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00:50:45

Hurry Up Tomorrow(영화)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Hurry Up Tomorrow]]{{{#!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The Weeknd 로고 색상.svg
[ 정규 앨범 ]⠀
||<table width=100%><rowbgcolor=#000>
파일:kissland_logo.png
||
파일:BBTMlogo2.png
||<bgcolor=#c90620>
파일:starboy_logo.png
||
파일:external/hiphop-n-more.com/The-Weeknd-Kiss-Land-Album-Cover.jpg
파일:광기에가려진아름다움.jpg
파일:external/pbs.twimg.com/Cs47zArVYAAg5dS.jpg
1집
2013. 09. 10.
2집
2015. 08. 28.
3집
2016. 11. 25.
파일:afterhours_logo2.png
파일:DawnFMlogo.webp
파일:hurryuptomorrowinvisible.png
[[After Hours|
파일:afterhourssinglecoverbytheweeknd.jpg
]]
[[Dawn FM|
파일:theweeknddawnFMalbumcover.jpg
]]
[[Hurry Up Tomorrow|
파일:The Weeknd Hurry Up Tomorrow Album Cover.jpg
]]
4집
2020. 03. 20.
5집
2022. 01. 07.
6집
2025. 01. 31.
[ 믹스테입 ]⠀
||<table width=100%><width=25%> [[Trilogy#s-1.1.1|
파일:풍선들의집.jpg
]] ||<width=25%> [[Trilogy#s-1.1.2|
파일:금요일.jpg
]] ||<width=25%> [[Trilogy#s-1.1.3|
파일:소리없는소음.jpg
]] ||
<rowcolor=#000> {{{#000 'House Of Balloons'}}}
2011. 03. 21.
{{{#000 'Thursday'}}}
2011. 08. 18.
{{{#000 'Echoes of Silence'}}}
2011. 12. 21.
[ 기타 앨범 ]⠀
||<table width=100%><rowbgcolor=#000><color=#fff>
파일:theweekndtrilogylogo.jpg
||<bgcolor=#2c1605>
파일:MDMlogo2.png
|| {{{#f4592b 'The Weeknd in Japan'}}} ||<bgcolor=#000> The Highlights ||
파일:TheWeeknd_Trilogy_Album.jpg
파일:MyDearMelancholyEPbyTheWeeknd.jpg
파일:theweeknd_in_Japan.jpg
파일:theweekndthehighlights.jpg
믹스테입
컴필레이션

2012. 11. 08.
EP
2018. 03. 30.
일본 한정
컴필레이션

2018. 11. 21.
컴필레이션
2021. 02. 05.
[ 싱글 목록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000> [[Beauty Behind The Madness|
Beauty Behind The Madness
]] ||
Earned It The Hills Can't Feel My Face In The Night
[[Starboy|
Starboy
]]
[[My Dear Melancholy,|
My Dear Melancholy,
]]
Starboy Die For You I Feel It Coming Call Out My Name
[[After Hours|
After Hours
]]
[[Dawn FM|
Dawn FM
]]
Heartless Blinding Lights Save Your Tears Take My Breath
[[Dawn FM|
Dawn FM
]]
[[Hurry Up Tomorrow|
Hurry Up Tomorrow
]]
Out of Time Timeless São Paulo
문서가 있는 참여 곡
Love Me Harder (2014) Lust For Life (2017) off the table (2020) Hurricane (2021)
One Right Now (2021) Creepin' (2022) Popular (2023) K-POP (2023)
Dancing in the Flames (2024)
[ 관련 문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width=1000> 활동 및 라이브 ||<width=25%> XO ||<width=25%> OVOXO ||<width=25%> Hurry Up Tomorrow(영화)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Hurry Up Tomorrow (2025)
파일:HUTfilmposterUS.jpg
장르 심리 스릴러, 뮤지컬
감독 트레이 에드워드 슐츠
각본 트레이 에드워드 슐츠, 에이블 테스페이, 레자 파힘
제작 에이블 테스페이, 레자 파힘, 케빈 투렌, 해리슨 크레이스
출연 에이블 테스페이, 제나 오르테가, 배리 키오건
촬영 차이스 어빈
편집 트레이 에드워드 슐츠
제작사 라이브 네이션 프로덕션, 매닉 페이즈
퍼블리싱 라이언즈 게이트
음악 에이블 테스페이, 다니엘 로퍼틴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25년 5월 16일
상영 시간 105분
제작비 2000만 달러
미국 박스오피스 $-
상영 등급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R등급 로고.svg

1. 개요2. 상세3. 제작 비화4. 예고편5. 평가6. 흥행7. 기타

1. 개요

2025년 5월 16일 개봉 예정인 스릴러 영화. 제작사는 HBO 드라마 디 아이돌의 제작을 맡았던 Manic Phase. 감독은 잇 컴스 앳 나잇 등의 공포 영화를 제작했던 트레이 에드워드 슐츠이고, 출연진은 에이블 본인과 넷플릭스 드라마 〈웬즈데이〉에 참여했던 제나 오르테가, 영화 덩케르크, 이터널스 등에 참여했던 배리 키오건, 컨트리 싱어송라이터 개비 배럿 등이 참여했다.

