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4 윈터 | 스프링 | 서머 | 그랜드 파이널 | 2015 시즌 1 | 시즌 2 | 그랜드 파이널 | 2016 스프링 | 서머 |
2017 스프링 | 서머 | 2018 스프링 | 서머 | 2019 스프링 | 서머 | |
2020 스프링 | 서머 | 2021 스프링 | 서머 | 2022 스프링 | 서머 | |
2023 스프링 | 서머 | 2024 스프링 | 서머 | 2025 포지 | 스톰 | 이그나이트 | 파이널 |
| ||||
DetonatioN FocusMe | → | DetonatioN FocusMe | → | DetonatioN FocusMe |
LJL 2022 Summer Split | LJL 2023 Spring Split | LJL 2023 Summer Split |
|
| |||||
<colbgcolor=#ed1b30><colcolor=#fff> 2023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Spring | |||||
대회 기간 | 2023년 1월 28일 ~ 4월 15일 | ||||
주최 | 라이엇 게임즈 | ||||
주관 | |||||
경기장 | 온라인 | ||||
일정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ed1b30><colcolor=#fff> 정규시즌 | 1라운드 | |||
1월 28일 ~ 2월 24일 | |||||
2라운드 | |||||
2월 25일 ~ 3월 26일 | |||||
플레이오프 | 1라운드 | ||||
4월 1일 ~ 4월 2일 | |||||
2라운드 | |||||
4월 8일 ~ 4월 9일 | |||||
결승전 | |||||
4월 15일 | |||||
결승전 | 대진 | ||||
DFM vs SG | |||||
경기장 | |||||
온라인 |
결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ed1b30><colcolor=#fff> 우승 | DetonatioN FocusMe | |||
준우승 | Sengoku Gaming |
[clearfix]
1. 개요
2023년 1월 28일에 개막한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스프링 시즌에 관한 문서이다.2. 참가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ed1b30> | 2023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Spring 참가팀 |
| | | |
DetonatioN FocusMe DFM | Sengoku Gaming SG |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SHG | FENNEL FL |
| | | |
Crest Gaming Act CGA | Burning Core BC | AXIZ AXZ | V3 Esports V3 |
LJLA 참가팀 | 해체된 아시아퍼시픽 LoL 프로게임단 |
3. 대회 진행
3.1. 정규시즌
정규시즌 순위표 | ||||||||
순위 | 팀 | 승 | 패 | 세트 득실 | 득실차 | 연속 | 비고 | |
1 | | SG | 13 | 1 | 27-7 | +20 | 3승 | 준우승 |
2 | | DFM | 12 | 2 | 25-7 | +18 | 10승 | 우승 |
3 | | SHG | 11 | 3 | 24-10 | +14 | 1승 | |
4 | | FL | 7 | 7 | 17-17 | 0 | 1승 | |
5 | | BC | 6 | 8 | 14-19 | -5 | 1패 | |
6 | | AXZ | 4 | 10 | 13-22 | -9 | 1패 | |
7 | | CGA | 3 | 11 | 11-23 | -12 | 6패 | |
8 | | V3 | 0 | 14 | 2-28 | -26 | 14패 | 전패 |
파란색: PO R2 진출 | 초록색: PO R1 진출 | 노란색: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
3.2. 플레이오프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ed1b30> | 2023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Spring 플레이오프 대진표 |
3.2.1. 1라운드
3.2.1.1. 1경기 SHG 3 : 0 AXIZ
플레이오프 1라운드 1경기 (2023. 04. 01.) | |||||||||||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 3 | 0 | AXIZ | ||||||||
○ | ○ | ○ | - | - | × | × | × | - | - | ||
플레이오프 2라운드 진출 | 결과 | 탈락 |
3강체재라고 불리는 LJL에서 반전은 없다는 듯이 서폿 벨베스, 미드 트타 등의 픽에도 불구하고 모든 경기를 35분 안에 끝내면서 3대 0으로 승리하였다.
