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5007F>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
중구 | 서구 | 동구 | 영도구 | 부산진구 | |
동래구 | 남구 | 북구 | 해운대구 | 사하구 | |
금정구 | 강서구 | 수영구 | 사상구 | ||
기장군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2056ae><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2056ae>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광안동 | 구청 남천동 | 망미동 | 민락동 | 수영동 | }}}}}} |
부산광역시의 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수영구 水營區 Suyeong-gu | }}} | |||
<colbgcolor=#2056ae><colcolor=#fff> 구청 소재지 | 남천동로 100 (남천동) | |||||
광역자치단체 | 부산광역시 | |||||
하위 행정구역 | 10동[1] | |||||
면적 | 10.21㎢ | |||||
인구 | 172,026명[2] | |||||
인구밀도 | 16,878.45명/㎢[3] | |||||
구청장 | | 강성태 (재선) | ||||
[[수영구의회|{{{#fff 구의회}}}]] | | 4석[4] | ||||
| 3석[5] | |||||
| 2석[6] | |||||
시의원 | | 2석[7] | ||||
국회의원 | | 정연욱 (초선) | ||||
상징 | <colbgcolor=#2056ae><colcolor=#fff> 구화 | 함박꽃 | ||||
구목 | 곰솔나무 | |||||
구조 | 동박새 | |||||
지역번호 | 051 | |||||
| | | | | |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의 동남부에 위치한 자치구. 동쪽은 수영강을 사이에 두고 해운대구, 서쪽은 남구, 북쪽은 연제구와 각각 접하고 남쪽은 수영만(水營灣)에 면한다.원래 동래구에서 남구로 1975년에 분구었다가, 거기서 다시 1995년 남구에서 수영구가 분구[8][9]되어 신설되었다. 일제강점기까지는 해운대구와 함께 동래군 남면 소속이었다. 관할구역은 남천(南川)1~2·광안(廣安)1~4·망미(望美)1~2·수영(水營)·민락동(民樂洞)의 10개동이다. 구청 소재지는 남천2동이다.
구 이름은 이곳에 있었던 조선시대 수군 지휘부인 경상좌수영에서 따왔다.
2. 상징
수영구청 |
구기[10] |
3. 역사
조선시대에는 이곳 지명의 유래가 된 수군 지휘부인 경상좌수영이 있었고, 현재도 수영의 건물이 약간 남아있긴 하지만, 지금은 존재감이 없다. 그냥 공원이다. 구 홈페이지에서도 그렇게 부르고 있다. 수영역에서 하차하면 어딘가에 박혀있는 게 지도에 나온다.일제강점기까지는 해운대구와 함께 동래군 남면 소속이었다. 수영구는 1995년 남구에서 분구되어서 출범했지만 '수영'이란 이름은 1957년 동래구 수영출장소라는 명칭으로 먼저 쓰인 바 있다. 동래구 수영출장소는 부산진구 대연출장소 및 동구 범일3동 일부와 합쳐져 1975년 남구로 승격되었다. 그리고 지금의 수영구는 옛 수영출장소와 대연출장소 남천동을 포함한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남천2동에 소재한 구청은 원래 남구청사였다가 분구 이후 수영구청사로 전환되었다. 졸지에 구청사를 잃은 남구는 꽤 오랫동안 신청사 문제로 골머리를 앓았으니 굴러온 돌이 박힌 돌 제대로 뺀 셈.[11]
분구된 지 꽤 시간이 많이 흘렀음에도 아직까지도 부산 자치구 중 독립된 관할 경찰서가 없는 유일한 구다. 망미동, 수영동은 연제경찰서, 광안동, 남천동, 민락동은 남부경찰서가 관할하고 있다. 부산수영경찰서가 개서 예정이기는 한데 연이은 문제로 진척이 없었다가 2025년 5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4. 인구
부산광역시 수영구 인구 추이 (1995년~현재) |
1995년 3월 1일 남구 일부 지역[12] → 부산광역시 수영구 승격 분리 |
1995년 202,698명 |
2000년 184,743명 |
2005년 178,664명 |
2010년 178,267명 |
2015년 179,795명 |
2020년 176,894명 |
2024년 10월 172,32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0만 명 |
행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민락동 27,805명 |
망미제1동 26,439명 | |
광안제1동 25,452명 | |
광안제2동 18,521명 | |
남천제1동 16,057명 | |
수영동 14,076명 | |
남천제2동 13,432명 | |
광안제4동 13,387명 | |
망미제2동 10,096명 | |
광안제3동 9,479명 | |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법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광안동 65,646명 |
망미동 35,756명 | |
남천동 30,065명 | |
민락동 27,494명 | |
수영동 13,853명 | |
2024년 8월 기준 행정안전부 법정동별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현황, 그래프 최대 값은 6.5만 명 |
원래는 인구가 20만에 달하는 지역이었지만 도심 공동화 현상과 젊은이들의 상경과 후에 부산으로 편입된 기장군과 강서구의 개발로 인해 현재는 기장군에게 역전당한 상황이다.
