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4 윈터 | 스프링 | 서머 | 그랜드 파이널 | 2015 시즌 1 | 시즌 2 | 그랜드 파이널 | 2016 스프링 | 서머 |
2017 스프링 | 서머 | 2018 스프링 | 서머 | 2019 스프링 | 서머 | |
2020 스프링 | 서머 | 2021 스프링 | 서머 | 2022 스프링 | 서머 | |
2023 스프링 | 서머 | 2024 스프링 | 서머 | 2025 포지 | 스톰 | 이그나이트 | 파이널 |
역대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일람 | ||||
DetonatioN FocusMe | → | DetonatioN FocusMe | → | V3 Esports |
LJL 2019 Summer Split | LJL 2020 Spring Split | LJL 2020 Summer Split |
<colbgcolor=#ed1b30><colcolor=#fff> 2020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Spring | |||||
대회 기간 | 2020년 2월 8일 ~ 5월 4일 | ||||
주최 | 라이엇 게임즈 | ||||
주관 | |||||
경기장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시부야 요시모토∞홀 | ||||
일정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ed1b30><colcolor=#fff> 정규시즌 | 1라운드 | |||
2월 8일 ~ 2월 23일 | |||||
2라운드 | |||||
2월 23일 ~ 3월 8일 | |||||
플레이오프 | 1라운드 | ||||
3월 21일 | |||||
2라운드 | |||||
3월 28일 ~ 3월 29일 | |||||
3라운드 | |||||
5월 3일 | |||||
결승전 | |||||
5월 4일 | |||||
결승전 | 대진 | ||||
SG vs DFM | |||||
경기장 |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쿨 재팬 파크 오사카 WW홀 |
결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ed1b30><colcolor=#fff> 우승 | DetonatioN FocusMe | |||
준우승 | Sengoku Gaming |
[clearfix]
1. 개요
2020년 2월 8일에 개막한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스프링 시즌에 관한 문서이다.2. 참가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ed1b30> | 2020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Spring 참가팀 |
DetonatioN FocusMe DFM | V3 Esports V3 | Crest Gaming Act CGA | Burning Core BC |
Sengoku Gaming SG | Rascal Jester RJ | AXIZ AXZ |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SHG |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3. 대회 진행
3.1. 정규시즌
2020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Spring 정규시즌 순위표 | ||||||
순위 | 팀 | 승 | 패 | 연속 | 비고 | |
1 | DFM | 12 | 2 | 1승 | 우승 | |
2 | SG | 9 | 5 | 1승 | 준우승 | |
3 | V3 | 8 | 6 | 5승 | ||
4 | RJ | 7 | 7 | 2승 | ||
5 | AXZ | 6 | 8 | 1승 | ||
6 | CGA | 5 | 9 | 4패 | 6위 TB 승 | |
7 | BC | 5 | 9 | 1승 | 6위 TB 패 | |
8 | SHG | 4 | 10 | 6패 | ||
파란색: 승자조 진출 | 초록색: 패자조 진출 | 노란색: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
3.2. 플레이오프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ed1b30> | 2020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Spring 플레이오프 대진표 |
3.2.1. 1라운드
3.2.1.1. 1경기 V3 3 : 0 AXZ
플레이오프 1라운드 1경기 (2020. 03. 21) | |||||||||||
V3 Esports | 3 | 0 | AXIZ | ||||||||
○ | ○ | ○ | - | - | × | × | × | - | - | ||
2라운드 진출 | 결과 | 탈락 |
대체적으로 V3가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었고 AXIZ는 유리한 상황에서도 자기들 손으로 게임을 던지며 3대0으로 대패했다.
