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K 交響楽団 NHK Symphony Orchestra |
| | |
1. 개요
일본의 관현악단. 도쿄를 본거지로 하며, 명칭대로 일본방송협회 소속이다. 일본에서는 줄여서 'N쿄(N響)' 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많은 사람들에게 아시아 최고의 오케스트라로 평가받고 있다.2. 연혁
2.1. 초기에서 2차대전까지
개항 이래 일본에서는 여러 서양 문물들과 함께 클래식 음악도 보급되기 시작했는데, 다만 20세기 초반까지만 해도 제대로 된 관현악단은 도쿄음악학교(현 도쿄예술대학 음악학부)의 관현악부나 몇몇 실내악단에 가까운 소규모 기악 동아리 정도였고 전업 프로 관현악단은 전무한 실정이었다.이런 까닭에 몇몇 지식인과 음악인들은 일본에도 서양식 관현악단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기 시작했고, 1920년대에는 야마다 코사쿠가 결성한 도쿄 필하모니회와 일본 교향악 협회를 비롯해 실제로 창단 시도도 몇 차례 있었다. 하지만 음악인들의 기량이나 재정 문제 뿐 아니라, 관현악이라는 편제에 대한 일본인들의 무관심 때문에 실패를 거듭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1925년 4월 말에서 5월 초까지 일본 교향악 협회 단원들에 소련의 탄압을 피해 만주 지방으로 이주해온 백계 러시아 음악인들을 추가한 임시 편성의 악단이 '일본-러시아 교류 교향관현악 대연주회'라는 연속 연주회를 개최했는데, 이게 대박을 쳐서 이후 일본인만의 관현악단 설립에 큰 도움을 주게 되었다.
1926년 1월에 일본 교향악 협회는 본격적인 공연 활동에 들어갔는데, 몇 달 지나지 않아 창립자였던 야마다와 그의 후배였던 고노에 히데마로[1] 둘이서 협회 운영권을 둘러싸고 충돌했고 결국 야마다가 축출되고 고노에가 운영권을 쥐게 되었는데, 코노에는 같은 해 10월에 악단 명칭을 '신교향악단(新交響楽団)'으로 변경함과 동시에 재창단을 선언했다.[2] 물론 초대 상임 지휘자도 고노에 자신이 맡았다.
신교향악단(약칭 신향)은 일종의 시연회 성격이 강한 연구발표 연주회와 본격적인 공연인 정기 연주회, 그리고 라디오 방송 출연 위주로 활동했는데, 1927년부터는 악단의 실력 향상을 위해 체코 출신의 독일계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지휘자인 요제프 쾨니히를 공동 상임 지휘자로 영입했다. 하지만 쾨니히는 불과 2년 뒤 어느 높으신 분의 부인과 불륜 관계가 발각되어 추방당했고, 일러 교류 음악회 때 악단의 악장을 맡았던 러시아 바이올리니스트 겸 지휘자인 니콜라이 시페르블라트가 뒤를 이었다.
하지만 세간의 기대와는 다르게 악단 내부에서는 고노에의 독단적인 면모와 단원들의 저임금에 대한 불만 등으로 자주 갈등이 빚어졌고, 1931년 여름에는 약 10여 명의 단원들이 집단 탈퇴해 '코로나 교향악단(이후 도쿄 방송 관현악단으로 개칭)'이라는 악단을 만드는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다만 이 때는 뒷수습을 그럭저럭 한 까닭에 큰 스캔들로 번지지 않았다.
진짜 중요한 스캔들은 1935년 여름에 일어났는데, 잔존 단원들도 고노에와 그의 매니저였던 하라 젠이치로가 악단 재정과 급여 관리를 엉망으로 하고 있다는 것에 빡쳐서 고노에 밑에서는 더 이상 공연하지 않겠다고 선언해 버렸다. 고노에와 하라는 결국 쫓겨났고, 단원들은 자주 운영 체제를 취할 것을 선언했다.[3] 악단 측은 예전에 코노에가 발라버렸던 야마다 코사쿠와도 관계를 회복했고, 재정 확보를 위해 일본 방송 협회(당시 JOAK)와 정기 출연 계약을 체결하면서 방송 연주회 때는 'JOAK 교향악단'이라는 명칭으로 활동했다.
