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1c48> | K리그2 구단별 경기장 (2025)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2c292a; margin:-5px -1px -11px" | 창원축구센터 ★ | 김포솔터축구장 ★■ | 구덕운동장 | 부천종합운동장 ■ | |||
목동종합운동장 | 탄천종합운동장 ■ | 수원월드컵경기장 ★ | 이순신종합운동장 | ||||
안산와~스타디움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 광양축구전용구장 ★ | 천안종합운동장 | ||||
청주종합경기장 | 화성종합경기타운 | ||||||
★ 축구 전용 구장 | ■ 가변석 사용 구장 | ||||||
◀ K리그1 구단별 경기장 | K3리그 구단별 경기장 ▶ |
<colbgcolor=#002244><colcolor=#e5bb80> 서울 이랜드 FC | |||
목동종합운동장 Mokdong Sports Complex | |||
위치 | 서울특별시 양천구 안양천로 939 (목동)[1] | ||
개장 | 1989년 11월 14일([age(1989-11-14)]주년) | ||
홈 구단 | 부천 SK (1996~2000) 서울시청 축구단 (2003) 서울시청 여자 축구단 (2004~2021) 서울 유나이티드 FC (2009~2010) 서울 이랜드 FC (2022~2031) | ||
소유 | 서울특별시청 | ||
운영 | 서울특별시 체육시설 관리사업소 | ||
시공사 | 한보철강 | ||
잔디 | 천연 잔디 (1989~2005, 2022~ ) 인조 잔디 (2006~2021) | ||
좌석 수 | 15,127석[2] | ||
최다 관중 | 23,000명 (1998년 8월 22일 부천 SK vs 포항) | ||
[clearfix]
1. 개요
1987년 서울특별시 측에서 생활 체육의 저변 확대와 아마추어 야구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양천구에 있는 목동신시가지 인근에 지은 종합 운동장이다.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올림픽주경기장, 효창운동장과 함께 1만석 이상의 관중석을 갖춘 서울의 축구 경기장 네 곳 중 한 곳이기도 하다.
서울특별시 양천구 안양천로 939 (목동) 소재. 목동 5 ~ 6단지와 인접해 있으며, 목동주경기장, 목동 야구장, 목동아이스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2. 구성
2.1. 주경기장
1996년 한국프로축구연맹이 서울 연고 프로축구단을 서울 밖으로 내쫓으면서 어쩔 수 없이 동대문운동장을 떠나게 된 유공 코끼리가 2001년에 부천종합운동장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홈으로 사용했다. 부천 연고팀임에도 인접한 서울의 목동을 홈으로 썼던 것은 그 당시 부천시내에 제대로 된 축구 경기장이 없었기 때문이다.[3] 안양 LG도 안양종합운동장이 보수공사를 하던 시절 이곳에서 홈경기를 치른 적이 있다. 유공-SK가 홈으로 사용하기 전에도 당시 서울 연고팀들인 일화, LG, 유공이 동대문과 더불어 서브 홈구장처럼 목동을 홈경기장으로 사용했었다. 역사적으로 이곳을 중점 홈구장으로 사용한 구단은 없지만 주변의 구단들의 제 2의 경기장의 역할을 톡톡히 해준 좋은 경기장이다.프로팀이 떠난 후 2005년부터는 서울시가 경기장 관리의 효율화를 꾀하고자 그라운드를 인조잔디로 바꿨는데 이로 인해 K리그 경기를 치르지 못하는 환경이 됐다. 2021년 들어 후술할 서울 이랜드 FC의 홈경기를 위해 다시 천연잔디로 필드 재질을 변경한다. #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연고전 둘째날의 럭비와 축구 경기가 같은 날짜에 열렸다.[4] 서울 이랜드 FC가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면서 가변석을 설치한 탓에 고연전 응원단을 수용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2019년에는 전국체전 개최를 위해 관람석을 전면 교체했다. #
2020년에는 대한민국 5부 축구리그인 K5리그 서울리그가 8라운드부터 일부 열리기도 하였다. 평소에는 효창운동장에서 열리는걸 생각하면 특이한 점. 2021년 K5리그, K6리그 서울리그가 이곳에서 열렸다.