===# 행정동별 인구 #===
남천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일자미상 남천동(법정동) → 남천동(행정동) |
1966년 3,584명 |
1970년 6,250명 |
1975년 10,423명 |
1980년 25,040명 |
1983년 10월 1일 남천동 → 남천제1동, 남천제2동 분동 |
1985년 14,804명 |
1990년 17,851명 |
1995년 16,050명 |
2000년 14,996명 |
2005년 14,721명 |
2010년 14,398명 |
2015년 15,155명 |
2020년 14,043명 |
2023년 9월 16,01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남천제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
1983년 10월 1일 남천동 → 남천제1동, 남천제2동 분동 |
1985년 19,387명 |
1990년 18,050명 |
1995년 16,156명 |
2000년 14,761명 |
2005년 12,104명 |
2010년 15,286명 |
2015년 14,910명 |
2020년 12,345명 |
2023년 9월 13,373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수영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일자미상 망미동 + 수영동 → 수영동 신설 |
1966년 4,001명 |
1970년 9,952명 |
1975년 27,561명 |
1979년 1월 1일 수영동 → 수영동, 망미동 분동 |
1980년 25,027명 |
1985년 21,808명 |
1990년 21,456명 |
1995년 22,108명 |
2000년 17,656명 |
2005년 17,113명 |
2010년 15,760명 |
2015년 16,265명 |
2020년 14,924명 |
2023년 9월 14,10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
망미제1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
1979년 1월 1일 수영동 → 수영동, 망미동 분동 |
1980년 31,043명 |
1982년 9월 1일 망미동 → 망미제1동, 망미제2동 분동 |
1985년 31,043명 |
1990년 32,599명 |
1995년 37,665명 |
2000년 32,529명 |
2005년 28,793명 |
2010년 30,310명 |
2015년 27,165명 |
2020년 27,921명 |
2023년 9월 26,61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
망미제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
1982년 9월 1일 망미동 → 망미제1동, 망미제2동 분동 |
1985년 17,317명 |
1990년 16,800명 |
1995년 15,743명 |
2000년 12,685명 |
2005년 14,607명 |
2010년 14,509명 |
2015년 13,161명 |
2020년 11,501명 |
2023년 9월 10,14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광안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일자미상 광안동(법정동) → 광안동(행정동) |
1966년 12,811명 |
1970년 21,317명 |
1975년 10월 1일 광안동 → 광안제1동, 광안제2동 분동 |
1975년 21,699명 |
1979년 8월 8일 광안제1동 → 광안제1동, 광안제3동 분동 |
1980년 16,627명 |
1985년 19,734명 |
1990년 22,597명 |
1995년 21,084명 |
2000년 24,732명 |
2005년 24,076명 |
2010년 23,983명 |
2015년 25,596명 |
2020년 26,065명 |
2023년 9월 25,62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
광안제2동 인구 추이 (1975년~현재) |
1975년 10월 1일 광안동 → 광안제1동, 광안제2동 분동 |
1975년 21,744명 |
1980년 29,938명 |