악단 체제 개편과 함께 새로운 지휘자의 물색도 시도했고, 1936년에 폴란드 출신의 유대인 지휘자인 요제프 로젠슈토크[4]가 전임 지휘자 직책으로 부임했다. 로젠슈토크는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스타일의 엄격한 통제로 단원들의 합주력과 집중력을 높이는데 힘썼고, 동시에 특정 작곡가의 작품을 한 시즌에 집중적으로 연주하는 연속 공연과 근현대 음악의 적극적인 소개 등 전면적인 체질 개선을 시도했다.
로젠슈토크 밑에서 점차 실력이 향상될 즈음에는 중일전쟁과 뒤이은 태평양 전쟁의 영향으로 일본 음악계도 노골적인 군국주의 찬양과 미화의 광풍에 동참하게 되었는데, 이 즈음 악단 이름을 종전의 '신교향악단'에서 '니혼(일본) 교향악단(日本交響楽団)'으로 바꾸었다. 동시에 로젠슈토크 외에 야마다 카즈오와 오타카 히사타다가 정기적으로 객원 출연하기 시작했고, 이 두 지휘자는 이듬해(1942년)에 공동 전임 지휘자로 공식 부임해 삼두 체제로 악단을 이끌었다.
하지만 태평양 전쟁 개전 후 로젠슈토크킄점차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되었는데, 그나마 악단 사무국장이었던 아리마 다이고로를 비롯한 지지파가 나서서 당장 활동 금지 조치를 받지는 않았다. 하지만 전황이 악화되면서 일본 사회가 전반적으로 동맹국인 독일의 반유대주의 정책에 호응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유대인이었던 로젠슈토크의 입지는 계속 악화되었다.
결국 로젠슈토크는 1944년 2월 이후로 아예 모든 공적 음악 활동을 금지당했고, 타카다 신이치에게 직책을 넘겨준 뒤 여타 일본 내 비적성국 출신 외국인들과 마찬가지로 전쟁이 끝날 때까지 나가노현 카루이자와의 허름한 가옥에서 사실상 유폐 생활을 해야 했다(다만 서류상 직책은 유지되었다). 전세가 미드웨이 해전 이후로 패색이 점차 짙어지자 단원들에게도 징집 명령이 내려지기 시작했고, 도쿄 대공습 같이 본토에 미군 폭격기들의 대규모 폭격으로 인해 악기와 악보가 소실되는 등 활동이 심하게 위축되기 시작했다. 결국 1945년 6월에 베토벤의 9번 교향곡을 연주한 후 활동 정지 상태가 되었고, 단원들은 대부분 군대나 군수 공장 등에 징집되었다.
2.2. 전쟁 이후
패전 후에는 의외로 빨리 재건되기 시작했는데, 미군정 당국의 허가를 받아 1945년 9월에 종전 후 첫 공연을 개최했다. 이후 그 동안 국수주의 노선 때문에 연주가 반려되었던 여러 해외 근현대 작품의 재연이나 초연에 주력하는 등 다시금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지만, JOAK가 종전 후 소멸하면서 방송 계약도 날아간 터라 매우 빡빡한 연주 일정을 소화하며 간신히 연명하는 상태였다.1951년에 종전 이래 악단 재건에 주력하던 오타카가 과로사하면서 음악인들이 악단과 재계약을 하지 않고 방관하던 JOAK의 후신인 NHK를 까기 시작했고, 결국 그 해 8월에 NHK가 악단의 재정과 연습장, 공연장 일체를 후원한다는 계약서에 서명하면서 악단 명칭이 현재의 것으로 바뀌게 되었다. 재정 상태가 안정되기 시작하자 새로운 상임 지휘자 물색도 시작되었고, 같은 해 오스트리아 출신의 쿠르트 뵈스가 영입되어 1954년까지 재직했다.