2021년 2월 3일 기사#에 따르면, 현재 K리그2의 서울 이랜드 FC가 홈으로 쓰고 있는 잠실의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이 2025년 예정된 잠실 스포츠·MICE(기업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 사업으로 대대적인 리모델링 대상이 되어, 2022년부터 2024년까지는 목동종합운동장을 홈으로 사용할 계획이라고 한다. 구단 관계자는 "다시 잠실로 돌아왔을땐 1부 리그에서 활약하고 있겠다."라는 말로 각오를 불태웠다.
서울 이랜드 FC에서의 명칭은 잠실과 비슷한 목동 레울파크다.
서울 이랜드 FC의 목동에서의 첫경기는 2022년 3월 19일 K리그2 2022 6라운드 충남 아산 FC와의 경기다. 경기 결과(0:0)보다는 선수들이 뭘 하려고 할 때마다 잔디가 푹푹 파이는 꼴이 화젯거리였다. 잔디가 제대로 뿌리를 내리지 못한 탓인지 잔디는 물론 아래 흙까지 파헤져지며 피치 전체가 엉망이 되었고 결국 전반전 끝나자마자 직원들을 긴급 투입, 필드 가운데에서 우주소녀가 공연을 하건 말건 잔디를 다지는 참 독특한 장면이 펼쳐졌다. 원성이 높아지자 구단에서 잔디 사태에 대한 공식 사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목동의 잔디가 정상적인 경기 진행이 가능할 정도로 뿌리를 내리려면 최소 1개월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오면서 결국 3~4월에 예정됐던 목동 홈 4경기(3/27 7R 목동 안양전, 4/2 8R 목동 전남전, 4/5 9R 목동 부천전)를 다른 구장에서 치러야 할 상황이 됐다. 이중에 전남전과 부천전은 각각 상대팀 홈구장 일정이 비어서 원정경기로 먼저 치르게 됐지만 안양전은 하필 안양종합운동장마저도 공사 중이라서 의정부종합운동장이나 서울월드컵경기장 등 다른 장소를 물색해야 했다. 결국 기존 홈이었던 잠실 주경기장으로 하루만 잠시 돌아가서[5] 홈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이후 김포 FC와의 K리그2 16라운드부터 목동에서 다시 홈경기를 치르게 되었다(결과는 3:1). 이후로는 상황이 반전되어 2022년 K리그 2차, 3차, 2023년 2차, 2023년 K리그 대상 그린스타디움 상을 받게되었다.
서울시청 여자 축구단은 2022년에는 서울월드컵경기장 보조경기장을 홈으로 사용한다.
서울 이랜드는 FC는 다음의 다양한 신규 특성화 좌석들을 준비했다.
