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16:23:11

헤르만 헤세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헤세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스페인 국적의 축구 선수에 대한 내용은 헤세 로드리게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루트비히 오토 헤세에 대한 내용은 헤세 행렬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헤르만 헤세 서명.svg파일:헤르만 헤세 서명(흰색).svg
헤르만 헤세 작품 목록
데미안 수레바퀴 아래서 유리알 유희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7월의 아이들 황야의 이리
공작나방
나무위키에 등재된 작품
헤르만 헤세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5px 0"
※ 2003년 11월 독일의 공영TV인 ZDF가 독일 국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독일인 1백인’을 발표한 명단이다.
TOP 10
1위2위3위4위5위
콘라트 아데나워 마르틴 루터 카를 마르크스 한스, 죠피 숄 남매 빌리 브란트
6위7위8위9위10위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오토 폰 비스마르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11위~100위
11위12위13위14위15위
아돌프 콜핑 루트비히 판 베토벤 헬무트 콜 로베르트 보쉬 다니엘 퀴블뵈크
16위17위18위19위20위
콘라트 추제 요제프 켄테니히 알베르트 슈바이처 카를하인츠 뵘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21위22위23위24위25위
헬무트 슈미트 레진 힐데브란트 알리체 슈바르처 토마스 고트샤크 허버트 그로네메이어
26위27위28위29위30위
미하엘 슈마허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귄터 야우흐 디터 볼렌
31위32위33위34위35위
얀 울리히 슈테피 그라프 사무엘 하네만 디트리히 본회퍼 보리스 베커
36위37위38위39위40위
프란츠 베켄바워 오스카 쉰들러 네나 한스 디트리히 겐셔 하인츠 뤼만
41위42위43위44위45위
하랄트 슈미트 프리드리히 대왕 임마누엘 칸트 패트릭 린드너 하르트무트 엥겔
46위47위48위49위50위
힐데가르트 폰 빙엔 하이노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클라우스 폰 슈타우펜베르크 마를레네 디트리히
51위52위53위54위55위
로베르트 코흐 요슈카 피셔 카를 마이 로리오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56위57위58위59위60위
루디 푈러 하인츠 에르하르트 로이 블랙 하인츠 하랄트 프렌첸 볼프강 아펠
61위62위63위64위65위
알렉산더 폰 훔볼트 피터 크라우스 베르너 폰 브라운 디르크 노비츠키 캄피노
66위67위68위69위70위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 세바스티안 크나이프 프리드리히 실러 리하르트 바그너 카타리나 비트
71위72위73위74위75위
프리츠 발터 니콜 프리드리히 폰 보델슈윙흐 오토 릴리엔탈 마리온 돈호프
76위77위78위79위80위
토마스 만 헤르만 헤세 로미 슈나이더 스벤 하나발트 바이에른의 엘리자베트 여공작
81위82위83위84위85위
빌리 밀로위치 게르하르트 슈뢰더 요제프 보이스 프리드리히 니체 루디 두치크
86위87위88위89위90위
카를 레만 베아테 우제 트뤼머프라우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헬무트 란
91위92위93위94위95위
알브레히트 뒤러 막스 슈멜링 카를 벤츠 프리드리히 2세 라인하르트 메이
96위97위98위99위100위
하인리히 하이네 게오르크 엘저 콘라드 두덴 제임스 라스트 우베 젤러
출처
같이 보기 :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rowcolor=#cd9f51> 1901 1902 1903 190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쉴리 프뤼돔 테오도르 몸젠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외른손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rowcolor=#cd9f51> 1904 1905 1906 1907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파일:폴란드 입헌왕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호세 에체가라이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조수에 카르두치 러디어드 키플링
<rowcolor=#cd9f51> 1908 1909 1910 1911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루돌프 오이켄 셀마 라겔뢰프 파울 폰 하이제 모리스 마테를링크
<rowcolor=#cd9f51> 1912 1913 1915 1916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로맹 롤랑 베르네르 폰 헤이덴스탐
<rowcolor=#cd9f51> 1917 1919 1920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카를 기엘레루프 헨리크 폰토피단 카를 슈피텔러 크누트 함순
<rowcolor=#cd9f51> 1921 1922 1923 192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1919-1927).svg
아나톨 프랑스 하신토 베나벤테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브와디스와프 레이몬트
<rowcolor=#cd9f51> 1925 1926 1927 1928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조지 버나드 쇼 그라치아 델레다 앙리 베르그송 시그리드 운세트
<rowcolor=#cd9f51> 1929 1930 1931 1932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토마스 만 싱클레어 루이스 에릭 악셀 카를펠트 존 골즈워디
<rowcolor=#cd9f51> 1933 1934 1936 1937
파일:러시아 국기2.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이반 부닌 루이지 피란델로 유진 오닐 로제 마르탱 뒤 가르
<rowcolor=#cd9f51> 1938 1939 1944 1945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칠레 국기.svg
펄 벅 프란스 에밀 실란패 요하네스 빌헬름 옌센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rowcolor=#cd9f51> 1946 1947 1948 1949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헤르만 헤세 앙드레 지드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윌리엄 포크너
<rowcolor=#cd9f51> 1950 1951 1952 1953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영국 국기.svg
버트런드 러셀 페르 라게르크비스트 프랑수아 모리아크 윈스턴 처칠
<rowcolor=#cd9f51> 1954 1955 1956 1957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어니스트 헤밍웨이 할도르 락스네스 후안 라몬 히메네스 알베르 카뮈
<rowcolor=#cd9f51> 1958 1959 1960 1961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살바토레 콰시모토 생존 페르스 이보 안드리치
<rowcolor=#cd9f51> 1962 1963 1964 1965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존 스타인벡 요르기우스 세페리스 장폴 사르트르(거부) 미하일 숄로호프
<rowcolor=#cd9f51> 1966 1967 1968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슈무엘 요세프 아그논 넬리 작스 미겔 앙헬 아스투리아스 가와바타 야스나리
<rowcolor=#cd9f51> 1969 1970 1971 197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칠레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사뮈엘 베케트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파블로 네루다 하인리히 뵐
<rowcolor=#cd9f51> 1973 1974 1975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패트릭 화이트 에위빈드 욘손 하뤼 마르틴손 에우제니오 몬탈레
<rowcolor=#cd9f51> 1976 1977 1978 197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1977-1981).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솔 벨로 비센테 알레익산드레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 오디세우스 엘리티스
<rowcolor=#cd9f51> 1980 1981 1982 1983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체스와프 미워시 엘리아스 카네티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윌리엄 골딩
<rowcolor=#cd9f51> 1984 1985 1986 1987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 클로드 시몽 월레 소잉카 조지프 브로드스키
<rowcolor=#cd9f51> 1988 1989 1990 1991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나기브 마푸즈 카밀로 호세 셀라 옥타비오 파스 나딘 고디머
<rowcolor=#cd9f51> 1992 1993 1994 1995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1979–2002).svg.pn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데릭 월컷 토니 모리슨 오에 겐자부로 셰이머스 히니
<rowcolor=#cd9f51> 1996 1997 1998 1999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다리오 포 주제 사라마구 귄터 그라스
<rowcolor=#cd9f51> 2000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오싱젠
}}}
}}}}}}}}}
[ 21세기 ]
##
||<table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1 || 2002 || 2003 || 2004 ||

