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01 | 1902 | 1903 | 1904 |
쉴리 프뤼돔 | 테오도르 몸젠 |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외른손 |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 |
<rowcolor=#cd9f51> 1904 | 1905 | 1906 | 1907 | |
호세 에체가라이 |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 조수에 카르두치 | 러디어드 키플링 | |
<rowcolor=#cd9f51> 1908 | 1909 | 1910 | 1911 | |
루돌프 오이켄 | 셀마 라겔뢰프 | 파울 폰 하이제 | 모리스 마테를링크 | |
<rowcolor=#cd9f51> 1912 | 1913 | 1915 | 1916 | |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 로맹 롤랑 | 베르네르 폰 헤이덴스탐 | |
<rowcolor=#cd9f51> 1917 | 1919 | 1920 | ||
카를 기엘레루프 | 헨리크 폰토피단 | 카를 슈피텔러 | 크누트 함순 | |
<rowcolor=#cd9f51> 1921 | 1922 | 1923 | 1924 | |
아나톨 프랑스 | 하신토 베나벤테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 브와디스와프 레이몬트 | |
<rowcolor=#cd9f51> 1925 | 1926 | 1927 | 1928 | |
조지 버나드 쇼 | 그라치아 델레다 | 앙리 베르그송 | 시그리드 운세트 | |
<rowcolor=#cd9f51> 1929 | 1930 | 1931 | 1932 | |
토마스 만 | 싱클레어 루이스 | 에릭 악셀 카를펠트 | 존 골즈워디 | |
<rowcolor=#cd9f51> 1933 | 1934 | 1936 | 1937 | |
이반 부닌 | 루이지 피란델로 | 유진 오닐 | 로제 마르탱 뒤 가르 | |
<rowcolor=#cd9f51> 1938 | 1939 | 1944 | 1945 | |
펄 벅 | 프란스 에밀 실란패 | 요하네스 빌헬름 옌센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
<rowcolor=#cd9f51> 1946 | 1947 | 1948 | 1949 | |
헤르만 헤세 | 앙드레 지드 |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 윌리엄 포크너 | |
<rowcolor=#cd9f51> 1950 | 1951 | 1952 | 1953 | |
버트런드 러셀 | 페르 라게르크비스트 | 프랑수아 모리아크 | 윈스턴 처칠 | |
<rowcolor=#cd9f51> 1954 | 1955 | 1956 | 1957 | |
어니스트 헤밍웨이 | 할도르 락스네스 | 후안 라몬 히메네스 | 알베르 카뮈 | |
<rowcolor=#cd9f51> 1958 | 1959 | 1960 | 1961 |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살바토레 콰시모토 | 생존 페르스 | 이보 안드리치 | |
<rowcolor=#cd9f51> 1962 | 1963 | 1964 | 1965 | |
존 스타인벡 | 요르기우스 세페리스 | | 미하일 숄로호프 | |
<rowcolor=#cd9f51> 1966 | 1967 | 1968 | ||
슈무엘 요세프 아그논 | 넬리 작스 | 미겔 앙헬 아스투리아스 | 가와바타 야스나리 | |
<rowcolor=#cd9f51> 1969 | 1970 | 1971 | 1972 | |
사뮈엘 베케트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파블로 네루다 | 하인리히 뵐 | |
<rowcolor=#cd9f51> 1973 | 1974 | 1975 | ||
패트릭 화이트 | 에위빈드 욘손 | 하뤼 마르틴손 | 에우제니오 몬탈레 | |
<rowcolor=#cd9f51> 1976 | 1977 | 1978 | 1979 | |
솔 벨로 | 비센테 알레익산드레 |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 | 오디세우스 엘리티스 | |
<rowcolor=#cd9f51> 1980 | 1981 | 1982 | 1983 | |
체스와프 미워시 | 엘리아스 카네티 |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 윌리엄 골딩 | |