피크닉석
바테이블석
하이네켄석
당초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이 리모델링을 마치는 2027년부터 다시 주경기장에 입주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었으나, 두산 베어스와 LG 트윈스가 잠실 야구장 리모델링 기간 동안 사용하게 되면서 서울 이랜드와 협의 끝에 2031년까지 목동에 잔류하기로 결정했다.#
2.2. 야구장
1989년에 문을 연 야구 경기장으로 한동안 아마추어 전용으로 쓰이다가 2008년부터 2015년까지 서울 히어로즈의 홈구장이자 고교야구 전국대회 본선 경기장으로 사용됐다. 히어로즈가 고척 스카이돔으로 떠난 뒤에는 아마추어 전용 경기장으로 사용 중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2.3. 빙상장
1989년에 문을 연 실내 빙상장으로 수도권에서는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빙상 경기장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3. 교통편
오목교(목동운동장앞)역 | |||||
5호선 (521) | 양평, 신길, 여의도 |
버스 | |
노선 | 주요 경유지 |
목동운동장남문.아이스링크 (15165) 지도상 1번 정류장 | |
571 | 이대목동병원 - 신목동역 - 서울월드컵경기장 - 증산역 - 응암역 - 연신내역 - 은평경찰서 - 구파발역 - 진관공영차고지 |
603 | 이대목동병원 - 선유도역 - 당산역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역 - 이대역 - 충정로역 - 시청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700 | 이대목동병원 - 선유도역 - 당산역 - 영등포시장 - 영등포역 - 여의도역 - 여의나루역 - 63빌딩 |
6624 | 이대목동병원 - 월촌중학교 - 용왕산 - 신목중학교 |
6637 | 이대목동병원 - 영등포구청 - 경방 타임스퀘어 - 구로역 - 고척 스카이돔 - 개봉역 - 광명사거리역 - 광명스피돔 - 노온사동차고지 |
양천02 | 이대목동병원 - 월촌초등학교 - 목동문화체육센터 - 목2동주민센터 - 목3동시장 |
목동파라곤 (15361) 지도상 2번 정류장 | |
674 (신촌역) | 이대목동병원 - 신목동역 - 마포구청역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 - 신촌역 |
674 (신월동) | 화곡2동주민센터 - 까치산시장 - 신월동 |
6627 | 이대목동병원 - 신목동역 - 가양역 - 강서구청 - 화곡역 - 한국폴리텍1대학 - 신월중학교 - 서서울호수공원 - 양천공영차고지 |
양천01 | 이대목동병원 - 선유도역 - 당산역 |
목동5단지C상가.목동운동장북문 (15151) 지도상 3번 정류장 | |
571 | 이대목동병원 - 신목동역 - 서울월드컵경기장 - 증산역 - 응암역 - 연신내역 - 은평경찰서 - 구파발역 - 진관공영차고지 |
603 | 이대목동병원 - 선유도역 - 당산역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역 - 이대역 - 충정로역 - 시청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674 (신촌역) | 이대목동병원 - 신목동역 - 마포구청역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 - 신촌역 |
674 (신월동) | 화곡2동주민센터 - 까치산시장 - 신월동 |
700 | 이대목동병원 - 선유도역 - 당산역 - 영등포시장 - 영등포역 - 여의도역 - 여의나루역 - 63빌딩 |
6624 | 이대목동병원 - 월촌중학교 - 용왕산 - 신목중학교 |
6627 | 이대목동병원 - 신목동역 - 가양역 - 강서구청 - 화곡역 - 한국폴리텍1대학 - 신월중학교 - 서서울호수공원 - 양천공영차고지 |
6637 | 이대목동병원 - 영등포구청 - 경방 타임스퀘어 - 구로역 - 고척 스카이돔 - 개봉역 - 광명사거리역 - 광명스피돔 - 노온사동차고지 |
양천01 | 이대목동병원 - 선유도역 - 당산역 |
양천02 | 이대목동병원 - 월촌초등학교 - 목동문화체육센터 - 목2동주민센터 - 목3동시장 |
목동4단지상가.목동종합운동장 (15108) 지도상 4번 정류장 | |
571 | 목1동주민센터 - 양천구청 - 갈산초등학교 - 구로역 -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 남구로역 - 마리오아울렛 - 가산디지털단지역 - 가산동 |
603 | 목1동주민센터 - 법원.검찰청 - 신정네거리역 - 신곡시장 - 신월동우성상가 |
674 (신촌역) | 이대목동병원 - 신목동역 - 마포구청역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 - 신촌역 |
674 (신월동) | 화곡2동주민센터 - 까치산시장 - 신월동 |
700 | 양천구청 - 양천고등학교 - 까치울역 - 부천종합운동장 - 춘의역 - 신중동역 - 부천시청 - 부천종합터미널 - 송내역 - 부개역 |
6624 | 오목교역 - 목동중학교 - 양천구청역 - 양천구청 - 법원.검찰청 - 신정네거리역 - 강서초등학교 - 신월동우성상가 - 국립과학수사연구소 |
6627 | 이대목동병원 - 신목동역 - 가양역 - 강서구청 - 화곡역 - 한국폴리텍1대학 - 신월중학교 - 서서울호수공원 - 양천공영차고지 |
6637 | 목1동주민센터 - 목운중학교 |
양천01 | 이대목동병원 - 선유도역 - 당산역 |
양천02 | 오목교역 - 목운중학교 |
수도권 전철 5호선 오목교역이 가장 가까운 지하철 역이지만 역에서 경기장까지 거리가 꽤 멀고 도보로 10분 정도 소요된다. 3번 출구로 나가 직진하면 된다.
