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23:05:46

MEF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1c48> 파일:K리그2 로고(흰색).svgK리그2
구단별 서포터즈 (2025)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555555,#aaaaaa
파일:경남 FC 로고.svg Aa:V (아브)
파일:김포 FC 엠블럼.svg 골든크루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P.O.P
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헤르메스
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누에보 / 군청
파일:성남 FC 엠블럼.svg 블랙리스트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프렌테 트리콜로
파일:충남 아산 FC 로고.svg 아르마다
파일:안산 그리너스 FC 로고(축약).svg 베르도르
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랑검정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svg 미르
파일:천안 시티 FC 엠블럼.svg 제피로스
파일:충북 청주 FC 엠블럼.svg 울트라스 NNN
파일:화성 FC 엠블럼.svg 오렌지샤우팅
◀ K리그1 구단별 서포터즈 K3리그 구단별 서포터즈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21230; margin:-6px -1px -11px"
구단 기본 문서 모기업 이랜드그룹
연고지 서울특별시
구단 서울 이랜드 FC
유소년 18세 이하 서울 이랜드 FC U-18 | 15세 이하 서울 이랜드 FC U-15 | 12세 이하 서울 이랜드 FC U-12
유니폼 역대 유니폼
주요 인물 현재 김도균 감독 | 선수단
역대 역대 감독 | 역대 주장
시설 홈구장 목동종합운동장
미래 홈구장 서울올림픽주경기장
클럽 하우스 가평 켄싱턴리조트 클럽하우스
역사 구단 역사 창단 과정 | 기록
현재 시즌 2025
팬덤 관련 문서 응원 서포터즈 누에보 | 서포터즈 군청 | 서포터즈 MEFG | 응원가 | 응원단
라이벌전 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서울 더비
논란 사건·사고
기타 컬트적인 인기
}}}}}}}}} ||
<colbgcolor=#182B51><colcolor=#fff>
파일:MEFG 로고 (2025).png
MEFG
명칭 서울 이랜드 FC 서포터즈 그룹 MEFG[1]
지지팀 서울 이랜드 FC
창설 2024년
슬로건 NEVER GIVE UP
홈페이지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인스타그램 파일:링크트리 아이콘.svg링크트리




1. 개요
1.1. 명칭
2. 활동

[clearfix]

1. 개요

K리그2 서울 이랜드 FC를 응원하는 소모임이다. 2024년 7월 10일에 활동을 시작하였다. 전 명칭처럼 서울 이랜드의 임시 홈구장인 목동운동장 인근에 위치한 목운중학교의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만들어졌다. 따라서 회원 대다수가 10대이며 목동 거주중이다. 그렇다고 회원 전부가 목운중학교 출신인 것은 아니며, 남녀노소 구분없이 회원 신청을 받고 있다. 목동에 근본을 두고 있는 소모임이지만 누구보다 서울 이랜드의 잠실 주경기장 복귀를 지지하며 염원하고 있다.

1.1. 명칭

목운중학교 서울 이랜드 FC 서포터즈 그룹의 영문 명칭인 'MOGUN SEFC FAN GROUP' 에서 딴 MEFG를 뒤에 붙여 '목운중학교 서울 이랜드 FC 서포터즈 그룹 MEFG' 를 사용했다. 그러나 목운중학교에 재학하던 회원들이 전부 졸업함에 따라 명칭에서 '목운중학교'를 제거한 '서울 이랜드 FC 서포터즈 그룹 MEFG' 가 되었다.

2. 활동

2024년 7월 10일 잠실 주경기장 야구장 개조에 반대하는 입장의 성명문을 발표하기 위해 결성되었다. 성명문은 서울특별시 자유게시판에 게시되었다. 성명문 아카이브[2]
성명문 전문
[ 펼치기 · 접기 ]
서울이랜드FC가 새로운 잠실경기장 계획에서 배제되는 결정에 대해서

 우리는 서울이랜드FC의 팬으로서 서울이랜드FC가 앞으로의 잠실 주 경기장 사용 계획에서 배제된 이해할 수 없는 결정을 규탄합니다. 이 결정은 서울이랜드FC 구단과 팬들의 입장을 전적으로 무시한 결정으로 서울시의 즉각적인 입장 표명과 진정성 있는 조치, 또한 사과를 요구하는 바입니다.

 잠실 주 경기장은 우리 구단이 K리그에 참여한 2015년부터 국제교류복합지구 사업에 의해 목동종합운동장으로 임시 이전하게 된 2022년까지 서울이랜드FC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현재 사용 중인 목동 운동장은 어디까지나 잠실 경기장의 리모델링 기간만 사용될 '임시' 방편일 뿐 서울이랜드FC의 홈 경기장은 항상 잠실 주 경기장이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그러나 이번 서울시의 결정에 따라 주 경기장의 리모델링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인 2027년부터 2031년까지 원래는 잠실 야구장을 사용하던 LG 트윈스 야구단과 두산 베어스 야구단이 명백히 원주인이 있는 주 경기장을 사용하기로 되었습니다. 주 경기장의 사용에 관한 통합협의체(TF)에는 한국야구위원회, LG, 두산 등 야구와 관련된 기관들만 참여 했을 뿐 정작 2027년도부터 주 경기장을 사용해야 할 서울이랜드FC는 이 협의체에서 제외되었습니다. 만약 LG와 두산이 임시로 사용할 야구장이 필요하다면, 우리 서울이랜드FC의 홈 경기장인 잠실 주 경기장을 사용할 것이 아니라 목동야구장과 같이 다른 야구장을 물색해야 할 것입니다. 우리는 이미 2022년에 목동으로 임시 이전하는 양보를 했습니다. 그렇지만 현재 서울시는 2031년까지 목동에 잔류하라는 양보 아닌 양보를 강요하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선 우리 팬들의 목소리는 묵살되었습니다. 만일 LG와 두산이 잠실 주 경기장이 아니면 전국 어디에도 갈 곳이 없다면, 서울시는 서울이랜드FC에 적절한 보상과 대처를 제공해 주고 잠실 주 경기장으로 복귀할 수 있는 정확한 시기를 발표해야 합니다. 잠실 보조 경기장을 축구전용 경기장으로 개조하여 서울이랜드FC에 제공하는 방법 또한 고려되어야 합니다. 이것이 홈 경기장을 잃은 구단과 팬들에게 할 수 있는 최소한의 대우지만 현재 시는 두 귀를 막고 두 눈을 막고 우리 팬들의 요구에 철저한 무시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서울시와 체육시설사업소[3]는 지속적이고 의도적으로 우리 서울이랜드FC의 입장을 무시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 팬들은 팀에 대한 자부심에 큰 상처를 입었습니다. 어느 팀이나 홈 경기장은 그 팀을 지지하는 팬들에겐 고향과도 같은 존재입니다. 잠실 주 경기장도 마찬가지로 우리 팬들의 정신적 고향이자 팀을 사랑하는 마음의 원천입니다. 서울시는 우리 서울이랜드FC 구단과 팬들에게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하고 합당한 보상 및 대책방안을 즉시 마련하기 바랍니다.

2024년 7월 10일
목운중학교 서울E 팬 모임 [MEFG]

[1] 전 목운중학교 서울 이랜드 FC 서포터즈 그룹 MEFG[2] 현재도 자유게시판 내 검색을 통해 성명문을 확인할 수 있으나, 오타 수정으로 인해 게시일이 변경되었다.[3] 아카이브에는 시설공단으로 나와있으나, 잠실 주경기장서울시체육시설관리사업소 관할이다. 현재 게시된 성명문에선 수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