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nopad> |
인스파이어 아레나 |
일본 무도관 |
공연장(公演場)은 공연의 상연을 목적으로 지은 건물을 말한다. 전면의 무대를 잘 볼 수 있게 2~5층의 객석이 넓게 펼쳐진 형태로 지어진다. 단관인 공연장도 있지만, 한 건물 안에 여러 홀을 쑤셔넣는 경우 전통적으로는 크기에 따라서 대극장, 소극장, 체임버홀 따위의 별명을 붙이기도 한다.
관현악이나 성악 공연을 염두에 두고 지어지는 공연장은 음향 상태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한다. 클래식 공연에서는 녹음 및 모니터용을 제외하면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인데,[1] 홀 내부 벽의 반사만 가지고 충분한 반향 시간을 얻지 못하는 경우 체육관이라고 까이게 된다. 대체로 최근에 지어지거나 리모델링을 거친 곳들은 음향이 우수한데, 항상 그렇지만도 않은 게 리모델링을 해도 전체 홀 구조상 답이 안 나와서 스피커를 묻어야 하는 곳도 있었다.
참고로 대한민국은 콘서트장 하면, 세종문화회관이나 잠실실내체육관이나 올림픽체조경기장 등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몇백 석 되는 공연장도 콘서트장이다. 사실 유명한 가수들도 수용 인원 3,000명밖에 되지 않는 올림픽홀 같은 크기 정도의 콘서트장을 빌리는 경우도 많은 편이다.
2. 국가별 공연장
2.1. 대한민국
먼저 한국에 라이브 전용 회장은 없다시피하다. 한국 대중음악은 아이돌과 그 팬덤 주류로 활성화되어 있는데, 아이돌은 수익 구조상 신곡의 발표 주기가 매우 짧고 음악 방송, 예능, 각종 행사 등등 각종 미디어에 쉼없이 얼굴을 비추어야 하기 때문에 굳이 공연에 가지 않아도 접하기 쉬우므로 공연에 의존해야 하는 수요가 적다. 보이그룹의 경우 그나마 사정이 낫지만 걸그룹의 경우 해외에서는 돔이나 스타디움 공연장에서도 공연이 가능하다고 평가받는 몇몇 그룹조차도 대부분 국내에서는 아레나급인 KSPO 돔이 한계로 자리잡고 있다.[2][3]
콘서트 전용홀은 문화계 숙원사업이기도 했다. 현재는 서울, 인천, 경기에서 아레나(콘서트홀)가 추진중이다.
일단 국내 아이돌 공연의 경우 올림픽홀-핸드볼-잠실실내-체조-고척-잠실경기장 순으로 규모가 커지면서 관객동원력을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대충 10만장 내외의 음반 판매량을 보이는 남자 아이돌은 핸드볼에서 공연을, 10만장 후반에서 20만장 초반대 음반 판매량의 남자 아이돌은 체조에서 이틀 공연을 하는[4] 수준이라고 보면 된다. 다만 아이돌 팬덤에 따라 구매력이 약한 10대 팬층이 많은 경우, 혹은 구매력이 높은 20대 팬층이 많은 경우[5] 좀 변동이 생긴다. 체조경기장 이틀 공연을 매진시키면 정말 손에 꼽는 팬덤을 보유한 아이돌 그룹이다.
클래식 전용 공연장의 경우 사정이 크게 다르다. 관객 동원력을 봐도 서울에서 3천석 정도면 세계 최상급 오케스트라나 톱스타급 연주자들이 설 수 있는 규모이다. 이쪽의 공연은 머릿수보다는 음향이나 좌석, 사각지대는 없는지 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오히려 객석이 많은 쪽이 기피되는 기이한 현상도 나타난다.
1980년대까지는 전국 단위로 보아도 서울 시내의 세종문화회관, 국립극장, 리틀앤젤스 예술회관(현 유니버설아트센터) 정도가 쓸만한 공연장이었다. 그나마도 하나는 음향이 빠졌고, 하나는 입지가 빠졌고, 하나는 음악회보다는 공연예술 전문이라... 1990년대 초중반부터 소득 수준이 크게 향상되고, 일반 대중도 연주회에 다닐 만한 여유가 생기자 부실하기 짝이 없는 공연장들에 대한 성토(...)가 이루어졌다. 이 때를 기점으로 한국의 클래식 전용 공연장의 사정이 크게 나아지기 시작한다.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와 대기업, 대형 국립대학, 사립학교[6] 등 어느 정도의 자금을 동원할 수 있는 기관들이 음향에도 신경쓰고, 광역시나 도청 소재지, 특례시 등 입지나 수요가 어느정도 양호한 곳에, 발레나 대형 음악회, 뮤지컬이 가능한 대규모 공연장들이 건축되었으며 각 지역의 중소도시들도 중소규모의 쓸만한 공연장이 건축되었다. 또한 낡고 구린 기존의 공립 공연장들을 대대적으로 리모델링하거나 철거하고 새로 재건축하였다.
아래 리스트 중 전문공연장이 아닌 대형 공연장들의 좌석 수는 스포츠 등 본래용도 활용시 이용하는 좌석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공연시 구비하는 좌석 수와는 크게 차이가 있다. 스포츠 경기장의 경우 공연 활용시에는 무대로 가려지는 일부 스탠드석은 시야방해석으로 판매할 수 없는 대신 그라운드를 좌석으로 채우기 때문에 몇몇 경기장의 경우 많게는 2배 가까이까지 차이가 난다. 리스트에서 KSPO 돔의 좌석 수는 14,595석, 고척 스카이돔의 좌석 수는 16,000석으로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아 보이지만 실공연시에는 체조경기장이 최대 15,000석 정도가 한계인 반면 고척돔은 꽉꽉 채우면 25,000석까지 수용할 수 있다.
2020년대 들어 K-POP 전용 대형 공연장을 추진하는 일이 부쩍 늘고 있다. 한국 대중문화가 세계적인 인기를 모아서 채산성이 생긴 모양이다. 15,000석인 인스파이어 아레나가 완성되어 성공적인 첫 공연을 치렀으며, 이보다 더 큰 서울아레나 등이 추진 중이다. 그외에도 CJ라이브시티가 사업중단 사태에도 불구하고 경기도가 짓다만 건물을 기부채납받았으므로 어떻게든 사업이 진행되긴 할 예정이다. 따라서 앞으로 체육관을 빌리는 일이 점점 줄어들 전망이다.[7]
공연장 분류 | |||||
공연장 겸용 | |||||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종합운동장 | {{{#!wiki style="background-color: #3CB37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축구전용구장 | ||
{{{#!wiki style="background-color: #7482c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482c4" | 돔 경기장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실내체육관 | ||
{{{#!wiki style="background-color: #74747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47474" | 다목적홀 | ||||
전문공연장 | |||||
{{{#!wiki style="background-color: #c61212;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61212" | 대중음악 전문 공연장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대중음악 라이브홀 | ||
{{{#!wiki style="background-color: #c0b48d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0b48d " | 오페라 극장 | {{{#!wiki style="background-color: #ceb25e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eb25e " | 클래식 공연장 | ||
{{{#!wiki style="background-color: #a89a7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89a7e" | 연극/뮤지컬 대극장 | {{{#!wiki style="background-color: #aaa49a;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aa49a" | 연극/뮤지컬 소극장 | ||
{{{#!wiki style="background-color: #434343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 | 블랙박스형 공연장 | {{{#!wiki style="background-color: #8bacc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8bacce" | 원형극장 | ||
기타 분류 |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야외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 가변좌석[8] |
2.1.1. 1,000석 미만
<rowcolor=#fff> 공연장명 | 위치 | 좌석 | 스탠딩 | 상주/운영단체 | 비고 |
<colbgcolor=#f5f5f5,#2d2f34> 사운드 마인드 | 서울특별시 관악구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
톤스튜디오 서울 | 서울특별시 마포구 | 50석 | 10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
대구 클럽 헤비 | 대구광역시 남구 | 20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
팡타개라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 90석 | 200명 | 에무시네마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봉산문화회관 스페이스라온 | 대구광역시 중구 | 90석 | |||
예문아트홀 | 울산광역시 중구 | 90석 | |||
국립극장 별오름극장 | 서울특별시 중구 | 100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8bacc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8bacce" | ||
국립민속국악원 예음당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 100석 | |||
소극장 판 | 서울특별시 용산구 | 100석 | 국립극단 | ||
얼라이브홀 | 서울특별시 마포구 | 100석 | 20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
프리즘홀 | 서울특별시 마포구 | 100석 | 25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
공주문예회관 소공연장 | 충청남도 공주시 | 106석 | |||
서산시문화회관 소공연장 | 충청남도 서산시 | 108석 | |||
산울림 소극장 | 서울특별시 마포구 | 100석 | 극단 산울림 | {{{#!wiki style="background-color: #aaa49a;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aa49a" | |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 서울특별시 종로구 | 110석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wiki style="background-color: #aaa49a;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aa49a" | |
벨로주 홍대 | 서울특별시 마포구 | 115석 | 20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 서울특별시 서초구 | 130석 | 국립국악원 예술단[A] | ||
부산광역시학생예술문화회관 소극장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130석 | |||
춘양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 130석 | |||
해운대문화회관 고운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130석 | |||
CJ azit 광흥창 | 서울특별시 마포구 | 130석 | 250명 | CJ문화재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 서울특별시 종로구 | 132석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wiki style="background-color: #aaa49a;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aa49a" | |
| 서울특별시 마포구 | 140석 | 25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
라이브홀 락왕 | 대구광역시 중구 | 140석 | 34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
대전 이수아트홀 | 대전광역시 서구 | 141석 | |||
대전 아트브릿지 | 대전광역시 서구 | 150석 | 클래식 | ||
웨스트브릿지 라이브홀 | 서울특별시 마포구 | 150석 | 25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소극장 | 서울특별시 종로구 | 150석 | 홍익대학교 | {{{#!wiki style="background-color: #aaa49a;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aa49a" | |
KT&G 상상마당 홍대 라이브홀 | 서울특별시 마포구 | 150석 | 400명 | KT&G상상마당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순천문화예술회관 소극장 | 전라남도 순천시 | 152석 | |||
산청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 경상남도 산청군 | 156석 | |||
안산문화예술의전당 별무리극장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 160석 | |||
영산양재홀 | 서울특별시 서초구 | 160석 | |||
남동소래아트홀 소공연장 | 인천광역시 남동구 | 167석 | |||
양산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 경상남도 양산시 | 167석 | |||
BNK부산은행 조은극장 2관 | 부산광역시 중구 | 167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aaa49a;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aa49a" | ||
광진문화재단 나루아트센터 소공연장 | 서울특별시 광진구 | 171석 | |||
판타지아극장 | 경기도 부천시 | 181석 | |||
백성희장민호극장 | 서울특별시 용산구 | 182석 | 국립극단 | ||
| 서울특별시 강남구 | 186석 | 주식회사 코엑스 | ||
CK아트홀 | 울산광역시 중구 | 188석 | |||
현대카드 언더스테이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 188석 | 378명 | 현대카드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김천시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 경상북도 김천시 | 192석 | |||
사천시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 경상남도 사천시 | 192석 | |||
창녕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 경상남도 창녕군 | 196석 |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어린이극장 | 광주광역시 동구 | 200석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
동래문화회관 소극장 | 부산광역시 동래구 | 200석 | |||
금사락 | 부산광역시 금정구 | 200석 | 50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
