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01 | 1902 | 1903 | 1904 |
쉴리 프뤼돔 | 테오도르 몸젠 |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외른손 |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 |
<rowcolor=#cd9f51> 1904 | 1905 | 1906 | 1907 | |
호세 에체가라이 |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 조수에 카르두치 | 러디어드 키플링 | |
<rowcolor=#cd9f51> 1908 | 1909 | 1910 | 1911 | |
루돌프 오이켄 | 셀마 라겔뢰프 | 파울 폰 하이제 | 모리스 마테를링크 | |
<rowcolor=#cd9f51> 1912 | 1913 | 1915 | 1916 | |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 로맹 롤랑 | 베르네르 폰 헤이덴스탐 | |
<rowcolor=#cd9f51> 1917 | 1919 | 1920 | ||
카를 기엘레루프 | 헨리크 폰토피단 | 카를 슈피텔러 | 크누트 함순 | |
<rowcolor=#cd9f51> 1921 | 1922 | 1923 | 1924 | |
아나톨 프랑스 | 하신토 베나벤테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 브와디스와프 레이몬트 | |
<rowcolor=#cd9f51> 1925 | 1926 | 1927 | 1928 | |
조지 버나드 쇼 | 그라치아 델레다 | 앙리 베르그송 | 시그리드 운세트 | |
<rowcolor=#cd9f51> 1929 | 1930 | 1931 | 1932 | |
토마스 만 | 싱클레어 루이스 | 에릭 악셀 카를펠트 | 존 골즈워디 | |
<rowcolor=#cd9f51> 1933 | 1934 | 1936 | 1937 | |
이반 부닌 | 루이지 피란델로 | 유진 오닐 | 로제 마르탱 뒤 가르 | |
<rowcolor=#cd9f51> 1938 | 1939 | 1944 | 1945 | |
펄 벅 | 프란스 에밀 실란패 | 요하네스 빌헬름 옌센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
<rowcolor=#cd9f51> 1946 | 1947 | 1948 | 1949 | |
헤르만 헤세 | 앙드레 지드 |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 윌리엄 포크너 | |
<rowcolor=#cd9f51> 1950 | 1951 | 1952 | 1953 | |
버트런드 러셀 | 페르 라게르크비스트 | 프랑수아 모리아크 | 윈스턴 처칠 | |
<rowcolor=#cd9f51> 1954 | 1955 | 1956 | 1957 | |
어니스트 헤밍웨이 | 할도르 락스네스 | 후안 라몬 히메네스 | 알베르 카뮈 | |
<rowcolor=#cd9f51> 1958 | 1959 | 1960 | 1961 |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살바토레 콰시모토 | 생존 페르스 | 이보 안드리치 | |
<rowcolor=#cd9f51> 1962 | 1963 | 1964 | 1965 | |
존 스타인벡 | 요르기우스 세페리스 | | 미하일 숄로호프 | |
<rowcolor=#cd9f51> 1966 | 1967 | 1968 | ||
슈무엘 요세프 아그논 | 넬리 작스 | 미겔 앙헬 아스투리아스 | 가와바타 야스나리 | |
<rowcolor=#cd9f51> 1969 | 1970 | 1971 | 1972 | |
사뮈엘 베케트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파블로 네루다 | 하인리히 뵐 | |
<rowcolor=#cd9f51> 1973 | 1974 | 1975 | ||
패트릭 화이트 | 에위빈드 욘손 | 하뤼 마르틴손 | 에우제니오 몬탈레 | |
