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0:45:55

사하구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중구(부산광역시) CI.svg
중구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서구
파일:동구(부산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영도구 CI.svg
영도구
파일:부산진구 CI.svg
부산진구
파일:동래구 CI.svg
동래구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남구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북구
파일:해운대구 CI.svg
해운대구
파일:사하구 CI.svg
사하구
파일:금정구 CI.svg
금정구
파일:강서구(부산광역시) CI.svg
강서구
파일:연제구 CI.svg
[[부산광역시청|
시청
]] 연제구
파일:수영구 CI.svg
수영구
파일:사상구 CI.svg
사상구
파일:기장군 CI.svg
기장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c4161d><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c4161d>
파일:사하구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 #555555;"
감천동 괴정동 구평동 다대동
구청
당리동
신평동 장림동 하단동 }}}}}}}}}
부산광역시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사하구 CI.svg
사하구
沙下區
Saha-gu
}}}
<colbgcolor=#c4161d><colcolor=#fff>
구청
소재지
<colbgcolor=#c4161d><colcolor=#fff> 1청사 낙동대로398번길 12 (당리동)
2청사 하신중앙로 185 (신평동)
광역자치단체 부산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16[1]
면적 41.77㎢
인구 292,717명[2]
인구밀도 7,007.82명/㎢[3]
구청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갑준 (초선)
구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0석[4]

파일:zsdkl3gasdg.svg
5석[5]

1석[6]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3석[7]

파일:zsdkl3gasdg.svg
1석[8]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성권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조경태 (6선)
상징 구화 장미
구목 회화나무[9]
구조 고니
지역번호 051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인구5. 지역 특징6. 교통7. 경제
7.1. 금융
8. 문화/명소9. 교육10. 의료기관11. 정치12. 하위 행정구역13. 나무위키에 등록된 관련 인물14. 관련 사건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의 남서부에 위치한 자치구. 40㎢ 가량의 면적인구경기도 광명시와 거의 비슷하다.[10]

낙동강 벨트의 한 축으로서 서부산권에 속하는 지역이다.

이름사상구의 아래쪽에 있다고 해서 사하구가 되었다. 원래 사상-사하 지역은 조선시대 동래부 '사천면'이라는 곳이었다. 사천면의 상단부는 먼저 시가지가 발달해 현재사상구가 되는 사상면으로 분리됐고 사천면의 하단부는 '사천면'이라는 이름을 그대로 유지하였는데 사하구 위치가 원래 바다였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낙동강 삼각주-범람원 확장으로 점차 육지로 바뀌면서 면적이 커지자 사상구에서 이름을 따 와 사하구라는 이름을 만들었다.

2. 상징

사하구의 CI
파일:사하구 CI.svg
전체 조형은SAHA의 이니셜인 S와 사하구의 상징인 낙동강 하구 철새도래지의 고니형상을 합성한 것으로서 사하구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상징합니다.
사하구의 브랜드 슬로건
파일:사하구 브랜드 슬로건.svg
힘찬 파도를 형상화한 그래픽 요소는 더 큰 세상을 향한 을숙도의 지형을 모티브로 하여 환경과 산업의 조화로운 성장과 사하구의 미래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사하구의 명칭은 캘리그래피를 이용하여 구민과 방문객들로 하여금 친근감을 더하고 색상 컨셉은 활력이 넘치며 재도약의 의미를 가지는 Red 계열과 믿음직스럽고 추진력 있는 Blue 계열로 색을 활용하였습니다.
사하구의 마스코트
파일:사하구 마스코트 고우니.svg
선의 여백과 간결함으로 한국적인 미를 나타낸 고니이다.
사하구의 상징물
<colbgcolor=#fff,#1c1d1f> 구목
회화나무
괴목(槐木)이라고도 부르며 괴정동의 유래가 됨.
구화
장미
아름다움 (美), 사랑(愛), 사모함을 나타내며, 구민의 화합과 정열을 상징.
구조
고니
세계적인 철새도래지 을숙도의 대표 조류로 전 세계적으로 인지도가 높고, 순백의 우아하고 아름다운 외형에 가족애가 끈끈하고, 전 세계를 무대로 비상하는 진취성인 상징성을 가지고 있음.

