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7 20:25:43

토마스 만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5px 0"
※ 2003년 11월 독일의 공영TV인 ZDF가 독일 국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독일인 1백인’을 발표한 명단이다.
TOP 10
1위2위3위4위5위
콘라트 아데나워 마르틴 루터 카를 마르크스 한스, 죠피 숄 남매 빌리 브란트
6위7위8위9위10위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오토 폰 비스마르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11위~100위
11위12위13위14위15위
아돌프 콜핑 루트비히 판 베토벤 헬무트 콜 로버트 보쉬 다니엘 퀴블뵈크
16위17위18위19위20위
콘라트 추제 요제프 켄테니히 알베르트 슈바이처 카를하인츠 뵘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21위22위23위24위25위
헬무트 슈미트 레진 힐데브란트 알리체 슈바르처 토마스 고트샤크 허버트 그로네메이어
26위27위28위29위30위
미하엘 슈마허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귄터 야우흐 디터 볼렌
31위32위33위34위35위
얀 울리히 슈테피 그라프 사무엘 하네만 디트리히 본회퍼 보리스 베커
36위37위38위39위40위
프란츠 베켄바워 오스카 쉰들러 네나 한스 디트리히 겐셔 하인츠 뤼만
41위42위43위44위45위
하랄트 슈미트 프리드리히 대왕 임마누엘 칸트 패트릭 린드너 하르트무트 엥겔
46위47위48위49위50위
힐데가르트 폰 빙엔 헤이노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클라우스 폰 슈타우펜베르크 마를레네 디트리히
51위52위53위54위55위
로베르트 코흐 요슈카 피셔 카를 마이 로리오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56위57위58위59위60위
루디 푈러 하인츠 에르하르트 로이 블랙 하인츠 하랄트 프렌첸 볼프강 아펠
61위62위63위64위65위
알렉산더 폰 훔볼트 피터 크라우스 베르너 폰 브라운 디르크 노비츠키 캄피노
66위67위68위69위70위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 세바스티안 크나이프 프리드리히 실러 리하르트 바그너 카타리나 비트
71위72위73위74위75위
프리츠 발터 니콜 프리드리히 폰 보델슈윙흐 오토 릴리엔탈 마리온 돈호프
76위77위78위79위80위
토마스 만 헤르만 헤세 로미 슈나이더 스벤 하나발트 바이에른의 엘리자베트 여공작
81위82위83위84위85위
빌리 밀로위치 게르하르트 슈뢰더 요제프 보이스 프리드리히 니체 루디 두치크
86위87위88위89위90위
카를 레만 베아테 우제 트뤼머프라우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헬무트 란
91위92위93위94위95위
알브레히트 뒤러 막스 슈멜링 카를 벤츠 프리드리히 2세 라인하르트 메이
96위97위98위99위100위
하인리히 하이네 게오르크 엘저 콘라드 두덴 제임스 라스트 우베 젤러
출처
같이 보기 :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노벨문학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20세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01년 1902년 1903년 1904년 1905년
쉴리 프뤼돔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테오도르 몸젠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외른손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호세 에체가라이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파일:폴란드 입헌왕국 국기.svg
1906년 1907년 1908년 1909년 1910년
조수에 카르두치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러디어드 키플링
파일:영국 국기.svg
루돌프 오이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셀마 라겔뢰프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울 폰 하이제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1911년 1912년 1913년 1914년 1915년
모리스 마테를링크
파일:벨기에 국기.svg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
수상자 없음 로맹 롤랑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1916년 1917년 1918년 1919년 1920년
베르네르 폰 헤이덴스탐
파일:스웨덴 국기.svg
카를 기엘레루프, 헨리크 폰토피단
파일:덴마크 국기.svg
수상자 없음 카를 슈피텔러
파일:스위스 국기.svg
크누트 함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1921년 1922년 1923년 1924년 1925년
아나톨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하신토 베나벤테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브와디스와프 레이몬트
파일:폴란드 국기(1919-1927).svg
조지 버나드 쇼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1926년 1927년 1928년 1929년 1930년
그라치아 델레다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앙리 베르그송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시그리드 운세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토마스 만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싱클레어 루이스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1931년 1932년 1933년 1934년 1935년
에릭 악셀 카를펠트
파일:스웨덴 국기.svg
존 골즈워디
파일:영국 국기.svg
이반 부닌 루이지 피란델로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수상자 없음
1936년 1937년 1938년 1939년 1940년
유진 오닐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로제 마르탱 뒤 가르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펄 벅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프란스 에밀 실란패
파일:핀란드 국기.svg
수상자 없음
1941년 1942년 1943년 1944년 1945년
수상자 없음 요하네스 빌헬름 옌센
파일:덴마크 국기.svg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파일:칠레 국기.svg
1946년 1947년 1948년 1949년 1950년