<rowcolor=#cd9f51> 1976 | 1977 | 1978 | 1979 | |
솔 벨로 | 비센테 알레익산드레 |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 | 오디세우스 엘리티스 | |
<rowcolor=#cd9f51> 1980 | 1981 | 1982 | 1983 | |
체스와프 미워시 | 엘리아스 카네티 |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 윌리엄 골딩 | |
<rowcolor=#cd9f51> 1984 | 1985 | 1986 | 1987 | |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 | 클로드 시몽 | 월레 소잉카 | 조지프 브로드스키 | |
<rowcolor=#cd9f51> 1988 | 1989 | 1990 | 1991 | |
나기브 마푸즈 | 카밀로 호세 셀라 | 옥타비오 파스 | 나딘 고디머 | |
<rowcolor=#cd9f51> 1992 | 1993 | 1994 | 1995 | |
데릭 월컷 | 토니 모리슨 | 오에 겐자부로 | 셰이머스 히니 | |
<rowcolor=#cd9f51> 1996 | 1997 | 1998 | 1999 | |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 다리오 포 | 주제 사라마구 | 귄터 그라스 | |
<rowcolor=#cd9f51> 2000 | ||||
가오싱젠 | ||||
}}}}}}}}}
- [ 21세기 ]
- ##
||<table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1 || 2002 || 2003 || 2004 ||
}}}}}} ||
물리학 | 화학 | 생리학·의학 | 평화 | 경제학 |
선정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미국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1990년 미국의 시사잡지인 라이프에서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미국인 100인을 선정했다. 순위는 없으며, 만장일치로 선정된 인물은 헨리 포드와 라이트 형제뿐이다. | ||||
제인 애덤스 <사회 개혁가> | 무하마드 알리 <권투선수, 인권 운동가> | 엘리자베스 아덴 <사업가> | 룬 알레지 <방송 경영자> | ||
루이 암스트롱 <재즈 뮤지션> | 조지 발란신 <안무가> | 존 바딘 <물리학자> | 어빙 벌린 <작곡가> | ||
에드워드 버네이스 <홍보 책임자> | 레너드 번스타인 <작곡가, 지휘자> | 말론 브란도 <배우> | 베르너 폰 브라운 <로켓 공학자> | ||
데일 카네기 <작가> | 월리스 캐러더스 <발명가, 화학자> | 윌리스 하빌랜드 캐리어 <에어컨 발명가> | 레이첼 카슨 <작가, 해양생물학자> | ||
빙 크로스비 <가수, 배우> | 클래런스 대로 <변호사> | 유진 데브스 <노동운동가, 사회주의자> | 로버트 더그래프 <포켓북 창업자> | ||
존 듀이 <철학자> | 월트 디즈니 <기업가, 애니메이션 제작자> | W. E. B. 듀보이스 <NAACP 설립자> | 앨런 덜레스 <CIA 국장> | ||
밥 딜런 <포크 뮤지션>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물리학자> |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시인> | 윌리엄 포크너 <소설가> | ||
에이브러햄 플렉스너 <교육자> | 헨리 포드 <기업가> | 존 포드 <영화감독> | 베티 프리댄 <페미니스트 여성 작가> | ||
밀턴 프리드먼 <경제학자> | 조지 갤럽 <여론 분석가> | 아마데오 지아니니 <은행가> | 빌리 그레이엄 <목사> | ||
마사 그레이엄 <댄서, 안무가> | 데이비드 와크 그리피스 <영화감독> | 조이스 홀 <사업가> | 어니스트 헤밍웨이 <소설가> | ||