이후 약 10여 년 동안은 상임 지휘자 외에 객원 지휘자도 가능한한 외국인을 많이 초빙하며 서구 음악의 완벽한 소화에 주력했고, 장 마르티농이나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같은 당시 막 뜨기 시작한 중견 지휘자들도 1950년대에 객원으로 무대에 선 바 있다. 1956년부터 1978년까지 이탈리아의 유명 오페라 가수들과 지휘자들을 초청해 이탈리아 오페라들을 상연/중계하는 돈지랄에도 참여했고, 상임 지휘자도 뵈스 이후 스위스의 니클라우스 에슈바허, 전쟁 동안 활동이 막혔던 로젠슈토크, 오스트리아의 빌헬름 로이브너, 독일의 빌헬름 슈히터 등 외국인들이 차례로 영입되어 활동했다.
하지만 1960년대 초반 부터는 악단 안팎에서 너무 외국인 이름값에 기댄다는 비판 여론이 일기 시작했고, 그 때문인지 1961년부터 유럽과 미국에서 막 활동을 시작하고 있던 신예 지휘자인 오자와 세이지를 정기적으로 객원 초빙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단원들과 큰 살등이 생겼고, 이듬해 늦가을에 서로 대판 싸우고 결별했다.[5] 이후 오자와는 일본 국내가 아닌 세계 무대에서 활동했다.
1965년에는 알렉산더 룸프를 끝으로 더 이상 상임 지휘자를 받지 않겠다고 공표했고, 그 대신 유럽에서 한창 잘나가던 요제프 카일베르트와 로브로 폰 마타치치, 볼프강 자발리슈 같은 네임드 지휘자들을 명예 지휘자로, 그리고 이와키 히로유키와 모리 타다시, 토야마 유조 같은 일본 중견 지휘자들을 정지휘자로 영입해 균형을 맞춘다는 방침이 세워졌다. 이후 약 30년 동안은 이 양대 제도가 계속 존속하면서 큰 문제 없이 계속 굴러가게 되었다.[6]
1996년 프랑스계 스위스 지휘자인 샤를 뒤투아가 상임지휘자에 취임하며 31년 만에 상임 지휘자 제도가 부활했다. 2년 뒤인 1998년에는 음악 감독 직책을 새로 만들어 격상시켰다. 뒤투아는 2003년까지 장기 재입했고, 퇴임 후 명예 음악 감독 직함을 수여받았다.
뒤투아의 후임으로는 2004년에 러시아 출신의 피아니스트 겸 지휘자인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가 음악 감독으로 부임해 2007년까지 재임했고, 아슈케나지도 퇴임 후 계관 지휘자 직함을 받았다.
아슈케나지 이후로는 5년 동안 상임 지휘자건 음악 감독이건 후임 발표가 나오지 않았고, 1960년대 중반과 비슷하게 명예직 외국인 지휘자들과 정지휘자, 여타 객원 지휘자들이 돌아가며 공연을 이끌고 있었다. 하지만 악단 측에서 2012년 6월에 에스토니아계 미국 지휘자인 파보 얘르비를 상임 지휘자로 내정했다고 발표했고, 얘르비는 2015/16년 시즌에 공식 취임할 예정이다.