1982년 9월 1일 광안제2동 → 광안제2동, 광안제4동 분동 |
1985년 20,347명 |
1990년 19,641명 |
1995년 17,268명 |
2000년 15,268명 |
2005년 15,253명 |
2010년 16,747명 |
2015년 18,072명 |
2020년 18,688명 |
2023년 9월 18,50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광안제3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
1979년 8월 8일 광안제1동 → 광안제1동, 광안제3동 분동 |
1980년 15,760명 |
1985년 13,988명 |
1990년 14,674명 |
1995년 13,217명 |
2000년 10,621명 |
2005년 10,078명 |
2010년 10,153명 |
2015년 10,604명 |
2020년 9,696명 |
2023년 9월 9,50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광안제4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
1982년 9월 1일 광안제2동 → 광안제2동, 광안제4동 분동 |
1985년 15,570명 |
1990년 16,008명 |
1995년 15,114명 |
2000년 13,267명 |
2005년 13,848명 |
2010년 14,923명 |
2015년 15,025명 |
2020년 13,127명 |
2023년 9월 13,41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민락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일자미상 민락동(법정동) → 민락동(행정동) |
1966년 3,959명 |
1970년 8,415명 |
1975년 13,842명 |
1980년 21,094명 |
1985년 24,602명 |
1990년 29,225명 |
1995년 21,156명 |
2000년 18,963명 |
2005년 22,080명 |
2010년 22,198명 |
2015년 23,842명 |
2020년 28,584명 |
2023년 9월 27,95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5.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2056ae>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2056ae><colcolor=#fff> ㄱ | 감포로 · 과정로 · 광남로 · 광서로 · 광안로 · 광안해변로 · 광일로 · 금련로 · 구락로 | |
ㄴ | 남천동로 · 남천바다로 · 남천서로 | ||
ㅁ | 망미로 · 망미배산로 · 망미번영로 · 무학로 · 민락로 · 민락본동로 · 민락수변로 | ||
ㅂ | 배산중로 | ||
ㅅ | 수미로 · 수영로 · 수영성로 | ||
ㅇ | 연수로 | ||
ㅈ | 장대골로 · 좌수영로 | ||
ㅌ | 토곡남로 · 톳고개로 | ||
ㅎ | 호암로 · 황령산로 | ||
부산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수영로가 망미동을 제외한 수영구를 관통하며 그 중요성에 비해 왕복 6차로에 불과하기 때문에 굉장히 혼잡한 편이다.
도심인 서면과 이 구의 사이엔 황령산과 금련산 등의 산이 막아서고 있기 때문에 도심(서면)과의 교통은 황령터널을 이용하거나 남구(경성대, 못골시장, 문현교차로) 등을 경유해 빙 둘러가는 식으로 이뤄진다.[13] 그리고 센텀시티, 해운대로 가려면 남천동에서는 광안대교를 타면 되며 광안동, 수영동, 민락동에서는 민락교, 수영교, 좌수영교를 타면 된다.
남천동, 남구와 연제구 연산동을 수영구 관내를 거치지않고 바로 잇는 제3황령터널이 뚫릴 예정이며 개통이 된다면 수영로와 연수로의 교통혼잡이 조금은 줄어들것으로 기대중이다.
참고로 수영구는 마을버스가 상당히 활성화되어있는 부산에서도 마을버스 노선이 2개밖에 없는 구이다.[14]
그리고 부산 내에서 교통이 상당히 편리한 축에 속한다. 해운대, 연산, 동래, 경성대(남구), 서면 등 주요 지역에 30분 내로 접근할 수 있으며 번영로 망미나들목을 통해 경부고속도로 구서IC로도 바로 진입이 가능하다. 대중교통도 부산 도시철도 2, 3호선(1호선은 연산역에서 환승 가능)을 이용할 수 있다. 수영터널이 이 구에 속해 있다.
