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21:23:47

FIFA 인터컨티넨탈컵 2024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FIFA 인터컨티넨탈컵
FIFA 인터컨티넨탈컵 2024
FIFA Intercontinental Cup 2024™
파일:FIFA 인터컨티넨탈컵 2024.svg
파일:FIC2024.jpg
<colbgcolor=#003768><colcolor=#c89646> 대회 기간 2024년 9월 23일 ~ 2024년 12월 18일
본선 진출팀 6개팀
대회 결과
우승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
(1번째 우승)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준우승 파일:멕시코 국기.svg CF 파추카 파일:CF 파추카 로고.svg
3위 파일:이집트 국기.svg 알 아흘리 SC 파일:알 아흘리 SC(이집트) 로고.svg
수상
골든볼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실버볼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페데리코 발베르데
브론즈볼 파일:CF 파추카 로고.svg 엘리아스 몬티엘
이전·이후 대회
대회 창설 이전 2024년 2025년

1. 개요2. 참가 구단3. 대회 진행
3.1. Stage A - 아프리칸·아시안·퍼시픽 컵3.2. Stage B - 아메리카 더비 - 보타포구 FR 0 : 3 CF 파추카3.3. 플레이오프 - 챌린저 컵 - 파추카 : 알 아흘리3.4. 결승 - 레알 마드리드 CF 3 : 0 CF 파추카3.5. 우승
4. 최종 순위5. 수상6. 기록실7. 중계8. 여담

[clearfix]

1. 개요

FIFA 인터컨티넨탈컵의 초대 대회인 FIFA 인터컨티넨탈컵 2024에 대한 문서.

FIFA 챌린저 컵은 12월 14일에, 결승전은 12월 18일 카타르 루사일 스타디움에서 치러진다.

2. 참가 구단

<rowcolor=#fff> 지역 자격 국가 클럽
<colbgcolor=#fff>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알 아인 FC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
[[이집트|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알 아흘리 SC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레알 마드리드 CF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보타포구 FR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CF 파추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O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오클랜드 시티 FC

3. 대회 진행

3.1. Stage A - 아프리칸·아시안·퍼시픽 컵

3.1.1. 1라운드 알 아인 FC 6 : 2 오클랜드 시티 FC

파일:2024인터컨티넨탈컵로고.png
2024 FIFA 인터컨티넨탈컵 Stage A 1라운드
2024년 9월 23일 (월) 01:00 (UTC+9)
하자 빈 자예드 스타디움 (아랍에미리트, 알 아인)
주심: 파일:알제리 국기.svg 무스타파 고르발
관중: 13,826명
파일:알 아인 로고.svg
6 : 2
파일:오클랜드 시티 FC 로고.svg
알 아인 FC 오클랜드 시티 FC
6' 파비우 카르도주 (A. 칼리드 알 발루시)
11' 세쿠 가사마
45+1' 마티아스 팔라시오스 (A. 세쿠 가사마)
78,' 수피안 라히미 (A. 펠리페 살로모니)
90+2' 카쿠 (A. 마티아스 세고비아)
90+4,' 수피안 라히미 (A. 마티아스 세고비아)
파일:득점 아이콘.svg 43' 헤르손 라고스
54' 마이어 베반
매치 리포트 | 경기 보고서 |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3.1.2. 2라운드 알 아흘리 SC 3 : 0 알 아인 FC

파일:2024인터컨티넨탈컵로고.png
2024 FIFA 인터컨티넨탈컵 Stage A 2라운드
2024년 10월 30일 (수) 02:00 (UTC+9)
카이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이집트, 카이로)
주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할릴 우무트 멜레르
관중: 51,602명
파일:알 아흘리 SC(이집트) 로고.svg
3 : 0
파일:알 아인 로고.svg
알 아흘리 SC 알 아인 FC
32' 웨삼 아부 알리
55' 에맘 아슈르 (A. 타헤르 모하메드)
90'+2' (PK) 모하메드 마그디
파일:득점 아이콘.svg -
매치 리포트 | 경기 보고서 |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3.2. Stage B - 아메리카 더비 - 보타포구 FR 0 : 3 CF 파추카

파일:2024인터컨티넨탈컵로고.png
2024 FIFA 인터컨티넨탈컵 Stage B
2024년 12월 11일 (수) 02:00 (UTC+9)
스타디움 974[1] (카타르, 도하)
주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대니 마켈리
관중: 12,257명
파일:보타포구 FR 로고.svg 0 : 3 파일:CF 파추카 로고.svg
보타포구 FR CF 파추카
- 파일:득점 아이콘.svg 50' 우사마 이드리시 (A. 브리안 곤살레스)
66' 넬손 데오사 (A. 페드로 페드라자)
80' 살로몬 론돈 (A. 우사마 이드리시)
매치 리포트 | 경기 보고서 |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3.3. 플레이오프 - 챌린저 컵 - 파추카 : 알 아흘리