3. 역사

  •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동래군 사천면이 남북으로 나뉘어 북쪽에 사상면, 남쪽에 사하면 설치
  • 1942년: 동래군 사하면이 부산부에 편입.
  • 1951년: 서부출장소 사하지소 설치
  • 1957년: 서구 사하출장소 전환
  • 1975년: 부산시 직할 출장소 승격
  • 1983년: 사하구 설치[11]

4. 인구

파일:사하구 CI.svg 부산광역시 사하구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5년 10월 1일 (정부직할)부산시 서구 사하출장소 → (정부직할)부산시 사하출장소 승격
1980년 208,787명
1983년 12월 15일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 강서출장소 을숙도, 일웅도사하구 승격
1985년 271,124명
1990년 342,647명
1995년 388,534명
2000년 388,020명
2005년 371,909명
2010년 358,730명
2015년 337,781명
2020년 311,757명
2024년 10월 292,71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0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다대제1동 36,763명
장림제2동 26,090명
다대제2동 25,820명
하단제2동 25,131명
당리동 24,422명
하단제1동 21,486명
괴정제1동 18,201명
신평제2동 17,313명
감천제1동 17,252명
신평제1동 15,811명
괴정제2동 15,205명
괴정제4동 15,196명
구평동 12,465명
괴정제3동 11,620명
장림제1동 10,167명
감천제2동 5,397명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
법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다대동 61,318명
괴정동 59,141명
하단동 46,079명
장림동 35,625명
신평동 32,617명
당리동 23,939명
감천동 22,073명
구평동 12,390명
2024년 8월 기준 행정안전부 법정동별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현황, 그래프 최대 값은 6만 명
}}}}}}}}} ||
===# 행정동별 인구 #===
파일:사하구 CI.svg 괴정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괴정동(법정동) → 괴정동(행정동)(?)[R]
일자미상 괴정동 → 괴정제1동, 괴정제2동 분동
1966년 1월 1일 괴정제1동괴정제1동, 괴정제3동 분동
1966년 5,091명
1970년 8,268명
1975년 17,022명
1979년 8월 8일 괴정제1동괴정제1동, 괴정제4동 분동
1980년 18,826명
1985년 24,317명
1990년 26,636명
1995년 23,664명
2000년 23,451명
2005년 22,056명
2010년 22,020명
2015년 20,492명
2020년 20,127명
2023년 8월 18,38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사하구 CI.svg 괴정제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괴정동(법정동) → 괴정동(행정동)(?)[R]
일자미상 괴정동 → 괴정제1동, 괴정제2동 분동
1966년 4,773명
1970년 8,439명
1975년 12,509명
1980년 18,248명
1985년 21,108명
1990년 24,325명
1995년 22,864명
2000년 19,716명
2005년 17,016명
2010년 17,558명
2015년 16,551명
2020년 14,343명
2023년 8월 15,27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사하구 CI.svg 괴정제3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월 1일 괴정제1동 → 괴정제1동, 괴정제3동 분동
1966년 12,073명
1970년 15,610명
1975년 17,649명
1980년 17,257명
1985년 22,149명
1990년 24,736명
1995년 20,725명
2000년 17,110명
2005년 15,591명
2010년 14,677명
2015년 13,997명
2020년 12,984명
2023년 8월 11,73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사하구 CI.svg 괴정제4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8월 8일 괴정제1동 → 괴정제1동, 괴정제4동 분동
1980년 14,268명
1985년 18,403명
1990년 21,270명
1995년 20,597명
2000년 17,878명
2005년 17,542명
2010년 17,000명
2015년 14,551명
2020년 11,346명
2023년 8월 15,08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사하구 CI.svg 당리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당리동(법정동) → 당리동(행정동)
1966년 935명
1970년 1,916명
1975년 4,197명
1980년 14,533명
1985년 25,395명
1990년 29,649명
1995년 31,582명
2000년 31,307명
2005년 29,454명
2010년 30,177명
2015년 30,463명
2020년 27,246명
2023년 8월 24,58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40만명에 육박하던 시절이 있었으나, 서부산장유지역의 지속적인 개발로 인구 30만명 선이 무너졌다. 더 이상 개발 부지가 없는 상황을 고려하면 인구 감소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파일:사하구 CI.svg 하단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하단동(법정동) → 하단동(행정동)
1966년 3,896명
1970년 5,559명
1975년 7,073명
1980년 17,167명
1983년 12월 15일 사하구 신설
북구 강서출장소 中 을숙도, 일웅도 편입(거주민은 없음)