5.1. 관내 철도역 목록
수영구의 철도역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민락역, 수영역, 광안역, 금련산역, 남천역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수영역, 망미역 |
5.2. 항구.어항
지방어항 : 민락항소규모어항 : 남천항
총 : 2개소
6. 경제
해운대구에 밀려 콩라인이다. 그래도 유명 관광지와 부촌이 위치한 지역이다 보니 부산 내에서의 재정자립도는 상위권에 해당된다.수영구의 재정을 책임지는 광안리는 해운대와 더불어 해마다 방문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매년 여름마다 수영을 하러 오는 방문객들이 수영구에서 숙식을 해결하며 유흥을 즐기는 등 그 덕분에 수영구가 돈을 엄청 많이 벌고 있다. 매년 11월 부산광역시의 대표적인 관광상품이며, 매년 100만 명 이상의 관람 기록을 세우는 대한민국 최대 불꽃축제인 부산불꽃축제가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되고 있다.[15]
6.1. 금융
수영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 |||
제1금융권[괄호] | |||
국가기관 | |||
남부산우체국 (4) | |||
국책은행 | |||
중소기업은행 (2) | |||
특수은행 | |||
농협은행(중앙회) (2) | |||
시중은행 | |||
신한은행 (1) | 우리은행 (3) | ||
하나은행 (2) | 국민은행 (2) | ||
지방은행 | |||
부산은행 (12) | |||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 |||
농업협동조합 | |||
남부산농협 (2) | |||
수산업협동조합 | |||
부산시수협 (1) | 경남정치망수협 (1) | 대형선망수협 (1) | |
새마을금고 | |||
수영중앙새마을금고 (5) | 수영새마을금고 (2) | 민락동새마을금고 (1) | 광안새마을금고 (2) |
남천동새마을금고 (2) | |||
신용협동조합 | |||
광안신용협동조합 (4) | 남천천신용협동조합 (2) | 부산약사신용협동조합 (1) | 부산문화방송신용협동조합 (1) |
7. 관광
<colcolor=#fff> |
1954년의 광안리와 2008년의 광안리 |
2004년부터 2010년까지 광안리해수욕장 야외무대에서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의 야외 결승전이 열렸으며, 때문에 한때 성지라는 표현이 여기에 붙기도 했다.
매년 11월 부산광역시의 대표적인 관광상품이며, 매년 100만 명 이상의 관람 기록을 세우는 대한민국 최대 불꽃축제인 부산불꽃축제가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되고 있다.
해수욕장은 위 사실들을 제외하면 광안대교로 더 알려지고 있는 듯 하며 2006년부터 부산불꽃축제를 시작했다. 이땐 이 구를 지나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미어터지니 주의할 것.
부산 3대 빵집 중 하나인 옵스(OPS) 본점이 남천동에 있다. 대표 메뉴로는 '학원전'과 '슈크림빵'이 있다.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국 배송이 가능하다.# 군산의 이성당, 대전의 성심당, 대구의 삼송빵집과 더불어 전국 4대 빵집으로 불린다.#
8. 의료
9. 교육
부산광역시 수영구의 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덕문여자고등학교 | 부산남일고등학교 | 부산동여자고등학교 | ◈ 부산여자상업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고등학교
- 덕문여자고등학교 (광안동 8-8)
- 부산남일고등학교(舊 망미고등학교) (망미동 920-10)
- 부산동여자고등학교 (남천동 65)
- 부산여자상업고등학교 (망미동 979-15)