}}}}}} ||
물리학 | 화학 | 생리학·의학 | 평화 | 경제학

<colbgcolor=#000><colcolor=#fff> 헤르만 헤세
Hermann Hesse
파일:Hermann_Hesse_2.jpg
1946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본명 헤르만 카를 헤세
Hermann Karl Hesse
출생 1877년 7월 2일
독일 제국 뷔르템베르크 왕국 칼프
(現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카를스루에 현 칼프)
사망 1962년 8월 9일 (향년 85세)
스위스 티치노주 몬타뇰라
국적
[[독일|]][[틀:국기|]][[틀:국기|]] |
[[스위스|]][[틀:국기|]][[틀:국기|]]
직업 소설가, 시인, 화가
수상 고트프리트 켈러 상 (1936)
괴테상 (1946)
노벨문학상 (1946)
빌헬름 라베 문학상 (1950)
독일 도서 무역의 평화상 (1955)
종교 불명[1]
서명 파일:헤르만 헤세 서명.svg파일:헤르만 헤세 서명(흰색).svg

1. 개요2. 생애3. 작품 목록4. 외부 링크
4.1. 독일어4.2. 한국어4.3. 영어4.4. 중국어
5. 미러 링크

[clearfix]

1. 개요

독일스위스인 문학가이자 예술가. 대표작으로 데미안, 싯다르타, 유리알 유희, 수레바퀴 밑에서,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황야의 이리 등이 있다.

1946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2. 생애


헤르만 헤세의 생애, 작품 세계를 소개하는 민음사 영상.

1877년 7월 2일, 개신교 선교사인 부친 요하네스 헤세[2]와 모친 마리 군데르트[3][4]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출생지는 독일 제국 뷔르템베르크 왕국에 소재한 소도시 칼프(Calw).

부친이 선교사여서 그런지 엄격한 환경에서 자랐다. 어머니 또한 독실한 신자였는데, 그에게 의무감이나 자기중심적 교육을 시켰고 종교적 신념도 강요했다. 이 때문에 모자사이는 매우 좋지 못했다. 어머니가 위독했을 때는 물론이고 심지어 장례식에도 찾아가지 않았을 정도였다.[5][6][7] 어머니 또한 헤세의 작품을 인정하고 싶지 않았다고 하니 쌍방으로 사이가 안 좋은 셈.