1985년 31,611명
1990년 38,340명
1992년 9월 1일 하단동 → 하단제1동, 하단제2동 분동
1995년 26,116명
2000년 24,375명
2005년 25,430명
2010년 24,455명
2015년 23,567명
2020년 21,792명
2023년 8월 21,51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파일:사하구 CI.svg 하단제2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2년 9월 1일 하단동 → 하단제1동, 하단제2동 분동
1995년 25,715명
2000년 23,556명
2005년 30,116명
2010년 28,307명
2015년 26,990명
2020년 25,446명
2023년 8월 25,24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사하구 CI.svg 신평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신평동(법정동) → 신평동(행정동)
1966년 1,842명
1970년 12,944명
1975년 17,681명
1980년 21,956명
1985년 24,689명
1990년 38,173명
1992년 9월 1일 신평동 → 신평제1동, 신평제2동 분동
1995년 28,148명
2000년 22,208명
2005년 21,337명
2010년 19,884명
2015년 17,967명
2020년 17,685명
2023년 8월 15,85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파일:사하구 CI.svg 신평제2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2년 9월 1일 신평동 → 신평제1동, 신평제2동 분동
1995년 21,019명
2000년 20,647명
2005년 18,101명
2010년 17,264명
2015년 15,640명
2020년 16,012명
2023년 8월 17,36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사하구 CI.svg 장림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장림동(법정동) → 장림동(행정동)
1966년 3,324명
1970년 5,438명
1975년 16,143명
1980년 28,191명
1983년 10월 1일 장림동 → 장림제1동, 장림제2동 분동
1985년 17,396명
1990년 20,393명
1995년 15,470명
2000년 11,911명
2005년 15,183명
2010년 15,158명
2015년 13,933명
2020년 11,175명
2023년 8월 10,21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사하구 CI.svg 장림제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3년 10월 1일 장림동 → 장림제1동, 장림제2동 분동
1985년 14,340명
1990년 22,060명
1995년 29,960명
2000년 29,725명
2005년 29,676명
2010년 31,808명
2015년 28,876명
2020년 28,080명
2023년 8월 26,23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사하구 CI.svg 다대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다대동(법정동) → 다대동(행정동)
1966년 4,370명
1970년 5,475명
1975년 8,099명
1980년 9,415명
1985년 13,736명
1990년 31,865명
1992년 9월 1일 다대동 → 다대제1동, 다대제2동 분동
1995년 26,048명
2000년 42,888명
2005년 37,370명
2010년 46,327명
2015년 44,790명
2020년 39,923명
2023년 8월 36,98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75만 명
파일:사하구 CI.svg 다대제2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2년 9월 1일 다대동 → 다대제1동, 다대제2동 분동
1995년 31,962명
2000년 37,736명
2005년 33,807명
2010년 30,515명
2015년 31,403명
2020년 28,094명
2023년 8월 25,91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사하구 CI.svg 구평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구평동(법정동) → 구평동(행정동)
1966년 1,563명
1970년 1,702명
1975년 3,195명
1980년 5,066명
1985년 6,293명
1990년 7,755명
1995년 7,363명
2000년 8,567명
2005년 7,517명
2010년 7,037명
2015년 7,283명
2020년 11,680명
2023년 8월 12,59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사하구 CI.svg 감천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감천동 → 감천제1동, 감천제2동 분동
1966년 4,822명
1970년 6,393명
1975년 11,404명
1980년 19,329명
1985년 25,739명
1990년 33,051명
1995년 28,730명
2000년 29,537명
2005년 27,982명
2010년 26,144명
2015년 22,895명
2020년 19,425명
2023년 8월 17,40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사하구 CI.svg 감천제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감천동 → 감천제1동, 감천제2동 분동
1966년 12,529명
1970년 16,389명
1975년 17,184명
1980년 25,191명
1985년 26,005명
1990년 24,485명
1995년 21,304명
2000년 14,786명
2005년 11,829명
2010년 10,394명
2015년 8,383명
2020년 6,394명
2023년 8월 5,45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5. 지역 특징