헤르만 헤세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앙드레 지드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파일:영국 국기.svg
윌리엄 포크너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버트런드 러셀
파일:영국 국기.svg
1951년 1952년 1953년 1954년 1955년
페르 라게르크비스트
파일:스웨덴 국기.svg
프랑수아 모리아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윈스턴 처칠
파일:영국 국기.svg
어니스트 헤밍웨이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할도르 락스네스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1956년 1957년 1958년 1959년 1960년
후안 라몬 히메네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알베르 카뮈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파일:소련 국기.svg
살바토레 콰시모토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생존 페르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1961년 1962년 1963년 1964년 1965년
이보 안드리치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존 스타인벡
파일:미국 국기.svg
요르기우스 세페리스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장폴 사르트르
파일:프랑스 국기.svg
(수상 거부)
미하일 숄로호프
파일:소련 국기.svg
1966년 1967년 1968년 1969년 1970년
슈무엘 요세프 아그논, 넬리 작스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미겔 앙헬 아스투리아스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가와바타 야스나리
파일:일본 국기.svg
사뮈엘 베케트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파일:소련 국기.svg
1971년 1972년 1973년 1974년 1975년
파블로 네루다
파일:칠레 국기.svg
하인리히 뵐
파일:독일 국기.svg
패트릭 화이트
파일:호주 국기.svg
에위빈드 욘손, 하뤼 마르틴손
파일:스웨덴 국기.svg
에우제니오 몬탈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76년 1977년 1978년 1979년 1980년
솔 벨로
파일:미국 국기.svg
비센테 알레익산드레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오디세우스 엘리티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체스와프 미워시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엘리아스 카네티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파일:영국 국기.svg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윌리엄 골딩
파일:영국 국기.svg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
파일:체코 국기.svg
클로드 시몽
파일:프랑스 국기.svg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월레 소잉카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조지프 브로드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나기브 마푸즈
파일:이집트 국기.svg
카밀로 호세 셀라
파일:스페인 국기.svg
옥타비오 파스
파일:멕시코 국기.svg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나딘 고디머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데릭 월컷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1979–2002).svg.png
토니 모리슨
파일:미국 국기.svg
오에 겐자부로
파일:일본 국기.svg
셰이머스 히니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파일:폴란드 국기.svg
다리오 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주제 사라마구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귄터 그라스
파일:독일 국기.svg
가오싱젠
파일:프랑스 국기.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21세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V. S. 나이폴
파일:영국 국기.svg
케르테스 임레
파일:헝가리 국기.svg
존 맥스웰 쿳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엘프리데 옐리니크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해럴드 핀터
파일:영국 국기.svg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오르한 파묵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도리스 레싱
파일:영국 국기.svg
장 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헤르타 뮐러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파일:페루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토마스 트란스트뢰메르
파일:스웨덴 국기.svg
모옌
파일:중국 국기.svg
앨리스 먼로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트리크 모디아노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밥 딜런
파일:미국 국기.svg
가즈오 이시구로
파일:영국 국기.svg
올가 토카르추크
파일:폴란드 국기.svg
페터 한트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루이즈 글뤽
파일:미국 국기.svg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압둘라자크 구르나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아니 에르노
파일:프랑스 국기.svg
욘 포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
<colbgcolor=#000><colcolor=#fff> 토마스 만
Thomas Mann
파일:E44gghjWEAUlxcA.jfif.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1929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본명 파울 토마스 만
Paul Thomas Mann
출생 1875년 6월 6일

