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4 윈터 | 스프링 | 서머 | 그랜드 파이널 | 2015 시즌 1 | 시즌 2 | 그랜드 파이널 | 2016 스프링 | 서머 |
2017 스프링 | 서머 | 2018 스프링 | 서머 | 2019 스프링 | 서머 | |
2020 스프링 | 서머 | 2021 스프링 | 서머 | 2022 스프링 | 서머 | |
2023 스프링 | 서머 | 2024 스프링 | 서머 | 2025 포지 | 스톰 | 이그나이트 | 파이널 |
| ||||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 → | REJECT | → | - |
LJL 2024 Summer Split | LJL 2025 Forge | LJL 2025 Storm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2025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Forge | |||||
대회 기간 | 2025년 1월 30일 ~ 3월 9일 | ||||
주최 | 라이엇 게임즈 | ||||
주관 | |||||
경기장 | 온라인 | ||||
일정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black><colcolor=#fff> 오픈 예선 | 그룹 스테이지 | |||
1월 25일 ~ 1월 26일 | |||||
스위스 스테이지 | 1라운드 | ||||
1월 30일 ~ 1월 31일 | |||||
2라운드 | |||||
2월 1일 ~ 2월 2일 | |||||
3라운드 | |||||
2월 26일 ~ 2월 27일 | |||||
4라운드 | |||||
2월 28일 | |||||
5라운드 | |||||
3월 1일 | |||||
녹아웃 스테이지 | 8강 | ||||
3월 6일 ~ 3월 7일 | |||||
4강 | |||||
3월 8일 | |||||
결승전 | |||||
3월 9일 | |||||
결승전 | 대진 | ||||
RJ vs VLY | |||||
경기장 | |||||
온라인 |
결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 우승 | REJECT | |||
준우승 | VARREL YOUTH |
1. 개요
2025년 1월 30일에 개막한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포지에 관한 문서이다.2. 참가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000> | 2025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Forge 참가팀 |
기존 LJL 참가팀 | |||
| | | |
V3 Esports V3 | Burning Core Toyama BCT | DFM Academy DFMA | |
오픈 예선 참가팀 | |||
| 파일:VARREL lightmode.png | | |
REJECT RC | VARREL YOUTH VLY | Black Dog BKD | BraVeLY BVL |
| | | |
Clocks CK | Hands HNS | Kareha Children KCH | Night Cap NCP |
| | | |
Spirit Quartz Gaming SQG | VelbeliKaizokudan VK | VeLocitY VEL | We Can Win WIN |
| |||
Yang Yang Gaming YYG | |||
LCP 참가팀 | 해체된 아시아퍼시픽 LoL 프로게임단 |
3. 대회 진행
3.1. 오픈 예선
그룹 A | |||||
순위 | 팀 | 승 | 패 | 연속 | 비고 |
1 | RC | 6 | 0 | 6승 | 전승 |
2 | WIN | 5 | 1 | 5승 | |
3 | CK | 4 | 2 | 1승 | |
4 | BVL | 3 | 3 | 2승 | |
5 | VK | 2 | 4 | 3패 | |
6 | BDG | 1 | 5 | 1패 | |
7 | VEL | 0 | 6 | 6패 | 전패 |
그룹 B | |||||
순위 | 팀 | 승 | 패 | 연속 | 비고 |
1 | YYG | 4 | 1 | 2승 | |
2 | SQG | 3 | 2 | 1패 | |
3 | KCH | 3 | 2 | 1승 | |
4 | VLY | 3 | 2 | 3승 | |
5 | NCP | 2 | 3 | 2패 | |
6 | HNS | 0 | 5 | 5패 | 전패 |
3.2. 스위스 스테이지
3승 시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3패 시 탈락한다. 모든 매치는 단판으로 진행된다.3.2.1. 1라운드
0-0 (Bo1, 1/30&1/31) | |||||
1경기 | |||||
| BCT | 1 | 0 | KCH | |
2경기 | |||||
| SQG | 1 | 0 | NCP | |
3경기 | |||||
| YYG | 1 | 0 | VC | |
4경기 | |||||
| RC | 1 | 0 | BKD | |
5경기 | |||||
| CK | 0 | 1 | BVL | |
6경기 | |||||
| V3 | W | FF[1] | HNS | |
7경기 | |||||
| WIN | 1 | 0 | VLY | 파일:VARREL lightmode.png |
8경기 | |||||
| DFMA | 1 | 0 | VEL | |
초록색: 승리 |
3.2.2. 2라운드
1-0 (Bo1, 2/1) | |||||
1경기 | |||||
| SQG | 1 | 0 | BVL | |
2경기 | |||||
| WIN | 1 | 0 | V3 | |
3경기 | |||||
| YYG | 0 | 1 | RC | |
4경기 | |||||
| DFMA | 0 | 1 | BCT | |
초록색: 승리 |
0-1 (Bo1, 2/2) | |||||
1경기 | |||||
| VEL | 0 | 1 | NCP | |
2경기 | |||||
| BKD | 0 | 1 | VK | |
3경기 | |||||
파일:VARREL lightmode.png | VLY | 1 | 0 | CK | |
4경기 | |||||
| KCH | W | FF[2] | HNS | |
초록색: 승리 |
3.2.3. 3라운드
2-0 (Bo1, 2/26,27) | |||||
1경기 | |||||
| RC | 1 | 0 | WIN | |
2경기 | |||||
| BCT | 0 | 1 | SQC | |
파란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1-1 (Bo1, 2/26,27) | |||||
1경기 | |||||
| BVL | 0 | 1 | NCP | |