<rowcolor=#cd9f51> 1984 | 1985 | 1986 | 1987 | |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 | 클로드 시몽 | 월레 소잉카 | 조지프 브로드스키 | |
<rowcolor=#cd9f51> 1988 | 1989 | 1990 | 1991 | |
나기브 마푸즈 | 카밀로 호세 셀라 | 옥타비오 파스 | 나딘 고디머 | |
<rowcolor=#cd9f51> 1992 | 1993 | 1994 | 1995 | |
데릭 월컷 | 토니 모리슨 | 오에 겐자부로 | 셰이머스 히니 | |
<rowcolor=#cd9f51> 1996 | 1997 | 1998 | 1999 | |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 다리오 포 | 주제 사라마구 | 귄터 그라스 | |
<rowcolor=#cd9f51> 2000 | ||||
가오싱젠 | ||||
}}}}}}}}}
- [ 21세기 ]
- ##
||<table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1 || 2002 || 2003 || 2004 ||
}}}}}} ||
물리학 | 화학 | 생리학·의학 | 평화 | 경제학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노벨상 | }}} | |||||
[clearfix]
1. 개요
노벨문학상의 연도별, 국가별, 언어별 수상을 통계한 문서.역대 노벨 문학상 수상자들의 번역서 목록
다른 부문의 노벨상에서는 해마다 3명 이내로 공동 수상자가 나오는 일이 많지만, 노벨문학상은 1명(즉, 단독)의 수상자만을 선정하는 경향이 강하다. 현재까지 공동 수상의 사례는 불과 4번(1904년, 1917년, 1966년, 1974년)뿐이며, 모두 2명에게 주어졌다.
2. 언어별
<rowcolor=#000> 언어 | 개수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영어 | 28개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프랑스어 | 14개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독일어 | |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 스페인어 | 11개 |
[[스웨덴| ]][[틀:국기| ]][[틀:국기| ]] 스웨덴어 | 7개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이탈리아어 | 6개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러시아어 | 5개 |
[[폴란드| ]][[틀:국기| ]][[틀:국기| ]] 폴란드어 | |
[[덴마크| ]][[틀:국기| ]][[틀:국기| ]] 덴마크어 | 3개 |
[[노르웨이| ]][[틀:국기| ]][[틀:국기| ]] 노르웨이어 | |
복수 언어 |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일본어 | 2개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중국어 | |
[[그리스| ]][[틀:국기| ]][[틀:국기| ]] 그리스어 | |
[[방글라데시| ]][[틀:국기| ]][[틀:국기| ]] 벵골어 | 1개 |
[[핀란드| ]][[틀:국기| ]][[틀:국기| ]] 핀란드어 | |
[[이스라엘| ]][[틀:국기| ]][[틀:국기| ]] 히브리어 | |
[[튀르키예| ]][[틀:국기| ]][[틀:국기| ]] 튀르키예어 | |
[[포르투갈| ]][[틀:국기| ]][[틀:국기| ]] 포르투갈어 | |
[[헝가리| ]][[틀:국기| ]][[틀:국기| ]] 헝가리어 | |
[[체코| ]][[틀:국기| ]][[틀:국기| ]] 체코어 | |
[[아이슬란드| ]][[틀:국기| ]][[틀:국기| ]] 아이슬란드어 | |
오크어 | |
아랍어 | |
[[유고슬라비아 왕국| ]][[틀:국기| ]][[틀:국기| ]] 세르보크로아트어 | |
이디시어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한국어 |
수상자가 문학 활동에 사용한 언어 통계이다. 복수 언어를 사용하거나 작가의 수상 당시 국적과 언어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으므로 국가별 수상과 동일하지 않다.