[[독일 제국|]][[틀:국기|]][[틀:국기|]] 뤼베크
사망 1955년 8월 12일 (향년 80세)

[[스위스|]][[틀:국기|]][[틀:국기|]] 취리히
국적
[[독일|]][[틀:국기|]][[틀:국기|]] ~1936[1]

[[체코|]][[틀:국기|]][[틀:국기|]] 1936~[복수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1944~[복수국적]
직업 소설가, 평론가
학력 뮌헨 대학교
뮌헨 공과대학교
수상 노벨문학상 (1929)
괴테상 (1949)
가족 배우자
자녀 6명
종교 유니테리언
서명 파일:Thomas_Mann_signature.svg

1. 개요2. 생애3. 주요 작품 목록4. 저서

[clearfix]

1. 개요

독일평론가이자 소설가. 문장 표현력과 구성, 주제의식 등에서 이견없이 20세기 독일 문학의 최고봉으로 꼽히고 있다.

2. 생애

1875년 독일 북부의 뤼베크에서 토마스 요한 하인리히 만과 율리아 다 실바 브룬스 부부의 차남으로 태어난다. 만 부부의 장남이자 그의 형은 하인리히 만이다. 아버지는 전형적인 북부 독일인으로 엄격하고 강직한 사람이었으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브라질계였던 어머니는 낭만적이고 여유로운 성격의 소유자였다. 만은 훗날 어린 시절에 대해, "뤼벡에서 흑발흑안을 소유한 여성은 우리 어머니뿐이었다."라고 회고하고 있다.

이러한 부모님의 기질 차이로 인해 성장 시절 그가 겪었던 고뇌와 방황은 후일 토니오 크뢰거(Tonio Kröger)라는 자전적 소설에서도 '시민 對 예술가'라는 안티테제로 차용되는데, 소설 속에는 아래와 같은 구절이 담겨 있다.
사려 깊고 철저하고 엄밀하셨던 아버지는 청교도 정신을 타고난 북부 기질의 소유자셨다. 불분명한 이국적 혈통의 어머니는 아름답고, 감정적이며, 소박하면서도 동시에 부주의했고 감정적이며 충동적인 자유분방함을 지니셨다. 의심의 여지없이 이것은 비범한 가능성과 위험의 결합이었다. 예술의 길에 잘못 발을 디딘 시민, 화목한 가정에 대해 향수를 지닌 뜨내기, 양심의 가책을 지닌 예술가가 그 산출물이었다.
Mein Vater war ein nordisches Temperament: betrachtsam, gründlich, korrekt aus Puritanismus; meine Mutter von unbestimmt exotischen Blut, schön, sinnlich, naiv, zugleich fahrlässig und leidenschaftlich und von einer impulsiven Liederlichkeit. Ganz ohne Zweifel war dies eine Mischung, die außerordentliche Möglichkeit und außerordentliche Gefahren in sich schloss. Was herauskam war dies: ein Bürger, der sich in die Kunst verirrte, ein Bohemien mit Heimweh nach der guten Kindernisstube, ein Künstler mit schlechten Gewissen.

본디 만 가문은 뤼벡에서 곡물상을 담당하면서 엄청난 부를 축적하여 19세기 초중반 무렵에는 지역 최대 부호 중 하나로도 꼽히기도 했으나, 상업가로의 기질이 없었던 아버지 대부터 가세가 기울기 시작했고, 1891년 그의 아버지가 사망하자 아예 가족들은 뮌헨으로 거처를 옮겨버린다. 정확히는 어머니가 먼저 이주했고, 토마스 만은 김나지움을 졸업한 이후에 이주했다. 이후 1933년 나치의 박해를 피해 망명하기까지 40년이 넘는 세월동안 뮌헨은 그의 거처가 된다. 뮌헨에서 뮌헨 대학교청강생으로 진학한 만은 작가로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 경제, 역사, 문학 등 다양한 학문을 두루 탐색한다.

이후 형인 하인리히[4]와 함께 보험회사에서 일하던 만은 꼬마 프리데만 씨(Der Kleine Herr Friedemann)를 1898년 발표하면서 작가로 첫 발을 내딛는다. 이후 1905년 부유한 유대계 언론가의 딸이었던 카티아 프링스하임과 결혼한다. 평생을 함께한 부부관계에서 만은 6명의 자식들을 얻는다. 그의 자녀들 중 장녀 에리카 만, 장남 클라우스 만, 차남 골로 만은 모두 나중에 독일 문학계의 신진 작가로 높은 평가를 받게 된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휴머니스트 성향의 만은 여러 정치적 논설을 발표하며 빌헬름 2세와 전쟁의 비참함을 고발한다. 물론 당시 독일 내의 분위기에서 이런 행동은 나쁜 반응을 불러왔다. 또한 12년이라는 엄청난 세월에 걸쳐 작성한 걸작인 마의 산을 1924년 발표하며 독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주목을 받는 작가로 발돋움한다. 그리고 1901년 발표했던 장편소설 부덴브로크 가의 사람들로 1929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다. 참고로 토마스 본인은 마의 산을 본인의 최고 걸작으로 생각했고, 마의 산을 발간하지 않았더라면 부덴브로크 가의 사람들만으로는 결코 노벨문학상을 받지 못했을 거라고 주변에 이야기했다고 한다.

하지만 1933년 나치가 집권하자 그는 더 이상 독일에 머무를 수 없게 되었고[5] 프랑스를 거쳐 1938년 미국으로 망명하여 프린스턴 대학교의 교수로 재임한다. 이후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만은 BBC의 반 나치 독일어 방송을 진행한다. 다만 영국으로 가는 건 위험하다고 생각하셨는지 미국에서 녹음을 해서 영국으로 보냈다고 한다.