인터파크 유니플렉스 3관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00석 | 인터파크트리플 | {{{#!wiki style="background-color: #aaa49a;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aa49a" | |
KBS 수원아트홀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 200석 | KBS비즈니스 | ||
롤링홀 | 서울특별시 마포구 | 200석 | 45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
구름아래소극장 | 서울특별시 마포구 | 200석 | 구름아래소극장 | {{{#!wiki style="background-color: #aaa49a;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aa49a"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
KT&G 상상마당 춘천 사운드홀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200석 | 450명 | KT&G상상마당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함양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 경상남도 함양군 | 205석 | |||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명인홀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 206석 | |||
오산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 경기도 오산시 | 207석 | |||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10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aaa49a;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aa49a" | ||
대학로극장 쿼드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10석 | 300명 | 서울문화재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wiki style="background-color: #434343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 |
우리누리청소년문화센터 소공연장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 210석 | |||
영화의전당 소극장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212석 | (재)영화의전당 | ||
현대예술관 소극장 | 울산광역시 동구 | 212석 | |||
KT&G 상상마당 부산 라이브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217석 | 500명 | KT&G상상마당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충무아트센터 소극장 | 서울특별시 중구 | 218석 | 중구문화재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aaa49a;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aa49a" | |
J아트홀 | 울산광역시 중구 | 220석 | |||
부천시민회관 소공연장 | 경기도 부천시 | 221석 | |||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건지아트홀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 224석 | 전북대학교[10] | ||
틴틴홀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28석 | |||
국립국악원 우면당 | 서울특별시 서초구 | 231석 | 국립국악원 예술단[A] | ||
의정부예술의전당 소극장 | 경기도 의정부시 | 233석 | |||
부산예술회관 소극장 | 부산광역시 남구 | 240석 | |||
대구문화예술회관 비슬홀 | 대구광역시 달서구 | 241석 | |||
을숙도문화회관 소공연장 | 부산광역시 사하구 | 242석 | |||
유스퀘어문화관 동산아트홀 | 광주광역시 서구 | 243석 | |||
BNK부산은행 조은극장 1관 | 부산광역시 중구 | 245석 |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극장3 | 광주광역시 동구 | 248석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
대구콘서트하우스 체임버홀 | 대구광역시 중구 | 248석 | |||
대학로티오엠 2관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49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aaa49a;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aa49a" | ||
강동아트센터 소극장 드림 | 서울특별시 강동구 | 250석 | |||
솜리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 250석 | |||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250석 | 60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
예스24 스테이지 3관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55석 | 예스이십사 주식회사 | {{{#!wiki style="background-color: #aaa49a;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aa49a" | |
통영국제음악당 블랙박스 | 경상남도 통영시 | 254석 | TIMF통영국제음악재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434343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 | |
평택남부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 경기도 평택시 | 258석 | |||
포항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 264석 | |||
| 서울특별시 마포구 | 270석 | 60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
국립부산국악원 예지당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276석 | |||
안동문화예술의전당 백조홀 | 경상북도 안동시 | 276석 | |||
구리아트홀 유채꽃 소극장 | 경기도 구리시 | 280석 | |||
무신사 개러지 | 서울특별시 마포구 | 280석 | 550명 | 무신사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구미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 경상북도 구미시 | 283석 | |||
예술의전당 오페라하우스 자유소극장 | 서울특별시 서초구 | 283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wiki style="background-color: #434343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 | ||
꿈의숲 아트센터 퍼포먼스홀 | 서울특별시 강북구 | 283석 | 재단법인 세종문화회관 | ||
통영시민문화회관 소극장 | 경상남도 통영시 | 290석 | |||
당진문예회관 소공연장 | 충청남도 당진시 | 300석 | |||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 | 서울특별시 종로구 | 300석 | 326명 | 재단법인 세종문화회관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wiki style="background-color: #434343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 |
수원SK아트리움 소극장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 300석 | |||
엘림아트홀 엘림홀 | 인천광역시 서구 | 300석 | |||
인터파크 유니플렉스 2관 | 서울특별시 종로구 | 300석 | 인터파크트리플 | {{{#!wiki style="background-color: #aaa49a;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aa49a" | |
서울남산국악당 | 서울특별시 중구 | 300석 | |||
꿈의숲 아트센터 콘서트홀 | 서울특별시 강북구 | 301석 | 재단법인 세종문화회관 | ||
수성아트피아 무학홀 | 대구광역시 수성구 | 301석 | |||
예스24 스테이지 2관 | 서울특별시 종로구 | 301석 | 예스이십사 주식회사 | {{{#!wiki style="background-color: #aaa49a;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aa49a" | |
GS칼텍스 예울마루 소극장 | 전라남도 여수시 | 302석 | |||
안성맞춤아트홀 소공연장 | 경기도 안성시 | 303석 | |||
고양아람누리 새라새극장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 304석 | |||
한국공학대학교 아트센터 | 경기도 시흥시 | 305석 | 한국공학대학교 | ||
부산문화회관 사랑채극장 | 부산광역시 남구 | 312석 | |||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소극장 | 서울특별시 성북구 | 314석 | 한국예술종합학교 | ||
시흥시청소년수련관 한울림관 | 경기도 시흥시 | 315석 | |||
유스퀘어문화관 금호아트홀 광주 | 광주광역시 서구 | 316석 | 유스퀘어 | ||
평송청소년문화센터 소극장 | 대전광역시 서구 | 317석 | |||
부평아트홀 달누리극장 | 인천광역시 부평구 | 323석 | |||
충무아트센터 중극장 블랙 | 서울특별시 중구 | 327석 | 서울문화재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8bacc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8bacce" {{{#!wiki style="background-color: #aaa49a;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aa49a" | |
금정문화회관 소공연장 | 부산광역시 금정구 | 330석 | |||
경주예술의전당 원화홀 | 경상북도 경주시 | 331석 | |||
대학로티오엠 1관 | 서울특별시 종로구 | 335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aaa49a;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aa49a" | ||
대전시립연정국악원 작은마당 | 대전광역시 서구 | 338석 | |||
대전예술가의집 누리홀 | 대전광역시 중구 | 340석 | |||
예술의 전당 음악당 리싸이틀홀 | 서울특별시 서초구 | 354석 | |||
의령군민문화회관 공연장 | 경상남도 의령군 | 354석 | |||
하남문화예술회관 소극장 | 경기도 하남시 | 355석 | |||
컬처스페이스 엔유 | 서울특별시 종로구 | 359석 | |||
합천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경상남도 합천군 | 360석 | |||
LG아트센터 서울 U+ 스테이지 | 서울특별시 강서구 | 365석 | 50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wiki style="background-color: #434343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 | |
고양어울림누리 별모래극장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 366석 | 고양문화재단 | ||
상명대학교 상명아트센터 대신홀 | 서울특별시 종로구 | 371석 | 상명대학교[12] | ||
예스24 원더로크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376석 | 686명 | 예스이십사 주식회사 WANDERLOCH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13] |
성남아트센터 앙상블시어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 378석 | |||
과천시민회관 소극장 | 경기도 과천시 | 380석 | |||
SK하이닉스문화센터 아트홀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 381석 | SK하이닉스 | ||
안양아트센터 수리홀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 382석 | |||
강릉아트센터 소공연장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385석 | |||
부산시민회관 소극장 | 부산광역시 동구 | 385석 | |||
연세대학교 금호아트홀 연세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390석 | 연세대학교[14] | ||
진해구민회관 공연장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 395석 | |||
광운대학교 동해문화예술관 소극장 | 서울특별시 노원구 | 398석 | 광운대학교 | ||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 소공연장 | 전라남도 목포시 | 400석 | |||
중동고등학교 창조관 | 서울특별시 강남구 | 400석 | 중동고등학교 | ||
링크아트센터 벅스홀 | 서울특별시 종로구 | 401석 | 아떼오드 | ||
예스24 스테이지 1관 | 서울특별시 종로구 | 406석 | 예스이십사 주식회사 | ||
부산문화회관 챔버홀 | 부산광역시 남구 | 410석 | |||
영화의전당 중극장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413석 | (재)영화의전당 | ||
백제예술대학 아트센터(백암아트홀) | 서울특별시 강남구 | 417석 | 백제예대 | ||
경기도문화의전당 국악당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 420석 | 경기도립국악단[15] [16] | ||
거제문화예술회관 소극장 | 경상남도 거제시 | 424석 | |||
봉산문화회관 가온홀 | 대구광역시 중구 | 424석 | |||
어울아트센터 함지홀 | 대구광역시 북구 | 425석 | |||
군포문화예술회관 철쭉홀 | 경기도 군포시 | 428석 | |||
서강대학교 메리홀 | 서울특별시 마포구 | 429석 | 서강대학교 | ||
신한카드 SOL페이스퀘어 | 서울특별시 마포구 | 429석 | 928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
천안예술의전당 소공연장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 443석 | |||
군산예술의전당 소공연장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 450석 | |||
