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FA 인터컨티넨탈컵 2024 | |||||
FIFA Intercontinental Cup 2024™ | |||||
| |||||
| |||||
<colbgcolor=#003768><colcolor=#c89646> 대회 기간 | 2024년 9월 23일 ~ 2024년 12월 18일 | ||||
본선 진출팀 | 6개팀 | ||||
대회 결과 | |||||
우승 | (1번째 우승) | | |||
준우승 | | | |||
3위 | | | |||
수상 | |||||
골든볼 | | ||||
실버볼 | | ||||
브론즈볼 | | ||||
이전·이후 대회 | |||||
대회 창설 이전 | 2024년 | 2025년 |
[clearfix]
1. 개요
FIFA 인터컨티넨탈컵의 초대 대회인 FIFA 인터컨티넨탈컵 2024에 대한 문서.FIFA 챌린저 컵은 12월 14일에, 결승전은 12월 18일 카타르 루사일 스타디움에서 치러진다.
2. 참가 구단
<rowcolor=#fff> 지역 | 자격 | 국가 | 클럽 |
<colbgcolor=#fff> |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 [[아랍에미리트| ]][[틀:국기| ]][[틀:국기| ]] | 알 아인 FC |
| 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 | [[이집트| ]][[틀:국기| ]][[틀:국기| ]] | 알 아흘리 SC |
|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 |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 | 레알 마드리드 CF |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 |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 보타포구 FR |
|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 | [[멕시코| ]][[틀:국기| ]][[틀:국기| ]] | CF 파추카 |
| O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 [[뉴질랜드| ]][[틀:국기| ]][[틀:국기| ]] | 오클랜드 시티 FC |
3. 대회 진행
3.1. Stage A - 아프리칸·아시안·퍼시픽 컵
3.1.1. 1라운드 알 아인 FC 6 : 2 오클랜드 시티 FC
2024 FIFA 인터컨티넨탈컵 Stage A 1라운드 2024년 9월 23일 (월) 01:00 (UTC+9) | ||
하자 빈 자예드 스타디움 (아랍에미리트, 알 아인) | ||
주심: | ||
관중: 13,826명 | ||
6 : 2 | ||
알 아인 FC | 오클랜드 시티 FC | |
6' 파비우 카르도주 (A. 칼리드 알 발루시) 11' 세쿠 가사마 45+1' 마티아스 팔라시오스 (A. 세쿠 가사마) 78,' 수피안 라히미 (A. 펠리페 살로모니) 90+2' 카쿠 (A. 마티아스 세고비아) 90+4,' 수피안 라히미 (A. 마티아스 세고비아) | | 43' 헤르손 라고스 54' 마이어 베반 |
매치 리포트 | 경기 보고서 | 경기 하이라이트 | ||
Man of the Match: |
3.1.2. 2라운드 알 아흘리 SC 3 : 0 알 아인 FC
2024 FIFA 인터컨티넨탈컵 Stage A 2라운드 2024년 10월 30일 (수) 02:00 (UTC+9) | ||
카이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이집트, 카이로) | ||
주심: | ||
관중: 51,602명 | ||
3 : 0 | ||
알 아흘리 SC | 알 아인 FC | |
32' 웨삼 아부 알리 55' 에맘 아슈르 (A. 타헤르 모하메드) 90'+2' (PK) 모하메드 마그디 | | - |
매치 리포트 | 경기 보고서 | 경기 하이라이트 | ||
Man of the Match: |
3.2. Stage B - 아메리카 더비 - 보타포구 FR 0 : 3 CF 파추카
2024 FIFA 인터컨티넨탈컵 Stage B 2024년 12월 11일 (수) 02:00 (UTC+9) | ||
스타디움 974[1] (카타르, 도하) | ||
주심: | ||
관중: 12,257명 | ||
| 0 : 3 | |
보타포구 FR | CF 파추카 | |
- | | 50' 우사마 이드리시 (A. 브리안 곤살레스) 66' 넬손 데오사 (A. 페드로 페드라자) 80' 살로몬 론돈 (A. 우사마 이드리시) |
매치 리포트 | 경기 보고서 | 경기 하이라이트 | ||
Man of the Match: |
3.3. 플레이오프 - 챌린저 컵 - 파추카 : 알 아흘리
2024 FIFA 인터컨티넨탈컵 플레이오프 2024년 12월 15일 (일) 02:00 (UTC+9) | |||
