming 시절에는 TOP.[3] 과거 IM 출신의 PLL과 1기 G2 출신 익스펙트가 소속된 팀으로 유명하다.[4] 팀명을 바꿔도 팀은 여전히 2144 Gaming에서 관리한다.[5] 팀의 별명이 생긴다는 건 팀 홍보와 팬층 모으기에 있어 아주 좋은 소재가 된다. 이 별명이 멸칭도 아니고 친근하게 불릴 수 있는 별명인 것도 한몫했다. 입에 잘 달라붙는 별명이었는지 이후 이 밈이 역수출되어서 현지에서도 종종 'TES哥'(=테스형)이라는 호칭을 쓰게 되었다.[6] 한국에서는 재키러브의 큰 경기 쓰로잉으로 인해 저평가가 심하지만, 나이트가 폭발력을 보여주면서도 든든히 팀을 받쳐주는 사이 재키가 더더욱 공격적으로 상대를 쓸어담는 TES의 교전은 다소 부족한 교전 설계능력에도 불구하고 TES가 3년간 LPL 강팀 자리를 놓지 않은 비결이다. 그러나 2022 서머 포스트시즌부터 시작된 나이트의 부진과 함께 이러한 장점도 많이 퇴색된 편.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