2. 상세

주연 에이블 테스페이의 "The Weeknd"라는 페르소나의 마지막을 담은 영화이다. 때문에 동명의 앨범 Hurry Up Tomorrow가 전체적으로 영화 사운드트랙같은 유기성을 보여준 이유도, 이 영화를 다 만들고 난 다음에 앨범을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에이블이 인터뷰에서 밝혔다. 영화의 전반적인 내용은 6집 앨범을 들어보면 어느정도 유추가 되기 때문에, 영화의 핵심은 '페르소나 The Weeknd의 마지막을 어떻게 풀어내는가'와 함께, '그가 마지막에 어떻게 끝을 맞이하는 지'이다.

또 영화의 핵심 주제는 실제 있었던 The Weeknd의 2022년 LA So-Fi 스타디움 콘서트에서의 사건이다. 공연 시작 몇 분만에 목소리가 나가버려 발생한 콘서트 환불 사건에서, The Weeknd 스스로의 자책과 그 상황을 맞이하게 된 때의 공포, 관객들의 반응, 그리고 그 이후(미래/내일)에 자신이 어떻게 해쳐나가야할 지에 대한 두려움 등에서 비롯된다.

3. 제작 비화

에이블은 앨범 발매 전, 아직 영화에 대해 밝히기 전 PrincePurple Rain을 떠오르게 하는 것이 있다고도 밝혔었는데, 그게 바로 과거 프린스의 앨범 Purple Rain동명의 영화와 세트 구성이었던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영화를 만들었다는 의미였다.

주요 제작자와 각본, 제작사 대부분이 디 아이돌에 참여했던 인원들이라 일각에선 디 아이돌 시즌 2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 디 아이돌이 가장 크게 비판 받았던 부분은 과도한 선정성과 주연 배우 에이블 테스페이의 부족한 연기력, 허술한 각본과 몇 번씩 갈아엎어진 제작 과정, 주·조연 배우들의 스케줄 문제로 인한 제작 파행 등이 문제였다. 즉, 정상적인 촬영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 연달아 이어진 것이다.

이번 6집은 아예 영화가 완성된 후에 앨범을 만들었기에 최소한 스케줄 문제 등에 대한 잡음은 없었고, 감독은 디 아이돌에 참여한 사람이 아닌 잇 컴스 앳 나잇과 같은 영화를 만들어 연출 부문에서 큰 호평을 받은 검증된 사람이다. 그리고 에이블이 또 다시 주연을 맡지만 이번엔 위켄드라는 자신이 해왔던 페르소나에다가, LA 공연에서 느꼈던 두려움과 심정을 그대로 보여주기만 하면 최소 평타 이상은 칠 수 있는 연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못해도 무난한 영화는 될 수 있지 않겠냐는 팬덤의 기대도 분명히 존재한다.

여러 차례 공개된 트레일러에서 보여지는 감각적인 스릴러 연출들 때문에, 섹스신만 가득해서 뭔 내용인지 도저히 감을 못잡겠는 디 아이돌을 트레일러에서부터 앞섰다는 평도 많다.

4. 예고편

<colbgcolor=#D9D5C2><colcolor=#000>
예고편 #1
<colbgcolor=#D9D5C2><colcolor=#000>
예고편 #2

5. 평가

메타크리틱
스코어 00/100 유저 평점 0.0/10
로튼 토마토
신선도 00%
관객 점수 00%
IMDb
평점 0.0/10

6. 흥행

순수 제작비는 2000만 달러, 한화 약 290억 원이다.

7. 기타

  • 개봉과 관련해 에이블이 글로벌 개봉을 한다고 X에 밝혔지만, 이는 마케팅으로 보인다. 실제 극장 개봉은 미국에서만 이뤄질 예정이며, 스트리밍 서비스 등을 통해 글로벌 공개를 염두에 둔 발언일 가능성은 있다.
  • 영화의 주·조연 배우들을 촬영한 다양한 홍보 이미지가 공개된 바 있다.#
  • 에이블은 상당히 푸짐한 6집 활동 시점에 비해 이 영화 시점에선 상당히 살이 빠진 상태이다. 상대적으로 말랐던 3집 Starboy 시절보다 훨씬 마른 상태로 촬영되어서, 가장 최저(?) 몸무게로 추측되던 Trilogy 시절에 버금갈 정도로 살이 빠져 보인다. 때문에 영화 촬영 후 요요가 강하게 온 것으로 추정된다.
  • 언컷 젬스에서 상당히 감각적인 음악들을 보여줬던 원오트릭스 포인트 네버가 이번 영화에도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