2.3. 역대 지휘자
상임 지휘자, 음악 감독, 전임 지휘자, 정지휘자- 고노에 히데마로 (近衛秀麿, 1926-1935 상임 지휘자)
- 요제프 쾨니히 (Josef König, 1927-1929 상임 지휘자)
- 니콜라이 시페르블라트 (Николай Шиферблатт, Nicolai Shiferblatt, 1929-1936 상임 지휘자)
- 요제프 로젠슈토크 (Joseph Rosenstock, 1936-1946 전임 지휘자, 1956-57 상임 지휘자. 퇴임 후 명예 지휘자 호칭 수여)
- 오타카 히사타다 (尾高尚忠, 1942-1951 전임 지휘자)
- 야마다 카즈오 (山田一雄, 1942-1951 전임 지휘자)
- 타카다 신이치 (高田信一, 1944-1951 전임 지휘자)
- 쿠르트 뵈스 (Kurt Wöss, 1951-1954 상임 지휘자)
- 니클라우스 에슈바허 (Niklaus Aeschbacher, 1954-1956 상임 지휘자)
- 빌헬름 로이브너 (Wilhelm Loibner, 1957-1959 상임 지휘자)
- 빌헬름 슈히터 (Wilhelm Schüchter, 1959-1962 상임 지휘자)
- 알렉산더 룸프 (Alexander Rumpf, 1964-1965 상임 지휘자)
- 이와키 히로유키 (岩城宏之, 1969-2006 정지휘자)
- 토야마 유조 (外山雄三, 1979- 정지휘자)
- 모리 타다시 (森正, 1979-1987 정지휘자)
- 와카스기 히로시 (若杉弘, 1995-2009 정지휘자)
- 샤를 뒤투아 (Charles Dutoit, 1996-1998 상임 지휘자, 1998-2003 음악 감독. 퇴임 후 명예 음악 감독 호칭 수여)
-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Vladimir Ashkenazy, 2004-2007 음악 감독. 퇴임 후 계관 지휘자 호칭 수여)
- 오타카 타다아키 (尾高忠明, 2010- 정지휘자) 위의 오타카 히사타다의 아들이다.
- 파보 얘르비 (Paavo Järvi, 2015- 상임 지휘자)
명예 지휘자
- 요제프 카일베르트 (1967-1968)
- 로브로 폰 마타치치 (1967-1985)
- 볼프강 자발리슈 (1967-1994; 계관 명예 지휘자 1994 - 2013)
- 오트마 주이트너 (1973-2010)
- 호르스트 슈타인 (1975-2008)
- 헤르베르트 블롬슈테트 (1986-)
수석객원지휘자
- 앙드레 프레빈 (수석객원지휘자, 2009-2012; 명예객원지휘자 2012- )
3. 특징
일본을 대표하는 오케스트라의 위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또한 아시아를 대표하는 오케스트라 중 하나다. 일본 최초는 아니더라도 프로 상설 관현악단 개념으로 치면 최선임 악단이고, 게다가 NHK 산하 악단인 만큼, 대부분의 공연이 방송으로 중계되고 있다는 점도 큰 장점이다.[7]서구에서 많은 이들이 아시아 최고의 오케스트라로 주저없이 꼽는 악단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수많은 해외 유명 음악인들과 지휘자들을 꾸준히 초빙하고 있다. 상임지휘자나 객원지휘자들의 면면도 화려하다. 이미 1950년대부터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를 비롯한 서구의 정상급 지휘자들이 NHK 심포니를 객원지휘했다. 1960년대부터는 독일을 중심으로 유명 지휘자들을 명예지휘자로 초빙하여 주기적으로 객원 연주를 가졌다. 특히 당시 동독 최고의 오케스트라였던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의 역대 상임지휘자들의 상당수가 NHK 심포니의 명예지휘자로 위촉되었다.
하지만 1990년부터 일본 내 다른 오케스트라들이 무섭게 치고 올라오며 NHK 심포니의 위상이 예전 같지는 않다. 그렇다고 NHK 심포니의 수준이 예전보다 떨어진 것은 결코 아니며 일본의 다른 오케스트라들의 실력이 크게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같은 도쿄 연고의 도쿄 메트로폴리탄 심포니 오케스트라(도쿄도교향악단), 요미우리 니폰 심포니 오케스트라(요미우리 일본 교향악단) 등이 뛰어난 실력에다가 NHK 못지 않게 해외 유수의 지휘자들을 초빙하여 NHK 심포니의 아성을 위협하고 있다. 또 뉴 재팬 필(신일본 필), 도쿄 심포니 등도 괜찮은 연주력을 보이고 있다.[8] 중부 지방에서는 사이토 키넨 오케스트라도 뛰어난 실력으로 세계적인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하지만 그래도 아직도 대다수의 일본인들은 일본을 대표하는 오케스트라로 NHK 심포니를 꼽고 있다. 그렇지만서도 최근에는 NHK 심포니가 일본에서 최고라는 말보다는 NHK 심포니, 도쿄도향(도쿄 메트로폴리탄 심포니 오케스트라), 요미우리 일본 교향악단(요미우리 니폰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묶어서 도쿄 3대 오케스트라로 일컫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초대 상임 지휘자였던 고노에 히데마로가 독일 문화의 열성 추종자였던 관계로 일찍부터 구스타프 말러의 교향곡들을 비롯한 대곡들을 일본 초연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는데, 심지어 1930년에는 말러의 교향곡 4번을 세계 최초로 녹음하는 기록을 세웠다. 자세한 것은 후술.