버스 정류장이 여러곳에 분산되어있는데 종합운동장과 그나마 가까운 정류장은 6637번이 정차하는 목동아파트5.6단지사잇길.경인초교이고 전체로 넓히면 목동파라곤, 목동5단지C상가.목동운동장북문 정류장도 가까운 편이다.
자차로는 서부간선도로를 통해 오는 것이 보편적이다. 동문을 통해 오가면 서부간선으로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주차비는 5분에 150원으로, 잠실종합운동장과 달리 선불요금이 없다.
4. 기타
4.1. 실내체육관?
목동빙상장 옆 서쪽 공간은 현재 주차장으로 쓰이고 있지만 원래는 실내체육관 건립 예정지였다. 1987년 목동운동장 조성 당시만 하더라도 운동장에는 주경기장, 야구장, 빙상장, 체육관이 모두 조성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현재 보면 체육관만 없다.원래 서울특별시는 이 자리에 1988년 3월부터 당시 돈 50억원의 예산을 들여 6,000석 규모의[6] 실내체육관을 지을 예정이었으나 예산 부족 때문에 건립 계획이 차일피일 미뤄졌고 결국 예산이 없다는 이유로 체육관 건립 계획은 무산됐다. 서울시는 이 자리에 테니스장을 지었고 현재는 주차장으로 쓰이고 있다.
물론 언젠가는 이 부지에 체육관이 지어질 가능성도 있겠지만[7] 현재로서는 목동체육관은 그저 구상으로만 그칠 가능성이 크다. 굳이 실내경기장이 필요하다면 스테이플스 센터처럼 빙상장과 실내체육관을 겸용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겠다.[8][9][10]
5. 같이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21230; margin:-6px -1px -11px" | 구단 기본 문서 | 모기업 | 이랜드그룹 |
연고지 | 서울특별시 | ||
구단 | 서울 이랜드 FC | ||
유소년 | 18세 이하 서울 이랜드 FC U-18 | 15세 이하 서울 이랜드 FC U-15 | 12세 이하 서울 이랜드 FC U-12 | ||
유니폼 | 역대 유니폼 | ||
주요 인물 | 현재 | 김도균 감독 | 선수단 | |
역대 | 역대 감독 | 역대 주장 | ||
시설 | 홈구장 | 목동종합운동장 | |
미래 홈구장 |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
클럽 하우스 | 가평 켄싱턴리조트 클럽하우스 | ||
역사 | 구단 역사 | 창단 과정 | 기록 | |
현재 시즌 | 2024 | ||
팬덤 관련 문서 | 응원 | 서포터즈 누에보 | 서포터즈 군청 | 응원가 | 응원단 | |
라이벌전 | 서울 더비 | ||
논란 | 사건·사고 | ||
기타 | 컬트적인 인기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ae1932>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ae1932> 다목적 | 목동종합운동장 ·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잠실보조경기장 · 효창운동장 | |
축구 | 서울월드컵경기장 | ||
야구 | 고척 스카이돔 · 목동 야구장 · 잠실 야구장 | ||
농구 | 잠실실내체육관 · 잠실학생체육관 | ||
배구 | 장충체육관 | ||
핸드볼 | SK핸드볼경기장 | ||
수영 | 잠실수영장 · 올림픽수영장 | ||
빙상 | 목동아이스링크 | }}}}}}}}} |