충남대학교 정심화국제문화회관 백마홀 | 대전광역시 유성구 | 450석 | 충남대학교[17] | ||
이천아트홀 소공연장 | 경기도 이천시 | 451석 | |||
제주대학교 아라뮤즈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451석 | 제주대학교[18] | ||
노들섬 라이브하우스 | 서울특별시 용산구 | 456석 | 874명 | 서울문화재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해운대문화회관 해운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458석 | |||
울산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 울산광역시 남구 | 472석 | |||
링크아트센터 페이코홀 | 서울특별시 종로구 | 477석 | 아떼오드 | ||
성동문화회관 소월아트홀 소공연장 | 서울특별시 성동구 | 약 480석 | |||
거창문화센터 공연장 | 경상남도 거창군 | 484석 | |||
3.15 아트센터 소극장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 485석 | |||
덕진예술회관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 486석 | 전주시립예술단[19][20] | ||
인천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 인천광역시 남동구 | 486석 | |||
함양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경상남도 함양군 | 486석 | |||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다우홀 | 부산광역시 서구 | 492석 | 동아대학교[21] | ||
창녕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경상남도 창녕군 | 496석 | |||
산청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경상남도 산청군 | 497석 | |||
중구문화의전당 함월홀 | 울산광역시 중구 | 499석 | |||
F1963 석천홀 | 부산광역시 수영구 | 500석 | |||
경기아트센터 소극장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 502석 | |||
김포아트홀 | 경기도 김포시 사우동 | 503석 | |||
광주문화예술회관 소극장 | 광주광역시 북구 | 504석 | |||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 서울특별시 종로구 | 504석 | |||
성산아트홀 소극장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 510석 | |||
함안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경상남도 함안군 | 510석 | |||
영남대학교 천마아트센터 챔버홀 | 경상북도 경산시 | 510석 | 영남대학교 | ||
동래문화회관 대극장 | 부산광역시 동래구 | 511석 | |||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 서울특별시 중구 | 512석 |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극장2 | 광주광역시 광주 | 512석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22] | |
국립남도국악원 진악당 | 전라남도 진도군 | 526석 | |||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극장 | 서울특별시 성북구 | 526석 | 한국예술종합학교 | ||
믹스페이스 믹스홀 | 대전광역시 중구 | 528석 | 1000명 | ||
복사골문화센터 아트홀 | 경기도 부천시 | 531석 | |||
김해문화의전당 누리홀 | 경상남도 김해시 | 540석 | |||
동탄복합문화센터 반석아트홀 | 경기도 화성시 | 548석 | |||
명동예술극장 | 서울특별시 중구 | 554석 | 국립극단 | ||
남도소리울림터 | 전라남도 무안군 | 558석 | 전남도립국악단 | ||
솜리문화예술회관 중공연장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 584석 | |||
영산아트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598석 | |||
구리아트홀 코스모스 대극장 | 경기도 구리시 | 600석 | |||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 서울특별시 종로구 | 600석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
예술의전당 음악당 IBK체임버홀 | 서울특별시 서초구 | 600석 | |||
인터파크 유니플렉스 1관 | 서울특별시 종로구 | 600석 | 인터파크트리플 | ||
치악예술관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600석 | |||
광진문화재단 나루아트센터 대공연장 | 서울특별시 광진구 | 601석 | |||
서산시문예회관 대공연장 | 충청남도 서산시 | 601석 | |||
평택남부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경기도 평택시 | 606석 | |||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 서울특별시 종로구 | 609석 | 재단법인 세종문화회관 | ||
남해문화센터 다목적홀 | 경상남도 남해군 | 610석 | |||
광림아트센터 장천홀 | 서울특별시 강남구 | 613석 | |||
두산아트센터 연강홀 | 서울특별시 종로구 | 620석 | 두산연강재단 | ||
국립극장 KB국민은행청소년하늘극장 | 서울특별시 중구 | 627석 | |||
공주문예회관 대공연장 | 충청남도 공주시 | 628석 | 충남도립교향악단 | ||
평촌아트홀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 638석 | |||
대전예술의전당 앙상블홀 | 대전광역시 서구 | 643석 | |||
| 서울특별시 중구 | 643석 | 호암재단 | [23] | |
늘푸른전당 공연장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 648석 | |||
국립민속국악원 예원당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 652석 | |||
동덕여자대학교 100주년 기념관 | 서울특별시 성북구 | 660석 | 동덕여자대학교 | ||
대전시립연정국악원 큰마당 | 대전광역시 서구 | 664석 | 대전시립국악단 | ||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연지홀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 666석 | |||
하동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경상남도 하동군 | 678석 | |||
유앤아이센터 화성아트홀 | 경기도 화성시 | 682석 | |||
안산문화예술의전당 달맞이극장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 684석 | |||
국립부산국악원 연악당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686석 |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교육문화관 | 충청남도 공주시 | 690석 | 국립공주대학교 | ||
김해서부문화센터 하늬홀 | 경상남도 김해시 | 691석 | |||
목포문화예술회관 | 전라남도 목포시 | 698석 | |||
국립국악원 연희마당 | 서울특별시 서초구 | 700석 | 국립국악원 예술단[A]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대극장 | 서울특별시 종로구 | 702석 | 홍익대학교 | ||
남동소래아트홀 대공연장 | 인천광역시 남동구 | 703석 | |||
국립국악원 예악당 | 서울특별시 서초구 | 706석 | 국립국악원 예술단[A] | ||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 석당홀 | 부산광역시 서구 | 707석 | 동아대학교 | ||
을숙도문화회관 대공연장 | 부산광역시 사하구 | 709석 | |||
이화여자대학교 삼성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708석 | 이화여자대학교 | ||
빛고을시민문화회관 | 광주광역시 남구 | 715석 | |||
충북대학교 개신문화관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 719석 | 충북대학교 | ||
충청남도청 문예회관 | 충청남도 예산군 | 722석 | |||
포스코 효자아트홀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 731석 | |||
성균관대학교 새천년홀 | 서울특별시 종로구 | 754석 | 성균관대학교 | ||
부산문화회관 중극장 | 부산광역시 남구 | 777석 | |||
춘향문화예술회관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 778석 | |||
전라북도예술회관 대극장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 780석 | |||
한림대학교 일송아트홀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780석 | 한림대학교 | ||
계양문화회관 | 인천광역시 계양구 | 795석 | |||
평송청소년문화센터 대극장 | 대전광역시 서구 | 799석 | |||
오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경기도 오산시 | 800석 | |||
건국대학교 새천년관 대공연장 | 서울특별시 광진구 | 805석 | 건국대학교 | ||
국립중앙박물관 극장 용 | 서울특별시 용산구 | 805석 | 국립박물관문화재단 | ||
밀양아리랑아트센터 | 경상남도 밀양시 | 810석 | |||
제주특별자치도문예회관 대극장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828석 | |||
연세대학교 백주년기념관 콘서트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829석 | 연세대학교 | ||
양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경상남도 양산시 | 834석 | |||
영화의전당 하늘연극장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841석 | 부산국제영화제 (재)영화의전당 | ||
강동아트센터 대극장 한강 | 서울특별시 강동구 | 850석 | |||
사천시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 경상남도 사천시 | 850석 | |||
금정문화회관 대공연장 | 부산광역시 금정구 | 868석 | |||
세종특별자치시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세종특별자치시 | 870석 | |||
경상북도청 동락관 | 경상북도 안동시 | 873석 | |||
통영시민문화회관 대극장 | 경상남도 통영시 | 880석 | |||
부평아트홀 해누리극장 | 인천광역시 부평구 | 883석 | |||
부산MBC 드림홀 | 부산광역시 수영구 | 905석 | |||
하남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경기도 하남시 | 911석 | 극단 벼랑끝날다 | ||
순천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전라남도 순천시 | 914석 | |||
한밭대학교 아트홀 | 대전광역시 유성구 | 913석 | 한밭대학교 | ||
전남대학교 민주마루 | 광주광역시 북구 | 916석 | 전남대학교 | ||
김천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경상북도 김천시 | 920석 | 김천시립예술단[26] | ||
과천시민회관 대극장 | 경기도 과천시 | 929석 | 과천시립예술단[27] | ||
충주시문화회관 | 충청북도 충주시 | 933석 | |||
대림대학교 대림아트홀 | 경기도 안양시 | 940석 | 대림대학교 | ||
수원SK아트리움 대극장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 950석 | 수원시립교향악단 수원시립합창단 | ||
백운아트홀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962석 | 원주시립교향악단 | ||
현대예술관 대공연장 | 울산광역시 동구 | 964석 | USP 챔버 오케스트라[28] | ||
진해야외공연장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 964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
강릉아트센터 사임당홀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972석 | 강릉시립예술단[29] | ||
포항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 972석 | 포항시립예술단[30] | ||
부산광역시학생예술문화회관 대극장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989석 | |||
안성맞춤아트홀 대공연장 | 경기도 안성시 | 991석 | |||
안동문화예술의전당 웅부홀 | 경상북도 안동시 | 994석 | 안동시립합창단 | ||
COEX 신한카드 아티움 | 서울특별시 강남구 | 994석 | 주식회사 코엑스 | {{{#!wiki style="background-color: #a89a7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89a7e" | |
춘천문화예술회관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998석 | 춘천시립예술단[31] | ||
TheK아트홀 | 서울특별시 서초구 | 998석 | |||
광림아트센터 BBCH홀 | 서울특별시 강남구 | 998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a89a7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89a7e" | ||
한전아트센터 | 서울특별시 서초구 | 999석 |
2.1.2. 1,000석 이상 3,000석 미만
<rowcolor=#fff> 공연장명 | 위치 | 좌석 | 스탠딩 | 상주/운영단체 | 비고 |
<colbgcolor=#f5f5f5,#2d2f34> 고양아람누리 노루목야외극장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 1,000석 | 고양문화재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
조선대학교 해오름관 | 광주광역시 동구 | 1,000석 | 조선대학교 | ||
당진문예회관 대공연장 | 충청남도 당진시 | 1,001석 | |||
예술의전당 오페라하우스 CJ토월극장 | 서울특별시 서초구 | 1,004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a89a7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89a7e" | ||
대구문화예술회관 팔공홀 | 대구광역시 달서구 | 1,008석 | 대구시립예술단[32] | ||
GS칼텍스 예울마루 대극장 | 전라남도 여수시 | 1,021석 | |||
의정부예술의전당 대극장 | 경기도 의정부시 | 1,025석 | 의정부시립예술단[33] | ||
부천시민회관 대공연장 | 경기도 부천시 | 1,041석 | 부천시립예술단[34] | ||