3. 연도별 수상자
3.1. 1900년대
연도 | 수상자(국적) | 수상자 소재국 | 작품언어 | 대표작(장르) |
1901 | 쉴리 프뤼돔 | 프랑스 제3공화국 | 프랑스어 | 구절과 시(시) |
1902 | 크리스티안 마티아스 테오도르 몸젠 | 독일 제국 | 독일어 | 로마사(역사) |
1903 |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외른손 | 노르웨이 | 노르웨이어 | 행운아(소설) |
1904 |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 프랑스 제3공화국 | 오크어 | 미레유(시) |
호세 에체가라이 | 스페인 | 스페인어 | 미치광이 또는 성자(희곡) | |
1905 |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 러시아 제국[1] | 폴란드어 | 쿠오바디스(소설) |
1906 | 조수에 카르두치 | 이탈리아 왕국 | 이탈리아어 | 레비아 그라비아(시) |
1907 | 러디어드 키플링 | 영국 | 영어 | 정글북(소설) |
1908 | 루돌프 오이켄 | 독일 제국 | 독일어 | 대사상가의 인생관(철학) |
1909 | 셀마 오틸리아나 로비사 라게를뢰프[2] | 스웨덴 | 스웨덴어 | 닐스의 모험(아동문학)[3] |
1910 | 파울 폰 하이제 | 독일 제국 | 독일어 | 아라비아타(소설) |
3.2. 1910년대
연도 | 수상자(국적) | 수상자 소재국 | 작품언어 | 대표작(장르) |
1911 | 모리스 마테를링크 | 벨기에 | 프랑스어[4] | 파랑새(희곡) |
1912 |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 독일 제국 | 독일어 | 해뜨기 전(희곡) |
1913 | 라빈드라나트 타고르[5] | 영국[6] | 벵골어/영어 | 기탄잘리(시) |
1914 | 수상자 없음 | |||
1915 | 로맹 롤랑 | 프랑스 제3공화국 | 프랑스어 | 장크리스토프(소설) |
1916 | 베르네르 폰 헤이덴스탐 | 스웨덴 | 스웨덴어 | 한스 알리에누스(소설) |
1917 | 카를 기엘레루프 | 덴마크 | 덴마크어 | 이상주의자(소설) |
헨리크 폰토피단 | 사자의 왕국(소설) | |||
1918 | 수상자 없음 | |||
1919 | 카를 슈피텔러 | 스위스 | 독일어[7] | 올림포스의 봄(소설) |
1920 | 크누트 함순 | 노르웨이 | 노르웨이어 | 굶주림(소설) |
3.3. 1920년대
연도 | 수상자(국적) | 수상자 소재국 | 작품언어 | 대표작(장르) |
1921 | 아나톨 프랑스 | 프랑스 제3공화국 | 프랑스어 | 페도크 여왕의 불고기집(소설) |
1922 | 하신토 베나벤테 | 스페인 | 스페인어 | 조작된 이해(희곡) |
1923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 아일랜드 자유국 | 영어 | 호수의 섬 이니스프리(시) |
1924 | 브와디스와프 레이몬트 | 폴란드 제2공화국 | 폴란드어 | 농민(소설) |
1925 | 조지 버나드 쇼 | 영국[8] | 영어 | 피그말리온(희곡) |
1926 | 그라치아 델레다 | 이탈리아 왕국 | 이탈리아어 | 엘리아스 포르톨루(소설) |
1927 | 앙리 베르그송 | 프랑스 제3공화국 | 프랑스어 |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철학) |
1928 | 시그리드 운세트 | 노르웨이 | 노르웨이어 | 십자가(소설) |
1929 | 토마스 만 | 독일국 | 독일어 | 마의 산(소설) |
1930 | 싱클레어 루이스 | 미국[9] | 영어 | 배빗(소설) |
3.4. 1930년대
연도 | 수상자(국적) | 수상자 소재국 | 작품언어 | 대표작(장르) |