부산광역시 수영구의 중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광안중학교 | 동수영중학교 | 동아중학교 | |||
망미중학교 | 부산수영중학교 | 한바다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중학교
- 광안중학교 (광안동 977-1)
- 동수영중학교(舊 수영여자중학교) (광안동 산18-2)
- 동아중학교 (광안동 1222-23)
- 망미중학교(舊 망미여자중학교) (망미동 952-2)
- 부산수영중학교 (광안동 732)
- 한바다중학교(舊 광안여자중학교) (광안동 154-1)
부산광역시 수영구의 초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광남초등학교 | 광안초등학교 | 남천초등학교 | 망미초등학교 | 민락초등학교 |
민안초등학교 | 배산초등학교 | 수미초등학교 | 수영초등학교 | 호암초등학교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초등학교
- 광남초등학교 (남천동 147)[20]
- 광안초등학교 (광안동 154)
- 남천초등학교 (남천동 69-27)
- 망미초등학교 (망미동 268-2)
- 민락초등학교 (민락동 3)
- 민안초등학교 (민락동 551-1)
- 배산초등학교 (망미동 920)
- 수미초등학교 (망미동 760)
- 수영초등학교 (광안동 725)
- 호암초등학교 (광안동 1194-2)
특수학교
- 부산배화학교 (망미동 787)
외국인학교
- 부산 일본인학교 (부산 수영구 민락로19번길 11)
10. 정치
자세한 내용은 수영구/정치 문서 참고하십시오.11. 하위 행정구역
12. 기타
2015년부로 수영구의 성비는 92로 전국의 구중에서 여성의 비율이 제일 높다. 2014년까지는 강남구가 계속 1위였고 수영구가 2위였으나 결국 역전했다. 참고로 성비가 90인 영덕군과 합천군도 있지만 이곳들은 할머니들이 많아서 여성의 비율이 높아지게 된 것.대형마트가 두 군데 존재한다. 메가마트 남천점과 코스트코 부산점이 위치해 있다. 특히 코스트코는 부산 각지에서 코스트코로 쇼핑을 오는 수요가 많다.
잘 부각되지는 않지만 한 때 부산권 방송의 중심지였었다. KBS 부산이 있으며, KNN이 있는 센텀시티 역시 수영구 바로 건너편이기 때문이다. 부산 MBC는 2023년 6월에 민락동에서 범일동으로 이전하였다.
13.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 곽경택: 영화 친구 감독
- 김근환: 틱톡커
- 서다현: 걸그룹 tripleS의 멤버
- 소수빈: 가수
- 아이사: 걸그룹 STAYC의 멤버
- 우지: 보이그룹 세븐틴의 멤버
- 은상: 보이그룹 YOUNITE의 멤버
- 이대호: 야구 선수
- 이우민: 야구 선수
- 정유미
- 재윤: 보이그룹 SF9의 멤버
- 조원우: 前 롯데 자이언츠 감독
- 지대한: 배우
- 짱유 래퍼
- 추신수: 야구 선수
- 최지우: 배우
- 허팝: 유튜버
- 황민현: 가수, 배우
- 조용호: 前 프로게이머
- 김소정: 유튜버, PD
14. 관련 문서
- 동래
- 수영 - 2,3번 문단.
광안리에서 1번 문단도 가능하다. - 수영강
- 남천 삼익비치아파트 - 한때 전국적으로 가장 비싼 아파트였다.
- 광안리
- 광안대교
- 부산불꽃축제
- 이대호
- 추신수
- 수영로교회
- F1963
[1] 5개 법정동, 10개 행정동[2] 2024년 1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3] 2024년 10월 기준.[4] 수영구 가선거구 (남천1동, 남천2동, 광안2동): 조선민
수영구 나선거구 (광안1동, 광안3동, 광안4동): 권진성
수영구 다선거구 (망미1동, 망미2동): 윤정환
수영구 라선거구 (수영동, 민락동): 김진[5] 수영구 가선거구 (남천1동, 남천2동, 광안2동): 김보언
수영구 다선거구 (망미1동, 망미2동): 김태성
수영구 라선거구 (수영동, 민락동): 조병제[6] 수영구 나선거구 (광안1동, 광안3동, 광안4동): 이윤형