천안시청 봉서홀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 1,051석 | |||
예스24 라이브홀 | 서울특별시 광진구 | 1,051석 | 2,037명 | 예스이십사 주식회사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충청북도교육문화원 대공연장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 1,053석 | |||
경주예술의전당 화랑홀 | 경상북도 경주시 | 1,055석 | |||
COEX 오디토리움 | 서울특별시 강남구 | 1,080석 | 주식회사 코엑스 | {{{#!wiki style="background-color: #74747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47474" | |
유니버설아트센터 | 서울특별시 광진구 | 1,082석 | 유니버설발레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a89a7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89a7e" | |
포스코 광양백운아트홀 | 전라남도 광양시 | 1,088석 | |||
성남아트센터 콘서트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 1,102석 | 성남시립예술단[35] 성남문화재단 | ||
LG아트센터 재개관 예정 | 서울특별시 강남구 | 1,103석 | |||
한국과학기술원 대강당 | 대전광역시 유성구 | 1,111석 | 한국과학기술원 |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극장1 | 광주광역시 동구 | 1,120석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wiki style="background-color: #434343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 | |
안양아트센터 관악홀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 1,126석 | |||
군포문화예술회관 수리홀 | 경기도 군포시 | 1,134석 | 군포시립여성합창단 군포시립소년소녀합창단 | ||
소향씨어터 신한카드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1,134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a89a7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89a7e" | ||
수성아트피아 용지홀 | 대구광역시 수성구 | 1,159석 | |||
창원MBC홀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 1,170석 | |||
명화 라이브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1,178석 | 2,00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CD5C5C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C5C " | |
3.15아트센터 대극장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 1,182석 | |||
올림픽공원 우리금융아트홀[36] | 서울특별시 송파구 | 1,184석 | 국민체육진흥공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a89a7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89a7e" | |
제주아트센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1,184석 | 제주교향악단 | ||
우송대학교 우송예술회관 | 대전광역시 동구 | 1,186석 | 우송대학교 | ||
경상국립대학교 GNU컨벤션센터 대강당 | 경상남도 진주시 | 1,200석 | 경상국립대학교 | ||
군산예술의전당 대공연장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 1,200석 | |||
국립남도국악원 달빛마당 | 전라남도 진도군 | 1,200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
그랜드 워커힐 서울 워커힐씨어터 | 서울특별시 광진구 | 1,200석 | |||
김대중컨벤션센터 컨벤션홀 | 광주광역시 서구 | 1,200석 | 광주광역시관광공사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wiki style="background-color: #74747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47474" | |
이천아트홀 대공연장 | 경기도 이천시 | 1,200석 | |||
익산예술의전당 대공연장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 1,202석 | |||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 대공연장 | 전라남도 목포시 | 1,207석 | 목포시립교향악단 | ||
거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경상남도 거제시 | 1,209석 | |||
구미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경상북도 구미시 | 1,211석 | 구미시립예술단[37] | ||
고양어울림누리 어울림극장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 1,218석 | 고양시립예술단[38] 고양문화재단 | ||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 서울특별시 중구 | 1,221석 | 국립국악관현악단 국립무용단 국립창극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a89a7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89a7e" | |
샤롯데씨어터 | 서울특별시 송파구 | 1,241석 | 롯데컬처웍스 | {{{#!wiki style="background-color: #a89a7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89a7e" | |
디큐브 링크아트센터 | 서울특별시 구로구 | 1,242석 | 아떼오드 | {{{#!wiki style="background-color: #a89a7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89a7e" | |
충무아트센터 대극장 | 서울특별시 중구 | 1,250석 | 중구문화재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a89a7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89a7e" | |
용인포은아트홀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 1,258석 | 용인시립예술단[39] | ||
대구콘서트하우스 그랜드홀 | 대구광역시 중구 | 1,284석 | 대구시립교향악단 대구시립합창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ceb25e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eb25e " | |
HL 안양 아이스링크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 1,284석 | HL 안양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EXCO 오디토리움 | 대구광역시 북구 | 1,300석 | 주식회사 엑스코 | {{{#!wiki style="background-color: #74747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47474" | |
통영국제음악당 콘서트홀 | 경상남도 통영시 | 1,309석 | TIMF앙상블 TIMF 통영국제음악재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ceb25e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eb25e " | |
인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인천광역시 남동구 | 1,332석 | 인천시립예술단[40] | {{{#!wiki style="background-color: #a89a7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89a7e" | |
LG아트센터 서울 LG SIGNATURE 홀 | 서울특별시 강서구 | 1,335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a89a7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89a7e" | ||
블루스퀘어 마스터카드홀 구 아이마켓홀 | 서울특별시 용산구 | 1,400석 | 3,000명 | 인터파크트리플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wiki style="background-color: #c61212;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61212" |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 부산광역시 남구 | 1,409석 | 부산시립예술단[41] | ||
대구학생문화센터 대공연장 | 대구광역시 달서구 | 1,441석[42] | |||
부천아트센터 콘서트홀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 1,445석 | 부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wiki style="background-color: #ceb25e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eb25e "[43] | |
명지대학교 60주년 채플관 | 경기도 용인시 | 1,446석 | 명지대학교 | ||
고양아람누리 아람음악당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 1,449석 | 고양문화재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ceb25e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eb25e " | |
김해문화의전당 마루홀 | 경상남도 김해시 | 1,464석 | |||
상명대학교 상명아트센터 계당홀 | 서울특별시 종로구 | 1,464석 | 상명대학교 | ||
대구오페라하우스 | 대구광역시 북구 | 1,490석 | 대구시립오페라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c0b48d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0b48d " | |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대공연장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 1,493석 | 전북대학교 | ||
청주예술의전당 대공연장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 1,493석 | 청주시립예술단[44] | ||
서울시립대학교 대강당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1,500석 | 서울시립대학교 | ||
KT&G상상마당 춘천 야외공연장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1,500석 | 2,000명 | KT&G상상마당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KBS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1,511석 | KBS 교향악단 KBS 국악관현악단 KBS비즈니스 | ||
경상남도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경상남도 진주시 | 1,528석 | 진주시립교향악단 | ||
대전컨벤션센터 그랜드볼룸 | 대전광역시 유성구 | 1,540석 | 대전관광공사 | {{{#!wiki style="background-color: #74747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47474" | |
경기아트센터 대극장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 1,544석 | 경기도립예술단[45] | ||
대전예술의전당 아트홀 | 대전광역시 서구 | 1,546석 | 대전시립예술단[46] | ||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울산광역시 남구 | 1,555석 | 울산시립예술단[47] | ||
안산문화예술의전당 해돋이극장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 1,573석 | 안산시립예술단[48] | ||
강원대학교 백령아트센터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1,600석 | 강원대학교 | ||
부산시민회관 대극장 | 부산광역시 동구 | 1,606석 | |||
한남대학교 성지관 | 대전광역시 대덕구 | 1,612석 | 한남대학교 | ||
천안예술의전당 대공연장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 1,642석 | 천안시립무용단 천안시립흥타령풍물단 천안시충남국악관현악단 | ||
연세대학교 대강당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1,685석 | 연세대학교 | ||
성산아트홀 대극장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 1,700석 | 창원시립예술단[49] | ||
한국외국어대학교 오바마홀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1,700석 | 한국외국어대학교 | ||
드림씨어터 | 부산광역시 남구 | 1,727석 | 에스앤코 | {{{#!wiki style="background-color: #a89a7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89a7e" | |
아트센터 인천 콘서트홀 | 인천광역시 연수구 | 1,727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ceb25e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eb25e " | ||
블루스퀘어 신한카드홀 구 인터파크홀 | 서울특별시 용산구 | 1,768석 | 인터파크트리플 | {{{#!wiki style="background-color: #a89a7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89a7e" | |
광주예술의전당 대극장 | 광주광역시 북구 | 1,772석 | 광주시립예술단[50] | ||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 1,808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c0b48d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0b48d " | ||
KBS울산홀 | 울산광역시 남구 | 1,804석 | KBS비즈니스 | ||