낙동강 하구에 위치하여 다대반도, 두송반도, 장군반도가 늘어선 특이한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

파일:FILE_20150512001548152954.jpg

부산을 대표하는 해수욕장 중 하나인 다대포해수욕장이 있다. 특히 다대동 부분은 서부산 이미지와 다른 쾌적한 주거지로 각광받고 있다. 백사장은 시내 다른 해수욕장과는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넓고 최근 정비사업을 진행하면서 다대포 해변공원을 성공적으로 조성했다. 다대포해변공원은 백사장 142,900㎡에 해수천, 산책로, 잔디광장, 지압보도, 나무데크 산책길(고우니 생태탐방길), 소나무 숲이 조성되면서 바닷가 정원이라고 불릴 정도로 아름다운 모습을 갖췄다. 다대포해변공원 중앙주차장에서 다대포해수욕장 자연습지를 가로지르는 생태탐방로산책로가 있다. 앞바다에 섬이나 배가 드물게 있고 수심이 얕은 덕에 햇빛이 잘 반사되어 노을녘 사진이 예쁘게 찍히고 넓은 모래사장 역시 한국에서 쉽게 보기 힘든 풍광을 제공하여 DSLR 덕후들에게는 인기있는 백사장이다. 꿈의 낙조분수라는 음악분수가 있어서 해수욕이 목적이 아닌 관광객의 수요가 많다. 분수쇼를 할 때 분사되는 물의 최대높이가 약 55m라고 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으로 인해 한동안 안 했다가 2022년 기준으로 다시 한다. 초창기 부산 국제 록 페스티벌도 다대포해수욕장에서 열렸지만 근처에 고층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소음 문제에 대한 민원이 들어와 현재는 사상구 삼락생태공원에서 진행 중이다.

구청이 있는 당리동에는 등산객들이 즐겨찾는 승학산과 그 외에도 크고 작은 산이 주변을 둘러싸고 있어 아름다운 풍광과 경관을 연출하지만 현재는 심심하면 산을 깎아 터를 만드는 바람에 주민의 입장으로서는 기분이 미묘하지 않을 수 없는데 헬름협곡을 연상시킨다며 인터넷상에서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링크

하단동에서는 2, 7일에 하단5일장이 열린다. 범위는 당리역 4번 출구의 안쪽 골목부터 하단역 12번 출구까지로 장날에는 활기찬 '동네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하단역 근처에서는 수시로 야채나 과일 등의 노점이 열린다. 하단오거리에서 엄궁동 방향으로 가다 보면 동아대학교 인근의 대학로로 이어진다. 사하구의 번화가, 대학로답게 여러 체인점과 패스트푸드점, 그리고 스포츠시설, 편의시설, 작게는 골목마다 즐비한 다양한 음식점과 술집들이 있다.

서면이나 남포동 등 시내 중심가와는 거리가 있어서 그런지 병원이나 대형마트 등의 편의시설은 제법 활성화되었으며 각 동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다. 쉽게 말해 어지간한 일은 구내에서 처리가 가능하다. 장림+구평, 괴정, 하단+당리 세 곳이 소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여담으로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사람들 중 사하구청당리에 있다는 것을 잘 인식하지 못해 사하역에서 내리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가는 길은 당리역에서 내려 5번 출구로 가면 바로 구청으로 향하는 길이 나온다.[14] 사하역 바로 앞에 있는 당리중학교에 처음 발령받은 교사들이 사하역에는 사하중학교가, 당리역당리중학교가 있다고 착각해 지하철을 타고 당리역에 내려 한참을 헤매는 경우가 많다.[15] 의외로 사하구청에 강서구민이 민원업무를 자주 보러 오는 것도 특징이다. 강서구청은 대저동까지 가야 하고 버스로도 50분 가까이 걸리지만 사하구청은 왕복 50분이면 충분하고도 남아 거주하는 관청에 들리지 않아도 되는 등본이나 혼인신고, 여권 발급을 받기 위해 온 강서구 주민들까지 있어서 민원 대기시간이 꽤 높은 편이다. 사하구청 주차장 역시 거의 만차상태므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편하다.[16]

여담으로 김정한의 소설인 사하촌(寺下村)과는 관련이 없다. 사하촌의 배경이 되는 곳은 반대편인 금정구에 있는 범어사인데 하단역을 기준으로 한다면 도시철도를 이용해서 범어사역까지 가서 90번을 타고 가든지 강변대로 ~ 중앙고속도로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를 타고 멀리 가야 한다.