고노에가 쫓겨난 뒤에는 야마다 코사쿠가 베토벤의 5번 교향곡을 녹음하기도 했고, 시페르블라트나 로젠슈토크 같은 외국인 지휘자들도 일본 방송 교향악단 명의로 각기 한 종류씩의 협주곡과 협주 작품 녹음을 남긴 바 있다. 종전 후 NHK 소속이 된 뒤로는 해당 방송국에서 녹음/녹화한 테이프 자료들이 방송국 자료실에 수북하게 쌓이게 되었고, 이들 중 카라얀이 첫 내일 공연을 했을 때의 녹음 같은 진귀한 자료들은 훗날 유니버설 재팬, 알투스나 킹레코드 같은 여러 일본 음반사들에서 내수용 CD로 제작되기도 했다.
다만 일본 내수용 녹음이 아닌 세계 시장에 내놓을 목적으로 제작되는 녹음은 아직 그리 많지 않은데, 그나마 뒤투아 재임기에 영국의 데카에 프로코피에프의 6번 교향곡 등을 담은 CD가 인터내셔널로 발매된 것 등 몇 종류에 불과하다. 다만 일본 음반사의 음반들도 인터넷의 발달로 큰 어려움 없이 해외 주문이 가능해지고 있어서, 어떻게든 한두 번 정도는 녹음을 들어볼 기회가 있다.
비클래식 계통에서는 오리지널 스코어 녹음을 종종 해왔다. 스기야마 코이치가 드래곤 퀘스트의 OST를 교향조곡(교향 모음곡)으로 개편해 직접 지휘한 음반들도 있고, NHK 대하드라마 시리즈나 사극의 OST 연주도 대부분 전담하고 있다.
정기 연주회는 A~C 프로그램 세 개로 세분화해 기획하고 있으며, A와 C 프로그램은 NHK홀에서, B 프로그램은 산토리홀에서 공연하고 있다. 이외에 오타카 히사타다를 추모하기 위해 제정한 작곡상인 '오타카상' 수상작을 비롯한 일본 작곡가들의 최신작을 연주하는 특별 공연과 연말의 베토벤 9번 교향곡 연주회, 여름 특별 대중 음악회, 요코하마나 나고야, 오카야마 등지에서 연간 1~2회 가량 열리는 특별 공연 등이 있다. 아주 가끔이기는 하지만 오페라나 발레 같은 무대 작품 공연에 참가하기도 한다.
해외 공연은 생각보다 자주 하고 있지는 않은데, 1939년과 1940년에 경성에서 개최한 것이 최초로 기록되어 있다. 그래봤자 식민지 시절이었으니 좀 구린 기록이지만. 그리고 1950년대에는 내일 공연하러 온 심포니 오브 디 에어(NBC 교향악단의 후신)나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같은 악단과 합동 공연을 개최하기도 했다. 1960년에는 NHK 창립 35주년 기념으로 유럽과 미국을 일주하는 대규모 순회 공연을 개최한 바 있다. 2002년에는 식민지 시대 이후 처음으로 대한민국에서 공연하기도 했고, 2005년에도 내한할 예정이었지만 때마침 반일 감정이 격화된 상태여서 무산되기도 했다.