수영구 비례대표: 손사라[7] 수영구 제1선거구 (남천1동, 남천2동, 광안1동, 광안2동, 광안3동, 광안4동): 박철중 (초선)
수영구 제2선거구 (수영동, 망미1동, 망미2동, 민락동): 이승연 (초선)[8] 남구 출범 전에 남천동을 제외한 수영구 지역은 동래구에 소속되어 있었다. 남천동은 부산진구 소속이었다.[9] 남구에서 분구되긴 했지만 현 수영구청사는 원래 남구청사였다. 비슷한 케이스로 성동구에서 분리된 광진구와 도봉구에서 분리된 강북구가 있다.[10] 해당 구기는 2009년부터 사용하고 있다.[11] 자세한 사항은 남구 참조. 비슷한 사례로 성동구에서 분리된 광진구와 도봉구에서 분리된 강북구가 있다.[12] 남천제1동, 남천제2동, 수영동, 망미제1동, 망미제2동, 광안제1동, 광안제2동, 광안제3동, 광안제4동, 민락동[13] 수영구와 부산진구를 연결하는 연수로가 있는데 연제구를 거쳐가야 한다.[14] 사실 수영구는 지형이 세로로 긴 형태이고 고지대가 많이 없으며, 시내버스 노선이 잘 되어 있어 마을버스 노선이 많을 필요가 없다.[15] 부산불꽃축제는 부산국제영화제와 같이 부산에서 가장 유명한 행사이며, 서울세계불꽃축제와 더불어 한국 2대 불꽃축제 중 하나로 손꼽힌다. 불꽃의 연출과 규모는 서울세계불꽃축제를 능가한다고 평가된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19] 1980~1990년대 전국구 가격을 자랑하던 부산 최고의 부촌이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부산에서 조세변호사로 잘나가던 시절 이곳에서 살았고 부산이 낳은 야구계 슈퍼스타 중 한 명인 최동원도 이곳에서 살았다고 한다.[20] 구청 바로 밑에 있어서 수영구에게 많은 혜택을 받는다.
수영구 나선거구 (광안1동, 광안3동, 광안4동): 권진성
수영구 다선거구 (망미1동, 망미2동): 윤정환
수영구 라선거구 (수영동, 민락동): 김진[5] 수영구 가선거구 (남천1동, 남천2동, 광안2동): 김보언
수영구 다선거구 (망미1동, 망미2동): 김태성
수영구 라선거구 (수영동, 민락동): 조병제[6] 수영구 나선거구 (광안1동, 광안3동, 광안4동): 이윤형
수영구 비례대표: 손사라[7] 수영구 제1선거구 (남천1동, 남천2동, 광안1동, 광안2동, 광안3동, 광안4동): 박철중 (초선)
수영구 제2선거구 (수영동, 망미1동, 망미2동, 민락동): 이승연 (초선)[8] 남구 출범 전에 남천동을 제외한 수영구 지역은 동래구에 소속되어 있었다. 남천동은 부산진구 소속이었다.[9] 남구에서 분구되긴 했지만 현 수영구청사는 원래 남구청사였다. 비슷한 케이스로 성동구에서 분리된 광진구와 도봉구에서 분리된 강북구가 있다.[10] 해당 구기는 2009년부터 사용하고 있다.[11] 자세한 사항은 남구 참조. 비슷한 사례로 성동구에서 분리된 광진구와 도봉구에서 분리된 강북구가 있다.[12] 남천제1동, 남천제2동, 수영동, 망미제1동, 망미제2동, 광안제1동, 광안제2동, 광안제3동, 광안제4동, 민락동[13] 수영구와 부산진구를 연결하는 연수로가 있는데 연제구를 거쳐가야 한다.[14] 사실 수영구는 지형이 세로로 긴 형태이고 고지대가 많이 없으며, 시내버스 노선이 잘 되어 있어 마을버스 노선이 많을 필요가 없다.[15] 부산불꽃축제는 부산국제영화제와 같이 부산에서 가장 유명한 행사이며, 서울세계불꽃축제와 더불어 한국 2대 불꽃축제 중 하나로 손꼽힌다. 불꽃의 연출과 규모는 서울세계불꽃축제를 능가한다고 평가된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19] 1980~1990년대 전국구 가격을 자랑하던 부산 최고의 부촌이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부산에서 조세변호사로 잘나가던 시절 이곳에서 살았고 부산이 낳은 야구계 슈퍼스타 중 한 명인 최동원도 이곳에서 살았다고 한다.[20] 구청 바로 밑에 있어서 수영구에게 많은 혜택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