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시대 | ||||||
{{{#!wiki style="" | }}} | ||||||
{{{#!wiki style="" | |||||||
}}} | |||||||
{{{#!wiki style="" | }}} | ||||||
가마쿠라 시대 | {{{#!wiki style="" | }}} | |||||
무로마치 시대 | {{{#!wiki style="" | ||||||
}}} | |||||||
{{{#!wiki style="" | }}} | ||||||
}}}}}}}}} |
1. 개요
야마타이(邪馬臺[1], 야마대)는 야요이 시대 말기에서 고훈 시대 초에 해당하는 기원후 2~3세기경 일본 열도에 존재했던 정치체제 또는 나라로, 동시기 일본에 있었던 여러 군장국가, 부족과 함께 훗날 야마토 왕권을 이루는 나라이다.2. 상세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야마타이국의 여왕 히미코(卑弥呼)에 대한 내용과 이후 위 명제 연간인 경초(景初) 2년(238)에 나시메, 츠시고리 등을 사신으로 보낸 것을 시작으로 야마타이국이 중국에 조공한 내용 등의 기록이 나온다.<위서> 동이전의 기록에 따르면 왜(倭)에 있는 여러 나라들의 합의로 야마타이국의 히미코를 여왕으로 옹립하여(共立) 나라들 사이의 분쟁을 수습하게 했고, 야마타이국은 휘하에 30여 개 정도의 작은 나라들을 거느리고 있었다고 한다. 이때 《삼국지》 <위서>에서 말하는 '나라'(國)란 현대의 국가개념보다는 성읍국가에 가까운 일종의 도시국가적인 공동체를 의미한다. 즉, 이 당시의 야마타이국은 일본 열도의 여러 도시국가들이 야마타이국을 중심으로 연합한 연맹체에 가까운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한국과 중국 역사서에서 언급되고 있는 야마타이국이 정작 일본 역사서인 《일본서기》에서는 단 한 번도 언급되지 않는다. 히미코도 마찬가지다. 이에 대해선 여러 추론이 있지만, 일단은 현재 일본 황실에서 내세우는 만세일계와 맞지 않아서로 보인다. 즉, 만세일계를 내세우다보니 다른 기록은 있었어도 은폐 혹은 말살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3. 위치
한위노국왕 금인(金印)[2]이 발굴된 지역으로부터의 거리를 표시한 지도. 진한 회색은 고훈 시대 이후 야마토 왕권의 세력 범위를 나타낸다. |
- 규슈 지역설
규슈 지역설은 규슈가 초기 야요이 시대의 중심지였으며 《삼국지》 <위서> -동이전-의 왜국으로 가는 경로가 한반도의 구야한국에서 규슈에 도착할 때까지 3,000리인 반면 규슈에서 움직인 거리는 2,000리(육로 700리, 이외에 수로 30일/수로 30일과 육로 30일에 걸쳐 1,300리)에 불과하므로, 규슈에서 크게 벗어날 수 없으며 그 방향도 남쪽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거리는 틀릴 수 있더라도 단순히 태양만 보면 알 수 있는 동쪽과 남쪽을 착각한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규슈에서는 한나라 시대의 거울이 많이 발굴되었는데, 이는 거울이 종교적 용도로 세습되어 사용된 것으로 제작 연대보다 오랜 기간 뒤에 매장되어 일어난 현상이라고 주장한다.
- 긴키 지역설
긴키 지역설에서는 '야마타이'(邪馬臺)가 긴키 중심의 '야마토'의 기원이라고 주장하며, 이는 긴키 지역에서 발굴된 위나라의 삼각연신수경(삼각형 무늬와 신, 짐승 등의 얼굴을 그린 금속제 거울) 등으로 뒷받침된다. 히미코가 얻어온 거울은 어디까지나 위나라의 거울이었으므로 이것이 히미코가 조공하여 얻어온 거울이라는 것이다.[4] 한편 《삼국지》 -동이전-은 김해시에서 대마도로 가는 경로를 '동남쪽'이 아닌 단순한 '남쪽'으로 기록하는 등 동남향이 남향으로 잘못 기록되어 있으므로, 이에 맞춰 방향을 교정하면 왜국으로 가는 경로는 남쪽이 아닌 세토 내해를 거치는 동남향이라고 주장한다. 2020년대 들어 긴키 지역(오사카, 나라 부근)에서 야마타이국이 존재하던 시대에 해당되는 도시 유적이 발견되어[5] 긴키 지역설에 일부 힘을 보태기도 했다. 여기서 하시하카 고분(箸墓古墳)이 히미코의 무덤 아니냐는 설도 제기되었는데, 일단 일본 궁내청에서는 하시하카 고분이 제10대 스진 덴노의 선조로 제7대인 고레이 덴노의 둘째 딸 야마토토토히모모소히메노미코토(倭迹迹日百襲媛命)의 무덤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야마타이국이 당시 왜 지역의 유일한 국가가 아니었다는 것이다.