3.2.1.2. 2경기 FL 3 : 2 BC
플레이오프 1라운드 2경기 (2023. 04. 02.) | |||||||||||
FENNEL | 3 | 2 | Burning Core | ||||||||
× | × | ○ | ○ | ○ | ○ | ○ | × | × | × | ||
플레이오프 2라운드 진출 | 결과 | 탈락 |
관계자 승부 예측부터 4:5로 갈렸던 막상막하의 매치. 펜넬이 탑라이너 타나가 이번시즌 단 한 번도 꺼내지 않은 케넨 2연 선픽을 박았다가 사이온에 번번이 막히며 시작부터 2패를 박더니 3세트 바텀 듀오만 바꾸고 나머지 8픽이 2세트와 똑같은 우틀않을 또 시전하며 불안감을 선사했다. 다행히 FL 바텀이 미드 손을 잡고 1렙에 2킬을 터트린 덕에
3.2.2. 2라운드
3.2.2.1. 1경기 SG 3 : 2 FL
플레이오프 2라운드 1경기 (2023. 04. 08.) | |||||||||||
Sengoku Gaming | 3 | 2 | FENNEL | ||||||||
× | ○ | × | ○ | ○ | ○ | × | ○ | × | × | ||
결승 진출 | 결과 | 탈락 |
정규시즌 1위 SG가 1라운드 승자 2팀[1] 중에서 상대를 선택할 수 있다. 3강 1FL 3중 1약이라는 평가와 걸맞게 FL을 선택하여, 형제끼리의 다전제가 성사되었다. 펜넬이 1라운드에서 버닝코어를 겨우 잡았던 것도 있고, 센고쿠가 1등 팀인데다가 정규시즌 경기력도 3강에 펜넬은 한 수 아래라고 평가받았기 때문에 무난한 센고쿠의 승리가 예측된다. 하지만 정규시즌에서 2번 모두 펜넬이 센고쿠를 상대로 한 세트를 따내는 저력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방심할 수는 없는 매치. 탑에서는 이번 시즌만 무려 18개의 챔피언을 활용하며 잭스, 갱플랭크, 제이스와 같은 칼챔을 모스트로 둔 타나에 비해 32게임 중 28게임을 크산테/레넥톤/사이온으로 막은 파즈의 대결로 둘 다 밴픽적으로 어떤 픽을 준비해 올지[2]가 관전 포인트. 또한 제트가 아칼리, 사일러스, 요네, 야스오 같은 칼챔은 탈 LJL급이라고 소리를 들을 정도로 파괴적이지만, 메이지는 아쉽다는 평가가 많고 심지어 도란의 방패 너프 이후로 이와 같은 챔프폭을 가진 선수들이(특히 아칼리가 관짝에 들어간 이후로.) 힘이 빠졌다는 평가를 받는데, 어떠한 픽을 선택할지도 지켜볼만 하다.
1세트는 의문의 케넨 1픽과 초반 펜넬의 좋은 설계, 제트의 트리스타나 앞점프 뇌절 등 센고쿠가 제대로 저점을 찍으며 펜넬이 승리하였다.
2세트는 각각 모스트인 제트에게 사일러스, 로컨에게 제리가 쥐어졌으며 제트가 교전에서 2킬을 먹고 시작하여 바텀 4인 다이브로 제리에게도 2킬이 들어가며 그대로 게임이 터지며 센고쿠가 승리하였다.
3세트는 원스 엘리스의 파멸적인 저점, 다시 케넨을 집은 파즈와 강철심장 케넨의 한계, 타나의 사이온과 리캡 카시오페아의 활약으로 로컨의 제리를 성공적으로 막으며 펜넬이 승리하여 대이변을 만드는 듯 했으나
4세트부터 센고쿠가 정규시즌에만 들고오던 사이온-세주-요네 + 바텀 캐리 + 서포팅형 서폿 이라는 센고쿠 클래식 조합을 들고와 제트의 슈퍼플레이 몇번에 23분만에 게임이 끝나고 만다.
5세트도 다를 것은 없었다. 요네가 몇 번이고 다인궁에 살아나가는 드리블에 슈퍼플레이까지 온갖 플레이를 다 선보이면서 센고쿠가 시리즈 승리를 가져가게 되었다.
3.2.2.2. 2경기 DFM 3 : 0 SHG
플레이오프 2라운드 2경기 (2023. 04. 09.) | |||||||||||
DetonatioN FocusMe | 3 | 0 |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 ||||||||
○ | ○ | ○ | - | - | × | × | × | - | - | ||
결승 진출 | 결과 | 탈락 |
정규시즌 2위 DFM은 SG가 선택하지 않은 팀을 상대로 만나게 된다. 센고쿠의 FL선택으로 인해 SHG과 DFM의 경기가 성사되었다. 1라운드에서는 소프트 뱅크가 DFM상대로 승리를 거두었지만, 2라운드 DFM이 약점을 보완한 고점의 경기력으로 센고쿠도 이기고 전승을 해냈기 때문에 DFM쪽으로 승리 예측이 기울어져 있다. 유망주들이 큰 활약을 못 보여주고 96년생 은퇴 번복한 선수가 일체 소리를 듣는 탑이나, 애초에 주전을 일본인으로 쓰는 팀이 8팀 중 2팀 밖에 없는 정글이나, 제트 vs 아리아 양강구도가 펼쳐진 미드, 가장 일본 로컬풀이 메말라 하프/비스타에 비해 불안점이 꽤 있는 엔티가 일본인 최고 소리를 듣는 서폿과는 다르게 유일하게 용병(로컨)과 실력 차이가 크게 안 나 일체 타이틀을 겨룰 수 있으면서도, DFM의 원로 프랜차이즈 스타 타이틀을 가진 유타폰과 유망주로 불리는 마블의 대결이라는 정 반대의 두 로컬 원딜들의 대결을 주목할 만 하다.