KBS창원홀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 1,807석 | KBS비즈니스 | ||
충남대학교 정심화국제문화회관 정심화홀 | 대전광역시 유성구 | 1,817석 | 충남대학교 | ||
경북대학교 대강당 | 대구광역시 북구 | 1,837석 | 경북대학교 | ||
고양아람누리 아람극장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 1,887석 | 고양문화재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a89a7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89a7e" | |
영남대학교 천마아트센터 그랜드홀 | 경상북도 경산시 | 1,889석 | 영남대학교 | ||
계명대학교 계명아트센터 | 대구광역시 달서구 | 1,954석 | 계명대학교 | {{{#!wiki style="background-color: #a89a7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89a7e" | |
광주광역시청 야외음악당 | 광주광역시 서구 | 2,000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 | 광주광역시 동구 | 2,000석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
KINTEX 제1전시장 그랜드볼룸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 2,000석 | 주식회사 킨텍스 | {{{#!wiki style="background-color: #74747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47474" | |
세종대학교 대양홀 | 서울특별시 광진구 | 2,029석 | 세종대학교 | ||
롯데콘서트홀 | 서울특별시 송파구 | 2,036석 | 롯데문화재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ceb25e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eb25e "[51] | |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 2,037석 | 전주세계소리축제 | ||
광운대학교 동해문화예술관 대극장 | 서울특별시 노원구 | 2,100석 | 광운대학교 | ||
KBS아레나[52] | 서울특별시 강서구 | 2,222석 | 3,000명 | KBS비즈니스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예술의전당 오페라하우스 오페라극장 | 서울특별시 서초구 | 2,283석 | 국립발레단 국립오페라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c0b48d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0b48d " | |
BEXCO 컨벤션홀 그랜드볼룸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2,400석 | 주식회사 벡스코 | {{{#!wiki style="background-color: #74747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47474" | |
예술의전당 음악당 콘서트홀 | 서울특별시 서초구 | 2,505석 |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 [53][54] | {{{#!wiki style="background-color: #ceb25e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eb25e " | |
KBS부산홀 | 부산광역시 수영구 | 2,847석 | KBS비즈니스 |
2.1.3. 3,000석 이상 ~ 10,000석 미만
- 여기부터 기록되어 있는 (전문공연장이 아닌) 체육관이나 운동장의 경우, 좌석의 일부를 막거나 그라운드에 가변석을 설치하는 등 공연에 따라 사용하는 좌석 수가 크게 달라진다. 아래에 써진 좌석 수는 그냥 평소 관중석 수로, 참고만 하는 것이 좋다.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 bordercolor=#000><table width=100%><tablealign=center><rowbgcolor=#000><:><rowcolor=#fff><width=25%> 공연장명 ||<:><width=23%> 위치 ||<width=10%><:> 좌석 ||<width=10%><:> 스탠딩 ||<:><width=20%> 상주/운영단체 ||<width=12%><:> 비고 ||
<colbgcolor=#f5f5f5,#2d2f34> 김대중컨벤션센터 다목적홀 | 광주광역시 서구 | 3,000석 | 광주광역시관광공사 | {{{#!wiki style="background-color: #74747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47474" | |
대전엑스포시민광장 야외공연장 | 대전광역시 서구 | 3,000석 | 대전관광공사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55] | |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 서울특별시 종로구 | 3,022석 | 서울시립교향악단[56] 서울시예술단[57] 재단법인 세종문화회관 | {{{#!wiki style="background-color: #a89a7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89a7e" {{{#!wiki style="background-color: #c0b48d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0b48d " | |
올림픽공원 올림픽홀 | 서울특별시 송파구 | 3,032석 | 4,000명 | 국민체육진흥공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c61212;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61212" |
양산실내체육관 | 경상남도 양산시 | 3,426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 서울특별시 성북구 | 3,500석 | 6,500명 | 고려대학교 고려중앙학원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한라체육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3,718석 | 6,00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충무체육관 | 대전광역시 중구 | 3,812석 | 6,000명 |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대전 KGC인삼공사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대구실내체육관 | 대구광역시 북구 | 3,867석 | 5,000명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대구광역시 도시관리본부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영화의전당 야외극장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4,000석 | 부산국제영화제 (재)영화의전당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
EXCO 컨벤션홀 | 대구광역시 북구 | 4,000석 | 주식회사 엑스코 | {{{#!wiki style="background-color: #74747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47474" | |
BEXCO 오디토리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4,002석 | 주식회사 벡스코 | {{{#!wiki style="background-color: #74747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47474" | |
원주댄싱공연장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4,002석 | 원주 댄싱카니발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
청주실내체육관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 4,183석 | 8,000명 | 청주 KB 스타즈 청주시 시설관리공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진남체육관 | 전라남도 여수시 | 4,197석 | 6,00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제주국제컨벤션센터 대회의실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4,300석 | (주)제주국제컨벤션센터 | {{{#!wiki style="background-color: #74747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47474" | |
전주실내체육관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 4,311석 | 7,000명 | 전주시설공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경희대학교 평화의전당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4,500석 | 경희대학교 | ||
장충체육관 | 서울특별시 중구 | 4,507석 | 5,500명 | 서울 우리카드 우리WON GS칼텍스 서울 KIXX 서울시설공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원주종합체육관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4,600석 | 원주 DB 프로미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청주대학교 석우문화체육관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 4,800석 | 청주대학교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군산월명체육관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 4,864석 | 8,00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부산금정체육관 | 부산광역시 금정구 | 4,973석 | 부산광역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목동아이스링크 | 서울특별시 양천구 | 5,000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한양대학교 노천극장 | 서울특별시 성동구 | 5,000석 | 한양대학교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
포항체육관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 5,001석 | 8,60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SK핸드볼경기장 | 서울특별시 송파구 | 5,003석 | 6,858명 | SK 슈가글라이더즈 국민체육진흥공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경산실내체육관 | 경상북도 경산시 | 5,036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수원실내체육관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 5,145석 | 9,000명 |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진주실내체육관 | 경상남도 진주시 | 5,184석 | 6,00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잠실학생체육관 | 서울특별시 송파구 | 5,400석 | 서울 SK 나이츠 서울특별시교육청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부천실내체육관 | 경기도 부천시 | 5,403석 | 7,626명 | 부천 하나원큐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익산실내체육관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 5,430석 | 6,00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울산동천체육관 | 울산광역시 중구 | 5,457석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유관순체육관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 5,482석 | 6,000명 |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김천실내체육관 | 경상북도 김천시 | 5,503석 | 6,000명 |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창원실내체육관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 5,891석 | 창원 LG 세이커스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올림픽공원 벨로드롬(올팍축구장) | 서울특별시 송파구 | 6,000석 | 10,000명 | 국민체육진흥공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KINTEX 홀 1개 기준 | 경기도 일산시 일산동구 | 6,000석 | 15,000명 | 주식회사 킨텍스 | {{{#!wiki style="background-color: #74747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47474" |
고양체육관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 6,216석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고양도시관리공사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안동체육관 | 경상북도 안동시 | 6,262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경주실내체육관 | 경상북도 경주시 | 6,380석 | 8,50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박정희체육관 | 경상북도 구미시 | 6,277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안양체육관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 6,690석 | 8,526명 |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COEX D홀 | 서울특별시 강남구 | 7,000석 | 주식회사 코엑스 | {{{#!wiki style="background-color: #74747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47474" | |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야외공연장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 7,000석 | 전주세계소리축제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