구글 지도구글 지도 스트리트 뷰는 일부 지역에서는 모두 서비스된 줄 알고 있는 경우도 있으나 가덕도와 함께 지원이 불가능한 지역이 일부 존재한다. 특히 공업지대 같은 경우도 있고 영도구의 태종대도 역시 제공이 안 된다.

사하구를 부산 원도심으로 보기도 하는데 원도심의 지역 특징과는 완전히 다르다. 사하구라고 하면 서쪽의 어느 동네, 낡은 주택이 많은 공장지대, 을숙도가 있는 낙동강 하구 같은 전형적인 서부산의 이미지를 떠올리지 도심의 이미지를 떠올리는 사람은 거의 없다. 원도심과의 유사점은 항구, 달동네 등 얼마 없다.

6.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c4161d><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c4161d>
파일:사하구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c4161d> 감내1로 · 감내2로 · 감천로 · 감천항로 · 괴정로 · 구평로 · 까치고개로
낙동남로
다대동로 · 다대로 · 다산로 · 다송로 · 대티로 · 동매로 · 동주대학로 · 두송로
마하로
비봉로
사리로 · 사하로 · 서포로 · 승학로 · 신산로 · 신산북로
암남공원로 · 오작로 · 옥천로 · 원양로 · 윤공단로
장림로 · 장림번영로 · 장평로 · 제석로
천해로
하신번영로 · 하신중앙로 · 홍티로
부산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인구 수와 면적에 비해 도로망이 부족한 편이며 따라서 버스 노선이 다른 구에 비하면 다소 기형적인 편이다.[17]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하구/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경제

부산의 서남단 낙동강 하구에 자리 잡은 사하구는 김해공항, 감천항, 남해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와 인접한 서부산의 관문이자 사상산업단지와 더불어 부산 제조업의 양대 산맥인 신평·장림산업단지가 있는 곳이다.

원래는 물자가 집산되었던 낙동강 하구 하단을 제외하면 소외된 지역으로, 일제강점기에 분뇨처리장이 설치되었고 6.25 전쟁 때는 피난민이 판자촌을 만들어 집단 거주했던 변두리 지역이었다. 이러한 사하구가 산업기지로 탈바꿈하기 시작한 것은 산업화 시기 경제개발을 통해서였는데 1960년대 초 감천화력발전소(현재의 한국남부발전(주) 부산천연가스발전본부) 건설은 사하구의 산업기지로서의 발전을 예고하는 신호탄이었다.

이어서 1970년대에는 산업기지 건설을 위한 기초 인프라 확충이 전개되었다. 서대신동과 괴정동을 있는 대티터널이 뚫리고 괴정동에서 북구 엄궁동을 거쳐 남해고속도로와 김해공항까지 연결되는 낙동로가 확장·포장되는 한편 주요 간선도로인 다대로, 감천로가 확장되고 도시발전의 걸림돌이었던 분뇨처리장이 이전되면서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었다.

사회 인프라가 갖춰지기 시작하면서 사람들이 이주해오고 공장이 들어섰다. 괴정과 하단 지역의 구획정리사업으로 많은 농경지가 주택지로 정비된 것은 사람들의 이주를 가속화시켰고 준공업 지역으로 지정되면서 공장의 설립, 이주를 보다 활성화시켰다. 사하구가 이웃 사상공업단지와 남해고속도로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로의 위치로 부상했던 것도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었다.

이를 통해 사하구는 지역 변두리에서 차츰 시가지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신평장림일반산업단지, 산양일반산업단지등이 들어서있다.

한편, 무분별한 아파트 단지 조성으로 인해 YK스틸 공장이 당진으로 이전을 추진하자 지역경제 공동화에 대한 목소리도 터져나오며 괜히 노인과 바다라고 불리는 게 아니라는 얘기도 나왔다.