1세트 초반 소뱅이 유리하게 가져갔지만, 엎치락 뒤치락 끝에 DFM이 승리하였고, 이후 2,3세트에서도 몇 번의 교전을 제외하고는 무난하게 DFM이 승리하며 DFM이 SHG를 압살하고 결승에 진출하였다.
3.2.3. 결승
3.2.3.1. SG 0 : 3 DFM
결승 (2023. 04. 15.) | |||||||||||
Sengoku Gaming | 0 | 3 | DetonatioN FocusMe | ||||||||
× | × | × | - | - | ○ | ○ | ○ | - | - | ||
준우승 | 결과 | 우승 | |||||||||
MSI 진출 |
세 대회 연속으로, 결승전이 같은 대진이 성사되었다. DFM은 무려 15번째 우승컵과 5시즌 연속 우승, 4연속 MSI 진출이라는 대업에 도전하게 되었다.
개막전에서 DFM이 센고쿠에게 정말 말도안되게 털리며 이번시즌은 다른가 했지만 2라운드로 접어들면서 DFM이 정신차리고 전승을 달성했으며 센고쿠의 폼이 약간은 하락세를 보여 결국 다시 DFM이 정배가 된 결승전이 열리게 되었다.
특히 센고쿠의 경우 압승을 예상했던 2라운드 펜넬전에서 평소 쓰지 않던 조합을 들고 나왔다가 1/3세트 졸전을 보여주며 패배한 뒤 사이온-세주-요네-캐리형 원딜-서포팅형 서폿 이라는 정말 정규시즌 때 수도없이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던 조합을 꺼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기 때문에, 센고쿠 게이밍이 흔히 얘기하는 "센고쿠 클래식"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진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중론이다.
반대로 DFM은 더이상의 3강체재는 없다는 듯이 소프트뱅크를 3:0 셧다운 시키고 올라왔기 때문에 더욱 기대를 모으는 중이다. 아리아의 넓은 챔프폭과 안정적인 메이지는 한정적인 챔프[3] 안에서 탈 LJL급의 포스를 보이는 제트와 견줄만 하거나 도란의 방패 너프, 아리아의 폼 상승 이후에는 제트 이상이라고 평가받고 있고, 유타폰은 96년생의 노장임에도 로컬 최고 유망주 마블을 꺾고 로컨과 도체원을 겨룰 만 하다고 평가받고 있다. 또한 전 경기 1/7/1 엘리스 등 저점을 찍은 원스 대신 블랭크를 꺾고온 스틸이 있기에 센고쿠의 불안점은 한 두개가 아니다.
꾸준히 올라간 DFM의 레이팅 덕분에 단순 ELO 레이팅 기준 승리 확률이 무려 8:2까지 벌어져 있지만, 며칠 전 바다 건너 결승전에서 어떤 반전이 일어났는지 모두가 알기 때문에 DFM 입장에서도 방심할 수는 없는 매치.
4. 여담
- 전세계적인 코로나 상황이 호전되고 있지만, LJL 사무국은 코로나로 인한 보건 방역 지침을 사유로 지난 시즌에 이어 이번 시즌 LJL 경기는 전경기 각 팀숙소에서 온라인으로만 진행된다고 밝혔다. 추후에도 오프라인 경기 전환을 염두에 두지 않고 있다고 한다.
- 정규시즌도 단판제로 각 팀과 3번씩 경기했었던 지금까지와는 달리, 이번시즌 부터는 3판 2선승제로 각 팀과 2번씩 경기한다. MVP는 3판 2선승 세트가 모두 끝난 뒤에 세 명의 후보를 관계자가 뽑고 LJL 공식 트위터에서 뽑는 형식이다.
- 플레이오프도 직전 시즌까지는 6팀 McIntyre 토너먼트(2019 LEC 방식)로 진행되었으나 이번 시즌부터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2021-22 LCK 방식)으로 변경했다. 이로써 LJL이 모든 지역 리그를 통틀어서 플레이오프를 싱글 엘리미네이션으로 진행하는 유일한 리그가 됐다.
5. 둘러보기
| ||
국제 대회 | ||
| | |
2023 SKE | 2023 MSI | 2023 Worlds |
지역 대회 | ||
| | |
스프링 서머 선발전 | 스프링 서머 선발전 | 윈터 스프링 서머 시즌 파이널 WQS |
| | |
스프링 서머 챔피언십 WQS | 스프링 서머 | 스프링 서머 |
| | |
스프링 서머 | 오프닝 클로징 | 스플릿 1 스플릿 2 |
기타 국제 대회 | ||
| | |
2023 ASCI | 2022 AG | 2023 ECEA |
기타 지역 대회 | ||
| | |
스프링 서머 | 스플릿 1 스플릿 2 | 윈터 서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