1931 | 에릭 악셀 카를펠트[10] | 스웨덴 | 스웨덴어 | 광야와 사랑의 노래(시) |
1932 | 존 골즈워디 | 영국 | 영어 | 포사이트 가(家)의 이야기(소설) |
1933 | 이반 부닌 | 없음[11] | 러시아어 | 메마른 골짜기(소설) |
1934 | 루이지 피란델로 | 이탈리아 왕국 | 이탈리아어 | 작가를 찾는 6명의 등장 인물(희곡) |
1935 | 수상자 없음 | |||
1936 | 유진 오닐 | 미국 | 영어 | 지평선 너머(희곡) |
1937 | 로제 마르탱 뒤 가르 | 프랑스 제3공화국 | 프랑스어 | 티보 가(家) 사람들(소설) |
1938 | 펄 벅 | 미국 | 영어 | 대지(소설) |
1939 | 프란스 에밀 실란패 | 핀란드 | 핀란드어[12] | 젊었을 때 잠들다(소설) |
1940 | 수상자 없음 |
3.5. 1940년대
연도 | 수상자(국적) | 수상자 소재국 | 작품언어 | 대표작(장르) |
1941 | 수상자 없음 | |||
1942 | ||||
1943 | ||||
1944 | 요하네스 빌헬름 옌센 | 덴마크 | 덴마크어 | 긴 여행(소설) |
1945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칠레[13] | 스페인어 | 부드러움(시) |
1946 | 헤르만 헤세 | 스위스 | 독일어[14] | 유리알 유희(소설) |
1947 | 앙드레 지드 | 프랑스 제4공화국 | 프랑스어 | 좁은 문(소설) |
1948 |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 영국 | 영어 | 황무지(시) |
1949 | 윌리엄 포크너 | 미국 | 압살롬, 압살롬!(소설) | |
1950 | 버트런드 러셀[15] | 영국 | 서양철학의 역사(철학) |
3.6. 1950년대
연도 | 수상자(국적) | 수상자 소재국 | 작품언어 | 대표작(장르) |
1951 | 페르 라게르크비스트 | 스웨덴 | 스웨덴어 | 바라바(소설) |
1952 | 프랑수아 모리아크[16] | 프랑스 제4공화국 | 프랑스어 | 테레즈 데케이루(소설) |
1953 | 윈스턴 처칠[17] | 영국 | 영어 | 제2차 세계대전사(역사) |
1954 | 어니스트 헤밍웨이 | 미국 | 노인과 바다(소설) | |
1955 | 할도르 락스네스 | 아이슬란드 | 아이슬란드어 | 영웅 이야기(사가) |
1956 | 후안 라몬 히메네스 | 스페인 | 스페인어 | 플라테로와 나(시) |
1957 | 알베르 카뮈 | 프랑스 제4공화국 | 프랑스어 | 이방인(소설) |
1958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18] | 소련 | 러시아어 | 닥터 지바고(소설) |
1959 | 살바토레 콰시모토 | 이탈리아 | 이탈리아어 | 인생은 꿈이 아니다(시) |
1960 | 생존 페르스 | 프랑스 | 프랑스어 | 원정(시) |
3.7. 1960년대
연도 | 수상자(국적) | 수상자 소재국 | 작품언어 | 대표작(장르) |
1961 | 이보 안드리치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 세르보크로아트어 | 드리나 강의 다리(소설) |
1962 | 존 스타인벡 | 미국 | 영어 | 분노의 포도(소설) |
1963 | 요르기우스 세페리스 | 그리스 왕국 | 그리스어 | 분기점(시) |
1964 | 장폴 사르트르 (수상 거부)[19] | 프랑스 | 프랑스어 | 구토(소설/철학) |
1965 | 미하일 숄로호프 | 소련 | 러시아어 | 고요한 돈 강(소설) |
1966 | 슈무엘 요세프 아그논 | 이스라엘 | 히브리어 | 바다 한복판에서(소설) |
넬리 작스 | 스웨덴 | 독일어[20] | 엘리(시/희곡) | |