[1] 지번: 목1동 914번지.[2] 수용 인원 30,000명[3] 비슷한 사례가 2000년 안양실내체육관 개장 이전까지 안양시내에 이렇다 할 체육관이 없어서 잠실실내체육관, 의정부실내체육관 등을 전전해야 했던 KBL 안양 KGC인삼공사의 전신 안양 SBS 스타즈와 2006년 인천삼산월드체육관 개장 이전까지 부천실내체육관에서 홈경기를 치렀던 KBL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의 전신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다.[4] 2018년의 경우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의 보조경기장에서 럭비를 한 뒤 주경기장에서 축구를 진행하여 2014년 이후 4년 만에 잠실로 복귀하였다. 2019년의 축구와 럭비 경기는 태풍 링링의 접근으로 취소되었다. 2020년과 2021년은 SARS-CoV-2 확산 우려로 취소되었고, 2022년에는 경기도 고양시의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열렸다. 재개된 연고전 후 고려대와 연세대는 경기도 고양시와 ‘고려대·연세대 관학 상생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어 2025년까지 고양시 고양종합운동장과 고양체육관에서 연고전을 열기로 하면서 2025년까지는 목동종합운동장에서 연고전 축구와 럭비를 진행하지 않게 되었다.[5] 잠실 주경기장의 리모델링 공사는 여름부터 시작될 예정이어서 그나마 경기를 치를 수 있는 여건이 됐다.[6] 만약 지어졌다면 4,500석 규모의 장충체육관보다 조금 큰 규모의 건물이었을 것이다.[7] 서울종합운동장 재개발로 인해 잠실실내체육관이나 잠실학생체육관이 철거될 수도 있는데 이렇게 될 경우 서울특별시 내에서 KBL 경기를 치를 경기장이 없게 된다. 장충체육관은 KBL과 같은 계절에 V-리그 남녀부 경기를 치러야 하고 올림픽공원의 제1체육관은 체육시설보다는 공연시설로 사실상 탈바꿈 했으며 제2체육관은 이름부터가 핸드볼경기장이 되어버렸기 때문이다.[8] 농구 코트 규격은 아이스하키 링크 규격보다 작다. 더구나 목동아이스링크는 링크 지면과 관중석 사이의 단차가 있기 때문에 코트 옆 가설 좌석과 마루 코트를 설치하고 농구 경기를 치르는 것도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 다만 미국과 달리 한국에서는 빙상장-실내체육관 겸용을 시도한 사례가 흔치 않고 종목이 바뀔 때마다 마루 코트를 설치하는 수고가 따른다는 문제가 있다. 그나마 최근에 지어진 강릉 아이스 아레나의 경우 미국의 여느 경기장과 마찬가지로 빙판 위에 마루를 덮어서 각종 실내 행사를 치르고 있다.[9]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대로 서울종합운동장 재개발로 인해 잠실실내체육관이나 잠실학생체육관이 철거가 확정되었고 이렇게 될 경우 서울특별시 내에서 KBL 경기를 치를 경기장이 없게 된다. 장충체육관은 KBL과 같은 계절에 V-리그 남녀부 경기를 치러야 하고 올림픽공원의 제1체육관은 체육시설보다는 공연시설로 사실상 탈바꿈 했으며 제2체육관은 이름부터가 핸드볼경기장이 되어버렸기 때문이고 이외에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한양대학교 올림픽체육관, 서울대학교 체육관 등 사용방안을 고려 하고 있으나 이 체육관들은 좌석문제와 접근성, 안전성 문제가 있기 때문에 대신에 여기 목동아이스링크를 농구장 규격으로 교체하고서 사용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10] 왜냐면 두팀 다 서울 잔류를 원하고 있고 접근성문제와 시설 문제가 거의 없기 때문이고 4,000석 이상은 수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