올리버 홈스 주니어 <법학자> | 존 에드거 후버 <FBI 초대 국장> | 로버트 허친스 <교육자> | 헬렌 켈러 <인권 운동가> | ||
잭 케루악 <시인, 작가> | 빌리 진 킹 <인권 운동가, 테니스 선수> | 마틴 루터 킹 <목사, 인권 운동가> | 알프레드 킨제이 <성과학자, 생물학자> | ||
빌렘 콜프 <생명과학자> | 레이 크록 <맥도날드 창업자> | 에드윈 랜드 <과학자, 발명가> | 윌리엄 레빗 <부동산 개발업자> | ||
존 L. 루이스 <노동당 지도자> | 찰스 린드버그 <비행기 조종사> | 레이먼드 로이 <산업 디자이너> | 헨리 루스 <편집자> | ||
더글러스 맥아더 <군인, 정치인> | 조지 C. 마셜 <군인, 정치인> | 루이스 B. 메이어 <영화 제작자> | 클레어 매카델 <패션 디자이너> | ||
조지프 매카시 <변호사, 정치인> | 프랭크 맥너마라 <신용카드 발명가> | 마거릿 미드 <인류학자> | 칼 메닝거 <정신과 의사> | ||
찰스 E. 메릴 <주식 중개인> | 미스 반 데어 로에 <건축가> | 로버트 모세 <공무원> | 윌리엄 멀홀랜드 <토목 기사> | ||
에드워드 R. 머로 <종군기자> | 랠프 네이더 <소비자 보호가, 환경보호가> | 라인홀드 니부어 <윤리학자> | 존 폰 노이만 <물리학자, 수학자> | ||
유진 오닐 <극작가, 작가> |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물리학자> | 윌리엄 S. 페일리 <방송 경영자> | 잭슨 폴록 <화가> | ||
에밀리 포스트 <소설가, 작가> | 엘비스 프레슬리 <가수> | 재키 로빈슨 <야구선수> | 존 데이비슨 록펠러 주니어 <기업가> | ||
리처드 로저스 (로저스 앤 해머스타인) <뮤지컬 작곡가, 작사가> | 윌 로저스 <배우, 작가> | 엘리너 루스벨트 <FDR의 아내, 사회운동가> | 베이브 루스 <야구선수> | ||
조너스 소크 <소아마비 백신 개발자> | 마거릿 생어 <사회운동가> | 앨프리드 P. 슬론 <사업가, 산업가> | 벤자민 스팍 <소아과 의사> | ||
앨프리드 스티글리츠 <사진작가> | 로이 스트라이커 <공무원, 사진작가> | 빌 윌슨 <AA 창립자> | 앤디 워홀 <화가> | ||
얼 워런 <대법원장> | 제임스 듀이 왓슨 <생물학자, 유전학자> | 토머스 왓슨 주니어 <사업가, 정치인> | 테네시 윌리엄스 <극작가> | ||
월터 윈첼 <신문기자> |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건축가> | 라이트 형제 <최초의 비행기 제작자> | 말콤 엑스 <인권 운동가> | ||
출처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윌리엄 포크너 William Faulkner | |
1949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 |
본명 | 윌리엄 커스버트 포크너 William Cuthbert Faulkner |
출생 | 1897년 9월 25일 |
미국 미시시피 주 뉴올버니 | |
사망 | 1962년 7월 6일 (향년 64세) |
미국 미시시피 주 비할리아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직업 | 소설가, 시인, 평론가, 시나리오 작가 |
장르 | 소설, 평론 |
사조 | 모더니즘, 남부 고딕 |
학력 | 미시시피 대학교 (중퇴) |
부모 | 아버지 머레이 포크너 어머니 머드 포크너 |
배우자 | 에스텔 올드햄 (1929년 결혼) |
자녀 | 질 포크너 |
대표작 | 음향과 분노 팔월의 빛 압살롬, 압살롬! |
서명 |
[clearfix]
1. 개요
20세기 미국의 대문호로, 어니스트 헤밍웨이, F. 스콧 피츠제럴드 등과 함께 20세기 전반기 미국문학을 대표했던 위대한 소설가.[1]2. 생애
1897년 미국 남부의 미시시피 주 뉴 올버니 출생.남북 전쟁에서 게릴라 부대를 지휘했던 가문 출신으로 어릴 때 가족이 미시시피 주 옥스퍼드로 이사를 간 후 그곳에서 생애를 주로 보냈다.