3.2.1.2. 2경기 RJ 2 : 3 CGA
플레이오프 1라운드 2경기 (2020. 03. 21) | |||||||||||
Rascal Jester | 2 | 3 | Crest Gaming Act | ||||||||
○ | × | × | ○ | × | × | ○ | ○ | × | ○ | ||
탈락 | 결과 | 2라운드 진출 |
3.2.2. 2라운드
3.2.2.1. 1경기 DFM 2 : 3 SG
플레이오프 2라운드 1경기 (2020. 03. 28) | |||||||||||
DetonatioN FocusMe | 2 | 3 | Sengoku Gaming | ||||||||
× | ○ | ○ | × | × | ○ | × | × | ○ | ○ | ||
3라운드 진출 | 결과 | 결승 진출 |
3.2.2.2. 2경기 V3 3 : 2 CGA
플레이오프 2라운드 2경기 (2020. 03. 29) | |||||||||||
V3 Esports | 3 | 2 | Crest Gaming Act | ||||||||
× | × | ○ | ○ | ○ | ○ | ○ | × | × | × | ||
3라운드 진출 | 결과 | 탈락 |
3.2.3. 3라운드
3.2.3.1. DFM 3 : 1 V3
플레이오프 3라운드 (2020. 05. 03.) | |||||||||||
DetonatioN FocusMe | 3 | 1 | V3 Esports | ||||||||
○ | × | ○ | ○ | - | × | ○ | × | × | - | ||
결승 진출 | 결과 | 탈락 |
3.2.4. 결승
3.2.4.1. SG 1 : 3 DFM
결승 (2020. 05. 04) | |||||||||||
Sengoku Gaming | 1 | 3 | DetonatioN FocusMe | ||||||||
× | × | ○ | × | - | ○ | ○ | × | ○ | - | ||
준우승 | 결과 | 우승 |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 영향으로 인해 결승전은 무관중으로 진행되며. 정규시즌 1, 2위 팀의 매치업이 당연하듯이 결정됐다.
바로 직전 1라운드에서 승리한 Sengoku Gaming의 경우 미드라이너와 정글러의 플레이를 중점으로 할 것으로 예상되며, DetonatioN FocusMe는 3라운드에서도 정글러의 불안한 모습이 자주 연출되어 우승을 위해서는 이를 빠르게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3.2.4.1.1. 1세트
드래곤 |
→ → → |
DFM은 먼저 유토리모야시의 포킹 바루스를 봉인하고, 블랭크의 트런들 선픽을 예상했듯 카운터로 킨드레드 픽을 가져오며 밴픽에서부터 우위를 가져왔고, 이에 SG도 피지컬은 크게 밀리지 않으며 피레안이 미드 솔킬을 내는 등 좋은 플레이를 보여주었으나, 후반부로 가면서 DFM이 아펠 유미 조합의 강점을 이용해 게임을 가져갔다.
블랭크는 초반까진 일체정스러운 모습을 보였지만 드래곤 한타에서 어이없이 참패한 이후부터 정상적인 기량을 발휘하지 못 했고, 마치 16년의 블랭크와 스코어의 구도가 된 것처럼 스틸이 죽을듯 하면 양의 안식처 활용으로 얄밉게 살아나가는 모습을 연거푸 지켜보면서 발만 동동 구르는 등 같은 팀원들과 함께 고통받았다.
3.2.4.1.2. 2세트
드래곤 |
→ → → |
3.2.4.1.3. 3세트
드래곤 |
→ → → |
초반에 압도적인 우세를 가져갔던 SG였지만 DFM이 중후반 바텀 억제기 수비전에서 에비의 나르 3인궁에 힘입은 항전으로 SG를 격퇴하고, 이후 미드 지역 세로스+에비의 기가막한 합작 이니시로 DFM이 한타를 대승하며 게임이 비벼지고 양 팀이 넥서스 앞까지 진격했다가 상대의 거센 저항에 패퇴하고 물러나는 그림이 3번이나 나오는 등 엄청난
양 팀의 경기 질을 논하길 떠나서 DFM이 게임을 비빈 순간부터 피말리는 듯한 역전에 재역전이 거듭되는 등 재미만 따지면 2017 LCK SKT vs KT의 3세트 경기를 연상시킬만큼 엄청난 몰입감을 주었다.
3.2.4.1.4. 4세트
드래곤 |
→ → → |
3.2.4.2. 총평
4. 여담
-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해 4월 25일 예정이었던 플레이오프 3라운드를 5월 3일, 4월 26일 예정이던 결승전을 5월 4일로 변경해 무관중으로 실시한다고 한다.
- 라이엇 재팬에 의한 USG의 퇴출 및 해체 그리고 소프트뱅크 게이밍의 참가 및 모든팀들의 크고 작은 선수변동이 있었고 플레이오프 방식이 LEC식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바뀌었다.
5. 둘러보기
LoL e스포츠 2020 시즌 | ||
국제 대회 | ||
2020 MSC | 2020 Worlds | 2020 ASE |
지역 대회 | ||
스프링 서머 선발전 | 스프링 서머 선발전 | 스프링 서머 |
스프링 서머 | 스프링 서머 | 스프링 서머 |
스프링 서머 | 오프닝 클로징 | 윈터 서머 |
스플릿 1 스플릿 2 | 스프링 서머 | 스플릿 1 스플릿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