7.1. 금융

사하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부산사하우체국 (9)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4)
특수은행
수협은행 (1) 농협은행(중앙회) (4)
시중은행
신한은행 (1) 우리은행 (2)
SC제일은행 (1) 하나은행 (4)
국민은행 (3) iM뱅크 (1)
지방은행
부산은행 (14) 경남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서부산농협 (7) 부산축산농협 (1)
수산업협동조합
부산시수협 (2) 대형선망수협 (1) 냉동냉장수협 (1)
새마을금고
다대동새마을금고 (3) 장림동새마을금고 (3) 사하중앙새마을금고 (3) 신괴정새마을금고 (4)
감천2동새마을금고 (1) 괴정4동새마을금고 (1) 괴정3동새마을금고 (2) 괴정2동새마을금고 (1)
서부산새마을금고 (2) 부산서부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승학신용협동조합 (2) 부산장우신용협동조합 (1)

8. 문화/명소

9. 교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하구/교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의료기관

대학병원이 3개나 있는 서구와 워낙 가깝다 보니 정작 사하구에는 종합병원이 없으며 가장 큰 병원이 강동병원이나 정형외과에 특화된 부산본병원 정도이다. 일반 의원급들은 많다.

사하구 종합병원 공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신평역 사하구청 제2청사 인근에 서부산의료원을 설립할 예정이다. 2027년 연말 개원 예정이다.

11.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하구/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하구/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나무위키에 등록된 관련 인물

14. 관련 사건



[1] 8개 법정동, 16개 행정동[2] 2024년 10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3] 2024년 10월 기준.[4] 사하구 가선거구 (괴정1동, 괴정2동, 괴정3동, 괴정4동): 양기주, 윤보수
사하구 나선거구 (당리동, 하단1동, 하단2동): 전영애, 정삼균
사하구 다선거구 (신평1동, 신평2동, 구평동, 감천1동, 감천2동): 조재영, 채창섭
사하구 라선거구 (장림1동, 장림2동): 김민경
사하구 마선거구 (다대1동, 다대2동): 송샘, 신현수
사하구 비례대표: 장재희
[5] 사하구 가선거구 (괴정1동, 괴정2동, 괴정3동, 괴정4동): 한정옥
사하구 나선거구 (당리동, 하단1동, 하단2동): 유영현
사하구 다선거구 (신평1동, 신평2동, 구평동, 감천1동, 감천2동): 강현식
사하구 마선거구 (다대1동, 다대2동): 박정순
사하구 비례대표: 이임선
[6] 사하구 라선거구 (장림1동, 장림2동): 유동철[7] 사하구 제1선거구 (괴정1동, 괴정2동, 괴정3동, 괴정4동): 최영진 (재선)
사하구 제3선거구 (신평1동, 신평2동, 구평동, 감천1동, 감천2동): 성창용 (초선)
사하구 제4선거구 (장림1동, 장림2동, 다대1동, 다대2동): 이복조 (초선)
[8] 사하구 제2선거구 (당리동, 하단1동, 하단2동): 전원석 (초선)[9] 괴정동에 있는 약 620년 수령의 회화나무가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어 구내뿐만 아니라 부산광역시 전체에서 상징과도 같은 나무다.[10] 사하구와 광명시는 총 면적에서 산지의 비중이 높은 점까지 닮았다.[11] 이때 을숙도를 북구에서 넘겨받았다. 대저2동 소속이었으며 1978년 이전에는 김해군 대저읍 소속이었다.[R] 당시 단독이었는지, 혹은 동제 실시와 동시에 분리되었는지 불명확하여 이러한 형태로 서술해 둠.[R] [14] 사하역에서 내리면 1번 출구 기준으로 구청까지 약 900m를 걸어가야 한다.[15] 실제로 사하중학교당리중학교사하역 북쪽에 100m 남짓 되는 짧은 거리를 사이에 두고 있는데 남녀 공학 중학교끼리 이렇게나 가깝게 붙어 있는 이유는 과거에 당리중학교는 “서여자중학교”, 사하중학교는 남자중학교였기 때문이다.[16] 대표적으로 하단과 가까운 명지동, 녹산동, 가덕도동 주민이 사하구청으로 많이 간다. 구포와 가까운 지역인 가락동, 강동동, 대저동 주민들은 그래도 강서구청에서 업무 본다.[17] 출퇴근 시간대의 하단오거리는 정말 충격과 공포. 1호선이 신평역에서 연장되면 인해 차차 나아질 것으로 보였지만 상황은 비슷하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