2경기 | |||||
파일:VARREL lightmode.png | VLY | 1 | 0 | VK | |
3경기 | |||||
| KCH | 1 | 0 | V3 | |
4경기 | |||||
| DFMA | 0 | 1 | YYG | |
초록색: 승리 |
0-2 (Bo1, 2/26,27) | |||||
1경기 | |||||
| HNS | 0 | 1 | CK | |
2경기 | |||||
| VEL | 0 | 1 | BKD | |
초록색: 승리 | 빨간색: 탈락 |
3.2.4. 4라운드
2-1 (Bo1, 2/28) | |||||
1경기 | |||||
| YYG | 1 | 0 | KCH | |
2경기 | |||||
| NCP | 0 | 1 | VLY | 파일:VARREL lightmode.png |
3경기 | |||||
| WIN | 0 | 1 | BCT | |
파란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1-2 (Bo1, 2/28) | |||||
1경기 | |||||
| BKD | 0 | 1 | BVL | |
2경기 | |||||
| CK | 1 | 0 | VK | |
3경기 | |||||
| DFMA | 1 | 0 | V3 | |
초록색: 승리 | 빨간색: 탈락 |
3.2.5. 5라운드
2-2 (Bo1, 3/1) | |||||
1경기 | |||||
| CK | 0 | 1 | NCP | |
2경기 | |||||
| WIN | 0 | 1 | KCH | |
3경기 | |||||
| BVL | 0 | 1 | DFMA | |
파란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3.3. 녹아웃 스테이지
8강과 4강은 Bo3, 결승은 Bo5로 진행된다.{{{#!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 | LoL Japan League 2025 Forge 녹아웃 스테이지 대진표 |
<rowcolor=#000> 8강 | 4강 | 결승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8강 1경기 (3/6) | ||||||
SQG | | 2 | |||||
KCH | | 0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4강 1경기 (3/8) | ||
<colbgcolor=#f5f5f5,#282828> ↘ | | 1 | |||||
↗ | 파일:VARREL lightmode.png | 2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결승 (3/9) | ||
<colbgcolor=#f5f5f5,#282828> ↘ | 파일:VARREL lightmode.png | 0 | |||||
↗ | | 3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8강 2경기 (3/6) | ||||||
YYG | | 1 | |||||
파일:VARREL lightmode.png | 2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8강 3경기 (3/7) | ||||||
| 2 | ||||||
| 0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4강 2경기 (3/8) | |||
<colbgcolor=#f5f5f5,#282828> ↘ | | 2 | |||||
↗ | | 0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8강 4경기 (3/7) | ||||||
| 2 | ||||||
NCP | | 0 | }}} | ||||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우승 |
4. 여담
- 포멧 변경 후 맞는 첫 시즌이다. 참가 팀 부족으로 인해 오픈 예선 브래킷 스테이지가 생략되어 오픈 예선 그룹 스테이지를 통해 스위스 스테이지 풀 배정을 결정한다.
- 2025년 1월 15일, AXIZ가 Crest Gaming과 LoL팀 공동 운영을 종료하며 팀명 변경과 함께 스플릿 1 Forge에 출전하지 않음을 공지했다.#
- 2025년 1월 23일, Sengoku Gaming의 오너인 이와모토 료스케가 개인 SNS를 통해 이번 대회 출전을 포기했음을 밝혔다.#
- 잔류 팀인 Sengoku와 AXIZ가 불참한 가운데 일본 LoL판의 대격변을 가져온 대회였다. 잔류팀으로 스위스 스테이지에 진출했던 V3가 오픈 예선을 전패 한 Hands의 기권으로 어부지리로 승리한 이후 3연패로 광탈한 반면, 순수 아마추어로 참가한 Spirit Quartz Gaming이 잔류팀인 Burning Core를 이긴것을 포함해 스위스 스테이지를 3연승으로 돌파하고 4강까지 가는 돌풍을 일으켰다. 또한 Unsold Stuff 시절 해체되고 Varrel로 리브랜딩 한 이래 다시 LJL에 참가한 Varrel Youth가 준우승, 올해 LJL에 데뷔한 REJECT가 우승하며 세대교체를 예고했다.
5. 주요 기록
5.1. LJL Forge MVP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REJECT Samver |
5.2. Player of the Split
| |||||
순위 | 이름 | ID | 소속 팀 | 포지션 | 횟수 |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6. 둘러보기
| |||||||
국제 대회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2025 FST | 2025 MSI | 2025 Worlds | }}} | ||||
5대 리그 | |||||||
| | | | | |||
LCK CUP 정규시즌 Road to MSI 플레이-인 플레이오프 | 스플릿 1 스플릿 2 스플릿 3 시즌 플레이오프 | 스플릿 1 스플릿 2 (North / Sul) 스플릿 3 (North / Sul) 챔피언십 승강전 | 윈터 스프링 서머 | 시즌 킥오프 미드 시즌 시즌 파이널 플레이오프 승강전 | |||
기타 대회 | 기타 국제 대회 | ||||||
| | | | | |||
2024 KeSPA Cup | 시즌 오프닝 | 2025 AM | 2025 ECEA | EWC 2025 | |||
기타 지역 대회 | |||||||
| | | | | |||
윈터 스프링 서머 | 포지 스톰 이그나이트 파이널 | 스플릿 1 스플릿 2 스플릿 3 | 스프링 서머 파이널 | 스프링 서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