인천삼산월드체육관 | 인천광역시 부평구 | 7,054석 | 10,000명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인천시설공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연세대학교 노천극장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7,500석 | 연세대학교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
광주여대시립유니버시아드체육관 | 광주광역시 광산구 | 8,337석 | 12,00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염주종합체육관 | 광주광역시 서구 | 8,500석 | 12,000명 |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남동체육관 | 인천광역시 남동구 | 8,828석 | 인천시설공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2.1.4. 10,000석 이상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 bordercolor=#000><table width=100%><tablealign=center><rowbgcolor=#000><:><rowcolor=#fff><width=25%> 공연장명 ||<:><width=23%> 위치 ||<width=10%><:> 좌석 ||<width=10%><:> 스탠딩 ||<:><width=20%> 상주/운영단체 ||<width=12%><:> 비고 ||
<colbgcolor=#f5f5f5,#2d2f34> 올림픽공원 88잔디마당 | 서울특별시 송파구 | 10,000석 | 20,000명 | 국민체육진흥공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수원제1야외음악당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 10,769석[58] | 수원시립공연단 수원문화재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
성남아트센터 야외공연장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 11,000석 | 성남아트센터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
잠실실내체육관 | 서울특별시 송파구 | 11,044석 | 20,000명 | 서울 삼성 썬더스 서울특별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강릉 아이스 아레나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12,020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순천팔마종합운동장 | 전라남도 순천시 | 12,703석 | 22,00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
사직실내체육관 | 부산광역시 동래구 | 12,995석 | 15,000명 | 부산 KCC 이지스 부산 BNK 썸 부산광역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KSPO 돔 | 서울특별시 송파구 | 14,595석 | 15,000명 | 국민체육진흥공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wiki style="background-color: #c61212;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61212" |
인스파이어 아레나 | 인천광역시 중구 | 15,000석 | 18,000명 | ㈜인스파이어인티그레이티드리조트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34343" {{{#!wiki style="background-color: #c61212;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61212" |
KINTEX 홀 2개 기준 | 경기도 일산시 일산동구 | 30,000명 | 주식회사 킨텍스 | {{{#!wiki style="background-color: #74747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47474" | |
목동종합운동장 | 서울특별시 양천구 | 15,127석 | 30,000명 | 서울 이랜드 FC 서울특별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구미시민운동장 | 경상북도 구미시 | 15,554석 | 35,00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
고척 스카이돔 | 서울특별시 구로구 | 16,000석 | 25,000명 | 키움 히어로즈 서울시설공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7482c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482c4" |
청주종합경기장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 16,280석 | 30,000명 | 충북 청주 FC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서울아레나 공사중 | 서울특별시 도봉구 | 18,269석 | 28,000명 | 서울아레나㈜, 카카오 | {{{#!wiki style="background-color: #c61212;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61212" |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 20,000석 | 40,000명 | CJ라이브시티 | {{{#!wiki style="background-color: #c61212;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61212" |
춘천송암스포츠타운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20,000석 | 25,000명 | 강원 FC 춘천시민축구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진주종합경기장 | 경상남도 진주시 | 20,116석 | 진주시민축구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
원주종합운동장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20,796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
청라 돔 야구장 공사중 | 인천광역시 서구 | 21,000석 | 40,000명 | SSG 랜더스 | {{{#!wiki style="background-color: #7482c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482c4" |
강릉종합운동장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21,146석 | 33,000명 | 강원 FC 강릉시민축구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포항종합운동장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 24,474석 | 30,000명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
청심평화월드센터 | 경기도 가평군 | 25,000석 | 통일교 재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9f76b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76b9" | |
천안종합운동장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 25,495석 | 32,000명 | 천안 시티 FC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대구 코오롱야외음악당 | 대구광역시 달서구 | 1,080석 | 27,000명 | 대구문화예술회관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창원종합운동장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 27,085석 | 30,000명 | 창원 FC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 인천광역시 서구 | 29,376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
제주월드컵경기장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29,791석 | 제주 유나이티드 FC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CB37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
전주월드컵경기장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 34,276석 | 50,000명 | 전북 현대 모터스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CB37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부천종합운동장 | 경기도 부천시 | 34,456석 | 부천 FC 1995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
잠실 돔구장 공사중 | 서울특별시 송파구 | 35,000석 | LG 트윈스 두산 베어스 | {{{#!wiki style="background-color: #7482c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482c4" | |
안산와~스타디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 35,008석 | 안산 그리너스 FC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
화성종합경기타운 | 경기도 화성시 | 35,270석 | 화성 FC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
용인미르스타디움 | 경기도 용인시 | 37,155석 | 용인도시공사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
울산문수축구경기장 | 울산광역시 남구 | 37,897석 | 울산 HD FC 울산시설공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CB37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
광주월드컵경기장 | 광주광역시 서구 | 39,655석 | 광주 FC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
대전월드컵경기장 | 대전광역시 유성구 | 40,903석 | 대전 하나 시티즌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CB37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
고양종합운동장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 43,000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
수원월드컵경기장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 43,168석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CB37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
인천문학경기장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49,084석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부산광역시 연제구 | 53,769석 | 80,000명 | 부산 아이파크 부산광역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서울특별시 송파구 | 60,013석 | 100,000명 | 서울특별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대구스타디움 | 대구광역시 수성구 | 66,422석 | 100,000명 | 대구 FC 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29EB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29EB1" |
서울월드컵경기장 | 서울특별시 마포구 | 66,704석 | 85,000명 | FC 서울 서울시설공단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wiki style="background-color: #3CB371;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CB371" |
2.1.5. 기타
누락된 목록은 아래 링크를 참조.2.2. 일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규모 분류 | 공연장 |
스타디움 (30,000명~72,000명) | 닛산 스타디움 | 도쿄 국립경기장 |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니가타 스타디움 | 시즈오카 스타디움 에코파 | 나가이 육상경기장 | 에디온 스타디움 히로시마 |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 미야기 스타디움 | 한신 고시엔 구장 | 도요타 스타디움 | 메이지진구 야구장 | 홋토못토 필드 고베 | 히로시마 시민구장 | 요코하마 스타디움 | ZOZO 마린 스타디움 | |
돔 (30,000명~50,000명) | 도쿄 돔 | 삿포로 돔 | 교세라 돔 오사카 | 후쿠오카 PayPay 돔 | 반테린 돔 나고야 | 오이타 스포츠공원 종합경기장 | 베루나 돔 | |
아레나 (6,000명~30,000명) |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나고야시 종합체육관 | 요코하마 아레나 | 오키나와 아레나 | 아리아케 아레나 | 마쿠하리 멧세 | 일본 무도관 | 국립 요요기 경기장 | 마린 멧세 후쿠오카 | 그린 돔 마에바시 | 미에 현영 선 아레나 | 마코마나이 세키스이 하임 아이스 아레나 | 도쿄 체육관 | K-아레나 요코하마 | 라라 아레나 도쿄-베이 | 피아 아레나 MM | GLION ARENA KOBE | SAGA 아레나 | |
홀 (1,500명~10,000명) | 코라쿠엔 홀 | 오사카 성 홀 | 시부야 공회당 | 퍼시피코 요코하마 국립대홀| 요코하마 BUNTAI | 후쿠오카 선팰리스홀 등 | |
라이브 하우스 (1,000명~3,000명) | Zepp | STUDIO COAST | BLITZ 등 | |
야외 스테이지 (20,000명~200,000명) | 후지큐 하이랜드 등 | }}}}}}}}} |
일본의 공연장은 대개 위 표와 같이 라이브하우스 - 홀 - 아레나 - 돔&스타디움 순으로 급이 나뉜다. 각지에 각 레벨 별로 공연장이 발달해있으며(그 중 전체 25% 정도는 도쿄도내 중심가나 오사카에 위치한다), 일본에서 라이브 하우스는 미래의 스타를 꿈꾸는 가수들이라면 반드시 거쳐가는 통과의례다.
2.2.1. 스타디움
<rowcolor=#fff> 스타디움 일람 | ||||
<rowcolor=#fff> 공연장명 | 위치 | 수용 인원 | 상주단체 | 비고 |
<colbgcolor=#f5f5f5,#2d2f34> 닛산 스타디움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 72,327명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 |