1967 | 미겔 앙헬 아스투리아스 | 과테말라 | 스페인어 | 대통령 각하(소설) |
1968 | 가와바타 야스나리 | 일본[21] | 일본어 | 설국(소설) |
1969 | 사뮈엘 베케트 | 아일랜드 | 영어/프랑스어 | 고도를 기다리며(희곡) |
1970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소련 | 러시아어 |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소설) |
3.8. 1970년대
연도 | 수상자(국적) | 수상자 소재국 | 작품언어 | 대표작(장르) |
1971 | 파블로 네루다 | 칠레 | 스페인어 | 모두의 노래(시) |
1972 | 하인리히 뵐 | 서독 | 독일어 |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소설) |
1973 | 패트릭 화이트 | 호주 | 영어 | 폭풍의 눈(소설) |
1974 | 에위빈드 욘손 | 스웨덴 | 스웨덴어[22] | 긴 생애(소설) |
하뤼 마르틴손 | 아니아라(소설/시) | |||
1975 | 에우제니오 몬탈레 | 이탈리아 | 이탈리아어 | 폭풍과 기타(시) |
1976 | 솔 벨로 | 캐나다/미국 | 영어 | 훔볼트의 선물(소설) |
1977 | 비센테 알레익산드레 | 스페인 | 스페인어 | 입술 같은 칼(시) |
1978 |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 | 미국 | 이디시어 | 적들, 사랑이야기(소설) |
1979 | 오디세우스 엘리티스 | 그리스 | 그리스어 | 알바니아에서 쓰러진 소위에게 바치는 영웅적 애도의 노래(시) |
1980 | 체스와프 미워시 | 폴란드 인민 공화국/미국[23] | 폴란드어 | 대낮의 등불(시) |
3.9. 1980년대
연도 | 수상자(국적) | 수상자 소재국 | 작품언어 | 대표작(장르) |
1981 | 엘리아스 카네티 | 영국 | 독일어[24] | 현혹(소설) |
1982 |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 콜롬비아 | 스페인어 | 백 년 동안의 고독(소설) |
1983 | 윌리엄 골딩 | 영국 | 영어 | 파리대왕(소설) |
1984 |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체코어 | 섬에서의 음악회(시) |
1985 | 클로드 시몽 | 프랑스 | 프랑스어 | 플랑드르 가도(소설) |
1986 | 월레 소잉카 | 나이지리아[25] | 영어 | 해설자(소설) |
1987 | 조지프 브로드스키 | 미국 | 영어/러시아어[26] | 연설 한 토막(시) |
1988 | 나기브 마푸즈 | 이집트 | 아랍어 | 게벨라위의 아이들(소설) |
1989 | 카밀로 호세 셀라 | 스페인 | 스페인어 | 벌집(소설) |
1990 | 옥타비오 파스 | 멕시코 | 공기의 아들들(시) |
3.10. 1990년대
연도 | 수상자(국적) | 수상자 소재국 | 작품언어 | 대표작(장르) |
1991 | 나딘 고디머 | 남아프리카공화국 | 영어 | 명예로운 손님(소설) |
1992 | 데릭 월컷 | 세인트루시아 | 오메로스(시) | |
1993 | 토니 모리슨 | 미국 | Be Loved(소설) | |
1994 | 오에 겐자부로 | 일본 | 일본어 | 개인적인 체험(소설) |
1995 | 셰이머스 히니 | 아일랜드 | 영어 | 어느 자연주의자의 죽음(시) |
1996 |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 폴란드 | 폴란드어 | 모래알과 함께한 전경(시) |
1997 | 다리오 포 | 이탈리아 | 이탈리아어 | 교황과 마녀(희곡) |
1998 | 주제 사라마구 | 포르투갈 | 포르투갈어 | 눈먼 자들의 도시(소설) |