고등학교를 자퇴한 후 미시시피 대학에서 문학에 심취하여 작가에 뜻을 두고 첫 소설인 『병사의 보수』를 출간했다. 그 후 여러 직업을 전전하다가 장편 『사토리스』를 발표해서 문단에서 입지를 얻었다. 이후 어릴 적 친구인 에스텔 프랭클린과 결혼한 후 그의 대표작인 『음향과 분노』[2]를 출판하면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고, 곧이어 『성역』, 『상속자들』, 『압살롬, 압살롬!』 등을 썼다.
평생토록 남부 미국인으로 살고자 했던 그의 소설은 남북전쟁과 재건기 동안 남부의 전통적인 가치와 그것의 쇠락에 대해 정교하게 표현했으며 작품 속에서 문체적, 구조적 혁신을 이루어 현대 미국 문학의 모더니즘 계열을 개척했다. 일반적으로 20세기 최고의 미국 작가로 꼽히는데, 그의 비평적 성공은 헤밍웨이나 피츠제럴드도 크게 능가할 정도이며 너새니얼 호손, 허먼 멜빌, 마크 트웨인, 헨리 제임스와 함께 미국 문학을 세계에서 우뚝 서게 한 위대한 작가라고 평가받는다. 작가가 장편, 단편을 가로지르며 활동한 터라 방대한 수의 작품을 남긴 것은 장점이지만 전기, 중기 작품들에 비해 후기 작품들의 평가가 다소 낮은 것은 흠. 예를 들어, 포크너의 스노프 삼부작은 『음향과 분노』에 비해 연구가 활발하지 않다.
노벨문학상 수상식에서 "갈등에 빠진 인간의 마음이야말로 글을 쓸 만한 가치가 있는 유일한 것이다"(“The only thing worth writing about is the human heart in conflict with itself”)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얼음과 불의 노래의 작가 조지 R.R. 마틴이 가장 좋아하고 영향을 받은 말이기도 하다.[3]
헐리우드에서 각본을 쓰기도 했다. 레이먼드 챈들러의 소설을 하워드 혹스가 영화화한 빅 슬립이 가장 유명하다. 밀드레드 피어스의 각본에도 참여했으나, 크레딧을 받지는 못했다.
1949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하였다. 그리고 1년이 지난 1950년에 버트런드 러셀과 함께 시상식을 가졌고 노벨상 상금 중 일부는 신인 소설가들을 지원하기 위한 기금에 기부했다.
이듬해 수상자와 함께한 사진.
1951년에는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슈발리에 훈장을 받았다.
1962년 낙마사고 후유증으로 심장마비로 사망하였다.
3. 작품들의 배경 - 요크나파토파
포크너의 대다수 소설들은 본인의 고향이기도 한 미시시피 주의 라파예트 카운티를 모델로 한 가상의 카운티인 요크나파토파(Yoknapatawpha)를 무대로 한다. 요크나파토파는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중 치카소 어로 "갈라진 땅"을 의미하며 넓이는 6,200제곱킬로미터, 인구는 1936년 기준 15,611명이며 이 중 흑인 인구는 9,313명이고, 6,298명은 백인이다.한 작품에 나왔던 등장인물이 다른 작품에도 나오는 경우가 있다. 그 예시로 소리와 분노에 등장하는 퀜틴 콤슨이 <압살롬, 압살롬!>에도 등장한다.
요크나파토파 전도. 포크너가 소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직접 그렸던 지도이다.