스타디움 974 (카타르, 도하) | |||
주심: | |||
관중: 38,841명 | |||
0 : 0 PSO (6 : 5) | |||
CF 파추카 | 알 아흘리 SC | ||
- | | - | |
매치 리포트 | 경기 보고서 | 경기 하이라이트 | |||
Man of the Match: 엘리아스 몬티엘 |
3.4. 결승 - 레알 마드리드 CF 3 : 0 CF 파추카
2024 FIFA 인터컨티넨탈컵 결승전 2024년 12월 19일 (목) 02:00 (UTC+9) | ||
루사일 스타디움 (카타르, 도하) | ||
주심: | ||
관중: 67,249명 | ||
| 3 : 0 | |
레알 마드리드 CF | CF 파추카 | |
37' 킬리안 음바페 (A.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53' 호드리구 (A. 킬리안 음바페) 84' (PK)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 | - |
매치 리포트 | 경기 보고서 | 경기 하이라이트 | ||
Man of the Match: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
3.5. 우승
FIFA 인터컨티넨탈컵 2024 |
1번째 우승 ★ |
4. 최종 순위
FIFA 인터컨티넨탈컵 2024 최종 순위 | |||||||||||
<rowcolor=#c89646>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 <rowcolor=#000,#fff> | 레알 마드리드 CF | 1 | 1 | 0 | 0 | 3 | 0 | 3 | 3 | 우승 |
<colcolor=#000,#fff> | | CF 파추카 | 3 | 1 | 1 | 1 | 3 | 3 | 0 | 4 | 준우승 |
| | 알 아흘리 SC | 2 | 1 | 1 | 0 | 3 | 0 | +3 | 4 | 3위 |
4 | | 알 아인 FC | 2 | 1 | 0 | 1 | 6 | 5 | +1 | 3 | 4위 |
5 | | 보타포구 FR | 1 | 0 | 0 | 1 | 0 | 3 | -3 | 0 | 5위 |
6 | | 오클랜드 시티 FC | 1 | 0 | 0 | 1 | 2 | 6 | -4 | 0 | 6위 |
5. 수상
- 골든볼: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
레알 마드리드 CF)
- 실버볼: 페데리코 발베르데 (
레알 마드리드 CF)
- 브론즈볼: 엘리아스 몬티엘 (
CF 파추카)
- 득점왕: 수피안 라히미 (
알 아인 FC)
6. 기록실
득점 순위 | ||||
<rowcolor=#ffffff> 순위 | 선수명 | 팀 | 경기수 | 득점 |
| 수피안 라히미 | 알 아인 FC | 2 | 2 |
| 킬리안 음바페 | 레알 마드리드 CF | 1 | 1 |
| 호드리구 | 레알 마드리드 CF | 1 | 1 |
| 세쿠 가사마 | 알 아인 FC | 1 | 1 |
| 마이어 베반 | 오클랜드 시티 FC | 1 | 1 |
| 헤르손 라고스 | 오클랜드 시티 FC | 1 | 1 |
|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 레알 마드리드 CF | 1 | 1 |
| 에맘 아슈르 | 알 아흘리 SC | 2 | 1 |
| 웨삼 아부 알리 | 알 아흘리 SC | 2 | 1 |
| 카쿠 | 알 아인 FC | 2 | 1 |
| 마티아스 팔라시오스 | 알 아인 FC | 2 | 1 |
| 파비우 카르도주 | 알 아인 FC | 2 | 1 |
| 모하메드 마그디 | 알 아흘리 SC | 2 | 1 |
| 살로몬 론돈 | CF 파추카 | 3 | 1 |
| 넬손 데오사 | CF 파추카 | 3 | 1 |
| 우사마 이드리시 | CF 파추카 | 3 | 1 |
7. 중계
FIFA의 자체 스트리밍 플랫폼인 FIFA+를 통해 전 경기를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한국어 중계는 없고, 영어와 스페인어 중계로 진행되었다.8. 여담
- 대회 경기장 중 스타디움 974가 선정되면서 상당한 논란이 일었는데, 본래 이 경기장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16강 대한민국과 브라질의 경기를 끝으로 철거될 예정이었으나, 2년이 지난 아직까지도 철거가 여전히 진행되지 않은 상태였는데, 사실 월드컵 당시 그대로 보존되어 있던 것일 뿐 후에 프랑스의 2024 트로페 데 샹피옹 대회를 이 경기장에서 펼칠 예정이라고 밝히면서 그렇게 인터컨티넨탈컵 대회 또한 정상적으로 치러지게 되었다.
- 결승전 경기 전에는 베베투가, 경기 종료 후에는 안드레아 피를로가 트로피를 들고 나왔다.
[1] 철거된걸 다시 지어놓았는지 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