1999 | 귄터 그라스 | 독일[27] | 독일어 | 양철북(소설/희곡) |
2000 | 가오싱젠 | 프랑스[28] | 중국어 | 영혼의 산(소설) |
3.11. 2000년대
연도 | 수상자(국적) | 수상자 소재국 | 작품언어 | 대표작(장르) |
2001 | 비디아다르 수라지프라사드 나이폴 경 | 영국 | 영어 | 미겔 스트리트(소설) |
2002 | 케르테스 임레 | 헝가리 | 헝가리어 | 운명(소설) |
2003 | 존 맥스웰 쿳시 | 남아프리카공화국 | 영어 | 추락(소설) |
2004 | 엘프리데 옐리네크 | 오스트리아 | 독일어 | 피아노 치는 여자(소설) |
2005 | 해럴드 핀터 | 영국 | 영어 | 귀향(희곡) |
2006 | 오르한 파묵 | 튀르키예 | 튀르키예어 | 내 이름은 빨강(소설) |
2007 | 도리스 레싱 | 영국 | 영어 | 다섯째 아이(소설) |
2008 | 장 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 | 프랑스/모리셔스 | 프랑스어 | 황금 물고기(소설) |
2009 | 헤르타 뮐러 | 루마니아/독일[29] | 독일어 | 숨그네(소설) |
2010 |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 페루/스페인[서지] | 스페인어 | 천국은 다른 곳에(소설) |
3.12. 2010년대
연도 | 수상자(국적) | 수상자 소재국 | 작품언어 | 대표작(장르) |
2011 | 토마스 트란스트뢰메르 | 스웨덴 | 스웨덴어 | 산 자와 죽은 자를 위하여(시) |
2012 | 모옌 | 중국 | 중국어 | 개구리(소설) |
2013 | 앨리스 먼로 | 캐나다 | 영어 | 디어 라이프(소설) |
2014 | 파트리크 모디아노 | 프랑스 | 프랑스어[31] |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소설) |
2015 |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 벨라루스 | 러시아어 | 체르노빌의 목소리 : 미래의 연대기(르포) |
2016 | 밥 딜런[32] | 미국 | 영어 | Like a Rolling Stone(노래) |
2017 | 가즈오 이시구로 | 영국[33] | 영어 | 남아있는 나날(소설) |
2018 | 올가 토카르추크[34] | 폴란드 | 폴란드어 | 플라이츠(소설)[35] |
2019 | 페터 한트케 | 오스트리아 | 독일어 | 관객모독(희곡) |
2020 | 루이즈 글뤽 | 미국 | 영어 | 아라라트(시) |
3.13. 2020년대
연도 | 수상자 | 수상자 소재국 | 작품언어 | 대표작(장르) |
2021 | 압둘라자크 구르나 | 탄자니아/영국 | 영어 | 낙원(소설) |
2022 | 아니 에르노 | 프랑스 | 프랑스어 | 세월(소설) |
2023 | 욘 포세 | 노르웨이 | 노르웨이어[36] | 3부작(소설) |
2024 | 한강[37] | 대한민국 | 한국어 | 채식주의자(소설), 소년이 온다(소설) |
[1] 시엔키에비치의 수상 당시 폴란드는 러시아 영토였다. 즉, 그는 러시아인으로 살다가 죽은 것이다. 폴란드는 그가 죽고 난 후인 1918년에 독립하였다.[2] 문학상 최초의 여성 수상자[3] 유일한 아동문학 수상자이다. 2년 후 수상한 마테를링크의 파랑새의 경우, 원래 성인 대상 희곡임에도 아동연극으로 각색된 버전이 워낙 유명하여 흔히 잘못 알려져 있다.[4] 태생이 벨기에지만 프랑스어권 지역에서 태어나 활동도 주로 프랑스에서 했다.[5] 아시아인 최초 수상[6] 영국령 인도 제국[7] 리스탈 시의 공식 홈페이지도 독일어로 제작될 정도로 슈피텔러의 출생지인 리스탈과 그 근방은 전통적으로 독일어권 지역이다.