4. 기타
- 전술한 것처럼 구스타프 말러의 교향곡 4번을 세계 최초로 전곡 녹음한 악단이기도 하다. 1930년 5월 28일에 당시 상임 지휘자였던 고노에 히데마로가 파를로폰 일본 지사에서 이 악단을 이끌고 말러 4번 전곡을 SP 6장에다가 녹음했다. 물론 시대적 한계상 음질과 연주는 모두 그리 좋은 편은 아니고, 심지어 3악장 중반부의 287~314마디는 SP 음반의 수록 시간 한계로 인해 잘려나갔지만, 이 당시 말러는 지금과는 달리 작곡도 했던 위대한 지휘자로 인식되어 그의 작품들이 드물게 연주되었던 데다가, 이 녹음이 발매되기 전에는 전곡이 녹음된 말러 교향곡이 교향곡 2번[9] 한 곡 정도밖에 없단 것을 감안하면 엄청난 역사적 유물인 셈.
5. 관련 문서
[1] 일본 내각총리대신을 세 차례 역임한 고노에 후미마로 공작의 동생이다. 일본 귀족 중에서도 최상류, 성골 중의 성골이었던 고셋케(五攝家)에 속했던 코노에 가문은 메이지 유신 후 공작가가 되었고 그 중에서도 최고로 꼽혔는데, 히데마로도 자작(子爵) 호칭을 보유하고 있었다.[2] 이 때문에 NHK 교향악단의 창단 연도를 야마다가 일본 교향악 협회를 결성한 1925년이 아닌, 고노에가 명칭 변경과 재창단을 단행한 1926년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3] 고노에는 해외 활동에 주력하다가 결국 독일에서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전까지 활동하게 되었다.[4] 태어난 곳은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영토였던 크라쿠프였지만, 그는 독일에서 활동했다. 그러나 독일에서 나치당이 집권하고 나치당의 반유대주의로 인해 점차 활동이 어려워지자 독일을 떠나 일본으로 간 것. 일본도 추축국이었지만, 당대 일본은 반유대주의에 무관심해서 심지어 토마스 만의 사위였던 지휘자 클라우스 프링스하임도 일본에 망명해 도쿄음악학교 교수로 일하며 활동을 이어갔다.[5] 일단 주변 여론도 있고 해서 오자와와 악단은 1963년에 '공식적으로는' 화해했지만, 둘 사이의 뒤끝은 계속되어 1995년까지 같이 공연하는 일은 한 차례도 없었다.[6] 저 두 직책은 일종의 명예직이기는 하지만, 해당 지휘자가 뭔가 큰 사고를 치지 않는 이상 죽을 때까지 지속된다.[7] 다만 "스폰서가 워낙 돈을 퍼붓고 있어서 세력이 커지고 있는 것처럼 보일 뿐이며, 실제 본고장 악단과 비교하면 수준이 떨어진다"는 취지의 비판도 있긴 하다.[8] 국내의 많은 클래식 애호가들이 정명훈이 계관지휘자로 있는 도쿄 필을 일본의 명문 오케스트라에 끼워넣고 있지만 안타깝게도 도쿄 필은 지난 20년 가까이 일본 탑10 오케스트라에 거의 들지 못하고 있으며, 위에 언급된 다른 일본 명문 오케스트라보다 명백히 낮은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2001년 신세이 니혼 교향악단과 합병한 것이 도쿄 필에게 상당한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수준이 낮은 오케스트라와 합병했기 때문에 도쿄 필 자체의 퀄리티가 다운그레이드되고 말았다. 도쿄 필의 저조한 실력은 얼마 전 서울시향과의 합동 공연 때도 여지없이 드러났다. 일단 2000년대 이후 도쿄도내 오케스트라는 NHK 심포니를 필두로한 빅3, 그리고 그 아래 레벨에서 뉴 재팬 필과 도쿄 심포니가 포진하고 있는 빅5 체제가 공고화되고 있다.[9] 오스카 프리트 지휘로 베를린 스테이트 오페라 오케스트라가 1924년에 녹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