도쿄 국립경기장 | 도쿄도 신주쿠구 | 68,000명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59] |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 63,700명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
시즈오카 스타디움 에코파 | 시즈오카현 후쿠로이시 | 50,889명 | ||
나가이 육상경기장 | 오사카부 오사카시 | 50,000명 | ||
에디온 스타디움 히로시마 |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 50,000명 | 산프레체 히로시마 | |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 도쿄도 쵸후시 | 49,970명 | ||
미야기 스타디움 | 미야기현 미야기군 | 49,133명 | FC 도쿄 도쿄 베르디 | |
한신 코시엔 구장 | 효고현 니시노미야시 | 47,508명 | 한신 타이거스 | |
도요타 스타디움 | 아이치현 도요타시 | 44,380명 | 나고야 그램퍼스 도요타 베어블리츠 | |
덴카 빅 스완 스타디움 | 니가타현 니가타시 | 42,300명 | 알비렉스 니가타 알비렉스 니가타 레이디스 | [60] |
메이지진구 야구장 | 도쿄도 신주쿠구 | 37,933명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
홋토못토 필드 고베 | 효고현 고베시 | 35,000명 | 오릭스 버팔로즈 제2구장 | |
요코하마 스타디움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 34,064명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 |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 |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 33,000명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
라쿠텐모바일파크 미야기 | 미야기현 센다이시 | 30,508명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
ZOZO 마린 스타디움 | 치바현 치바시 | 29,635명 | 치바 롯데 마린즈 | [61] |
2.2.2. 돔
<rowcolor=#fff> 돔 일람 | |||||
<rowcolor=#fff> 공연장명 | 위치 | 좌석 | 스탠딩 | 운영/상주단체 | 비고 |
<colbgcolor=#f5f5f5,#2d2f34> 도쿄 돔 | 도쿄도 분쿄구 | 43,500석 | 55,000명 | 요미우리 자이언츠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 |
다이와하우스 프레미스트 돔 | 홋카이도 삿포로시 | 42,270명 |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 [62] | |
미즈호 PayPay 돔 후쿠오카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 40,142명 | 52,500명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
레조낙 돔 오이타 | 오이타현 오이타시 | 40,000석 | [63] | ||
교세라 돔 오사카 | 오사카부 오사카시 | 36,627석 | 55,000명 | 오릭스 버팔로즈 | |
반테린 돔 나고야 | 아이치현 나고야시 | 36,398석 | 50,647명 | 주니치 드래곤즈 | |
베루나 돔 | 사이타마현 토코로자와시 | 31,552석 | 40,000명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 | 홋카이도 키타히로시마시 | 30,000석 | 35,000명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2.2.3. 아레나
<rowcolor=#fff> 아레나 일람 | ||||
<rowcolor=#fff> 공연장명 | 위치 | 수용 인원 | 운영/상주단체 | 비고 |
<colbgcolor=#f5f5f5,#2d2f34>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 22,500명 | [64] | |
요코하마 아레나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 17,000명 | 세이부 그룹 | |
치바 마쿠하리 멧세 국제 전시장 9, 10, 11홀 | 치바현 치바시 | 15,000명 | ||
일본 무도관 | 도쿄도 치요다구 | 14,471명 | ||
국립 요요기 경기장 제1체육관 | 도쿄도 시부야구 | 13,291명 | ||
마린 멧세 후쿠오카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 15,000명 | ||
아리아케 아레나 | 도쿄도 고토구 | 15,000명 |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 | |
그린 돔 마에바시 | 군마현 마에바시시 | 20,000명 | [65] | |
K-아레나 요코하마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 20,000명 | ||
피아 아레나 MM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 12,412명 | ||
라라 아레나 도쿄-베이 | 치바현 후나바시시 | 11,000명 | 치바 제츠 | |
미에 현영 선 아레나 | 미에현 이세시 | 11,000명 | ||
마코마나이 세키스이 하임 아이스 아레나 | 홋카이도 삿포로시 | 10,770명 | [66] | |
GLION ARENA KOBE | 효고현 고베시 | 10,168명 | ||
도쿄 체육관 | 도쿄도 시부야구 | 10,000명 | 도쿄도 | |
오키나와 아레나 | 오키나와현 오키나와시 | 10,000명 | 류큐 골든킹스 | |
아리아케 콜로세움 | 도쿄도 고토구 | 10,000명 | 도쿄도 | |
히로시마 그린 아레나 |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 10,000명 | 히로시마현 | |
홋카이도립 종합 체육 센터 | 홋카이도 삿포로시 | 10,000명 | 홋카이도 | |
시즈오카 에코파 아레나 | 시즈오카현 | 10,000명 | ||
후쿠이 선 돔 | 후쿠이현 사바에시 | 10,000명 | ||
무사시노모리 종합 스포츠 플라자 메인 아레나 | 도쿄도 쵸후시 | 10,000명 | ||
SAGA 아레나 | 사가현 사가시 | 8,000명 | 사가 벌루너스 | |
나카노 빅 하트 | 나가노현 나가노시 | 8,000명 | [67] | |
시즈오카 하마마츠 아레나 | 시즈오카현 하마마츠시 | 8,000명 | ||
미야기 세키스이 하임 슈퍼 아레나 | 미야기현 미야기군 | 7,063명 | ||
가고시마 아레나 |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 | 5,700명 | ||
요코하마 BUNTAI | 카나가와현 요코하마시 | 5,000명 | 요코하마 B-콜세어즈 | |
제비오 아레나 센다이 | 미야기현 센다이시 | 4,009명 | 센다이 89ERS |
2.2.4. 홀 및 컨벤션 센터
<rowcolor=#fff> 홀 및 컨벤션 센터 일람 | |||
<rowcolor=#fff> 공연장명 | 위치 | 수용 인원 | 비고 |
<colbgcolor=#f5f5f5,#2d2f34> 오사카 성 홀 | 오사카부 오사카시 | 16,000명 | |
나고야 가이시 홀 | 아이치현 나고야시 | 10,000명 | 구 레인보우 홀 |
후쿠오카 국제 센터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 10,000명 | |
고베 월드 기념 홀 | 효고현 고베시 | 9,000명 | |
토키 멧세 니가타 컨벤션 센터 | 니가타현 니가타시 | 9,000명 | |
치바 마쿠하리 멧세 이벤트 홀 | 치바현 치바시 | 9,000명 | |
도쿄 가든 시어터 | 도쿄도 고토구 | 8,000명 | 아리아케 가든 내 위치 |
와카야마 빅 웨일 |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 | 8,000명 | |
서일본 종합전시장 신관 |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 8,000명 | |
이시카와 산업전시관 4호관 |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 | 7,500명 | |
퍼시피코 요코하마 국립대홀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 5,002명 | |
오키나와 컨벤션센터 전시동 | 오키나와현 기노완시 | 5,000명 | |
도쿄 국제포럼 홀A | 도쿄도 치요다구 | 5,012명 | |
NHK홀 | 도쿄도 시부야구 | 3,600명 | NHK 교향악단 상주 |
도쿄 돔 시티 홀 | 도쿄도 분쿄구 | 3,120명 | 구 JCB 홀 |
나고야국제회의장 센츄리 홀 | 아이치현 나고야시 | 3,012명 | |
가나가와 현민 홀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 2,926명 | |
오사카 페스티벌 홀 | 오사카부 오사카시 | 2,800명 | |
가고시마 현민 홀 |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 | 2,500명 | |
후쿠오카 선팰리스홀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 2,316명 | |
도쿄문화회관 대공연장 | 도쿄도 다이토구 | 2,303명 | 도쿄도 교향악단[68] 상주 |
| 도쿄도 나카노구 | 2,222명 | [70] |
분카무라 오차드 홀 | 도쿄도 시부야구 | 2,150명 | |
고베 국제회관 국제 홀 | 효고현 고베시 | 2,111명 | |
코라쿠엔 홀 | 도쿄도 분쿄구 | 2,005명 | |
카가와 현민 홀 | 카가와현 타카마츠시 | 2,000명 | |
가와사키 문화 센터 |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 | 2,000명 | |
후쿠이 피닉스 플라자 | 후쿠이현 후쿠이시 | 2,000명 | |
가고시마 시민 문화 홀 |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 | 1,990명 | |
야마나시 현립 현민 홀 | 야마나시현 고후시 | 1,990명 | YCC 현민 문화홀 |
교토 콘서트홀 메인홀 | 교토부 교토시 | 1,839명 | 교토시 교향악단[71] 상주 |
분쿄 시빅센터 홀 | 도쿄도 분쿄구 | 1,800명 | |
메르파르크 히로시마 홀 |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 1,730명 | |
NHK 홀 오사카 | 오사카부 오사카시 | 1,400명 | |
츠쿠바 NOVA 홀 | 이바라키현 츠쿠바시 | 1,000명 | |
도쿄문화회관 소공연장 | 도쿄도 다이토구 | 653명 | |
교토 콘서트홀 앙상블홀 | 교토부 교토시 | 514명 |
2.2.5. 시민 회관, 현민 회관, 센터 등
<rowcolor=#fff> 시민 회관, 현민 회관, 센터 등 | |||
<rowcolor=#fff> 공연장명 | 위치 | 수용 인원 | 비고 |
<colbgcolor=#f5f5f5,#2d2f34> 에히메 현민 문화 회관 | 에히메현 | 4,000명 | |
나카노 현민 문화 회관 | 나가노현 | 3,543명 | |
오릭스 극장 | 오사카부 오사카시 | 2,400명 | 구 오사카 후생연금회관 |
홋카이도 후생연금 회관 | 홋카이도 | 2,300명 | |
시부야 공회당 | 도쿄도 시부야구 | 2,300명 | |
나고야 시민 회관 | 아이치현 나고야시 | 2,296명 | |
군마 현민 회관 | 군마현 | 2,200명 | |
고베 국제 회관 | 효고현 고베시 | 2,112명 | |
도쿄 후생연금 회관 | 도쿄도 | 2,062명 | |
아오모리시 문화 회관 |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 | 2,031명 | |
우라와시 문화 센터 |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 2,006명 | |
교토 회관 | 교토부 교토시 | 2,005명 | |
히로시마 후생연금 회관 |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 2,000명 | |
타카마츠 시민 회관 | 카가와현 타카마츠시 | 2,000명 | |
시즈오카 시민 문화 회관 |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 2,000명 | |
마츠야마 시민 회관 | 에히메현 마츠야마시 | 1,999명 | |
쿠라시키 시민 회관 | 오카야마현 쿠라시키시 | 1,996명 | |
군마 음악 센터 | 군마현 | 1,932명 | |
미야자키 시민 회관 | 미야자키현 미야자키시 | 1,867명 | |
치바현 문화 회관 | 치바현 | 1,787명 | |
후쿠오카 시민 회관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 1,770명 | |
나가사키시 공회당 |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 1,751명 | |
니가타 현민 문화 회관 | 니가타현 | 1,730명 | |
시마네 현민 회관 | 시마네현 | 1,722명 | |
오카야마 시민 회관 |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 1,718명 | |
이시가와 후생 연금회관 | 이시카와현 | 1,707명 | |
도치기현 종합 문화 센터 | 도치기현 | 1,604명 | |
가고시마 현 문화 센터 | 가고시마현 | 1,602명 | |
구마모토 시민 회관 | 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 | 1,591명 | |
미야기 현민 회관 | 미야기현 | 1,590명 | |
이치하라 시민 회관 | 치바현 이치하라시 | 1,530명 | |
고치 현립 현민 문화 홀 | 고치현 | 1,507명 | |
삿포로 시민 회관 | 홋카이도 삿포로시 | 1,502명 | |
이와타 시민 문화 회관 | 시즈오카현 이와타시 | 1,500명 | |
센다이 청년 문화 센터 | 미야기현 센다이시 | 804명 | |
니기타시 음악 문화 회관 | 니가타현 | 520명 |
2.2.6. 라이브하우스 및 기타 공연장
<rowcolor=#fff> 라이브하우스 및 기타 공연장 | ||
<rowcolor=#fff> 공연장명 | 수용인원 | 비고 |
<colbgcolor=#f5f5f5,#2d2f34> Zepp Osaka Bayside | 2,801명 | |
Zepp Tokyo | 2,709명 | |
Zepp Namba | 2,513명 | |
Zepp DiverCity | 2,473명 | |
후쿠오카 선파레스 | 2,300명 | |
Zepp Sapporo | 2,009명 | |
Zepp Fukuoka | 2,001명 | |
도쿄 아카사카 BLITZ | 1,902명 | |
오티다 이치코 그린시어터 | 1,900명 | |
Zepp Nagoya | 1,792명 | |
Zepp Shinjuku | 1,500명 | |
Sendai PIT | 1,451명 | |
TSUTAYA O-EAST | 1,300명 | |
일본 청년관 | 1,249명 | |
EBISU LIQUIDROOM | 900명 | |
시부야 duo MUSIC EXCHANGE | 700명 | |
TSUTAYA O-WEST | 600명 | |
TSUTAYA O-nest | 250명 | |
TSUTAYA O-Crest | 200명 |
일반적으로 여기에 적힌 숫자들은 전 층을 올스탠딩으로 세울 경우를 가정한다.
2층을 관계자석으로 돌리거나, 1층에서도 절반만 쓰고 뒷 부분은 콘솔로 막거나 하는 경우도 흔히 있고, 이것만 해도 공식 수용 인원의 절반만 되어도 꽉 차게 되는 현상은 흔하다. 좌석제로 바꾸면 수용 인원이 같은 공간이라도 40%로 떨어진다.