4. 작품 목록
문장이 어렵다보니 같은 시대의 헤밍웨이와는 달리 번역된 작품 수가 적은 편이다. 번역 퀄리티도 들쭉날쭉해서 오역도 심한 편.4.1. 장편소설
시중 판매작은 볼드체로 표기- 《Soldiers' Pay》 병사의 보수 (1926)
- 《Mosquitoes》 모기들 (1927)
- 《Sartoris》 사토리스 (1929)
- 《The Sound and the Fury》 음향과 분노 (1929)
- 《As I Lay Dying》 내가 죽어 누워 있을 때 (1930)
- 《Sanctuary》 성역 (1931)
- 《Light in August》 8월의 빛 (1932)
- 《Pylon》 파일론 (1935)
- 《Absalom, Absalom!》 압살롬, 압살롬! (1936)
- 《The Unvanquished》 정복되지 않는 자들 (1938)
- 《The Wild Palms》 야생 종려나무 (1939)[4]
- 《The Hamlet》햄릿 (1940)
- 《Go Down, Moses》모세여, 내려가라[5] (1942)
- 《Intruder in the Dust》폭풍 속의 침입자 (1948)
- 《Requiem for a Nun》어느 수녀를 위한 진혼곡 (1951)
- 《A Fable》우화 (1954)
- 《The Town》읍내 (1957)
- 《The Mansion》저택 (1959)
- 《The Reivers, a Reminicence》회상 (1962)
- 《Elmer》엘머 (1984)
4.2. 단편소설 및 동화
현대문학에서 출판한 단편 선집에 포함된 작품은 ☆, 민음사 쏜살문고에 포함된 단편은 ★로 표시한다.현대문학에 수록된 단편이 더 많지만 번역평은 그야말로 최악으로 단편 하나에 오역이 수십개씩 쏟아지는 걸로 악명 높다. 쏜살문고쪽 평가가 훨씬 좋다.
- 에밀리를 위한 장미 ☆★ - 네크로필리아를 다루고 있는 남부 고딕 호러 로맨스로, 포크너 단편 중에서는 가장 인지도가 높다. 좀비스의 Odessey and Oracle 수록곡 'A Rose for Emily', 마이 케미컬 로맨스의 'To the End'는 이 소설을 모티브로 한 곡이다.
- 헛간, 불태우다 ☆★
- 가뭄이 든 9월 ☆★
- 저 석양 ★
- 버베나 향기 ★
- 신전의 지붕널 ☆
- 그날의 저녁놀 ☆
- 붉은 나뭇잎 ☆
- 와시 ☆
- 반전 ☆
- 여왕이 있었네 ☆
- 브로치 ☆
- 마티노 의사 ☆
- 사막의 목가
- 미스 질피어 겐트
- 기사의 선수(나이츠 갬빗)[6]
- 거대한 숲
- 꼭두각시
- 오월제
- 소원을 비는 나무(동화)
4.3. 시집
아직 번역된 시는 없다.- 《The Mable Faun》대리석 목신 (1924)
- 《This Earth》이 대지 (1932)
- 《The Green Bough》초록 나뭇잎 (1933)
- 《Helen: A Courtship and Mississippi Poems》헬렌: 구애 및 미시시피 시 (1981)
- 《Vision of Springs》봄의 꿈 (1984)
5. 참고 서적
<포크너를 위하여> 김욱동 저, 2013[1] 44세로 일찍 사망한 피츠제럴드를 제외한 둘은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헤밍웨이가 간결한 문체를 즐겨 썼던 반면, 포크너의 문체는 길고 난해한 편이어서 대조를 이루었다. 이렇게 상이한 문체 때문인지 서로 치열한 디스전을 펼친 적도 있다.[2] 이 소설은 프랑스에서 큰 평가를 얻어서 그에게 단번에 세계적 명성을 가져다주었다. 사르트르가 음향과 분노에 대해 에세이를 쓰기도 했을 정도로 포크너는 유럽에서 막대한 명성을 누렸다.[3] 마틴 역시 이 때문에 착하기만 하거나 나쁘기만 한 캐릭터는 별로 선호하지 않는다. 아예 어느 인터뷰에서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는 입체적이고 복잡한 인물상을 가진, 소위 말하는 '회색' 캐릭터라고 말했다.[4] 국내에서 1960년대에 "야생의 정열"이라는 제목으로 번역출간된 적이 있었다. 그리고 2024년에 지식공작소에서 이 판본의 영인본을 출간했다.[5] 중편 <곰>은 이 소설의 일부이다.[6] 2023년 2월 《나이츠 갬빗》이라는 제목으로 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