4. 야마토 왕권과의 관계
야마타이국 긴키설의 경우, 야마타이국이 야마토 왕권(ヤマト王権)의 기원이라 보고 '야마타이'(邪馬壹)라는 명칭 자체도 '야마토'를 음역한 것으로 본다.야마타이국 규슈설의 경우, 중국 사서의 邪馬壹(야마대)라는 명칭을 읽는 방법이 야마타이가 아닌 다른 발음일 수도 있다고 보고, 규슈에 존재한 邪馬壹國과 긴키의 야마토 왕권을 서로 다른 별개의 나라라고 주장하며 긴키의 야마토 왕권(야마토 조정)이 규슈의 邪馬壹國을 침공하여 멸망시키고 정복한 것으로 본다.
이 두 개 설을 절충하여 야마타이국이 원래 규슈에 있었으나 나중에 긴키로 이동하여 야마토 왕권이 되었다는 야마타이국 동천설이란 학설도 있다. 이는 진무 천황의 동정(東征) 신화와도 연결된다. 규슈는 중국이나 한반도 국가에서 신문물을 전파받기에는 유리한 지역이지만 확장된 일본영토를 다스리기엔 너무 한쪽으로 치우쳐져 있는 지역이기에 확장 과정에서 중심지 이동이 일어났을 개연성은 충분하다.[6]
5. 역대 국왕
고대 일본 제국(諸國) 군주 |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0 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왜노국 왜왕 | 왜면국 왜왕 | 야마타이국 왜왕 | 쿠노국 왜왕 | |||||||||||||||||||||
왜노국왕 | 스이쇼 | 히미코 | 토요 | 히미코코 | |||||||||||||||||||||
왜5왕 | |||||||||||||||||||||||||
찬(贊) | 진(珍) | 제(濟) | 흥(興) | 무(武) |
대수 | 시호 | 봉호[7] | 휘 | 재위기간 |
선대 계보 미상 | ||||
? | ? | 친위왜왕 (親魏倭王) | 히미코 (卑彌呼) | 180년경[8] ~ 247/248 |
? | ? | - | ?[9] | 247/248년경 |
? | ? | - | 토요 (臺與) | 248년경 ~ ?[10] |
후대 계보 미상 |
6. 야마타이 인물
[1] 邪馬台 (현대 일본어의 신자체)[2] 후한 광무제 시절 왜노국왕에게 하사한 순금제 왕인(王印). "위(委)"는 "왜(倭)"의 사람인 부분 생략 혹은 오기라고 여겨지지만 이설도 있다.[3] 규슈 역시 항해술이 발달한 후대 기준으로나 중국을 향해 바다로 직행할 수 있는 것이지 고대의 미흡한 항해술로는 한반도 연안을 타고 이동해야 했기 때문에 사실상 신라와 비슷한 조건이었다.[4] 하지만 거울의 경우에는 야마타이국에서 다른 국가에 선물로 주거나, 전쟁 등으로 탈취당했을 가능성도 있다.[5] 물론 야마타이국이 아니라 다른 나라일 가능성도 있다.[6] 물론 중심지 이동설은 한국사에서도 가야 같은 데서 고고학적 근거가 조금만 애매하면 한 번씩 거쳐갈 정도로 전가의 보도로 써먹는 가설이라 그리 특별한건 아니다. 고조선도 고고학적 증거는 아직 빈약하지만 여러 정황상 요령에서 평양 쪽으로 중심지 이동이 일어났다는 설이 지지를 받고 있다.[7] 중국의 봉호.[8] 《후한서》에 따르면 환제에서 영제로 넘어가는 시기에, 《정사 삼국지》에 따르면 후한 말에 왜국에 대란이 있었고, 이어 히미코가 즉위했다고 했다.[9] 히미코 사후 남성 왕이 잠깐 있었다가 이후 토요가 즉위했다. 이 시기에 다시 내전이 일어나 1,000여명이 죽었다고 한다.[10] 266년 진나라에 사신 파견 이후 기록이 없어서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