전쟁이 끝난 후 토마스 만은 유럽으로 돌아와 스위스 취리히에서 생활한다. 독일 국적을 포기한 것도, 독일 방문을 거부한 것도 아니었지만[6] 독일에서 거주하지는 않으며 여생을 보내다 1955년 취리히에서 사망한다.

독일 식자층 사이에서는 문장을 늘여쓰는 것이 보편적인데, 토마스 만은 이 문장 늘려쓰기를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린 이로 평가받는다. 게다가 <마의 산> 같은 소설은 프랑스어까지 무지막지하게 튀어나와서 독문과생들을 충격과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넣는다.

3. 주요 작품 목록

  • 《꼬마 프리데만 씨 (Der kleine Herr Friedmann)》 (1898년)
  • 《부덴브로크가(家) (Buddenbrooks) 》(1901년)
  • 《토니오 크뢰거 (Tonio Kröger)》 (1903년)
  • 《대공전하 (Königliche Hoheit)》 (1909년)
  • 베네치아에서의 죽음 (Der Tod in Venedig)》(1912년) - 구스타프 말러의 죽음에 영감을 받고 저술한 작품이며, 토마스 만 본인의 동성애적 성향이 드러나는지 여부를 놓고서 문학가 사이에서 아직까지도 키배가 오가는 작품이다. 루키노 비스콘티에 의해 영화화 되었다.
  • 마의 산 (Der Zauberberg)》 (1924년) - 영화 더 큐어와, 러시아의 영화 엔지니어링 레드에 강한 영향을 주었다.
  • 《요셉과 그의 형제들 (Joseph und seine Brüder)》 (1933년 ~ 43년)
  • 《자유의 문제(Das Problem der Freiheit)》 (1937년)
  • 《바이마르의 로테 (Lotte in Weimar)》 (1939년)
  • 《뒤바뀐 머리들 - 인도의 전설(Die vertauschten Köpfe - Eine indische Legende)》 (1940년)
  • 파우스트 박사 (Doktor Faustus)》 (1947년)
  • 《거룩한 죄인 (Der Erwählte)》 (1951년)
  • 《사기꾼 펠릭스 크룰의 고백 (Bekenntnisse des Hochstaplers Felix Krull. Der Memoiren erster Teil)》 (1922년/1954년)


4. 저서

《바그너와 우리 시대 (Wagner und unsere Zeit》(S. Fischer Verlag, GmbH, Frankfurt am Main, 1963) (안인희 역, 포노, 2022)
[1] 반나치 활동으로 국적 말소[복수국적] [복수국적] [4] 비록 동생인 토마스 만의 명성에 가려진 편이지만, 이 사람도 20세기 독일 문학에 발자취를 남긴 위대한 작가이다. 어린 시절부터 두 형제 사이가 썩 좋지는 않았고 훗날 정치적, 문학적 견해(형인 하인리히는 정치적으로는 젊은 시절부터 진보적이었고, 에밀 졸라 등의 영향을 받아 자연주의 성향의 문학을 주창했다. 반면 토마스 만의 경우에는 젊은 시절에는 외려 정치적으로 보수적이었고 19세기 중후반 러시아 대가들의 영향을 받아 유미주의적이고 관념적인 성향의 문학을 선호했다.)가 달라 갈라지면서 둘의 사이가 멀어졌다가 화해하길 반복했다. 하인리히는 초창기 한두 작품이 주목을 받았으나 이후 긴 슬럼프에 빠져 동생의 명성에 가려졌고, 동생과 대조적으로 여러번 결혼을 했다. 게다가 부친을 닮아 엄격하고 내성적인데다가 깐깐한 토마스 만과 달리 모친을 닮아 유쾌하고 활발한 성격에 사교계 인맥도 넓고, 조카들한테도 친절히 대했다. 그래서 엄격한 아버지에 싫증을 느낀 토마스 만의 자녀들은 사람좋고 인기많은 큰아버지를 엄청 잘 따랐다.[5] 괴벨스가 주도한 반독일적 서적 화형식에 만의 책은 1순위로 리스트에 올라갔을 정도이다. 재미있는 사실로 만의 아들들 중 한 명은 이 괴벨스의 화형식에 직접 참석했는데, 평소와 달리 괴벨스는 오히려 흥분한 군중을 진정시키려 했다고 한다. 나치의 거물이 되기 전 꿈도 돈도 없던 청년 시절의 괴벨스는 글을 써가며 생계를 유지했고, 유대인들과도 코드가 맞으면 교류했기 때문이다.[6] 1949년 괴테 탄생 200주년 행사때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을 방문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