[8] 아일랜드 출생이고 1922년 아일랜드가 독립하였으며 본인도 아일랜드 국적을 얻었지만 선정 당시 활동영역이 영국이었기 때문에 공식 노벨상 기록은 영국으로 규정하고 있다.[9] 아메리카 최초 수상[10] 특이하게도 사망한 후 수상했다.[11] 스웨덴 아카데미가 제공하는 서지정보로도 수상시의 소재국이 없다. 엄밀한 의미에서 부닌은 무국적자였기 때문이다. 우선 부닌이란 인물은 명백히 러시아인이 맞다. 다만 혁명을 피해서 프랑스로 망명한 상태였다. 출신 및 언어는 러시아, 활동 지역은 프랑스, 국적은 무국적인 상태. 소련 국민도, 더이상 러시아 제국민도 아니었고, 그렇다고 외국 국적을 취득하지 않았기에 무국적으로 등록한 듯 하다.[12] 비 인도유럽어족 최초, 교착어 최초.[13] 남아메리카 최초의 수상자[14] 독일계 스위스인[15] 2024년 현재까지 문학과 관계없는 순수학문의 학자가 수상한 마지막 사례다.[16] 흔히 샤를 드골이 한 말로 잘 알려진 '나는 독일을 매우 사랑해서 독일이 여럿이었으면 좋겠다.(J’aime tellement l’Allemagne que je suis heureux qu’il y en ait deux.)를 처음 한 사람으로만 기억되지만, 사실 가톨릭문학에서는 알아 주는 인물이었다.[17] 정작 처칠 본인은 평화상을 기대하고 있었기에, 문학상 수상 소식을 듣자 꽤나 시무룩해 했다고 한다.[18] 타의에 의해서 수상을 거부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사후 그의 아들이 대리 수상을 하였기에 수상을 한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 자세한 사항은 보리스 파스테르나크항목 참고.[19] 자의로 수상을 거부하였다.[20] 본래 독일인이지만 유대계 혈통을 지녔기 때문에 나치의 박해를 피해 스웨덴으로 갔다.[21] 백인 이외의 인종 최초. 한자문화권 최초.[22] 둘 다 해외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이들이라는 공통점이 있다.[23] 노벨상 위원회에서 이중국적임을 인정받은 최초의 작가. 주미 폴란드 대사관에서 근무하다 1970년에 미국 국적을 취득하였고, 이중국적임을 인정해도 정치적으로 문제가 없었던 사례.[24] 1966년 수상자 넬리 작스와 마찬가지로 나치로부터 도피를 했기 때문에 영국 국적임에도 독일어로 상을 받게 되었다.[25] 아프리카 최초의 문학상 수상자[26] 조금 특이한 경우로 산문작품은 영어로, 시는 러시아어로 작품을 썼다고.[27] 통일 후의 첫 독일 수상자다.[28] 망명 11년째인 1998년에 프랑스 시민권을 취득하였으며, 이에 중국 국적은 사라졌다.[29] 독일계 루마니아 출신이지만 그녀가 젊었던 시절의 지도자가 그 악명높은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라서 모국인 독일로 귀화하였고 작가로서 왕성한 활동을 했다.[서지] 서지정보 상으로만 확인 가능.[31] 스웨덴 아카데미에서 직접 서술하지는 않았으나 수상 인터뷰가 프랑스어로 진행되었다.[32] 가수로서 최초.[33] 일본에서 태어나 유년기에 영국으로 이주했으며 노벨상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출신지 기준으로만 분류하기 때문에 일본 태생 노벨 수상자로 분류하고 있다.[34] 2018년 5월 4일 스웨덴 아카데미 스캔들 여파로 심사위원들이 사퇴하자, 아카데미 위원회는 2018년 수상자 선정을 2019년으로 연기하였고, 이에 따라 2019년에 진행된 수상자 발표 때 2018년 수상자로 선정되었다.[35] 국내에서는 <방랑자들>(민음사)이란 제목으로 출간되었다.[36] 노르웨이어의 두 표준어 중 뉘노르스크[37] 아시아 여성 최초 수상