2.3. 중국
2.3.1. 홍콩
- 카이탁 스타디움(2025년 개장 예정)
- 아시아월드엑스포 아레나
2.3.2. 마카오
- 센트루 데스포르티부 올림피쿠 - 이스타디우
- 코타이 아레나
- 갤럭시 아레나
2.4. 아시아
- 싱가포르
- 말레이시아
- 필리핀
- 필리핀 아레나
- KJC 킹 돔
2.5. 미국/캐나다
- MSG 스피어
- 크립토닷컴 아레나
- 오클랜드 아레나
- 유나이티드 센터
- 매디슨 스퀘어 가든
- 스테이트팜 아레나
- 푸르덴셜 센터
- UBS 아레나
- 토요타 센터
- 골든 1 센터
- 네이션와이드 아레나
- 더 팰리스 오브 어번 힐스
- 리틀 시저스 아레나
- 바클리스 센터
- 게인브릿지 필드하우스
- 스무디킹 센터
- 스펙트럼 센터
-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
- 캐세야 센터
- 기아 센터
- 기아 포럼
- 엔터프라이즈 센터
- 페이컴 센터
- 체이스 센터
- 페덱스 포럼
- 클라이멋 플레지 아레나
- 프로스트 뱅크 센터
- TD 가든
- T-모바일 아레나
- T-모바일 센터
- 엑셀 에너지 센터
- 브리지스톤 아레나
- 글로브 라이프 필드
- 얼리전트 스타디움
- 소파이 스타디움
- 메트라이프 스타디움
- 로즈 볼
- 솔저 필드
- 시티 필드
- BMO 스타디움
- 다저 스타디움
- 트루이스트 파크
- 오라클 파크
- 스타드 올랭피크 드 몽레알
- 로저스 아레나
- 로저스 플레이스
- 상트흐 벨
- 스코샤뱅크 아레나
- 캐네디언 타이어 센터
2.6. 유럽
2.7. 남미
3. 기타
- 연극-뮤지컬 팬덤이 여초 사회인데, 공연장은 극한의 여초시설이다. 그러나 공연장의 여자 화장실들은 수요에 비해 이들을 포용하기엔 무척 작다. 특히 인터미션 시간에 단거리 달리기 코스가 형성될 정도로 여자 화장실 앞에 대기열이 형성되는데, 대학로(서울)의 브릭스시어터처럼 계단에 여자 화장실을 하나 더 만들거나 광림아트센터처럼 한시적으로 남자 화장실을 여자 화장실로 둔갑시켜도 대기열은 존재한다. 서경대학교 공연예술센터 스콘2관이 자리한 층은 여성용 칸막이가 9개나 있다. 이 기나긴 대기열에서 여성 혼자 기다리기엔 무척 지루할 수 있다. 그래서 같이 관람하러 온 동성 친구와 함께 화장실 앞에서 줄 서거나, 남자친구를 옆에 끼고 말상대로 삼기도 한다. 극단적인 경우엔 인터미션(약 15~20분) 시간 내내 줄 서다가 2막 공연에 지각하기도 한다.
[1] 없이 하는것이 이상적이지만, 국내 환경상 음향이 좋은 홀이 드물어 반향 효과를 주기 위해 종종 사용하기도 한다. 즉, 녹화/녹음하지 않는데도 마이크를 사용하고 스피커가 울린다면 그 홀은 음향이 좋지 못하다는 이야기.[2] 이 차이는 특히 일본 마케팅을 주력으로 하는 걸그룹에서 많이 벌어진다. 일본은 공연 문화가 매우 발달한 국가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진출을 성공했다고 하면 아레나급 공연장들은 쉽게 채우는 경우가 매우 많으며, 2024년에는 닛산 스타디움에 입성한 그룹까지 나왔다.[3] 물론 예외는 있다. 잠실주경기장과 서울월드컵경기장에 입성한 아이유와 고척돔에 입성한 BLACKPINK가 그 예.[4] 그래도 잠실실내보단 많은 편이다.[5] VIXX의 경우 10만장 초반대의 음판이지만 체조 이틀을 양일 총합 2000석을 제외하고 모두 채웠다. 보통 90% 가량의 좌석을 채우면 사실상 매진한 것으로 보기 때문에 매우 구매력 높은 팬덤을 가진 셈. 물론 체조경기장의 70% 가량 채워도 그 아랫급인 잠실실내체육관보다도 비슷하거나 더 많이 들어간다.[6] 고등학교 중에는 중동고등학교가 400석 규모의 공연장을 보유하고 있다.[7] 그러나 이는 이러한 규모를 채울 팬덤이 되는 남성가수에게만 해당될 가능성이 높다. 체조경기장이 사실상 한계인 대부분의 여성가수와 나머지 남성가수의 경우 5,000석에서 15,000석 사이의 중형 공연장이 생기지 않는 이상 계속 체육관을 빌릴 것으로 예상된다.[8] 단순 스탠딩 겸용이 아닌, 수납식 좌석이 설치된 경우[A] 정악단, 민속악단, 무용단, 창작악단[10] 전북대 음악대학이 있음.[A] 정악단, 민속악단, 무용단, 창작악단[12] 상명대 음악대학이 있음.[13] CGV 신촌아트레온 상영관 1개를 리뉴얼해 만들어졌다.[14] 연세대 음악대학이 있음.[15] 현재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로 명칭이 바뀌었다.[16] 공연은 사실 경기아트센터에서 더 많이한다.[17] 충남대 음악대학이 있음.[18] 제주대 음악대학이 있음.[19] 전주시립교향악단, 전주시립국악단, 전주시립합창단[20] 상주는 덕진예술회관이지만 상당수 정기공연은 한국소리문화의전당에서 주로 소화하는편이다.[21] 동아대 음악대학이 있음.[22] 극장1은 야외극장이기 때문에 대부분 극장2를 자주 간다.[23] 건물 재건축으로 운영 중단[A] 정악단, 민속악단, 무용단, 창작악단[A] 정악단, 민속악단, 무용단, 창작악단[26] 김천시립국악단, 김천시립합창단, 김천시립소년소녀관현악단, 김천시립소년소녀합창단[27] 과천시립교향악단, 과천시립여성합창단, 과천시립소년소녀합창단[28] 동구여성합창단, 울산남성합창단, 현대청소년오케스트라, 울산현대 필하모닉 오케스트라[29] 강릉시립교향악단, 강릉시립합창단[30] 포항시립교향악단, 포항시립합창단, 포항시립연극단[31] 춘천시립교향악단, 춘천시립합창단, 춘천청소년교향악단, 춘천청소년합창단[32] 대구시립국악단, 대구시립무용단, 대구시립극단, 대구소년소녀합창단[33] 의정부시립합창단, 의정부시립무용단, 의정부소년소녀합창단[34] 부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부천시립합창단[35] 성남시립합창단, 성남시립소년소녀합창단, 성남시립교향악단, 성남시립국악단[36] 제3체육관, 구 역도경기장[37] 구미시립합창단, 구미시립무용단, 구미시립소년소녀합창단[38] 고양시립합창단, 고양시립소년소녀합창단[39] 용신시립합창단, 용인청소년오케스트라, 용인시립소년소녀합창단[40] 인천시립교향악단, 인천시립무용단, 인천시립합창단, 인천시립극단[41] 부산시립교향악단,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부산시립무용단, 부산시립합창단, 부산시립극단, 부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 부산시립소년소녀합창단[42] 장애인석 15석 포함[43] 빈야드 스타일 공연장[44] 청주시립교향악단, 청주시립합창단, 청주시립국악단, 청주시립무용단[45] 경기도립극단, 경기도립무용단, 경기필하모닉, 경기팝스앙상블[46] 대전시립교향악단, 대전시립무용단, 대전시립합창단, 대전시립청소년합창단[47] 울산시립교향악단, 울산시립합창단, 울산시립무용단, 울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 울산시립청소년합창단[48] 안산시립국악단, 안산시립합창단[49] 창원시립교향악단, 창원시립합창단, 창원시립무용단, 창원시립소년소녀합창단[50] 광주시립교향악단, 광주시립창극단, 광주시립발레단, 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 광주시립합창단,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 광주시립극단, 광주시립오페라단.[51] 빈야드 스타일 공연장[52] 구 88체육관[53] 세종문화회관에 상주하는 서울시향 정기연주회 일정의 대부분을 여기에서 소화한다.[54] 참고로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전당 내부가 아닌 우면산의 스튜디오N에서 상주되어 있으며, 전당공연시 똑같이 대관신청한다(...)[55] 무빙쉘터[56] 상주 단체이긴 하지만 사무실만 둔다. 실제 정기연주회 일정 대부분은 예술의전당과 롯데콘서트홀에서 소화한다.[57]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서울시무용단, 서울시합창단, 서울시뮤지컬단, 서울시극단, 서울시오페라단, 서울시유스오케스트라단, 서울시소년소녀합창단, 서울시청소년국악단[58] 잔디관람석 10,000석 + 고정객석 769석[59] 구 국립 카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60] 구 니가타 스타디움[61] 최대 수용인원 약 36,000명[62] 구 삿포로 돔[63] 축구 및 육상 경기장[64] 스타디움 모드시 36,500명[65] 벨로드롬 경기장[66] 1972 삿포로 동계올림픽 폐막식 개최[67] 나가노 동계올림픽 아이스하키 경기장[68] 도쿄 메트로폴리탄 심포니 오케스트라[운영중단] [70] 2023년 공연장이 들어있는 건물인 나카노 선플라자가 노후화로 재건축에 들어가며 폐관했다.[71] 시티 오브 교토 심포니 오케스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