아버지처럼 선교사가 되려고 했지만 포기하고, 정신병원에 입원하는 등 한동안 방황하는 기간을 보낸다. 이 때의 경험은 소설 수레바퀴 밑에서에 반영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도 전투병으로는 참여하지 못했지만, 부적격 판정을 받고 대신 포로들을 관리하는 직책에 있었다.

독일 제국나치 독일 치하에서 계속 독일에 머무르면서 있었다. 나치 치하의 독일 시절, 출판을 금지시켰던 유대인 작가 작품들을 대중에게 알리는 등 나치즘을 비판하는 행보를 보였다가 나치한테 탄압당하기도 했다. 얼마 안 있어 1930년 말에는 독일 내 자신의 등단, 작품 출판 모두 금지당하게 된다.

그렇게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킨 조국 독일을 매우 비판하며, 결국 고뇌하다 조국을 버리고 스위스로 망명, 스위스인으로 살아간다. 말년엔 정원 가꾸기를 즐겼으며, 1962년 8월 9일 스위스의 몬타뇰라에서 사망했다.

동양철학에 영향을 지대하게 받았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싯다르타는 불교의 영향이 짙게 깔려있고, 유리알 유희는 고대 유가사상(성리학 이전)과 도가 사상의 색채가 강하다. 그 외에 서양의 고대 영성 철학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가져서 데미안의 경우 영지주의와 초기 기독교 사상 등이 담겨 있다.

헤세 연보에 등장하는 작품 중 중편과 장편은 대부분 국내 번역되었다. 페터 카멘친트같은 초기 작품도 전자책으로 볼 수 있다. 단편, 초기 시집과 수필, 습작이라 할 만한 몇 쪽 안 되는 환상동화 분위기의 단편은 1970~90년대까지 이따금 세로쓰기 문고판과 가로쓰기 얄팍한 책으로 번역됐고, 합하면 몇 십 편 정도 되는데, 아쉽게도 절판된 것이 많다.

카를 구스타프 융에게 정신 치료를 받은 바 있다. 데미안에서 주인공 싱클레어가 겪는 정신적 체험들의 섬세한 묘사는 어느 정도 그의 이론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가족과의 불화 등 심적으로의 아픔을 꺼내어 이를 문학적 표현과 함께 책에 담아 내는 데 커다란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재밌는 사실은 알몸 등산이 취미였다는 점이다. 사진작가인 아들(마틴 헤세, 1911~1968)이 찍어준 알몸 등산 사진도 남아 있다.

2020년대 들어서는 한국에서 그의 소설이 창작 뮤지컬 원작으로 많이 쓰이는 추세다. 데미안(2020년 초연), 나르치스와 골드문트(2022년 초연), 수레바퀴 아래서(2023년 초연)까지.

탈모가 굉장히 빨리 온 편이다. 그의 젊은 시절 사진들을 살펴보면 앞머리가 휑한걸 확인할 수 있다.

3. 작품 목록

4. 외부 링크

4.1. 독일어

4.2. 한국어

4.3. 영어

4.4. 중국어

5. 미러 링크



[1] 불교였다는 설이 있으나 불확실하다.[2] 1847년 7월 2일[21] ~ 1916년 5월 7일 (향년 68세). 러시아 제국의 영토였던 에스틀랸디야(현 에스토니아)에서 태어났다. 어떤 자료에는 헤세가 러시아 국적이기도 한 것으로 나온다.[3] 1842년 10월 18일 ~ 1902년 4월 8일 (향년 59세).[4] 여담으로, 중앙대학교 독문과 교수를 역임한 서양고전학자 이름가르트 유 군데르트(Irmgard Yu-Gundert)가 헤르만 헤세의 외사촌의 손녀이다.##[5] 나는 왜 혼자가 편할까, 70p[6] 그런데 1994년에 홍신문화사에서 출판한 책 '수레바퀴 밑에서'의 작품 해설에서는 이렇게 나온다. '어머니는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따뜻한 애정으로 그를 감싸주었다. 이러한 어머니의 애정만이 그의 삶을 지탱시켜 주는 유일한 것이었다.'[7] 영문 위키백과에 따르면 헤세가 아버지에게 보낸 편지에 장례식에 참석하지 못하는 이유로 "I think it would be better for us both that I do not come, in spite of my love for my mother"라고 썼다.[시집] [시집] [10] 국내에서 "향수"라는 제목으로 번역되기도 했다.[단편] [12] 천재교육(노) 국어 중학교 1학년 2학기 교과서에 수록.[시집] [14] Erzählung=소설, 이야기[15] 국내 번역본의 제목은 "환상 동화집"[시집] [17] 이 소설의 제목에서 유래된 캐릭터로 DC 코믹스스테픈울프Steppenwolf: The X-Creatures Project스테판울프가 있다.[시집] [시집]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