파일:2024인터컨티넨탈컵로고.png
2024 FIFA 인터컨티넨탈컵 플레이오프
2024년 12월 15일 (일) 02:00 (UTC+9)
스타디움 974 (카타르, 도하)
주심: 파일:이란 국기.svg 알리레자 파가니
관중: 38,841명
파일:CF 파추카 로고.svg
0 : 0
PSO
(6 : 5)
파일:알 아흘리 SC(이집트) 로고.svg
CF 파추카 알 아흘리 SC
- 파일:득점 아이콘.svg -
매치 리포트 | 경기 보고서 |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엘리아스 몬티엘

3.4. 결승 - 레알 마드리드 CF 3 : 0 CF 파추카

파일:2024인터컨티넨탈컵로고.png
2024 FIFA 인터컨티넨탈컵 결승전
2024년 12월 19일 (목) 02:00 (UTC+9)
루사일 스타디움 (카타르, 도하)
주심: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헤수스 발렌수엘라
관중: 67,249명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3 : 0 파일:CF 파추카 로고.svg
레알 마드리드 CF CF 파추카
37' 킬리안 음바페 (A.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53' 호드리구 (A. 킬리안 음바페)
84' (PK)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파일:득점 아이콘.svg -
매치 리포트 | 경기 보고서 |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레알 마드리드의 경기력은 그다지 좋지 않았으나 워낙 체급 차이가 컸던지라 3-0 대승을 거두며 우승을 차지했다. 비니시우스 주니오르페데리코 발베르데가 각각 골든볼과 실버볼을 수상했고, 카를로 안첼로티 감독은 레알에서 총 15회 우승으로 미겔 무뇨스 감독을 제치고 단독 최다 우승 감독이 되었다. 루카 모드리치는 레알 마드리드 소속으로 28회 우승을 기록하며 다니 카르바할을 제치고 단독 1위로 올라섰다.

3.5. 우승

FIFA 인터컨티넨탈컵 2024
1번째 우승

4. 최종 순위

파일:2024인터컨티넨탈컵로고.png
FIFA 인터컨티넨탈컵 2024 최종 순위
<rowcolor=#c89646> 순위 경기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rowcolor=#000,#fff>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레알 마드리드 CF 1 1 0 0 3 0 3 3 우승
<colcolor=#000,#fff>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파일:CF 파추카 로고.svg CF 파추카 3 1 1 1 3 3 0 4 준우승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파일:알 아흘리 SC(이집트) 로고.svg 알 아흘리 SC 2 1 1 0 3 0 +3 4 3위
4 파일:알 아인 로고.svg 알 아인 FC 2 1 0 1 6 5 +1 3 4위
5 파일:보타포구 FR 로고.svg 보타포구 FR 1 0 0 1 0 3 -3 0 5위
6 파일:오클랜드 시티 FC 로고.svg 오클랜드 시티 FC 1 0 0 1 2 6 -4 0 6위

5. 수상

파일:2190049052.0.jpg

6. 기록실

득점 순위
<rowcolor=#ffffff> 순위 선수명 경기수 득점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수피안 라히미 알 아인 FC 2 2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킬리안 음바페 레알 마드리드 CF 1 1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호드리구 레알 마드리드 CF 1 1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세쿠 가사마 알 아인 FC 1 1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마이어 베반 오클랜드 시티 FC 1 1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헤르손 라고스 오클랜드 시티 FC 1 1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레알 마드리드 CF 1 1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에맘 아슈르 알 아흘리 SC 2 1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웨삼 아부 알리 알 아흘리 SC 2 1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카쿠 알 아인 FC 2 1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마티아스 팔라시오스 알 아인 FC 2 1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파비우 카르도주 알 아인 FC 2 1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모하메드 마그디 알 아흘리 SC 2 1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살로몬 론돈 CF 파추카 3 1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넬손 데오사 CF 파추카 3 1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우사마 이드리시 CF 파추카 3 1
(※ 출장 경기/시간이 적을수록 상위로 정렬, PK보다 필드 골 기록을 상위로 정렬.)

7. 중계

FIFA의 자체 스트리밍 플랫폼인 FIFA+를 통해 전 경기를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한국어 중계는 없고, 영어와 스페인어 중계로 진행되었다.

8. 여담

  • 대회 경기장 중 스타디움 974가 선정되면서 상당한 논란이 일었는데, 본래 이 경기장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16강 대한민국과 브라질의 경기를 끝으로 철거될 예정이었으나, 2년이 지난 아직까지도 철거가 여전히 진행되지 않은 상태였는데, 사실 월드컵 당시 그대로 보존되어 있던 것일 뿐 후에 프랑스의 2024 트로페 데 샹피옹 대회를 이 경기장에서 펼칠 예정이라고 밝히면서 그렇게 인터컨티넨탈컵 대회 또한 정상적으로 치러지게 되었다.
  • 결승전 경기 전에는 베베투가, 경기 종료 후에는 안드레아 피를로가 트로피를 들고 나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철거된걸 다시 지어놓았는지 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